납서대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납서대과는 가자미목에 속하는 물고기 과로, 몸이 얇고 편평하며 두 눈이 오른쪽 측면에 위치한다. 전 세계 온대 및 열대 지역에 분포하며, 갑각류나 작은 물고기를 먹고 산다. 32개 속, 185종으로 구성되며, 한국에는 뿔서대, 그물동서대 등이 서식한다. 일부 종은 식용으로 이용되며, 특히 유럽넙치는 유럽에서 인기가 높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샤를 뤼시앵 보나파르트가 명명한 분류군 - 판새류
판새류는 상어, 가오리, 홍어 등을 포함하는 연골어류 아강으로, 아가미구멍과 여러 열의 이빨을 가지며 기름으로 가득 찬 간으로 부력을 조절하고, 턱 구조의 다양성을 보이는 특징을 지니며, 데본기에 출현하여 전 세계 해역과 일부 담수에 분포하지만 멸종 위기에 처해 보존 노력이 필요하다. - 샤를 뤼시앵 보나파르트가 명명한 분류군 - 공기호흡메기과
공기호흡메기과는 아프리카, 인도, 동남아시아 등지에 서식하며, 공기 호흡을 가능하게 하는 상아가미 기관을 통해 육지에서도 이동할 수 있는 메기목 조기어류의 한 과이다.
납서대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분류 | |
하위 분류 | |
이미지 | |
![]() | |
![]() |
2. 형태
몸은 얇고 편평하며, 양 눈은 오른쪽 측면에 위치하고 작다. 가슴지느러미는 갖는 종류와 갖지 않는 종류가 있다. 꼬리지느러미는 등지느러미, 뒷지느러미와 연결되는 종류와 떨어져 있는 종류가 있다. 양 눈 사이의 간격은 짧다. 입은 비대칭적이다.
저서어류로, 눈이 없는 쪽을 아래로 하고 헤엄친다. 전 세계의 온대에서 열대 지역에 걸쳐 분포하며, 하천, 기수역, 연안부에서 심해까지 폭넓게 서식한다. 소형 갑각류나 작은 물고기를 포식한다.
3. 생태
4. 하위 속
속 대표 종 비고 Achiroides Aesopia 뿔서대 동서대속 (Aseraggodes) 그물동서대, 동서대 Austroglossus Barnardichthys Bathysolea Brachirus Buglossidium Dagetichthys Dicologlossa 납서대속 (Heteromycteris) 납서대 Leptachirus Liachirus Microchirus Monochirus Paradicula Pardachirus Pegusa Phyllichthys Pseudaesopia 각시서대 Rendahlia Rhinosolea Solea Soleichthys Synaptura Synapturichthys Synclidopus Typhlachirus Vanstraelenia 각시서대속 (Zebrias) 노랑각시서대, 궁제기서대
4. 1. 한국 서식 속
속 | 종 | 비고 |
---|---|---|
동서대속 (Aseraggodes) | 그물동서대, 동서대 | |
납서대속 (Heteromycteris) | 납서대 | |
Pseudaesopia | 각시서대 | |
각시서대속 (Zebrias) | 노랑각시서대, 궁제기서대 | |
Aesopia | 뿔서대 |
4. 2. 기타 속
납서대과에는 32개 속, 185종이 있다.[5]속 | 서식 지역 및 종 수 |
---|---|
Achiroides | 동남아시아의 담수 2종 |
뿔넙치속 Aesopia | 뿔넙치 1종 |
날개넙치속 Aseraggodes | 인도-태평양 54종 |
Austroglossus | 아프리카의 대서양 연안 2종 |
Barnardichthys | 남아프리카 공화국 1종 |
Barbourichthys | 인도양 1종 |
Bathysolea | 대서양과 인도양 4종 |
납서대속 Brachirus | 인도-태평양 18종 |
Buglossidium | 대서양 1종 |
Dagetichthys | 대서양과 인도양 1~3종 |
Dexillus | 인도양과 태평양 1종 |
Dicologlossa | 대서양 2종 |
반점넙치속 Heteromycteris | 인도-태평양 6종 |
Leptachirus | 오세아니아 9종 |
유리넙치속 Liachirus | 인도-태평양 2종 |
Microchirus | 대서양과 지중해 7종 |
Monochirus | 대서양과 태평양 3종 |
Paradicula | 오스트레일리아 1종 |
얼룩넙치속 Pardachirus | 인도-태평양 6종 |
Pegusa | 대서양과 지중해 5종 |
Phyllichthys | 태평양과 인도양 3종 |
세토넙치속 Pseudaesopia | 서태평양 1종 |
Rendahlia | 오스트레일리아 1종 |
코넙치속 Rhinosolea | 서태평양 1종 |
Solea | 태평양과 대서양 9종 |
줄납서대속 Soleichthys | 인도-태평양 8종 |
Synaptura | 3대양 5~7종 |
Synapturichthys | 대서양 1종 |
Synclidopus | 오스트레일리아 2종 |
Typhlachirus | 인도네시아 1종 |
Vanstraelenia | 아프리카 대서양 연안 1종 |
납서대속 Zebrias | 인도-태평양 18종 |
5. 계통 분류
다음은 2016년 해링턴(Harrington) 등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이다.[7]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 전갱이류
|-
|
{| class="wikitable"
|-
| 꼬치고기과
|-
|
{| class="wikitable"
|-
| 눈볼개과
|-
|
{| class="wikitable"
|-
|
물총고기과 |
렙토브라마과 |
|-
|
{| class="wikitable"
|-
| 배불뚝치과
|-
! 돛새치목
|-
|
돛새치과 |
황새치과 |
|}
|}
|}
|-
! 전갱이목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빨판상어과
|-
|
날새기과 |
만새기과 |
|}
|-
| rowspan="2" | 전갱이과
|-
|
동갈방어아과 |
전갱이아과 |
가시전갱이아과 |
빨판매가리아과 |
|}
|}
|-
|
{| class="wikitable"
|-
| 날가지숭어과
|-
! 가자미목
|-
|
{| class="wikitable"
|-
| 마찰넙치과
|-
|
{| class="wikitable"
|-
| 풀넙치과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신월가자미과
|-
|
|}
|-
|
아키루스과 |
남극가자미과 |
|}
|-
|
{| class="wikitable"
|-
| 대문짝넙치과
|-
|
{| class="wikitable"
|-
|
가자미과 |
넙치과 |
|-
|
둥글넙치과 |
키클롭세타과 |
|}
|}
|}
|}
|}
|}
|}
|}
|}
|}
6. 인간과의 관계
납서대과 어종 중 일부는 식용으로 중요하게 여겨지며, 특히 유럽넙치는 유럽에서 인기 있는 식재료이다.
참조
[1]
FishBase
[2]
FishBase
[3]
뉴스
Meet the only man alive who has been to the deepest ocean.
https://www.bbc.com/[...]
BBC News
2012-02-23
[4]
간행물
On the Validity of the Trieste Flatfish: Dispelling the Myth.
http://www.biolbull.[...]
2012
[5]
FishBase
[6]
FishBase
[7]
논문
Phylogenomic analysis of carangimorph fishes reveals flatfish asymmetry arose in a blink of the evolutionary eye.
2016-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