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내부통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내부 통제는 조직의 목표 달성을 위한 합리적인 확신을 제공하기 위해 설계된 절차로, 이사회, 경영진 및 구성원이 수행한다. COSO 프레임워크는 내부 통제를 통제 환경, 위험 평가, 정보 및 커뮤니케이션, 통제 활동, 모니터링의 다섯 가지 구성 요소로 정의한다. 내부 통제는 기업 지배구조와 관련하여 논의되며, 기업뿐만 아니라 정부 기관을 포함한 모든 조직이 그 대상이 된다. 현대적 의미의 내부 통제는 1992년 COSO 보고서를 통해 체계화되었으며, 대한민국에서는 다이와 은행 거액 손실 사건 등을 계기로 내부 통제 시스템 구축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J-SOX는 한국판 SOX법으로, 상장 기업의 내부 통제 보고서 제출을 의무화하여 재무 보고 신뢰성을 높이고 투자자를 보호한다. 내부 통제는 사기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경영진, 이사회, 감사인 등 다양한 주체가 역할을 분담한다. 내부 통제는 경영자의 무시, 판단 오류, 예상 밖의 환경 변화, 비용과 편익의 제약 등의 한계를 가지며, 기술 발전과 데이터 분석을 통해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감사 - 국정감사권
    국정감사권은 의회가 행정부를 감시, 견제하기 위해 국정 전반을 조사하는 권한으로, 대한민국 국회도 헌법상 이 권한을 가지나, 감사원 존재, 형식적 감사, 수사 기관 부재 등으로 기능이 제한적이며, 과거 약화되었다가 현행 헌법에서 부활하여 실효성 제고를 위한 제도 개선 논의가 진행 중이다.
  • 감사 - 회계감사
    회계감사는 재무제표의 적정성에 대해 독립적인 감사인이 의견을 표명하는 제도이며, 감사 시기, 주체, 법적 강제성, 감사 범위 등에 따라 분류되고, 감사인은 전문 지식과 독립성을 갖춰 감사기준을 준수하며, 주주와 채권자 등 이해관계자 보호를 목적으로 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2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2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내부통제

2. 정의

COSO 내부 통제-통합 프레임워크에 따르면, 내부 통제는 조직의 이사회, 경영진 및 기타 직원들이 수행하는 프로세스로, 운영, 보고 및 규정 준수와 관련된 목표 달성에 대한 합리적인 확신을 제공하도록 설계되었다.[3] COSO는 내부 통제를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구성 요소로 정의한다.[3]

# 통제 환경: 조직의 분위기를 조성하여, 조직 구성원의 통제 의식에 영향을 미친다. 이는 내부 통제의 모든 다른 구성 요소의 기초가 된다.

# 위험 평가: 목표 달성에 대한 관련 위험을 식별하고 분석하여, 위험을 관리해야 하는 방식의 기초를 형성한다.

# 정보 및 커뮤니케이션: 사람들이 책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형식과 시간 프레임으로 정보의 식별, 획득 및 교환을 지원하는 시스템 또는 프로세스.

# 통제 활동: 경영 지시가 수행되도록 보장하는 데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절차.

# 모니터링: 시간이 지남에 따라 내부 통제 성과의 질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프로세스.

COSO 정의는 조직의 전체 통제 시스템과 관련이 있으며, 이는 많은 개별 통제 절차로 구성된다.[3]

개별 통제 절차는 특정 정책, 절차 및 활동 집합으로 정의된다. 통제는 프로세스 내의 지정된 기능 또는 활동 내에 존재할 수 있으며, 자동화 또는 수동, 조정, 직무 분리, 검토 및 승인 권한 부여, 자산 보호 및 책임, 오류 또는 사기 방지 또는 감지 등 고유한 특성을 가진다.[3]

일반적으로 내부 통제는 목표, 예산, 계획 및 기타 기대를 설정하여 통제 기준을 설정하고, 성능 또는 상황을 예상, 허용 또는 수용되는 범위 내로 유지하기 위해 존재한다. 프로세스 내에 구축된 통제는 본질적으로 내부적이며, 사회적 환경이 직원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 통제에 필요한 정보, 정책 및 절차와 같은 상호 관련된 구성 요소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내부 통제 구조는 내부 통제가 이러한 요소로 구성되는 방식을 결정하는 계획이다.[3]

기업 지배 구조 개념 또한 내부 통제의 필요성에 크게 의존한다. 내부 통제는 프로세스가 설계된 대로 작동하고 위험 관리의 위험 대응(위험 처리)이 수행되도록 돕는다(COSO II). 또한, 앞서 언급한 절차가 의도한 대로 수행되도록 보장하는 상황, 즉 올바른 태도, 성실성 및 역량, 그리고 관리자의 감독이 필요하다.[3]

내부 통제는 조직이 성립된 단계부터 사실상 존재했다고 추정할 수 있지만, 그 이론화와 관련한 선구적인 업적으로는 미국의 트레드웨이 위원회 후원 조직 위원회(COSO)가 1992년에 공표한 보고서인 "내부통제의 통합적 프레임워크"(COSO 보고서)가 중요하게 여겨진다.

넓은 의미로는 조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책임자 또는 경영자가 정비·운용하는 것이며, 좁은 의미로는 법률 행위나 재무 보고에서의 부정이나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경영자가 주체가 되어 정비·운용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조직 형태나 사내 규정의 정비, 업무의 매뉴얼화나 사원 교육 시스템의 정비, 규율을 준수하면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환경 정비, 및 재무 보고나 경리의 부정 방지가 언급된다.

3. 역사

내부 통제는 아주 오래전부터 존재해 왔다. 헬레니즘 이집트에서는 이중 행정 체제가 있었는데, 한 그룹의 관료는 세금을 징수하고 다른 그룹은 그들을 감독하는 방식이었다. 중화민국에서는 정부의 5개 원 중 하나인 감찰원이 다른 정부 기관을 감시하는 역할을 했다.

현대적 의미의 내부 통제는 1992년 미국의 트레드웨이 위원회 후원 조직 위원회(COSO)가 발표한 "내부 통제의 통합적 프레임워크"(COSO 보고서)를 통해 체계화되었다.

일본에서는 다이와 은행 거액 손실 사건을 계기로 이사가 내부 통제 체제를 구축하는 것이 선관주의의무라는 인식이 확산되었다. 상법특례법에 따라 위원회 등 설치 회사에 내부 통제 체제 구축이 의무화되었고, 상법 시행과 함께 널리 적용되었다.

2000년대 초, 미국에서 엔론 사건이나 월드컴 사건과 같은 대규모 분식·부정 감사 사건이 잇따라 발생하면서, 일본에서도 상장 기업의 내부 통제 시스템 강화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금융상품거래법에서는 경영자가 내부 통제 보고서를 작성하고 공인 회계사 등이 이를 감사하는 시스템을 도입했다. 이는 미국의 SOX법을 참고한 것으로, 속칭 J-SOX법이라고 불리며, 2008년부터 적용되었다.

2006년 5월에 시행된 상법2006년 6월에 국회에서 성립된 금융상품거래법을 통해 내부 통제 보고서 제출 의무가 법제화되었다. 기업회계심의회 내부통제부회는 2007년 1월 31일 내부 통제에 대한 정의를 승인했다.

4. 한국판 SOX법 (J-SOX)

2000년대 초, 미국에서 엔론이나 월드컴과 같은 대규모 분식회계 및 부정 감사 사건이 연이어 발생하면서, 대한민국에서도 기업 회계 투명성에 대한 요구가 높아졌다. 이에 금융상품거래법을 통해 내부통제보고제도, 즉 한국판 SOX법(J-SOX)이 도입되었다.[10]

J-SOX는 상장 기업의 경영자가 내부 통제 시스템을 구축하고 운영하며, 그 유효성을 평가하여 내부 통제 보고서를 작성하고, 공인 회계사 등의 감사를 받도록 의무화했다. 이는 기업의 재무 보고 신뢰성을 높이고 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한 조치이다.

J-SOX는 2008년 4월 1일 이후에 시작하는 사업 연도부터 적용되었으며, 금융상품거래법 제24조의4의4에 근거하여 기업이 사업 연도마다 내각총리대신에게 내부통제보고서를 제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10] 이 보고서는 기업이 재무 정보의 적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체제를 갖추고 있는지 평가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기업회계심의회는 "재무 보고에 관한 내부 통제의 평가 및 감사 기준"[11]과 "실시 기준"을 설정하여, J-SOX의 실무적 틀을 제공하고 있다.

내부통제보고서를 허위로 작성할 경우,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 엔 이하의 벌금, 또는 둘 다 부과될 수 있으며, 법인의 경우 5억 엔 이하의 벌금이 부과될 수 있다.

4. 1. J-SOX의 목적

기업회계심의회 내부통제부회는 2007년 1월 31일에 내부통제를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 내부통제는 기본적으로 업무의 유효성 및 효율성, 재무보고의 신뢰성, 사업 활동에 관련된 법령 등의 준수, 자산의 보전이라는 4가지 목적 달성을 위한 합리적인 보증을 얻기 위해, 업무에 통합되어 조직 내 모든 사람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스를 말한다.

  • '''업무의 유효성·효율성''': 사업 활동 목표 달성을 위해 업무의 유효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다.
  • '''재무 보고의 신뢰성''': 공시하는 재무제표와 재무제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정보의 신뢰성을 담보하는 것이다.
  • '''법령 준수''': 사업 활동과 관련된 법령, 회계 기준, 규범, 각 사의 윤리 강령 및 가이드라인을 준수하게 하는 것이다.
  • '''자산의 보전''': 회사의 자산(유형·무형, 인적 자원 포함) 취득, 사용, 처분이 정당한 절차와 승인 하에 적절하게 이루어지도록 자산 보전을 도모하는 것이다.

4. 2. J-SOX의 기본 요소

COSO영어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한 J-SOX는 다음과 같은 여섯 가지 기본 요소를 제시한다.[1]

# '''통제 환경''': 조직의 기풍을 결정하고, 통제에 대한 조직 내 모든 사람의 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다른 기본적 요소의 기초가 된다. 위험의 평가 및 대응, 통제 활동, 정보와 전달, 모니터링 및 IT에의 대응에 기반이 된다.[1]

# '''위험의 평가 및 대응''':

## 위험의 평가: 조직 목표 달성에 영향을 미치는 사상 중, 조직 목표 달성을 저해하는 요인을 위험으로 식별, 분석 및 평가하는 프로세스이다.[1]

## 위험에 대한 대응: 위험 평가를 받아, 해당 위험에 대한 적절한 대응을 선택하는 프로세스이다.[1]

# '''통제 활동''': 경영자의 명령지시가 적절하게 실행되도록 확보하기 위해 정해지는 방침 및 절차를 말한다. (예: 어떤 작업에 관해, 누가 최종 책임자인지를 명확히 하고, 그 사람이 그 작업을 통제할 수 있는 상황)[1]

# '''정보와 전달''': 필요한 정보가 식별, 파악 및 처리되어, 조직 내부 및 외부, 관계자 상호 간에 올바르게 전달되는 것을 확보하는 것을 말한다. (예: 연락, 보고, 상담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직장 내 괴롭힘이나 성희롱 등의 금지를 명문화하고, 방지를 철저히 한다.)[1]

# '''모니터링(감시 활동)''': 내부 통제가 유효하게 기능하고 있는지를 지속적으로 평가하는 프로세스를 말한다. (내부 감사나 외부 감사에서 감사 측이 통제 활동을 감사하기 위한 샘플 채취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가가 초점이 된다)[1]

# '''IT에 대한 대응 (정보기술)''': 조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사전에 적절한 방침 및 절차(정보 관리 규정 등)를 정하고, 그것을 토대로 업무 수행에 있어서 조직 안팎의 IT에 적절하게 대응하는 것을 말한다. (예: 위 4가지 목적, 6가지 기본적 요소를 바탕으로 정보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 IT의 보수·관리 부문에 의해 행해지는 재무 관련 원데이터 정보의 갱신에 관해, 갱신 이력을 정확하게 기록하는 것 등)[1]

5. 역할과 책임

기업 지배 구조는 내부 통제의 필요성에 크게 의존한다. COSO 프레임워크에 따르면, 조직 내 모든 구성원은 내부 통제에 대해 어느 정도 책임을 진다. 모든 직원은 내부 통제 시스템에 사용되는 정보를 생성하거나 통제에 영향을 미치는 조치를 취한다. 기업 지배 구조의 각 주요 주체는 다음과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3]


  • 최고 경영자 (최고 관리자): 조직의 내부 통제를 설계하고 구현할 전반적인 책임을 지며, 긍정적인 통제 환경, 윤리 등에 영향을 미치는 "최고위층의 분위기"를 설정한다. 대기업에서는 고위 관리자에게 지침을 제공하고, 소규모 기업에서는 직접적인 영향력을 행사한다.
  • 고위 관리자: 최고 경영자의 지침에 따라 해당 부서의 내부 통제 정책 및 절차 수립 책임을 할당받는다.
  • 재무 임원 및 직원: 기업 운영 및 기타 부서에서 통제 활동을 수행한다.
  • 경영진: 이사회에 책임을 진다.
  • 이사회: 객관적이고 탐구적이어야 하며, 관련 지식을 갖추고 책임을 다해야 한다. 강력한 이사회는 효과적인 상향식 의사 소통 채널, 유능한 재무, 법률 및 내부 감사 기능과 결합하여 문제를 해결한다.
  • 감사위원회: 내부 통제 시스템과 위험 관리 프로세스의 품질, 효과 등을 논의하고, 감사된 재무제표를 검토 및 승인하며, 공시 서류 포함 여부에 대한 권고안을 제시한다.
  • 인사 급여 위원회: 임원 보상 프로그램을 승인 및 관리 감독하고, 임원 보상 관련 변경 사항을 이사회와 검토한다.
  • 모든 직원: 운영상의 문제 보고, 성과 모니터링 및 개선, 기업 정책 위반 등을 보고할 책임이 있다.


직원 및 주니어 관리자는 통제 자체 평가를 통해 자체 조직 단위 내의 통제를 평가할 수 있다.

6. 감사

조직의 내부 감사인과 외부 감사인은 내부 통제가 잘 설계, 구현, 작동하는지 평가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한다. 또한, IT 시스템 관련 정보기술 통제를 검토한다.[1] 외부 감사인은 회사의 내부 통제와 재무 보고의 신뢰성에 대한 의견을 제공하기 위해 내부 통제를 테스트한다.[1]

감사위원회의 역할과 책임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다.[1]

역할책임
경영진, 내부/외부 감사인, 주요 이해관계자와 논의조직의 내부 통제 시스템과 위험 관리 프로세스의 품질, 적절성, 효과 및 결과 논의. 내부 감사 이사와의 정기적 비공개 회의
감사된 재무제표 검토 및 논의경영진 및 외부 감사인과 함께 조직의 감사된 재무제표 검토, 논의 및 승인. 해당 재무제표의 공시 서류 포함 여부 권고. 규제 및 회계 이니셔티브의 영향, 부외 자산 문제 검토
실적 보도자료 및 재무 정보 검토회사의 실적 보도자료, 재무 정보, 수익 가이던스 관련 공개 정보 유형 및 발표 유형을 경영진과 검토 및 논의
감사 범위 확인 및 결과 검토외부 및 내부 감사인의 감사 범위 확인, 진행 상황 모니터링, 결과 검토, 수수료 및 비용 검토. 중대한 발견 사항, 불만족스러운 내부 감사 보고서, 감사 문제 검토. 감사 결과에 대한 경영진 대응 모니터링
불만 관리회계, 내부 회계 통제, 감사 문제 관련 불만 관리
보고 청취최고 경영자, 최고 재무 책임자 등으로부터 내부 통제 결함 및 사기 관련 정기 보고 청취
이해 상충 문제 해결 지원경영진의 이해 상충 문제 해결 지원. 내부 통제 적절성 모니터링 및 사기 사건 조치


7. 한계

내부 통제는 조직의 목표 달성을 위한 합리적인 확신을 제공하지만,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가진다.[1]


  • 경영진의 무시: 경영자가 부당한 목적으로 내부 통제를 무시하거나 무효화할 수 있다. 경영진이 이익 추구를 위해 법령 위반을 지시하거나, 분식 회계를 명령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1]
  • 판단 오류 및 공모: 담당자의 부주의, 판단 실수 또는 여러 담당자의 공모로 인해 내부 통제가 효과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내 직원이 거래처 담당자와 공모하여 부정행위를 저지를 수 있다.[1]
  • 예상치 못한 환경 변화: 예상하지 못한 조직 내외부 환경 변화나 비정형적인 거래에는 내부 통제가 제대로 대응하지 못할 수 있다. 새로운 거래 방식이나 돌발적인 특별 거래 발생 시 규칙 제정이 늦어져 내부 통제가 효과를 발휘하지 못할 수 있다.[1]
  • 비용과 편익의 형량: 내부 통제 구축 및 운영에는 비용이 발생하며, 비용 절감을 위해 불충분한 내부 통제 시스템이 구축될 수 있다. 즉, 비용과 편익을 고려해야 한다.[1]

8. 비판 및 개선 과제

J-SOX 도입 초기에는 기업의 과도한 비용 부담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내부통제 시스템 구축에는 상당한 비용이 소요되는데, 특히 노동력이 부족한 기업에게는 사업 전체 프로세스 총점검, 조직 형태 및 업무 절차 변경, 사원 교육 등에 막대한 시간과 초기 비용(수억~수십억 원)이 발생할 수 있다.[1] 게다가 내부통제 시스템은 지속적인 유지보수 비용이 발생한다.[1]

또한, 내부통제의 형식적인 운영과 벤처 기업 등 성장 기업의 경영 활동 위축도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내부통제 보고서 대상이 되는 기업 범위는 지배하에 있는 모든 회사로, 관련 자회사, 아웃소싱 위탁처, 투자 펀드가 출자한 벤처 기업 등도 포함될 수 있다.[2] 기업 발흥기에는 활력 넘치는 경영이 필요하지만, 엄격한 내부통제 시스템은 이러한 성장을 저해할 수 있다.[2]

내부 통제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IT 기술 발전과 경영 환경 변화에 맞춰 내부 통제 시스템을 유연하게 조정하고, 구성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해야 한다.

9. 현대적 발전

기술과 데이터 분석의 발전은 내부 통제의 효과성을 자동으로 평가할 수 있는 수많은 도구의 개발로 이어졌다. 지속적 감사와 함께 사용되는 지속적 통제 모니터링은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통해 흐르는 재무 정보에 대한 확신을 제공한다.[1]

경영진이 내부 통제 시스템을 사기 방지 및 법률과 규정 준수를 위한 수단으로만 생각한다면, 중요한 기회를 놓칠 수 있다. 통제는 비즈니스 운영을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평가하고 개선할 수 있으며, 특히 효과성과 효율성과 관련하여 비즈니스를 체계적으로 개선하는 데에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동으로 수행되는 통제를 자동화하면 비용을 절감하고 거래 처리를 개선할 수 있다.[2]

내부통제 시스템을 구축하고 운용함으로써 회사의 신용이 향상된다. 기업은 사용인이나 경영자의 법령 위반, 판단 실수, 조직 및 규정 미비로 인한 정보 유출, 무계획적인 IT 도입으로 인한 업무 혼란·비효율·불투명화 등 다양한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위험을 적절하게 처리하기 위해 업무 적정성 확보를 위한 체제를 구축하고, 정비된 제 규정에 따라 운용하는 것이 기업의 신용도 향상으로 얻을 수 있는 사회적 지위 향상과 수익 확보를 위한 최선의 방안으로 여겨진다.[3]

참조

[1] 간행물 Key Financial Controls https://barnet.moder[...] Barnet Council 2020-01-29
[2] 웹사이트 Commission Guidance Regarding Management's Report on Internal Control Over Financial Reporting Under Section 13(a) or 15(d) of the Securities Exchange Act of 1934 https://www.sec.gov/[...] Securities and Exchange Commission 2007-06-20
[3] 웹사이트 The ECAR Model http://www.saunalaht[...]
[4] 웹사이트 Auditing Standard No. 5: An Audit of Internal Control Over Financial Reporting That Is Integrated with An Audit of Financial Statements http://pcaobus.org/S[...] Public Company Accounting Oversight Board 2014-01-24
[5] 웹사이트 Guidance for auditors of smaller public companies http://pcaobus.org/S[...] Public Company Accounting Oversight Board 2009-01-23
[6] 서적 Financial Statement Fraud: Prevention and Detection Wiley 2002
[7] 웹사이트 Management Antifraud Programs and Controls http://www.aicpa.org[...] American Institute of Certified Public Accountants 2007-06-25
[8] 웹사이트 Management override of internal controls http://www.aicpa.org[...] American Institute of Certified Public Accountants 2007-06-25
[9] 웹사이트 Managing the Business Risk of Fraud: A Practical Guide http://www.aicpa.org[...] American Institute of Certified Public Accountants 2014-01-24
[10] 문서 内部統制報告書第1号様式 https://www.fsa.go.j[...]
[11] 문서 企業会計審議会の意見書の公表について https://www.fsa.go.j[...]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