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엔론은 1985년 인터노스와 휴스턴 내추럴 가스의 합병으로 설립된 미국의 에너지 기업이다. 케네스 레이 CEO의 지휘 아래 에너지 중개업체로 성장했으나, 내부자 거래, 분식회계, 캘리포니아 전력 위기 연루 등으로 2001년 파산했다. 엔론의 회계 부정은 아서 앤더슨 회계법인의 파산과 경영진의 유죄 판결로 이어졌으며, SOX 법 제정을 통해 기업 지배 구조 및 회계 감사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계기가 되었다. 엔론 파산은 대중문화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화이트칼라 범죄자 - 나가노 가즈오
1970년대 후반 도요타 상사를 설립해 금괴 사기 사건으로 악명을 떨친 일본 기업인 나가노 가즈오는 호화로운 생활을 누렸으나 우익 단체에 의해 암살당했고, 그의 죽음 이후 도요타 상사는 파산하여 일본 사회에 유사한 사기 사건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켰다. - 화이트칼라 범죄자 - 노건평
노건평은 대한민국의 제16대 대통령 노무현의 둘째 형으로 세무 공무원과 정원토건 대표이사를 지냈으나, 뇌물수수 혐의 파면 및 세종증권 매각 비리 연루로 징역형을 선고받았고, 대통령 재임 시절 이권 개입 논란으로 '봉하대군'이라 불렸다. - 1985년 설립된 기업 - 삼성SDS
삼성SDS는 1985년 설립되어 IT 서비스와 물류 BPO를 제공하는 대한민국의 기업으로, 자체 개발 솔루션 '첼로'를 기반으로 통합 물류 서비스를 제공하며 클라우드, 블록체인, AI 등 신기술 기반 사업을 강화하고 기술력과 경쟁력을 인정받고 있다. - 1985년 설립된 기업 - 일본전신전화
일본전신전화(NTT)는 미국 AT&T의 일본 통신 시스템 인수를 목적으로 설립된 국영 독점 기업에서 민영화된 주식회사로, 유선전화 사업 분할 및 지주회사 체제 전환을 거쳐 일본 최대이자 세계적인 정보통신 기업으로 성장했지만, 과점 유지, 지속가능한 경영, 해외 사업 확장 노력에도 불구하고 총무성 간부 접대 문제 등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엔론 - [회사]에 관한 문서 | |
---|---|
회사 정보 | |
회사명 | 엔론 코퍼레이션 |
![]() | |
회사 형태 | 공개 회사 |
거래 코드 | |
산업 | 에너지 |
설립일 | 1985년 7월 16일 |
설립 장소 | 네브래스카주 오마하 |
창립자 | 케네스 레이 |
본사 위치 | 텍사스주 휴스턴 1400 Smith Street |
서비스 지역 | 미국 인도 카리브해 브라질 캐나다 멕시코 |
주요 인물 | 케네스 레이 (창립자, 회장, CEO) 제프리 스킬링 (전 사장, COO, CEO) 앤드루 패스토 (전 CFO) 레베카 마크-주스바셰 (전 부회장, 엔론 인터내셔널 회장 겸 CEO) 제이슨 팩스턴 (재무 이사) |
제공 상품 | 에너지 |
주요 서비스 | 에너지 |
수익 | 1007억 8900만 달러 |
순이익 | 9억 7900만 달러 |
자산 | 675억 300만 달러 |
직원 수 | 20,600명 (2000년) |
주요 자회사 | 엔론 에너지 서비스 (EES) 엔론 엑셀러레이터 |
웹사이트 | enron.com (2000년 6월 20일 보관) |
기타 정보 | |
전신 회사 | 인터노스 (노던 내추럴 가스 컴퍼니) 휴스턴 내추럴 가스 |
후신 회사 | 다이네기 프리즈마 에너지 인터내셔널 J.M. 핸슨 코퍼레이션 |
파산일 | 2001년 12월 2일 |
청산 완료일 | 2007년 3월 1일 2016년 11월 28일 (엔론 채권자 회수 회사로서) |
참고 | 앤더슨, 엔론 사건으로 유죄 판결 엔론 채권자 회수 회사 소개 애쉬모어 에너지 인터내셔널, 프리즈마 에너지 인터내셔널 인수 미국 역사상 20대 파산 엔론, 암호화폐 특허 및 상품으로 부활 선언 엔론 웹사이트 이용 약관 및 판매 조건 팩트 체크: 엔론이 암호화폐 회사로 재출범하는가? |
본사 위치 지도 |
2. 역사
엔론은 1985년 인터노스(InterNorth)와 휴스턴 내추럴 가스(Houston Natural Gas)의 합병으로 탄생했다. 휴스턴 내추럴 가스의 CEO였던 케네스 레이(Kenneth Lay)가 엔론의 CEO 겸 이사회 회장으로 취임했다. 케네스 레이는 50억 달러의 채무를 안고 시작한 엔론을 에너지 중개업자로 키우려는 포부를 가지고, 맥킨지 컨설턴트였던 제프리 스킬링(Jeffrey Skilling)을 고용했다. 제프리 스킬링은 PR에 능숙하여 엔론의 문제들을 감추고 이미지를 포장했다.
케네스 레이와 제프리 스킬링의 성공에는 CFO인 앤드루 패스토우(Andrew Fastow)가 크게 기여했다. 그는 추코, 채널 아일랜드 조합, 랩터 조합, LJM, LJM2 등 유령회사를 설립하여 엔론의 부채와 자산을 털어내고, 엔론을 견실한 기업으로 보이게 만들었다. 1996년, 케네스 레이는 엔론을 '세계 최대의 에너지기업'으로 만들겠다고 공언했으나, 실제로는 부실한 기업 인수가 많았고 지속적인 현금 고갈에 시달렸다.
엔론은 인터넷을 이용한 신경제 기업으로 거듭나고자 텔레콤 사업에 뛰어들어 3만 킬로미터의 광케이블망을 구축했다. 하지만 광대역회선 사업의 과다 공급으로 인해 엔론의 미래는 암울해졌고, 경영진들은 회사가 계속 번성하는 것처럼 위장하기 위해 의심스러운 거래에 손을 뻗었다. 엔론은 랩터 조합과의 내부거래로 거짓 이익을 추가하고, JP모건 및 시티은행과의 거래로 매출액을 날조했다. 당시 엔론은 미국 7대 대기업 중 하나로 인식되었지만, 엔론의 온라인 중개사이트인 엔론 온라인(Enron Online)에서 다른 사업자들이 거래한 금액들이 매출액에 포함되어 있어 사실과 달랐다.
엔론의 기원은 1931년 설립된 노던 내추럴 가스(Northern Natural Gas)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1979년, 기업 재편을 통해 지주회사인 인터노스가 설립되었다. 1985년, 인터노스가 휴스턴 내추럴 가스와 합병하여 엔론이 탄생했다. 처음에는 'Enteron'이라는 사명을 사용했지만, '소화관'을 의미한다는 것을 알고 'Enron'으로 변경했다.
1980년대 후반, 엔론은 가스 거래에 파생상품(デリバティブ)을 도입하여 기업 규모를 확장했다. 경제학 전공 직원을 많이 고용하고, 현금 흐름(キャッシュ・フロー) 경영의 최첨단 기업이 되어 투자 버블에 힘입어 안정적인 경영을 어필했다. 그러나 1980년대 후반부터 분식회계(粉飾会計)를 저질렀고, 1990년대에는 시가평가(時価会計)를 역이용하여 외형상의 이익을 증대시켰다. 내부자 거래(インサイダー取引)도 1980년대부터 행해졌던 것이 밝혀졌다.
1990년대 후반, 엔론은 파생상품을 이용하여 전력 가격을 불투명하게 만들고, 순환거래(循環取引)를 도입하여 매출을 올렸다. 공매도(空売り) 등을 통한 매출·이익 확보는 2000년 캘리포니아 전력 위기(カリフォルニア電力危機)의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1998년에는 이익 중 파생상품 비율이 80%를 넘었다. 1990년대 말에는 계열사인 엔론 에너지 서비스(Enron Energy Services : EES)를 설립하여 에스코 사업(ESCO事業)을 벌였다.
캘리포니아 전력 위기(カリフォルニア電力危機)와 관련하여, 엔론은 전기 가격을 올리기 위해 캘리포니아주(カルフォルニア州)의 전력(電力) 공급을 중단시켰다. 당시 사내 통화 기록에는 직원들이 정전(停電)으로 고생하는 노인(高齢者)을 소재로 웃는 등, 경영진이 죄의식을 느끼지 않았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2. 1. 설립 이전 (1925년 ~ 1985년)
2. 1. 1. 인터노스
엔론의 주요 전신 중 하나는 1929년 블랙 튜스데이 이후 불과 몇 달 만인 1930년 네브래스카주 오마하에서 설립된 인터노스(InterNorth)였다. 천연가스의 저렴한 가격과 대공황 기간의 싼 인건비는 회사의 초기 성장에 도움이 되었고, 1932년까지 규모가 두 배로 증가했다. 다음 50년 동안 노던(Northern)은 많은 에너지 회사들을 인수하며 더욱 확장되었다. 1979년에는 다각화된 에너지 및 에너지 관련 제품 회사인 지주회사 인터노스(InterNorth)의 주요 자회사로 재편되었다. 인수합병의 대부분은 성공적이었지만 일부는 좋지 않은 결과를 초래하기도 했다. 인터노스(InterNorth)는 전기 제품 제조업체인 크라우스-힌즈사(Crouse-Hinds Company)의 적대적 인수를 놓고 쿠퍼 인더스트리즈(Cooper Industries)와 경쟁했지만 실패했다. 쿠퍼와 인터노스는 인수 과정에서 여러 소송을 제기했고, 거래가 완료된 후에야 마침내 합의를 보았다. 자회사인 노던 내추럴 가스(Northern Natural Gas)는 북미에서 가장 큰 파이프라인 회사를 운영했다. 1980년대까지 인터노스(InterNorth)는 천연가스 생산, 운송, 마케팅뿐만 아니라 액화 천연가스 분야에서도 주요 기업으로 성장했으며, 플라스틱 산업의 혁신 기업이기도 했다.[9] 1983년에는 아서 벨퍼(Arthur Belfer)가 설립한 포춘 500대 기업인 벨코 석유 회사(Belco Petroleum Company)와 합병했다.[10]2. 1. 2. 휴스턴 내추럴 가스
휴스턴 내추럴 가스(Houston Natural Gas, HNG) 사는 1925년 휴스턴 오일(Houston Oil Co.)에서 분리되어 가스관 건설을 통해 휴스턴 시장의 고객들에게 가스를 공급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67년부터 1981년까지 최고경영자(CEO)로 재직한 로버트 헤링(Robert Herring)의 지휘 아래, 이 회사는 규제되지 않은 텍사스 천연가스 시장과 1970년대 초반의 상품 가격 급등을 이용하여 에너지 산업의 주요 기업으로 성장했다. 1970년대 후반에 접어들면서 가스 가격 상승으로 고객들이 석유로 전환하면서 HNG의 운세는 기울기 시작했다. 또한, 1978년 천연가스 정책법(Natural Gas Policy Act of 1978)의 통과로 텍사스 시장의 수익성이 떨어지면서 HNG의 이익도 감소했다. 헤링이 1981년 사망한 후 M.D. 매튜스(M.D. Matthews)가 3년간 CEO직을 잠시 맡아 초기에는 성공을 거두었지만, 결국 수익의 큰 감소로 인해 물러나게 되었다. 1984년에는 케네스 레이(Kenneth Lay)가 매튜스의 뒤를 이어 어려움에 처한 기업을 물려받았다.[11]2. 1. 3. 합병
보수적인 성공을 거둔 인터노스(InterNorth)는 기업 인수의 표적이 되었고, 그중 가장 두드러진 것은 어윈 제이콥스(Irwin L. Jacobs)에 의한 것이었다.[12] 인터노스의 CEO 샘 세그너(Sam Segnar)는 HNG와의 우호적인 합병을 추진했다. 1985년 5월, 인터노스는 당시 시장 가격보다 40% 높은 23억 달러에 HNG를 인수했고, 1985년 7월 16일 두 회사는 합병을 결의했다.[13] 두 회사의 합병 자산은 당시 미국에서 두 번째로 큰 가스 파이프라인 시스템을 구축했다.[14] 아이오와주와 미네소타주를 연결하는 인터노스의 남북 방향 파이프라인은 HNG의 플로리다와 캘리포니아를 잇는 동서 방향 파이프라인과 잘 보완되었다.[13]2. 2. 설립과 성장 (1985년 ~ 1991년)
엔론은 1985년 천연가스 유통회사인 인터노스와 휴스턴 네추럴 가스의 합병으로 탄생했다. 당시 휴스턴 네추럴 가스의 CEO였던 케네스 레이가 엔론의 CEO 겸 이사회 회장으로 취임했다.[14]엔론은 출범 당시 인수합병 비용으로 50억 달러의 채무를 지게 되었는데, 케네스 레이 회장은 이 채무를 해결하기 위해 맥킨지의 컨설턴트였던 제프리 스킬링을 고용했다. 이후 제프리 스킬링은 엔론의 CEO 겸 사장이 되었다.
레이 회장과 스킬링은 CFO인 앤드루 패스토우와 함께 유령회사(추코, 채널 아일랜드 조합, 랩터 조합, LJM, LJM2 등)를 설립하여 엔론의 부채와 자산을 처리하여, 회사를 건실한 기업으로 보이게 했다.
1986년, 휴스턴 내추럴 가스와 인터노스(InterNorth)는 합병하여 HNG/InterNorth Inc.를 설립했다. 그러나 이 이름은 너무 길고 복잡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새로운 회사명을 찾기 위해 'Enteron'이라는 이름이 제안되었으나, 소화 기관을 연상시킨다는 이유로 철회되고, 'Enron'으로 최종 확정되었다.[12][13]
1989년, 제프리 스킬링은 천연가스를 상품으로 전환하는 아이디어를 제시했고, 엔론은 이를 채택하여 "가스 은행(Gas Bank)"이라고 불렀다. 스킬링은 1991년 가스 은행 책임자로 엔론에 합류했다.[14] 같은 해, 엔론은 아르헨티나의 발전소 건설을 위해 해외민간투자공사(Overseas Private Investment Corporation, OPIC)로부터 5,600만 달러의 대출을 받으면서 해외 사업으로 전환했다.
1996년, 케네스 레이는 엔론을 '세계 최대의 에너지기업'으로 키우는 것이 목표라고 공언했다. 엔론은 텔레콤 사업에도 진출하여 광케이블망을 구축했지만, 광대역회선 사업은 과다공급으로 추락했다. 엔론은 랩터 조합과의 내부거래로 거짓 이익을 추가하고, JP모건 및 시티은행과의 거래로 매출액을 날조했다. 당시 엔론은 미국 7대 대기업 중 하나로 인식되었지만, 엔론의 매출액에는 엔론 온라인(Enron Online)에서 다른 사업자들이 거래한 금액들이 포함되어 있어 실제와는 달랐다.

2. 2. 1. 회사명 변경
1986년, 휴스턴 내추럴 가스와 인터노스(InterNorth)는 합병하여 HNG/InterNorth Inc.를 설립했다. 그러나 이 이름은 너무 길고 복잡하다는 평가를 받았다.새로운 회사명을 찾기 위해 대대적인 사명 공모전이 열렸고, 'Enteron'이라는 이름이 최종 선정되었다. 그러나 'Enteron'은 소화 기관을 연상시키는 단어였기 때문에 부정적인 이미지를 줄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었다.
결국, 'Enteron'은 철자를 변경하여 'Enron'으로 최종 확정되었다. 이 새로운 이름은 에너지(Energy)와 신경세포(Neuron)를 결합한 조어로, 회사의 혁신적인 이미지를 강조하고자 했다. 하지만, 엔론은 훗날 역사상 최악의 회계부정 스캔들로 파산하며, 부정적인 의미로 더욱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2. 2. 2. 사업 초기
회사는 처음에 InterNorth가 기술적으로 모회사였음에도 불구하고 '''HNG/InterNorth Inc.'''라는 이름으로 설립되었다.[14] 처음에 세그너가 CEO였지만 이사회는 곧 그를 해고하고 레이를 임명했다. 레이는 본사를 텍사스 휴스턴으로 이전하고 새로운 이름을 찾기 위해 나섰으며, 이 과정에서 포커스 그룹과 컨설턴트에게 10만 달러 이상을 지출했다. 5년 전 InterNorth의 아이덴티티를 담당했던 광고 회사인 리핀콧앤마굴리스(Lippincott & Margulies)는 "Enteron"을 제안했다. 1986년 2월 14일 직원들과의 회의에서 레이는 4월 10일에 주주 투표에 부쳐질 이러한 이름 변경에 대한 관심을 표명했다. 이 회의로부터 한 달도 채 지나지 않은 1986년 3월 7일, HNG/InterNorth의 대변인은 계획된 Enteron 제안을 철회했는데, 발표 이후 이 이름이 장의 의학 용어와 같다는 이유로 비판을 받았기 때문이다. 같은 보도 자료에서 4월 투표에 부쳐질 새로운 이름인 Enron이 발표되었다.[12][13]그러나 엔론은 합병에서 남은 몇 가지 문제를 여전히 안고 있었으며, 회사는 여전히 위협이 되는 제이콥스에게 3억 5천만 달러 이상을 지불하고 회사를 재편해야 했다.[12] 레이는 엔론의 장기적인 미래에 적합하지 않다고 생각한 회사의 모든 부분을 매각했다. 레이는 모든 가스 파이프라인 사업을 엔론 가스 파이프라인 운영 회사(Enron Gas Pipeline Operating Company) 아래로 통합했다. 또한 전력 및 천연가스 사업을 확장했다. 1988년과 1989년에 회사는 발전소와 열병합발전 설비를 포트폴리오에 추가했다. 1989년, 당시 맥킨지 앤드 컴퍼니(McKinsey & Company)의 컨설턴트였던 제프리 스킬링(Jeffrey Skilling)은 천연가스를 소비자에게 더 많은 방식으로 연결하여 천연가스를 상품으로 전환하는 아이디어를 제시했다. 엔론은 이 아이디어를 채택하여 "가스 은행(Gas Bank)"이라고 불렀다. 이 부서의 성공으로 스킬링은 1991년 가스 은행 책임자로 엔론에 합류하게 되었다.[14] 엔론 내부의 또 다른 주요 발전은 1989년 아르헨티나의 발전소 건설을 위해 해외민간투자공사(Overseas Private Investment Corporation, OPIC)로부터 5,600만 달러의 대출을 받으면서 해외 사업으로 전환한 것이다.
2. 2. 3. 해외 사업 확장
엔론은 합병 이후 안정을 찾자 1991년 해외에서 새로운 에너지 사업 기회를 모색하기 시작했다. 엔론의 첫 해외 사업은 영국 미들즈브러 근처에 건설한 복합화력발전소였다.[9][13] 이 발전소는 1,875메가와트 용량으로 영국의 전력 수요의 최대 3%를 충당할 수 있을 만큼 규모가 컸다.[29]영국에서의 성공을 발판 삼아 엔론은 레베카 마크가 이끄는 엔론 인터내셔널(Enron International, EI)이라는 이름으로 전 세계적으로 자산을 개발하고 다각화했다. 1994년까지 EI의 사업 포트폴리오에는 필리핀, 오스트레일리아, 과테말라, 독일, 프랑스, 인도, 아르헨티나, 카리브해, 중국, 영국, 콜롬비아, 터키, 볼리비아, 브라질, 인도네시아, 노르웨이, 폴란드, 일본 등이 포함되었다. 이 부서는 엔론의 수익에 상당한 부분을 기여했으며, 1996년에는 수익의 25%를 차지했다. 마크와 EI는 상수도 산업이 다음으로 규제 완화될 시장이라고 판단하고 그 잠재력을 보고 시장 진출 방안을 모색했다.
1998년, 엔론 인터내셔널은 28억 달러에 웨섹스 워터(Wessex Water)를 인수했다.[33] 웨섹스 워터는 새로운 회사인 아주릭스(Azurix)의 핵심 자산이 되었고, 아주릭스는 다른 상수도 회사로 사업을 확장했다. 1999년 6월 아주릭스의 IPO 이후, 엔론은 "10억 달러가 넘는 현금을 빼내면서 부채를 늘렸다."[34] 게다가 영국 상수도 규제 당국은 웨섹스에 2000년 4월부터 요금을 12% 인하하도록 요구했고, 10억 달러가 넘는 비용이 소요될 것으로 추산되는 노후 인프라 개선이 필요했다.[34] 2000년 말까지 아주릭스의 영업 이익은 1억 달러 미만이었고, 부채는 20억 달러에 달했다.[34] 2000년 8월, 아주릭스의 실적 발표 이후 주가가 폭락하자,[34] 마크는 아주릭스와 엔론에서 사임했다.[35][36] 웨섹스를 포함한 아주릭스의 자산은 결국 엔론에 의해 매각되었다.[37]
2. 3. 전성기 (1991년 ~ 2000년)
1990년대 내내, 엔론은 사업 계획에 몇 가지 변화를 주어 회사의 수익성을 크게 개선했다. 첫째, 엔론은 해외 자산, 특히 에너지 부문에 대규모 투자를 했다. 또 다른 주요 변화는 에너지 생산업체에서 투자 회사, 때로는 헤지펀드와 유사하게 거래하는 상품의 마진에서 이익을 얻는 회사로 점진적으로 초점을 전환한 것이다. 이러한 상품들은 가스 뱅크(Gas Bank) 개념을 통해 거래되었는데, 이는 현재 엔론 파이낸스(Enron Finance Corp.)로 불리며 스키링(Skilling)이 이끌었다.[12]1999년에 설립한 "엔론 온라인(Enron Online)"에서는 전력뿐만 아니라, 원래 엔론의 사업 분야였던 가스, 석유를 비롯하여 석탄, 알루미늄, 펄프, 플라스틱, 심지어 신용 위험, 기상, 네트워크 대역폭, 배기가스 배출권에 이르기까지 모든 상품의 시장을 인터넷상에 개설하여, 엔론 자체가 매도자이자 매수자로서 거래를 했다.
이 엔론 온라인의 아이디어와 시스템은 운영 당시는 물론, 엔론 파산 후에도 높이 평가받았다. 하지만 비즈니스 모델이 수수료 비즈니스가 아니라 직접 매매를 하는 트레이딩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전례 없는 상품 시장에도 적극적으로 진출했기 때문에, 원래 그 시장에 있던 업체들에게 이용당한 측면도 있었다.
엔론 온라인의 급격히 증가한 매출과 이익은 회계상의 것에 불과했다.
당시 미국의 IT 버블에도 편승하여, 1990년대 후반 엔론은 혁신적이고 안정적인 성장을 지속하는 초우량 기업으로서의 명성을 쌓았다.
- 1999년 CFO 매거진 CFO상(CFO Excellence Award)을 CFO 앤드루 패스토우가 수상
- 1996년~2001년(6년 연속) 『포춘』지 "미국에서 가장 혁신적인 기업"
1999년에는 휴스턴 애스트로스의 홈구장의 명명권을 30년, 1억 달러에 매입하여 "엔론 필드(Enron Field)"라고 명명했다. 엔론 파산 후, 2002년 2월 애스트로스는 500만 달러를 지불하고 계약을 해지했다.
2. 3. 1. 트레이딩 기업으로 전환
스킬링은 가스뱅크(Gas Bank)의 천연가스 거래 성공에 힘입어 자신의 부서인 엔론 캐피탈 & 트레이드(Enron Capital & Trade)의 영역을 확장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1990년 앤드루 패스토우를 고용했다.1999년 설립된 "엔론 온라인(Enron Online)"에서는 전력뿐만 아니라, 원래 엔론의 사업 분야였던 가스, 석유를 비롯하여 석탄, 알루미늄, 펄프, 플라스틱, 심지어 신용 위험, 기상, 네트워크 대역폭, 배기가스 배출권에 이르기까지 모든 상품의 시장을 인터넷상에 개설하여, 엔론 자체가 매도자이자 매수자로서 거래를 했다.
엔론 온라인의 아이디어와 시스템은 운영 당시와 엔론 파산 후에도 높이 평가받았다. 그러나 비즈니스 모델이 수수료 비즈니스가 아닌 직접 매매를 하는 트레이딩이었고, 전례 없는 상품 시장에도 적극적으로 진출했기 때문에, 기존 시장 업체들에게 이용당한 측면도 있었다.
엔론 온라인의 급격히 증가한 매출과 이익은 회계상의 것에 불과했다.
당시 미국의 IT 버블에도 편승하여, 1990년대 후반 엔론은 혁신적이고 안정적인 성장을 지속하는 초우량 기업으로서의 명성을 쌓았다.
- 1999년 CFO 매거진 CFO상(CFO Excellence Award)을 CFO 앤드루 패스토우가 수상
- 1996년~2001년(6년 연속) 『포춘』지 "미국에서 가장 혁신적인 기업"
1999년에는 휴스턴 애스트로스의 홈구장의 명명권을 30년, 1억 달러에 매입하여 "엔론 필드(Enron Field)"라고 명명했다. 엔론 파산 후, 2002년 2월 애스트로스는 500만 달러를 지불하고 계약을 해지했다.
2. 3. 2. 소매 에너지 시장 진출
1992년 미국 에너지 정책법(Energy Policy Act of 1992)에 따라 1994년부터 미국 의회는 주정부가 전력 사업에 대한 규제를 완화하고 경쟁을 허용할 수 있도록 했다. 캘리포니아주도 그러한 주 중 하나였다. 급등하는 전력 가격에 기회를 본 엔론은 시장 진출에 적극적이었다. 1997년 엔론은 포틀랜드 제너럴 일렉트릭(Portland General Electric, PGE)을 인수했다. 오리건주의 유틸리티 회사였지만, PGE가 규제 대상 유틸리티 회사였기에 거대한 캘리포니아 시장에 진출할 가능성이 있었다. 새로운 엔론 부서인 엔론 에너지(Enron Energy)는 1998년부터 캘리포니아의 잠재 고객에게 할인을 제공하며 적극적으로 시장 공략에 나섰다. 엔론 에너지는 오하이오주 고객에게 천연가스를, 아이오와주 고객에게 풍력 에너지를 판매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이 사업은 연간 1억 달러가 넘는 비용이 발생하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1999년에 종료되었다.[9][12][14]2. 3. 3. 데이터 관리 사업
1990년대 광섬유 기술이 발전하면서 엔론을 포함한 여러 회사들이 자체 네트워크를 소유하여 이윤을 창출하려 했다.[23] 1997년, 엔론의 자회사인 FirstPoint Communications, Inc.가 설립한 유한책임회사(limited liability company)인 FTV Communications LLC는 포틀랜드와 라스베이거스 사이에 약 1,380km에 달하는 광섬유 네트워크를 구축했다.[24] 1998년, 엔론은 라스베이거스의 낙후된 E 사하라 지역에 전국 기술 기업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광섬유 케이블의 "백본(backbone)" 위에 건물을 건설했다.[25] 이곳은 "미국 의회도서관 전체를 수 분 만에 전 세계 어디든 보낼 수" 있었고, "캘리포니아 주 전체에 비디오를 스트리밍할" 수 있었으며, 로스앤젤레스나 동부 해안과 같은 지역보다 자연재해로부터 더 안전했다.[25] ''월스트리트 데일리(Wall Street Daily)''에 따르면, "엔론은 비밀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엔론은 석유, 가스, 전기 등을 거래하는 것처럼 대역폭을 거래하고 싶어했습니다. 라스베이거스에 엄청난 양의 광섬유 전송 용량을 구축하는 비밀 계획을 시작했습니다… 이는 본질적으로 인터넷을 소유하려는 엔론의 계획의 일부였습니다."라고 하였다.[26] 엔론은 모든 미국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가 네바다 시설에 의존하여 대역폭을 공급받도록 하고, 엔론은 다른 상품과 유사한 방식으로 이를 판매하려 했다.[27]2000년 1월, 케네스 레이와 제프리 스킬링은 분석가들에게 "인터넷 트래픽의 백본을 형성하는 고속 광섬유 네트워크"에 대한 거래를 시작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당시 투자자들은 발표 후 엔론 주식을 급하게 매입했고, 주가는 2000년 1월 주당 40달러에서 3월 주당 70달러로 상승하여 2000년 여름 주당 90달러의 최고점을 기록했다. 엔론 임원들은 상승하는 주가로 인해 막대한 이익을 얻었으며, 2000년부터 2001년 사이에 고위 엔론 직원들이 총 9억 2,400만 달러 상당의 주식을 매각했다. 엔론 브로드밴드 서비스 책임자인 케네스 라이스는 100만 주를 직접 매각하여 약 7,000만 달러의 수익을 올렸다. 시스템의 광범위한 공급 과잉으로 기존 광섬유 케이블의 가격이 폭락하고, 4,000만 마일 중 5%만 활성 와이어였기 때문에 엔론은 비활성 "다크 파이버(dark fibers)"를 구매했다. 인터넷 제공업체의 사용량 증가에 따라 저렴한 비용으로 구매한 후 이익을 창출할 것으로 예상했고, 엔론은 20년 계약으로 확보한 다크 파이어를 제공업체에 임대할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엔론의 회계는 "점등(lit)"되었을 때 다크 파이버의 가치를 추정하여 현재 수입에 적용하고, 아직 거래가 이루어지지 않았고 케이블이 활성화될지 여부를 알 수 없었기 때문에 과장된 수익을 회계에 추가했다. 브로드밴드 시장 내 다른 에너지 회사와의 엔론의 거래는 베라이즌 커뮤니케이션즈와 같은 대형 통신 회사를 자사의 브로드밴드 계획으로 유인하여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려는 시도였다.[28]
2001년 2분기까지 엔론 브로드밴드 서비스는 손실을 보고했다. 2001년 3월 12일, 엔론과 블록버스터 간에 엔론의 연결을 통해 주문형 비디오(Video on demand) 영화를 스트리밍하는 20년 계약 제안이 취소되었고, 엔론 주식은 2001년 2월 중순 주당 80달러에서 계약이 취소된 다음 주에 60달러 미만으로 하락했다. 제프리 스킬링이 "결국 엔론의 주식 가치에 400억 달러를 더할 것"이라고 말한 회사 부서는 2001년 엔론에 약 4억 800만 달러의 매출만을 추가했으며, 회사의 브로드밴드 부서는 2001년 7월 2분기 실적 발표 직후 폐쇄되었다.[28]
엔론의 파산 후 통신 보유 자산은 "액면가의 몇 푼"에 매각되었다.[25] 2002년, 스위치 커뮤니케이션즈의 롭 로이가 로이만 참석한 경매에서 엔론의 네바다 시설을 매입했다. 엔론의 "광섬유 계획은 너무 비밀스러워서 경매에 대해 아는 사람이 거의 없었습니다." 이 시설은 93만 달러에 불과한 가격에 매각되었다.[25][26] 매각 후 스위치는 "세계 최대 규모의 데이터 센터"를 운영하게 되었다.[26]
2. 3. 4. 해외 사업 확장
엔론은 합병 이후 안정을 찾자 1991년 해외에서 새로운 에너지 사업 기회를 모색하기 시작했다. 엔론의 첫 해외 사업은 영국 미들즈브러 근처에 건설한 복합화력발전소였다.[9][13] 이 발전소는 1,875메가와트가 넘는 용량으로 영국의 전력 수요의 최대 3%를 충당할 수 있을 만큼 규모가 컸다.[29] 영국에서의 성공을 발판 삼아 엔론은 레베카 마크가 이끄는 엔론 인터내셔널(Enron International, EI)이라는 이름으로 전 세계적으로 자산을 개발하고 다각화했다. 1994년까지 EI의 사업 포트폴리오에는 필리핀, 오스트레일리아, 과테말라, 독일, 프랑스, 인도, 아르헨티나, 카리브해, 중국, 영국, 콜롬비아, 터키, 볼리비아, 브라질, 인도네시아, 노르웨이, 폴란드, 일본 등이 포함되었다. 이 부서는 엔론의 수익에 상당한 부분을 기여했으며, 1996년에는 수익의 25%를 차지했다. 마크와 EI는 상수도 산업이 당국에 의해 다음으로 규제 완화될 시장이라고 판단했다. 그 잠재력을 보고 PGE와 유사하게 시장 진출 방안을 모색했다.이러한 성장 과정에서 엔론은 1997년 1월 14일 새로운 기업 이미지를 도입했고, 그때부터 독특한 삼색 E 로고를 채택했다. 이 로고는 전설적인 그래픽 디자이너 폴 랜드(Paul Rand)가 1996년 사망하기 전 마지막 프로젝트 중 하나였으며, 그의 사망 후 거의 3개월 만에 공개되었다.[30][31][32]
1998년, 엔론 인터내셔널은 28억 달러에 웨섹스 워터(Wessex Water)를 인수했다.[33] 웨섹스 워터는 새로운 회사인 아주릭스(Azurix)의 핵심 자산이 되었고, 아주릭스는 다른 상수도 회사로 사업을 확장했다. 1999년 6월 아주릭스의 유망한 IPO 이후, 엔론은 "10억 달러가 넘는 현금을 빼내면서 부채를 늘렸다."[34] 게다가 영국 상수도 규제 당국은 웨섹스에 2000년 4월부터 요금을 12% 인하하도록 요구했고, 10억 달러가 넘는 비용이 소요될 것으로 추산되는 노후 인프라 개선이 필요했다.[34] 2000년 말까지 아주릭스의 영업 이익은 1억 달러 미만이었고, 부채는 20억 달러에 달했다.[34] 2000년 8월, 아주릭스의 실적 발표 이후 주가가 폭락하자,[34] 마크는 아주릭스와 엔론에서 사임했다.[35][36] 웨섹스를 포함한 아주릭스의 자산은 결국 엔론에 의해 매각되었다.[37]
2. 4. 회계 부정과 몰락 (2001년 ~ 2006년)
wikitext2001년 말, 엔론이 보고한 재정 상태는 제도적, 조직적, 체계적, 창의적으로 계획된 회계부정(분식회계)의 결과였음이 드러났다.[128] 당시 엔론의 회장이었던 케네스 레이와 최고경영자였던 제프리 스킬링은 연방법원에서 사기와 내부자 거래 등으로 각각 징역 24년 4개월, 24년의 유죄 판결을 받았다.[129]
1993년, 앤드류 패스토우는 에너지 업계의 일반적인 사업 관행이었던 수많은 유한책임 특수목적회사(SPE)를 설립했다. 이는 엔론이 자산에서 일부 부채를 이전할 수 있도록 하여, 주가를 유지하고 투자 등급 신용 등급을 유지하는 데 기여했다.
엔론은 재무 정보 보고에서 사기 행각을 은폐하기 위해 SPE를 활용했다. SPE는 엔론의 재무제표에서 상당한 부채를 감추었고, 엔론을 실제보다 더 수익성이 높아 보이게 만들었다. 이는 기업 임원들이 매 분기마다 더 많은 재무적 기만 행위를 해야 하는 위험한 악순환을 야기했다.[55]
최고재무책임자(CFO)인 앤드류 패스토우는 장외 회사를 설립하고 거래를 조작하여 자신, 그의 가족, 그리고 그의 친구들에게 수억 달러의 확정 수익을 제공했다. 이는 회사와 주주들의 비용으로 이루어졌다.

스킬링 재임 기간 동안 엔론은 현재가격평가를 채택했는데, 이는 모든 거래에서 예상되는 미래 이익을 현재 실제 이익인 것처럼 계상하는 방법이다. 이를 통해 엔론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손실로 판명될 수 있는 것으로부터 이익을 기록할 수 있었다.[56]
이면에서는 거래 손실을 연결 결산 대상이 아닌 자회사(특수목적회사(SPE))로 이전하여 부외부채로 처리했다. 미국의 회계법인이었던 아서 앤더슨이 회계를 담당했기 때문에 시장의 신뢰는 두터웠지만, 실제로는 아서 앤더슨과 법률 자문 회사도 분식회계에 가담했다.
손실을 부외로 은폐하는 프로젝트의 예로, ADSL을 기반으로 하는 ISP였던 리듬스 네트워크 커넥션 주식에 관한 LJM 프로젝트가 있다. 엔론은 리듬스 주식의 가격 하락 위험을 헤지한다는 명목으로, 특수목적회사인 LJM 파트너스를 설립했다. LJM은 사실상 엔론과 하나였지만, 교묘하게 연결 대상에서 제외되도록 설계되어 리듬스 주식이 급락하여 평가 손실이 발생하면 그 손실을 부외로 은폐하는 역할을 했다.
LJM 설립에는 CFO인 앤드류 패스토우를 비롯한 간부들이 엔론 본사 이사회의 승인 없이 LJM의 임원을 겸임하여 고액의 보수를 얻었고, 아서 앤더슨과 법률 자문 회사에도 많은 수수료가 지급되었다. 리듬스는 2001년 8월에 파산했기 때문에, 엔론 본사로 계상해야 할 1억 달러의 손실이 은폐되게 되었다.
2001년 말, 엔론은 제도적, 조직적, 체계적, 창의적으로 계획된 회계부정(분식회계)으로 재정 상태를 유지해 왔음이 드러났다.[128] 이는 엔론의 파산으로 이어졌고, 경영진, 회계법인, 법무법인 등을 상대로 한 민·형사 소송이 봇물처럼 터져 나왔다. 엔론의 회계를 담당했던 아서 앤더슨 회계법인은 엔론의 회계 문제점을 알고도 묵인한 것으로 밝혀졌다. 2002년 1월 17일, 엔론은 아더 앤더슨과의 회계 용역 계약을 해지했다.[128]
이 사건으로 당시 엔론 회장이었던 케네스 레이와 최고경영자였던 제프리 스킬링은 연방법원에서 사기, 내부자 거래 등으로 각각 징역 24년 4개월과 24년의 유죄 판결을 받았다.[129] 엔론의 외부 감사를 맡았던 아서 앤더슨은 이 사건으로 영업정지를 당하고 결국 파산했다. 이후 엔론은 기업 사기와 부패의 대표적인 사례로 꼽히게 되었다.
2000년 8월 23일, 엔론의 주가는 90달러로 최고치를 기록했다.[34] 그러나 내부 정보를 통해 손실을 알고 있던 임원들은 주식을 매각하기 시작했고, 일반 대중과 투자자들에게는 주식 매입을 권유했다. 임원들은 투자자들에게 주가가 더 상승할 것이라고 말하면서 비밀리에 주식을 처분했다.
주가 하락에도 불구하고, 케네스 레이 회장은 투자자들을 안심시키는 발언을 계속했다.[68] 2001년 3월, ''포춘''(Fortune)지에 엔론 주식의 과대평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는 기사가 실렸다.[69] 2001년 8월 15일, 주가는 42달러로 하락했지만, 많은 투자자들은 레이를 신뢰하며 주식을 계속 매입하거나 보유했다.[70] 10월 말에는 주가가 15달러까지 하락했다.
레이는 이 시기에 7천만 달러가 넘는 주식을 매각하여 신용한도의 현금 선지급을 상환했고, 공개 시장에서 2천9백만 달러 상당의 주식을 추가로 매각했다.[71] 레이의 부인 린다도 2001년 11월 28일, 120만 달러 상당의 엔론 주식 50만 주를 매각했다.[72] 이 매각 수익금은 자선 단체에 기부되었다. 엔론의 문제와 손실 은폐 사실이 공개되면서 주가는 곧 1달러 미만으로 폭락했다.
전 엔론 임원 파울라 리커는 불법 내부자 거래 혐의로 기소되어 2년의 집행유예를 선고받았다.[73] 그녀는 손실 정보를 공개하기 전 주식을 매각하여 이익을 얻었다. 2002년, 엔론의 외부 감사 회사였던 앤더슨(Andersen LLP)이 몰락한 후, 전 앤더슨 이사 존 M. 커닝햄은 "우리는 모두 엔론화되었다(We have all been Enroned)"라는 말을 했다.
레이와 스키링은 공모, 사기, 내부자 거래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 레이는 선고 전 사망했고, 스키링은 24년 4개월의 징역과 벌금을 선고받았다. 패스트우는 6년 징역형, 루 파이는 3천1백5십만 달러에 합의했다.[74]
캘리포니아 주 전력 위기 당시 엔론은 회계상 큰 이익을 기록했지만, 실제로는 채권 회수가 불가능해졌다. 2001년 여름, 해외 사업 실패 사례들이 드러나면서 주가는 완만하게 하락했다. 2001년 10월 16일, 3분기 보고서에서 적자가 발표되었고, 10월 17일 월스트리트 저널이 엔론의 부정 회계 의혹을 보도하면서 주가는 급락했다. 증권거래위원회(SEC)의 조사도 시작되었다. 11월 6일, 다이너지(Dynegy)가 합병을 제안했지만, SPE 관련 문제로 11월 28일 합병 협상은 결렬되었다. 12월 2일, 엔론은 미국 연방 파산법 제11장을 신청하여 파산했다.
엔론 투자자들과 직원들은 막대한 재산 손실을 입었다. 경영진과 그 가족들은 주가 하락 국면에서 대량의 엔론 주식을 매도하여 내부자 거래 혐의로 SEC의 조사와 기소를 받았다.
2002년 2월, 뉴욕 타임즈와 워싱턴 포스트 등은 미국 의회가 엔론과 월가에 대한 조사를 시작했고, 메릴린치, 시티그룹, JP모건 체이스 등이 엔론의 재무 상태를 알고 있었다는 사실을 보도했다.
2004년 9월, 자회사 크로스컨트리 에너지(CrossCountry Energy)가 매각되었고, 2006년 9월에는 프리즈마 에너지(Prisma Energy)가 매각되었다. 2006년 말, 포틀랜드 제너럴 일렉트릭(PGE)이 독립 회사로 전환되면서 엔론 본사는 사업성이 없는 회사가 되었다. 2007년 3월 1일, 회사 명칭을 로 변경하고, 채무 처리를 위한 회사로 재편되었다. 2007년 4월, 115억 달러가 채권자에게 배분되었다.
엔론 파산은 전력 시장 자유화된 전력 시장에서 전력 거래 규칙 재검토의 계기가 되었다. 미국 대기업들의 분식 회계가 잇따라 발각되면서 회계 불신이 확산되었고, 2002년 7월 월드컴(WorldCom)의 부정 경리가 드러나면서 파산했다. 2002년 6월, 부시 대통령은 미국 대기업의 건전성을 강조했지만, 곧 월드컴의 파산이 발생했다.
대형 ESCO 사업자인 엔론 에너지 서비스(Enron Energy Services)의 파산은 ESCO 회계 기법에 대한 의혹을 불러일으켰다. 감사를 담당했던 아서 앤더슨(Arthur Andersen)은 2002년 해산되었다. 미국 경제는 큰 혼란에 빠졌고 세계 경제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기업 지배 구조에서 회계, 감사, 정보 공개 등 제도 재검토의 계기가 되어, 2002년 7월 상장회사회계개혁 및 투자자보호법(SOX 법)이 제정되었다.
1998년 헤지펀드롱텀 캐피털 매니지먼트(Long-Term Capital Management) 붕괴, 2000년 닷컴 버블 붕괴와의 관련성도 지적된다.
2001년 10월, 많은 애널리스트들이 엔론 주식을 "강력 매수"로 추천했던 것은 애널리스트의 객관성에 대한 신뢰를 잃게 만들었다.
일본에서는 엔론 회사채를 편입하고 있던 머니 마켓 펀드가 원금 손실을 발생시켰다. 공적 연금을 운용하던 연금복지사업단의 엔론 금융 자산 보유 및 손실 유무는 공표되지 않았다.
2006년 1월, 일본 라이브도어(ライブドア)의 라이브도어 사건은 엔론과 유사점이 많다는 지적을 받았다.
2002년, 엔론 중역 등은 이그노벨상경제학상을 수상했다.
엔론은 파산 절차에서 벗어나기 전에 국내 파이프라인 회사들을 크로스컨트리 에너지(CrossCountry Energy)에 24억 5천만 달러에 매각했고,[60] 이후 다른 자산들을 벌컨 캐피털 매니지먼트(Vulcan Capital Management)에 매각했다.[61]
2006년, 엔론은 마지막 사업체인 프리즈마 에너지(Prisma Energy)를 매각하여 자산이 없는 상태가 되었다.[62] 2007년 초, 회사 이름은 엔론 채권자 회수 회사(Enron Creditors Recovery Corporation)로 변경되었다. 이 회사의 목표는 구 엔론의 남은 채권자들에게 빚을 갚고 엔론의 모든 업무를 종료하는 것이었다. 2008년 12월, 엔론의 채권자들은 회사 청산 과정에서 약 17%를 받게 될 것이라고 발표되었다. 씨티그룹(Citigroup)과 JP 모건 체이스(JP Morgan Chase)는 엔론의 관행에 공모한 혐의로 기소된 후, 채권자들에게 수십억 달러를 지급하기로 합의했다. 2011년 5월까지 채권자들에게 218억 달러가 지급되었는데, 이는 파산 당시 엔론 부채의 53%에 해당한다.[63][64] 엔론 채권자 회수 회사는 2016년 11월 28일에 최종적으로 해산되었다.[65]
회사의 전 상수도 사업부였던 아주릭스(Azurix)는 현재 자산은 없지만 여전히 엔론 소유로 남아 있다. 아주릭스는 아르헨티나 정부를 상대로 여러 소송을 진행하고 있는데, 이는 1999년 부에노스아이레스 상수도 사업권 운영 중 현지 정부의 부실 및 부패로 인해 발생한 상당한 부채와 사업부의 최종 붕괴와 관련하여 보상을 요구하는 것이다.[66]
2004년 11월 파산 절차에서 벗어난 직후, 엔론의 새로운 이사회는 로열뱅크오브스코틀랜드(Royal Bank of Scotland), 도이체방크(Deutsche Bank), 씨티그룹 등 11개 금융 기관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이들은 레이, 패스토우, 스키링 등이 엔론의 실제 재정 상태를 은폐하는 것을 도왔다는 혐의를 받았다. 이 소송은 "대규모 소송(megaclaims litigation)"으로 불렸다. 엔론은 씨티그룹을 마지막으로 모든 기관과 합의를 보았고, 그 결과 채권자들에게 배분할 72억 달러 가까이를 확보할 수 있었다.[67] 2009년 12월 기준으로 일부 청구 및 처리 지급이 여전히 진행 중이었다.
엔론은 파산 이후 대중문화에서도 다뤄졌다. 심슨 가족(The Simpsons)의 에피소드 "90년대 쇼(That '90s Show)"에서는 호머가 엔론 주식을 사는 반면 마지는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주식을 유지하기로 선택하는 장면이 나온다. "특별한 에드나(Special Edna)"에는 엔론 테마의 놀이기구가 등장한다. 2007년 영화 꿀벌 대소동(Bee Movie)에는 엔론을 패러디한 "혼론(Honron)"이라는 회사가 언급된다. 2003년 다큐멘터리 기업(The Corporation)은 엔론을 "썩은 사과"라고 부르며 파산 이후 엔론에 대해 자주 언급했다.
2. 4. 1. 회계 부정
2001년 말, 엔론이 보고한 재정 상태는 제도적, 조직적, 체계적, 창의적으로 계획된 회계부정(분식회계)의 결과였음이 드러났다.[128] 당시 엔론의 회장이었던 케네스 레이와 최고경영자였던 제프리 스킬링은 연방법원에서 사기와 내부자 거래 등으로 각각 징역 24년 4개월, 24년의 유죄 판결을 받았다.[129]1993년, 앤드류 패스토우는 에너지 업계의 일반적인 사업 관행이었던 수많은 유한책임 특수목적회사(SPE)를 설립했다. 이는 엔론이 자산에서 일부 부채를 이전할 수 있도록 하여, 주가를 유지하고 투자 등급 신용 등급을 유지하는 데 기여했다.
엔론은 재무 정보 보고에서 사기 행각을 은폐하기 위해 SPE를 활용했다. SPE는 엔론의 재무제표에서 상당한 부채를 감추었고, 엔론을 실제보다 더 수익성이 높아 보이게 만들었다. 이는 기업 임원들이 매 분기마다 더 많은 재무적 기만 행위를 해야 하는 위험한 악순환을 야기했다.[55]
최고재무책임자(CFO)인 앤드류 패스토우는 장외 회사를 설립하고 거래를 조작하여 자신, 그의 가족, 그리고 그의 친구들에게 수억 달러의 확정 수익을 제공했다. 이는 회사와 주주들의 비용으로 이루어졌다.
스킬링 재임 기간 동안 엔론은 현재가격평가를 채택했는데, 이는 모든 거래에서 예상되는 미래 이익을 현재 실제 이익인 것처럼 계상하는 방법이다. 이를 통해 엔론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손실로 판명될 수 있는 것으로부터 이익을 기록할 수 있었다.[56]
이면에서는 거래 손실을 연결 결산 대상이 아닌 자회사(특수목적회사(SPE))로 이전하여 부외부채로 처리했다. 미국의 회계법인이었던 아서 앤더슨이 회계를 담당했기 때문에 시장의 신뢰는 두터웠지만, 실제로는 아서 앤더슨과 법률 자문 회사도 분식회계에 가담했다.
손실을 부외로 은폐하는 프로젝트의 예로, ADSL을 기반으로 하는 ISP였던 리듬스 네트워크 커넥션 주식에 관한 LJM 프로젝트가 있다. 엔론은 리듬스 주식의 가격 하락 위험을 헤지한다는 명목으로, 특수목적회사인 LJM 파트너스를 설립했다. LJM은 사실상 엔론과 하나였지만, 교묘하게 연결 대상에서 제외되도록 설계되어 리듬스 주식이 급락하여 평가 손실이 발생하면 그 손실을 부외로 은폐하는 역할을 했다.
LJM 설립에는 CFO인 앤드류 패스토우를 비롯한 간부들이 엔론 본사 이사회의 승인 없이 LJM의 임원을 겸임하여 고액의 보수를 얻었고, 아서 앤더슨과 법률 자문 회사에도 많은 수수료가 지급되었다. 리듬스는 2001년 8월에 파산했기 때문에, 엔론 본사로 계상해야 할 1억 달러의 손실이 은폐되게 되었다.
2. 4. 2. 파산
2001년 말, 엔론은 제도적, 조직적, 체계적, 창의적으로 계획된 회계부정(분식회계)으로 재정 상태를 유지해 왔음이 드러났다.[128] 이는 엔론의 파산으로 이어졌고, 경영진, 회계법인, 법무법인 등을 상대로 한 민·형사 소송이 봇물처럼 터져 나왔다. 엔론의 회계를 담당했던 아서 앤더슨 회계법인은 엔론의 회계 문제점을 알고도 묵인한 것으로 밝혀졌다. 2002년 1월 17일, 엔론은 아더 앤더슨과의 회계 용역 계약을 해지했다.[128]이 사건으로 당시 엔론 회장이었던 케네스 레이와 최고경영자였던 제프리 스킬링은 연방법원에서 사기, 내부자 거래 등으로 각각 징역 24년 4개월과 24년의 유죄 판결을 받았다.[129] 엔론의 외부 감사를 맡았던 아서 앤더슨은 이 사건으로 영업정지를 당하고 결국 파산했다. 이후 엔론은 기업 사기와 부패의 대표적인 사례로 꼽히게 되었다.
2000년 8월 23일, 엔론의 주가는 90달러로 최고치를 기록했다.[34] 그러나 내부 정보를 통해 손실을 알고 있던 임원들은 주식을 매각하기 시작했고, 일반 대중과 투자자들에게는 주식 매입을 권유했다. 임원들은 투자자들에게 주가가 더 상승할 것이라고 말하면서 비밀리에 주식을 처분했다.
주가 하락에도 불구하고, 케네스 레이 회장은 투자자들을 안심시키는 발언을 계속했다.[68] 2001년 3월, ''포춘''(Fortune)지에 엔론 주식의 과대평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는 기사가 실렸다.[69] 2001년 8월 15일, 주가는 42달러로 하락했지만, 많은 투자자들은 레이를 신뢰하며 주식을 계속 매입하거나 보유했다.[70] 10월 말에는 주가가 15달러까지 하락했다.
레이는 이 시기에 7천만 달러가 넘는 주식을 매각하여 신용한도의 현금 선지급을 상환했고, 공개 시장에서 2천9백만 달러 상당의 주식을 추가로 매각했다.[71] 레이의 부인 린다도 2001년 11월 28일, 120만 달러 상당의 엔론 주식 50만 주를 매각했다.[72] 이 매각 수익금은 자선 단체에 기부되었다. 엔론의 문제와 손실 은폐 사실이 공개되면서 주가는 곧 1달러 미만으로 폭락했다.
전 엔론 임원 파울라 리커는 불법 내부자 거래 혐의로 기소되어 2년의 집행유예를 선고받았다.[73] 그녀는 손실 정보를 공개하기 전 주식을 매각하여 이익을 얻었다. 2002년, 엔론의 외부 감사 회사였던 앤더슨(Andersen LLP)이 몰락한 후, 전 앤더슨 이사 존 M. 커닝햄은 "우리는 모두 엔론화되었다(We have all been Enroned)"라는 말을 했다.
레이와 스키링은 공모, 사기, 내부자 거래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 레이는 선고 전 사망했고, 스키링은 24년 4개월의 징역과 벌금을 선고받았다. 패스트우는 6년 징역형, 루 파이는 3천1백5십만 달러에 합의했다.[74]
캘리포니아 주 전력 위기 당시 엔론은 회계상 큰 이익을 기록했지만, 실제로는 채권 회수가 불가능해졌다. 2001년 여름, 해외 사업 실패 사례들이 드러나면서 주가는 완만하게 하락했다. 2001년 10월 16일, 3분기 보고서에서 적자가 발표되었고, 10월 17일 월스트리트 저널이 엔론의 부정 회계 의혹을 보도하면서 주가는 급락했다. 증권거래위원회(SEC)의 조사도 시작되었다. 11월 6일, 다이너지(Dynegy)가 합병을 제안했지만, SPE 관련 문제로 11월 28일 합병 협상은 결렬되었다. 12월 2일, 엔론은 미국 연방 파산법 제11장을 신청하여 파산했다.
엔론 투자자들과 직원들은 막대한 재산 손실을 입었다. 경영진과 그 가족들은 주가 하락 국면에서 대량의 엔론 주식을 매도하여 내부자 거래 혐의로 SEC의 조사와 기소를 받았다.
2002년 2월, 뉴욕 타임즈와 워싱턴 포스트 등은 미국 의회가 엔론과 월가에 대한 조사를 시작했고, 메릴린치, 시티그룹, JP모건 체이스 등이 엔론의 재무 상태를 알고 있었다는 사실을 보도했다.
2004년 9월, 자회사 크로스컨트리 에너지(CrossCountry Energy)가 매각되었고, 2006년 9월에는 프리즈마 에너지(Prisma Energy)가 매각되었다. 2006년 말, 포틀랜드 제너럴 일렉트릭(PGE)이 독립 회사로 전환되면서 엔론 본사는 사업성이 없는 회사가 되었다. 2007년 3월 1일, 회사 명칭을 로 변경하고, 채무 처리를 위한 회사로 재편되었다. 2007년 4월, 115억 달러가 채권자에게 배분되었다.
엔론 파산은 전력 시장 자유화된 전력 시장에서 전력 거래 규칙 재검토의 계기가 되었다. 미국 대기업들의 분식 회계가 잇따라 발각되면서 회계 불신이 확산되었고, 2002년 7월 월드컴(WorldCom)의 부정 경리가 드러나면서 파산했다. 2002년 6월, 부시 대통령은 미국 대기업의 건전성을 강조했지만, 곧 월드컴의 파산이 발생했다.
대형 ESCO 사업자인 엔론 에너지 서비스(Enron Energy Services)의 파산은 ESCO 회계 기법에 대한 의혹을 불러일으켰다. 감사를 담당했던 아서 앤더슨(Arthur Andersen)은 2002년 해산되었다. 미국 경제는 큰 혼란에 빠졌고 세계 경제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기업 지배 구조에서 회계, 감사, 정보 공개 등 제도 재검토의 계기가 되어, 2002년 7월 상장회사회계개혁 및 투자자보호법(SOX 법)이 제정되었다.
1998년 헤지펀드롱텀 캐피털 매니지먼트(Long-Term Capital Management) 붕괴, 2000년 닷컴 버블 붕괴와의 관련성도 지적된다.
2001년 10월, 많은 애널리스트들이 엔론 주식을 "강력 매수"로 추천했던 것은 애널리스트의 객관성에 대한 신뢰를 잃게 만들었다.
일본에서는 엔론 회사채를 편입하고 있던 머니 마켓 펀드가 원금 손실을 발생시켰다. 공적 연금을 운용하던 연금복지사업단의 엔론 금융 자산 보유 및 손실 유무는 공표되지 않았다.
2006년 1월, 일본 라이브도어(ライブドア)의 라이브도어 사건은 엔론과 유사점이 많다는 지적을 받았다.
2002년, 엔론 중역 등은 이그노벨상경제학상을 수상했다.
2. 4. 3. 파산 이후
엔론은 파산 절차에서 벗어나기 전에 국내 파이프라인 회사들을 크로스컨트리 에너지(CrossCountry Energy)에 24억 5천만 달러에 매각했고,[1] 이후 다른 자산들을 벌컨 캐피털 매니지먼트(Vulcan Capital Management)에 매각했다.[2]2006년, 엔론은 마지막 사업체인 프리즈마 에너지(Prisma Energy)를 매각하여 자산이 없는 상태가 되었다.[3] 2007년 초, 회사 이름은 엔론 채권자 회수 회사(Enron Creditors Recovery Corporation)로 변경되었다. 이 회사의 목표는 구 엔론의 남은 채권자들에게 빚을 갚고 엔론의 모든 업무를 종료하는 것이었다. 2008년 12월, 엔론의 채권자들은 회사 청산 과정에서 약 17%를 받게 될 것이라고 발표되었다. 씨티그룹(Citigroup)과 JP 모건 체이스(JP Morgan Chase)는 엔론의 관행에 공모한 혐의로 기소된 후, 채권자들에게 수십억 달러를 지급하기로 합의했다. 2011년 5월까지 채권자들에게 218억 달러가 지급되었는데, 이는 파산 당시 엔론 부채의 53%에 해당한다.[4][5] 엔론 채권자 회수 회사는 2016년 11월 28일에 최종적으로 해산되었다.[6]
회사의 전 상수도 사업부였던 아주릭스(Azurix)는 현재 자산은 없지만 여전히 엔론 소유로 남아 있다. 아주릭스는 아르헨티나 정부를 상대로 여러 소송을 진행하고 있는데, 이는 1999년 부에노스아이레스 상수도 사업권 운영 중 현지 정부의 부실 및 부패로 인해 발생한 상당한 부채와 사업부의 최종 붕괴와 관련하여 보상을 요구하는 것이다.[7]
2004년 11월 파산 절차에서 벗어난 직후, 엔론의 새로운 이사회는 로열뱅크오브스코틀랜드(Royal Bank of Scotland), 도이체방크(Deutsche Bank), 씨티그룹 등 11개 금융 기관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이들은 레이, 패스토우, 스키링 등이 엔론의 실제 재정 상태를 은폐하는 것을 도왔다는 혐의를 받았다. 이 소송은 "대규모 소송(megaclaims litigation)"으로 불렸다. 엔론은 씨티그룹을 마지막으로 모든 기관과 합의를 보았고, 그 결과 채권자들에게 배분할 72억 달러 가까이를 확보할 수 있었다.[8] 2009년 12월 기준으로 일부 청구 및 처리 지급이 여전히 진행 중이었다.
엔론은 파산 이후 대중문화에서도 다뤄졌다. 심슨 가족(The Simpsons)의 에피소드 "90년대 쇼(That '90s Show)"에서는 호머가 엔론 주식을 사는 반면 마지는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주식을 유지하기로 선택하는 장면이 나온다. "특별한 에드나(Special Edna)"에는 엔론 테마의 놀이기구가 등장한다. 2007년 영화 꿀벌 대소동(Bee Movie)에는 엔론을 패러디한 "혼론(Honron)"이라는 회사가 언급된다. 2003년 다큐멘터리 기업(The Corporation)은 엔론을 "썩은 사과"라고 부르며 파산 이후 엔론에 대해 자주 언급했다.
- ---
1. 이동 ↑ [60]
2. 이동 ↑ [61]
3. 이동 ↑ [62]
4. 이동 ↑ [63]
5. 이동 ↑ [64]
6. 이동 ↑ [65]
7. 이동 ↑ [66]
8. 이동 ↑ [67]
3. 2001년 회계부정 사건
2001년 말, 엔론이 보고한 재정 상태가 제도적, 조직적, 체계적, 창의적으로 계획된 회계부정(분식회계)으로 유지되었음이 드러났다.[128] 이 사건으로 엔론은 기업 사기와 부패의 대표적인 사례가 되었다.
엔론은 2001년 12월 2일 파산 신청을 했으며, 이는 당시 역사상 최대 규모의 파산이었다. (이후 2002년 월드컴, 2008년 리먼 브러더스의 파산으로 기록이 깨짐) 이로 인해 주주들은 110억 달러의 손실을 보았다.[50]
엔론의 회계부정 사건은 엔론의 경영진, 아서 앤더슨 회계법인, 법무법인 등을 상대로 한 민·형사 소송으로 이어졌다. 특히 엔론의 회계를 담당했던 아서 앤더슨은 엔론의 회계 문제를 알고도 묵인했으며, 2002년 엔론 감사와 관련된 서류를 파기한 혐의로 사법방해 죄를 선고받았다.[53] 이로 인해 아서 앤더슨은 영업정지를 당하고 결국 파산했다.
엔론의 회장이었던 케네스 레이와 최고경영자였던 제프리 스킬링은 연방법원에서 사기와 내부자 거래 등으로 각각 징역 24년 4개월, 24년의 유죄 판결을 받았다.[129]
=== 회계 부정 수법 ===
엔론은 재무 정보를 속이기 위해 다양한 사기적이고 불법적인 회계 수법을 사용했다.[55] 특히, 특수목적법인(SPE)을 설립하여 엔론의 재무제표에서 상당한 부채를 숨겼다. 이러한 수법은 엔론을 실제보다 더 수익성이 높은 것처럼 보이게 만들었다.[55]
제프리 스킬링 재임 기간 동안 엔론은 현재가격평가를 채택했는데, 이는 미래 예상 이익을 현재 실제 이익처럼 계산하는 방법이다. 이로 인해 엔론은 시간이 지나면서 손실로 판명될 수 있는 거래에서도 이익을 기록할 수 있었다.[56]
이면에서는 거래 손실을 연결 결산 대상이 아닌 자회사(특수목적회사(Special Purpose Entity, SPE): 그림자 금융 시스템)로 이전하여 부외부채로 처리하는 일이 적극적으로 행해졌다. 아서 앤더슨이 회계를 담당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아서 앤더슨과 법률 자문 회사도 여러 불법 프로젝트 실행 및 분식회계에 가담했다.
손실을 부외로 은폐하는 대표적인 사례는 ADSL 기반 ISP였던 리듬스 네트워크 커넥션 주식 관련 LJM 프로젝트이다. 엔론은 특수목적회사인 LJM 파트너스를 설립하여 리듬스 주식의 가격 하락 위험을 헤지한다고 하였으나, 실제로는 LJM을 통해 리듬스 주식의 평가 손실을 부외로 은폐했다. CFO였던 앤드류 패스토우를 비롯한 간부들은 LJM의 임원을 겸임하며 고액의 보수를 받았고, 아서 앤더슨과 법률 자문 회사에도 많은 수수료가 지급되었다.
이러한 회계 부정은 엔론의 주가를 상승시켰고, 임원들은 내부 정보를 이용하여 수백만 달러 상당의 엔론 주식을 거래했다.[55] 앤드류 패스토우는 장외 회사를 설립하고 거래를 조작하여 자신, 가족, 친구들에게 수억 달러의 확정 수익을 제공했다.[55]
=== 내부자 거래 ===
2000년 8월 23일, 엔론의 주가는 최고가인 90달러를 기록했다.[34] 그러나 내부 정보를 통해 숨겨진 손실을 알고 있던 엔론 임원들은 주식을 매각하기 시작했다. 반면 일반 투자자들에게는 주식을 매입하라는 권유가 이루어졌으며, 임원들은 투자자들에게 주가가 더 상승할 것이라고 말하면서 비밀리에 자신의 주식을 처분했다.[68]
임원들의 주식 매각으로 주가가 하락하기 시작했지만, 투자자들에게는 주가가 곧 반등할 것이라는 말과 함께 주식을 계속 사거나 보유하라는 이야기가 전해졌다. 케네스 레이 회장은 여러 차례 성명을 발표하거나 직접 등장하여 투자자들을 안심시키고 엔론이 잘하고 있다고 확신시켰다.[68]
2001년 8월 15일, 엔론 주가는 42달러로 하락했지만, 많은 투자자들은 여전히 레이를 신뢰했다.[70] 10월 말에는 주가가 15달러까지 하락했고, 많은 사람들은 이를 엔론 주식을 매입할 좋은 기회로 여겼다.[68]
레이는 이 시기에 7천만 달러가 넘는 주식을 매각했고,[71] 레이의 부인 린다 레이는 2001년 11월 28일 총 120만 달러 상당의 엔론 주식 50만 주를 매각했다.[72]
전 엔론 임원 파울라 리커는 불법 내부자 거래 혐의로 기소되어 2년의 집행유예를 선고받았다. 리커는 주당 15.51달러에 엔론 주식 18,380주를 취득했고, 1억 2백만 달러의 손실에 대한 정보를 대중에게 알리기 일주일 전인 2001년 7월에 주당 49.77달러에 그 주식을 매각했다.[73]
케네스 레이와 제프리 스킬링은 공모, 사기 및 내부자 거래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 레이는 선고 전에 사망했고, 스킬링은 24년 4개월의 징역과 4천5백만 달러의 벌금(나중에 감면됨)을 선고받았다. 패스트우는 6년의 징역형을 선고받았다.[74]
=== 캘리포니아 에너지 위기 ===
2000년 10월, 다니엘 스코토(Daniel Scotto)는 캘리포니아 규제 완화 계획의 문제점으로 인해 에너지 회사들이 적절한 보상을 받지 못할 수 있다는 이유로 캘리포니아에서 사업하는 에너지 회사에 대한 등급을 중단했다.[75] 5개월 후, 퍼시픽 가스 앤 일렉트릭(PG&E)는 파산했다.
엔론 이사회 멤버 웬디 그램(Wendy Gramm)의 남편이자 엔론으로부터 많은 선거 자금을 받은 필 그램(Phil Gramm)[76] 공화당 상원의원은 캘리포니아의 에너지 상품 거래 규제 완화를 입법화하는 데 성공했다. 이 법안은 2000년 12월에 통과되었다.[77]
퍼블릭 시티즌(Public Citizen)에 따르면, 엔론의 새로운 규제되지 않은 전력 경매로 인해 회사의 "도매 서비스" 수익은 2000년 1분기 120억 달러에서 2001년 1분기 484억 달러로 4배 증가했다.[77] 규제 완화 법안 통과 후, 2001년 6월 연방 규제 기관이 개입할 때까지 캘리포니아에서는 총 38건의 3단계 순환 정전이 선포되었다.[78]
이후 엔론 거래업자들은 캘리포니아 에너지 위기 동안 공급업체들이 불필요한 유지보수를 위해 발전소를 폐쇄하도록 유도하여 시장에서 전력이 제거되도록 의도적으로 부추긴 것으로 드러났다.[79][80] 이러한 행위는 순환 정전의 필요성에 기여했으며, 안정적인 전력 공급에 의존하는 많은 기업에 악영향을 미쳤고 많은 소매 고객에게 불편을 초래했다. 산발적인 공급은 가격을 인상했고, 엔론 거래업자들은 정상적인 최고 가치의 최대 20배에 달하는 고가에 전력을 판매할 수 있었다.
3. 1. 회계 부정 수법
엔론은 재무 정보 보고에서 사기 행각을 은폐하기 위해 다양한 기만적이고 불법적인 수법과 회계 관행을 사용했다.[55] 특히, 특수목적법인(SPE)을 설립하여 엔론의 재무제표에서 상당한 부채를 감추었다. 이러한 법인들은 엔론이 실제보다 더 수익성이 높아 보이도록 만들었고, 매 분기마다 기업 임원들이 수십억 달러의 이익을 창출하는 환상을 만들기 위해 더욱 많은 재무적 기만 행위를 해야 하는 위험한 악순환을 만들어냈다.[55]1999년 엔론은 인터넷 기반 거래 운영인 EnronOnline을 시작했다. 회사의 공격적인 투자 전략을 홍보함으로써 엔론의 사장 겸 최고운영책임자(COO) 제프리 스킬링은 엔론이 분기당 270억 달러 이상을 거래하는 최대 가스 및 전력 도매업체가 되는 데 기여했다. 스킬링 재임 기간 동안 엔론은 현재가격평가를 채택했는데, 이는 모든 거래에서 예상되는 미래 이익을 현재 실제 이익인 것처럼 계상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엔론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손실로 판명될 수 있는 것으로부터 이익을 기록할 수 있었다.[56]
이면에서는 거래 손실을 연결 결산 대상이 아닌 자회사(특수목적회사(Special Purpose Entity, SPE): 그림자 금융 시스템)로 이전하여 부외부채로 처리하는 일이 적극적으로 행해졌다. 미국 최고 수준의 회계법인이었던 아서 앤더슨이 회계를 담당했기 때문에 결산에 대한 시장의 신뢰는 두터웠지만, 실제로는 아서 앤더슨과 법률 자문 회사도 여러 불법 프로젝트의 실행 및 분식회계에 가담했다.
손실을 부외로 은폐하는 프로젝트의 예로, ADSL을 기반으로 하는 ISP였던 리듬스 네트워크 커넥션 주식에 관한 LJM 프로젝트가 있다. 엔론은 이 주식의 가격 하락 위험을 헤지한다는 명목으로 특수목적회사인 LJM 파트너스를 설립했다. LJM은 사실상 엔론과 하나였지만, 교묘하게 연결 대상에서 제외되도록 설계되어 리듬스 주식의 평가 손실을 부외로 은폐하는 역할을 했다. 게다가, LJM 설립에 있어서는, CFO인 앤드류 패스토우를 비롯한 간부들이 엔론 본사 이사회의 승인 없이 LJM의 임원을 겸임하여 고액의 보수를 얻었고, 아서 앤더슨과 법률 자문 회사에도 많은 수수료가 지급되었다. 리듬스는 그 후 2001년 8월에 파산했기 때문에, 원래라면 엔론 본사로 계상해야 할 1억 달러의 손실이 은폐되게 되었다.
이러한 관행은 주가를 상승시켰고, 그 시점에 임원들은 내부 정보를 이용하여 수백만 달러 상당의 엔론 주식을 거래하기 시작했다.[55] 엔론의 임원들과 내부자들은 회사의 손실을 숨기고 있는 해외 계좌에 대해 알고 있었지만, 투자자들은 알지 못했다. 최고재무책임자(CFO)인 앤드류 패스토우는 장외 회사를 설립하고 거래를 조작하여 자신, 그의 가족, 그리고 그의 친구들에게 수억 달러의 확정 수익을 제공하는 팀을 이끌었다.[55]
2001년 말에 엔론이 보고한 재정상태가 제도적, 조직적, 체계적, 창의적으로 계획된 회계부정(분식회계)으로 지탱된 것이었음이 드러났다.[128] 이 사건으로 당시 엔론의 회장이었던 케네스 레이 회장과 최고경영자였던 제프리 스킬링은 연방법원에서 사기와 내부자 거래 등으로 각각 징역 24년 4개월, 24년의 유죄 판결을 받았다.[129] 당시 엔론의 외부 감사를 맡고 있던 미국의 5대 회계법인 중 하나였던 아서 앤더슨 역시 이 사건으로 인해 영업정지를 당하고 결국 파산하게 되었다.
3. 2. 내부자 거래
2000년 8월 23일, 엔론의 주가는 최고가인 90달러를 기록했다.[34] 그러나 내부 정보를 통해 숨겨진 손실을 알고 있던 엔론 임원들은 주식을 매각하기 시작했다. 반면 일반 대중과 투자자들에게는 주식을 매입하라는 권유가 이루어졌으며, 임원들은 투자자들에게 주가가 130달러에서 140달러까지 상승할 것이라고 말하면서 비밀리에 자신의 주식을 처분했다.[68]임원들의 주식 매각으로 주가는 하락하기 시작했지만, 투자자들에게는 주가가 곧 반등할 것이라는 말과 함께 주식을 계속 사거나 보유하라는 이야기가 전해졌다. 케네스 레이 회장은 여러 차례 성명을 발표하거나 직접 등장하여 투자자들을 안심시키고 엔론이 잘하고 있다고 확신시켰다.[68] 2001년 3월, ''포춘''지에 엔론 주식의 과대평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는 기사가 실렸다.[69]
2001년 8월 15일, 엔론의 주가는 42달러로 하락했지만, 많은 투자자들은 여전히 레이를 신뢰하고 엔론이 시장을 지배할 것이라고 믿었다.[70] 10월 말에는 주가가 15달러까지 하락했고, 레이를 믿은 많은 사람들은 이를 엔론 주식을 매입할 좋은 기회로 여겼다.[68]
레이는 이 시기에 7천만 달러가 넘는 주식을 매각하여 신용한도의 현금 선지급을 상환했고, 공개 시장에서 2천9백만 달러 상당의 주식을 추가로 매각했다.[71] 레이의 부인 린다 레이는 2001년 11월 28일 총 120만 달러 상당의 엔론 주식 50만 주를 매각했는데,[72] 이 매각으로 얻은 돈은 자선 단체에 기부되었다. 기록에 따르면 레이 부인은 오전 10시에서 10시 20분 사이에 매각 주문을 했고, 엔론의 문제, 즉 수백만 달러의 손실을 은폐한 사실이 오전 10시 30분경 공개되었고, 주가는 곧 1달러 미만으로 떨어졌다.
전 엔론 임원 파울라 리커는 불법 내부자 거래 혐의로 기소되어 2년의 집행유예를 선고받았다. 리커는 주당 15.51달러에 엔론 주식 18,380주를 취득했고, 1억 2백만 달러의 손실에 대한 정보를 대중에게 알리기 일주일 전인 2001년 7월에 주당 49.77달러에 그 주식을 매각했다.[73]
2001년 말, 엔론이 제도적, 조직적, 체계적, 창의적으로 계획된 회계부정(분식회계)으로 재정 상태를 유지했다는 사실이 드러나면서 파산했다.[128] 이 사건으로 당시 엔론의 회장이었던 케네스 레이 회장과 최고경영자였던 제프리 스킬링은 연방법원에서 사기와 내부자 거래 등으로 각각 징역 24년 4개월, 24년의 유죄 판결을 받았다.[129] 엔론의 외부 감사를 맡았던 아서 앤더슨 회계법인은 이 사건으로 인해 영업정지를 당하고 결국 파산했다. 그 여파로 레이와 스킬링은 공모, 사기 및 내부자 거래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 레이는 선고 전에 사망했고, 스키링은 24년 4개월의 징역과 4천5백만 달러의 벌금(나중에 감면됨)을 선고받았다. 패스트우는 6년의 징역형을 선고받았고, 루 파이는 3천1백5십만 달러에 합의했다.[74]
3. 3. 캘리포니아 에너지 위기
2000년 10월, 월가의 유틸리티 분석가 다니엘 스코토(Daniel Scotto)는 캘리포니아 규제 완화 계획의 문제점으로 인해 에너지 회사들이 적절한 보상을 받지 못할 수 있다는 이유로 캘리포니아에서 사업하는 에너지 회사에 대한 등급을 중단했다.[75] 5개월 후, 퍼시픽 가스 앤 일렉트릭(PG&E)는 파산했다. 엔론 이사회 멤버 웬디 그램(Wendy Gramm)의 남편이자 엔론으로부터 많은 선거 자금을 받은 필 그램(Phil Gramm)[76] 공화당 상원의원은 캘리포니아의 에너지 상품 거래 규제 완화를 입법화하는 데 성공했다. 이 법안은 에너지 거래업자들에게 에너지 상품 가격에 대한 과도한 영향력을 줄 것이라는 경고에도 불구하고 2000년 12월에 통과되었다.[77]퍼블릭 시티즌(Public Citizen)에 따르면, 엔론의 새로운 규제되지 않은 전력 경매로 인해 회사의 "도매 서비스" 수익은 2000년 1분기 120억 달러에서 2001년 1분기 484억 달러로 4배 증가했다.[77] 규제 완화 법안 통과 후, 연방 규제 기관이 2001년 6월 개입할 때까지 캘리포니아에서는 총 38건의 3단계 순환 정전이 선포되었다.[78] 이러한 정전은 잘못 설계된 시장 시스템과 부실한 주 정부 관리 및 규제 감독의 결과였다. 이후 엔론 거래업자들은 캘리포니아 에너지 위기 동안 공급업체들이 불필요한 유지보수를 위해 발전소를 폐쇄하도록 유도하여 시장에서 전력이 제거되도록 의도적으로 부추긴 것으로 드러났다.[79][80] 이러한 행위는 순환 정전의 필요성에 기여했으며, 안정적인 전력 공급에 의존하는 많은 기업에 악영향을 미쳤고 많은 소매 고객에게 불편을 초래했다. 산발적인 공급은 가격을 인상했고, 엔론 거래업자들은 정상적인 최고 가치의 최대 20배에 달하는 고가에 전력을 판매할 수 있었다.
거래업자들의 무관심한 태도는 녹취록에 기록되었으며, 2000년 11월 대통령 선거에서 플로리다주 마이애미-데이드 카운티의 은퇴자 유권자들의 혼란을 비꼬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다.[81][82] 거래업자들은 워싱턴주 북서부의 스노호미시 PUD(Snohomish PUD)가 엔론이 조작한 과다 요금을 회수하려는 노력에 대해 논의했다. 모건 스탠리(Morgan Stanley)는 소송에서 엔론의 자리를 차지하여 PUD가 요청한 문서 공개에 맞서 싸웠으나, 연방 에너지 규제 위원회(Federal Energy Regulatory Commission)는 이를 보류했다.[82]
4. 경영진 및 기업 지배 구조
케네스 레이는 엔론의 회장 겸 최고경영자(CEO)였다. 제프리 스킬링은 사장, 최고운영책임자(COO) 겸 CEO (2001년 2월~8월)를 역임했다. 앤드루 패스토우는 최고재무책임자(CFO)였다.
리처드 코지는 최고회계책임자(CAO), 레베카 마크-주스바셰는 엔론 인터내셔널 및 아주릭스 CEO였다. 루 파이는 엔론 에너지 서비스 CEO, 포레스트 호글런드는 엔론 오일 앤 가스 CEO를 맡았다. 데니스 울락은 엔론 오일 앤 가스 인터내셔널 사장이었다.
제프리 셰릭은 엔론 글로벌 탐사 및 생산 Inc. 사장, 리처드 갤러거는 엔론 도매 글로벌 인터내셔널 그룹 책임자였다. 케네스 "켄" 라이스는 엔론 도매 및 엔론 브로드밴드 서비스 CEO, J. 클리포드 벡스터는 엔론 노스 아메리카 CEO였다.
셰론 왓킨스는 엔론 글로벌 파이낸스 책임자, 짐 데릭은 엔론 법률 고문, 마크 코에니그는 엔론 투자자 관계 책임자, 조앤 폴리는 엔론 인적자원 책임자였다.
리처드 킨더는 엔론 사장 겸 COO (1990년~1996년 12월)를 역임했고, 그렉 왈리는 엔론 사장 겸 COO (2001년 8월~파산), 제프 맥머흔은 엔론 CFO (2001년 10월~파산)였다.
엔론 회사 이사회 의장은 케네스 레이였으며, 이사진으로는 로버트 A. 벨퍼, 노먼 P. 블레이크 주니어, 로니 C. 찬, 존 H. 던컨, 웬디 L. 그램, 켄 L. 해리슨, 로버트 K. 재디케, 찰스 A. 르메스트르, 존 멘델존, 제롬 J. 마이어, 리처드 K. 갤러거, 파울로 V. 페라즈 페레이라, 프랭크 새비지, 존 A. 어쿼하트, 존 웨이크햄, 허버트 S. 위노커 주니어 등이 있었다.
4. 1. 경영진
케네스 레이는 엔론의 회장 겸 최고경영자(CEO)였다. 제프리 스킬링은 사장, 최고운영책임자(COO) 겸 CEO (2001년 2월~8월)를 역임했다. 앤드루 패스토우는 최고재무책임자(CFO)였다.리처드 코지는 최고회계책임자(CAO), 레베카 마크-주스바셰는 엔론 인터내셔널 및 아주릭스 CEO였다. 루 파이는 엔론 에너지 서비스 CEO, 포레스트 호글런드는 엔론 오일 앤 가스 CEO를 맡았다. 데니스 울락은 엔론 오일 앤 가스 인터내셔널 사장이었다.
제프리 셰릭은 엔론 글로벌 탐사 및 생산 Inc. 사장, 리처드 갤러거는 엔론 도매 글로벌 인터내셔널 그룹 책임자였다. 케네스 "켄" 라이스는 엔론 도매 및 엔론 브로드밴드 서비스 CEO, J. 클리포드 벡스터는 엔론 노스 아메리카 CEO였다.
셰론 왓킨스는 엔론 글로벌 파이낸스 책임자, 짐 데릭은 엔론 법률 고문, 마크 코에니그는 엔론 투자자 관계 책임자, 조앤 폴리는 엔론 인적자원 책임자였다.
리처드 킨더는 엔론 사장 겸 COO (1990년~1996년 12월)를 역임했고, 그렉 왈리는 엔론 사장 겸 COO (2001년 8월~파산), 제프 맥머흔은 엔론 CFO (2001년 10월~파산)였다.
엔론 회사 이사회 의장은 케네스 레이였으며, 이사진으로는 로버트 A. 벨퍼, 노먼 P. 블레이크 주니어, 로니 C. 찬, 존 H. 던컨, 웬디 L. 그램, 켄 L. 해리슨, 로버트 K. 재디케, 찰스 A. 르메스트르, 존 멘델존, 제롬 J. 마이어, 리처드 K. 갤러거, 파울로 V. 페라즈 페레이라, 프랭크 새비지, 존 A. 어쿼하트, 존 웨이크햄, 허버트 S. 위노커 주니어 등이 있었다.
4. 2. 이사회
엔론의 이사회는 케네스 레이 이사회 의장을 포함하여 로버트 A. 벨퍼, 노먼 P. 블레이크 주니어, 로니 C. 찬, 존 H. 던컨, 웬디 L. 그램, 켄 L. 해리슨, 로버트 K. 재디케, 찰스 A. 르메스트르, 존 멘델존, 제롬 J. 마이어, 리처드 K. 갤러거, 파울로 V. 페라즈 페레이라, 프랭크 새비지, 존 A. 어쿼하트, 존 웨이크햄, 허버트 S. 위노커 주니어 등으로 구성되었다. 이들은 기업 경영진을 감독하고 주주들의 이익을 보호해야 할 책임이 있었다. 그러나 엔론 이사회는 회계 부정과 관련된 위험 신호를 제대로 파악하고 대응하지 못하여, 결국 엔론 파산의 한 원인을 제공했다는 비판을 받았다.5. 사업 부문
엔론은 석유 및 액화천연가스(LNG) 운송, 광대역, 주요 투자, 원자재 위험 관리, 해상 운송/화물, 스트리밍 미디어, 수자원 및 폐수 처리 등 30가지가 넘는 상품을 거래했다. 특히 EnronOnline에서 거래된 상품으로는 석유화학제품, 플라스틱, 전력, 목재펄프 및 종이, 철강, 기상 위험 관리 등이 있다.[83][84] 엔론은 또한 설탕, 커피, 곡물, 돼지고기 및 기타 육류 선물 등 광범위한 선물 거래를 했다. 2001년 12월 파산 신청 당시 엔론은 7개의 개별 사업부로 구성되었다.
; 온라인 마켓플레이스 서비스
엔론은 1999년 11월 29일 에너지 상품을 위한 전자 거래 플랫폼인 엔론온라인(EnronOnline)을 개설했다.[83][84] 회사의 유럽 가스 거래 팀이 기획한 이 플랫폼은 구매자와 판매자가 전 세계적으로 상품을 사고팔고 거래할 수 있도록 허용한 최초의 웹 기반 거래 시스템이었다.[83] 이 플랫폼을 통해 엔론은 세계 에너지 시장의 참가자들과 거래할 수 있었으며, 사용자는 엔론과만 거래할 수 있었다.[83] 엔론온라인에서 제공되는 주요 상품은 천연가스와 전력이었지만, 신용파생상품, 파산 스왑, 펄프, 가스, 플라스틱, 종이, 철강, 금속, 화물 운송, TV 광고 시간 등 500개 이상의 다른 상품도 포함되어 있었다.[83]
엔론온라인 외에도 다음과 같은 온라인 마켓플레이스 서비스를 제공했다.
- 클릭페이퍼(ClickPaper): 펄프, 종이 및 목재 제품 거래 플랫폼
- 엔론크레딧(EnronCredit): 실시간 신용 가격을 제공하고 기업 간 고객이 인터넷을 통해 즉시 신용 위험을 헤지할 수 있도록 하는 최초의 글로벌 온라인 신용 부서
- 이파워온라인(ePowerOnline): 엔론 브로드밴드 서비스 고객 인터페이스
- 엔론 다이렉트(Enron Direct): 가스 및 전력에 대한 고정 가격 계약 판매 (유럽 한정)
- 에너지데스크(EnergyDesk): 에너지 관련 파생 상품 거래 (유럽 한정)
- 뉴파워컴퍼니(NewPowerCompany): 온라인 에너지 거래 (IBM 및 AOL과의 합작 투자)
- 엔론웨더(Enron Weather): 기상 파생 상품
- 딜벤치(DealBench): 온라인 비즈니스 서비스
- 워터투워터(Water2Water): 물 저장, 공급 및 수질 크레딧 거래
- 핫탭(HotTap): 엔론의 미국 가스 파이프라인 사업 고객 인터페이스
- 엔론마르크트(Enromarkt): 기업 간 가격 및 정보 플랫폼 (독일 한정)
최대 일일 60억 달러 이상의 상품이 엔론온라인을 통해 거래되었지만, 전문가들은 엔론이 거래를 보고하고 이익을 계산하는 방식에 의문을 제기하며, 엔론의 다른 사업에서 만연했던 것과 같은 부정적인 회계 처리가 거래에도 사용되었을 가능성을 지적했다.[85]
2001년 말 엔론의 파산 이후, 엔론온라인은 스위스 금융 대기업 UBS에 매각되었다. UBS는 1년 이내에 해당 부서를 재개하려는 노력을 포기하고 2002년 11월에 문을 닫았다.[83][85]
1999년에 설립한 "엔론 온라인(Enron Online)"에서는 전력뿐만 아니라, 원래 엔론의 사업 분야였던 가스, 석유를 비롯하여 석탄, 알루미늄, 펄프, 플라스틱, 심지어 신용 위험, 기상, 네트워크 대역폭, 배기가스 배출권에 이르기까지 모든 상품의 시장을 인터넷상에 개설하여, 엔론 자체가 매도자이자 매수자로서 거래를 했다.
이 엔론 온라인의 아이디어와 시스템은 운영 당시는 물론, 엔론 파산 후에도 높이 평가받았다. 하지만 비즈니스 모델이 수수료 비즈니스가 아니라 직접 매매를 하는 트레이딩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전례 없는 상품 시장에도 적극적으로 진출했기 때문에, 원래 그 시장에 있던 업체들에게 이용당한 측면도 있었다.
; 광대역 서비스
엔론은 광대역 콘텐츠 전송을 위한 앤론 인텔리전트 네트워크, 미디어 콘텐츠 회사를 위한 위험 관리 서비스인 앤론 미디어 서비스, 대역폭 및 광섬유 제품 거래를 위한 맞춤형 대역폭 솔루션, 실시간 또는 주문형 인터넷 방송 애플리케이션인 스트리밍 미디어 애플리케이션 등의 광대역 서비스를 제공했다.
; 에너지 및 상품 서비스
엔론은 에너지 및 상품 서비스 사업을 통해 다양한 분야에서 서비스를 제공했다. 전력 도매를 담당하는 엔론 파워, 천연가스 도매를 담당하는 엔론 천연가스, 바이오 연료 도매를 담당하는 엔론 청정연료 등이 있었다. 임산업을 위한 위험 관리 파생상품을 제공하는 엔론 펄프 및 제지, 포장, 목재, 석탄 도매 및 이산화탄소 배출권 거래를 담당하는 엔론 석탄 및 배출권, 폴리머, 올레핀, 메탄올, 방향족 및 액화천연가스에 대한 가격 위험 관리를 제공하는 엔론 플라스틱 및 석유화학도 있었다.
기상 파생상품을 다루는 엔론 기상 위험 관리, 철강 산업을 위한 금융 스왑 계약 및 현물 가격을 제공하는 엔론 철강, 석유 헤징을 담당하는 엔론 원유 및 석유 제품도 운영했다. 엔론 풍력 발전 서비스를 통해 풍력 터빈 제조 및 풍력 발전소 운영을 하였고, 영국의 금속 상인인 MG Plc.도 엔론의 사업 부문이었다. 산업 최종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판매하는 엔론 에너지 서비스와 해외 자산 운영을 담당하는 엔론 인터내셔널도 있었다.
; 자본 및 위험 관리 서비스
엔론은 자본 관리, 원자재 관리, 에너지 자산 관리, 에너지 정보 관리, 시설 관리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또한 아주릭스(Azurix Inc.)를 통해 상하수도 및 인프라 관리 서비스도 제공하였다.
5. 1. 온라인 마켓플레이스 서비스
엔론은 1999년 11월 29일 에너지 상품을 위한 전자 거래 플랫폼인 엔론온라인(EnronOnline)을 개설했다.[83][84] 회사의 유럽 가스 거래 팀이 기획한 이 플랫폼은 구매자와 판매자가 전 세계적으로 상품을 사고팔고 거래할 수 있도록 허용한 최초의 웹 기반 거래 시스템이었다.[83] 이 플랫폼을 통해 엔론은 세계 에너지 시장의 참가자들과 거래할 수 있었으며, 사용자는 엔론과만 거래할 수 있었다.[83] 엔론온라인에서 제공되는 주요 상품은 천연가스와 전력이었지만, 신용파생상품, 파산 스왑, 펄프, 가스, 플라스틱, 종이, 철강, 금속, 화물 운송, TV 광고 시간 등 500개 이상의 다른 상품도 포함되어 있었다.[83]엔론온라인 외에도 다음과 같은 온라인 마켓플레이스 서비스를 제공했다.
- 클릭페이퍼(ClickPaper): 펄프, 종이 및 목재 제품 거래 플랫폼
- 엔론크레딧(EnronCredit): 실시간 신용 가격을 제공하고 기업 간 고객이 인터넷을 통해 즉시 신용 위험을 헤지할 수 있도록 하는 최초의 글로벌 온라인 신용 부서
- 이파워온라인(ePowerOnline): 엔론 브로드밴드 서비스 고객 인터페이스
- 엔론 다이렉트(Enron Direct): 가스 및 전력에 대한 고정 가격 계약 판매 (유럽 한정)
- 에너지데스크(EnergyDesk): 에너지 관련 파생 상품 거래 (유럽 한정)
- 뉴파워컴퍼니(NewPowerCompany): 온라인 에너지 거래 (IBM 및 AOL과의 합작 투자)
- 엔론웨더(Enron Weather): 기상 파생 상품
- 딜벤치(DealBench): 온라인 비즈니스 서비스
- 워터투워터(Water2Water): 물 저장, 공급 및 수질 크레딧 거래
- 핫탭(HotTap): 엔론의 미국 가스 파이프라인 사업 고객 인터페이스
- 엔론마르크트(Enromarkt): 기업 간 가격 및 정보 플랫폼 (독일 한정)
최대 일일 60억 달러 이상의 상품이 엔론온라인을 통해 거래되었지만, 전문가들은 엔론이 거래를 보고하고 이익을 계산하는 방식에 의문을 제기하며, 엔론의 다른 사업에서 만연했던 것과 같은 부정적인 회계 처리가 거래에도 사용되었을 가능성을 지적했다.[85]
2001년 말 엔론의 파산 이후, 엔론온라인은 스위스 금융 대기업 UBS에 매각되었다. UBS는 1년 이내에 해당 부서를 재개하려는 노력을 포기하고 2002년 11월에 문을 닫았다.[83][85]
1999년에 설립한 "엔론 온라인(Enron Online)"에서는 전력뿐만 아니라, 원래 엔론의 사업 분야였던 가스, 석유를 비롯하여 석탄, 알루미늄, 펄프, 플라스틱, 심지어 신용 위험, 기상, 네트워크 대역폭, 배기가스 배출권에 이르기까지 모든 상품의 시장을 인터넷상에 개설하여, 엔론 자체가 매도자이자 매수자로서 거래를 했다.
이 엔론 온라인의 아이디어와 시스템은 운영 당시는 물론, 엔론 파산 후에도 높이 평가받았다. 하지만 비즈니스 모델이 수수료 비즈니스가 아니라 직접 매매를 하는 트레이딩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전례 없는 상품 시장에도 적극적으로 진출했기 때문에, 원래 그 시장에 있던 업체들에게 이용당한 측면도 있었다.
5. 2. 광대역 서비스
엔론은 광대역 콘텐츠 전송을 위한 앤론 인텔리전트 네트워크, 미디어 콘텐츠 회사를 위한 위험 관리 서비스인 앤론 미디어 서비스, 대역폭 및 광섬유 제품 거래를 위한 맞춤형 대역폭 솔루션, 실시간 또는 주문형 인터넷 방송 애플리케이션인 스트리밍 미디어 애플리케이션 등의 광대역 서비스를 제공했다.5. 3. 에너지 및 상품 서비스
엔론은 에너지 및 상품 서비스 사업을 통해 다양한 분야에서 서비스를 제공했다. 전력 도매를 담당하는 엔론 파워, 천연가스 도매를 담당하는 엔론 천연가스, 바이오 연료 도매를 담당하는 엔론 청정연료 등이 있었다. 임산업을 위한 위험 관리 파생상품을 제공하는 엔론 펄프 및 제지, 포장, 목재, 석탄 도매 및 이산화탄소 배출권 거래를 담당하는 엔론 석탄 및 배출권, 폴리머, 올레핀, 메탄올, 방향족 및 액화천연가스에 대한 가격 위험 관리를 제공하는 엔론 플라스틱 및 석유화학도 있었다.기상 파생상품을 다루는 엔론 기상 위험 관리, 철강 산업을 위한 금융 스왑 계약 및 현물 가격을 제공하는 엔론 철강, 석유 헤징을 담당하는 엔론 원유 및 석유 제품도 운영했다. 엔론 풍력 발전 서비스를 통해 풍력 터빈 제조 및 풍력 발전소 운영을 하였고, 영국의 금속 상인인 MG Plc.도 엔론의 사업 부문이었다. 산업 최종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판매하는 엔론 에너지 서비스와 해외 자산 운영을 담당하는 엔론 인터내셔널도 있었다.
5. 4. 자본 및 위험 관리 서비스
엔론은 자본 관리, 원자재 관리, 에너지 자산 관리, 에너지 정보 관리, 시설 관리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또한 아주릭스(Azurix Inc.)를 통해 상하수도 및 인프라 관리 서비스도 제공하였다.6. 엔론 인터내셔널
'''엔론 인터내셔널'''(Enron International, '''EI''')은 엔론의 도매 자산 개발 및 자산 관리 사업 부문이었다. 주요 사업은 북미 이외 지역에서 천연가스 발전소를 개발하고 건설하는 것이었다.[86] 엔론 엔지니어링 및 건설 회사(Enron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Company, EECC)는 엔론 인터내셔널의 완전 자회사였으며 엔론 인터내셔널 발전소의 거의 대부분을 건설했다. 다른 엔론 사업 부문과 달리 엔론 인터내셔널은 파산 신청 당시 강력한 현금 흐름을 보유하고 있었다. 엔론 인터내셔널은 유럽의 프로젝트를 포함한 엔론의 모든 해외 발전 프로젝트로 구성되었다.
영국의 티사이드 발전소는 세계 최대 규모의 가스 발전소 중 하나였으며, 1989년부터 엔론이 건설 및 운영했고, 영국 에너지 수요의 3%를 생산했다.[86] 엔론은 발전소 지분의 절반을 소유했고, 나머지 50%는 4개의 지역 전력 회사가 나눠 가졌다.[86]
6. 0. 1. 인도 다볼 발전소
1992년경, 인도 전문가들이 인도의 에너지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해 에너지 투자자를 찾아 미국을 방문했다.[34] 1993년 12월, 엔론은 마하라슈트라 주 전력위원회와 20년간의 전력 구매 계약을 체결했다.[34] 이 계약에 따라 엔론은 뭄바이 남쪽 약 160km 떨어진 외딴 화산 절벽에 다볼 발전소라는 이름의 2단계 프로젝트를 통해 2,015메가와트 규모의 대형 발전소를 건설할 수 있게 되었다.[89] 건설은 두 단계로 진행될 예정이었고, 엔론은 발전소 관리를 위해 다볼 전력 회사를 설립했다. 이 발전 프로젝트는 인도 전력망 재건 및 안정화를 위한 200억 달러 규모 계획의 첫 단계였다. 엔론, 제너럴 일렉트릭(GE, 이 프로젝트에 터빈을 공급), 그리고 벡텔(발전소 건설)은 각각 자본금의 10%를 지분으로 투자했고, 나머지 90%는 마하라슈트라 주 전력위원회가 부담했다.[90]1996년, 인도 국민회의당이 집권하지 않게 되자 인도 정부는 이 프로젝트가 과도하게 비싸다고 평가하고, 발전소 건설 비용 지불을 거부하며 공사를 중단했다.[34] 마하라슈트라 주 전력위원회는 계약에 따라 발전소에서 전력을 구매하지 않더라도 엔론에 발전소 유지보수 비용을 계속 지불해야 했다. 마하라슈트라 주 전력위원회는 엔론이 부과하는 전력 가격(kWh당 8루피)으로는 전력을 구매할 여력이 없다고 판단했다. 인도의 규제된 공익사업 구조 하에서는 자유 시장이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에, 발전소 운영자는 다볼 발전소 전력의 대체 구매자를 찾을 수 없었다.
2000년까지 다볼 발전소 건설이 거의 완료되었고, 1단계 발전이 시작되었다.[91][92] 그러나 엔론 전체는 과도한 사업 확장 상태였고,[93] 그 해 여름, 엔론 국제 사업부의 마크와 주요 경영진들은 회사 개편과 자산 사업 정리 목적으로 엔론에서 사임하도록 요청받았다.[94] 그 직후 마하라슈트라 주 전력위원회와의 지불 분쟁이 발생했고, 엔론은 2001년 6월 발전소 공사 중단 명령을 내렸다.[95][96] 1996년부터 엔론이 2001년 파산할 때까지 엔론은 이 프로젝트를 부활시키고 인도의 발전소 수요에 대한 관심을 되살리려고 노력했지만 성공하지 못했다. 2001년 12월 엔론 스캔들과 파산으로 인해 건설 재개 및 발전소 완공의 가능성은 사라졌다.[97] 2005년, 인도 정부가 운영하는 회사인 라트나기리 가스 및 전력이 다볼 시설 건설을 완료하고 발전소를 운영하기 위해 설립되었다.[99]
7. 정치와의 관계
엔론은 적극적으로 로비 활동을 펼쳤으며, 2000년 대통령 선거 당시 공화당과 민주당 양쪽에 총 20억 달러가 넘는 거액의 정치헌금을 했다.[116]
특히, CEO 케네스 레이와 텍사스 출신인 공화당 부시 대통령 및 체니 부통령과의 개인적인 친분은 유명하며, 이러한 정치헌금과 친분이 전력 자유화와 현금 흐름 회계 등 미국 연방 정부 및 주 정부 정책에 영향을 미쳤다는 지적도 있다.[116]
조지 W. 부시 당시 미국 대통령은 엔론 붕괴 당시 그의 선거 캠페인에 31만 2,500달러, 대통령직 선거 자금 및 취임식 기금에 41만 3,800달러를 받았다.[116] 딕 체니 당시 미국 부통령은 엔론 붕괴 당시 새로운 에너지 정책을 개발하기 위해 엔론 임원들과 6차례 회동했으나, 의회에 회의록을 제출하기를 거부했다.[116] 존 애슈크로프트 당시 법무장관은 2000년 상원 의원 선거 출마 당시 5만 7,499달러를 받았다는 이유로 법무부의 엔론 조사에서 스스로를 배제했다.[116] 로렌스 린지 당시 백악관 경제 고문은 2000년 백악관에 들어가기 전 엔론의 컨설턴트로 5만 달러를 받았다.[116] 칼 로브 당시 백악관 수석 고문은 10만 달러 상당의 엔론 주식을 매각하기 전 5개월을 기다렸다.[116]
마크 레이코시트 당시 공화당 전국위원회 위원장 후보는 조지 W. 부시에 의해 엔론을 위해 로비를 한 법률 회사인 브레이스웰 LLP(Bracewell LLP)의 변호사로 임명되었다.[116][117]
2001년에는 당시 파월 국무장관이 엔론이 추진하던 인도 다볼 화력 발전소 프로젝트의 사태 수습을 위해 인도에 파견되는 등 미국의 외교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116]
8. 엔론 이후의 변화와 영향
캘리포니아 주 전력 위기에서 엔론의 연루는 전력 시장 자유화된 전력 시장에서 전력 거래 규칙 재검토의 계기 중 하나가 되었다. 엔론 파산 이후, 미국 대기업에서 잇따라 분식 회계가 발각되면서 회계 불신이 확산되었고, 2002년 7월에는 월드컴(WorldCom)의 부정 경리가 드러나면서 파산하는 사태가 발생했다. 2002년 6월에는 부시 대통령이 "썩은 사과가 몇 개 있지만, 미국 대기업의 95%는 건전하며 자산과 부채 내용도 적절하다"라며 팬데믹을 우려하지 않도록 촉구했지만, 그 직후 월드컴의 파산이 일어났다.
대형 ESCO 사업자인 엔론 에너지 서비스(Enron Energy Services)의 파산은 ESCO의 회계 기법에 대한 의혹을 불러일으켰다.
감사를 담당하면서 한편으로는 분식 회계 및 그 증거 은폐에 가담했던 대형 회계법인 아서 앤더슨(Arthur Andersen)의 신용은 추락했고, 당시 세계 5대 회계법인 중 하나로 불렸던 명문 회계법인은 2002년 해산을 피할 수 없게 되었다. 엔론과 월드컴을 합쳐 미국뿐 아니라 세계를 대표하는 3개의 거대 기업과 신용을 단기간에 상실한 미국 경제는 큰 혼란에 빠졌고 세계 경제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월드컴 파산과 공통점을 지적받는 것과 관련하여 기업 지배 구조에서 회계, 감사, 정보 공개 등 제도 재검토의 계기가 되어, 2002년 7월에는 상장회사회계개혁 및 투자자보호법(일명 SOX 법)이 제정되었다.
1998년 헤지펀드롱텀 캐피털 매니지먼트(Long-Term Capital Management)의 붕괴나 2000년 닷컴 버블 붕괴와의 관련성에서 파악하는 목소리도 있다.
엔론의 주가가 20달러 이하가 된 2001년 10월에도 여전히 많은 애널리스트가 엔론 주식을 "강력 매수"로 추천했던 것은 애널리스트의 객관성, 상황 대응 능력에 대한 신뢰를 잃게 만드는 결과가 되었고, 컴퓨터에 의한 객관적이고 기계적인 등급 모델의 발전을 촉진했다.
일본에서는 엔론 회사채를 편입하고 있던 엔화 표시 머니 마켓 펀드가 원금 손실을 발생시켰다. 기타 엔론의 외국 주식·외국 채권을 편입하고 있던 투자 신탁이나 변액 연금 보험에서도 손실에 의해 기준 가격이 하락했다. 공적 연금을 운용하고 있던 연금복지사업단에서 동사 금융 자산의 보유 및 손실 유무에 대해서는 공표되지 않았다.
2006년1월에 일본의 라이브도어(ライブドア)의 부정 회계 발각을 계기로 한 라이브도어 사건이 발생했다. 동사의 자택 수색이 보도되자 다음 날부터 상장 주가의 대부분이 폭락하는 라이브도어 쇼크가 일어났다. 라이브도어는 연결 외부를 가장한 투자 펀드를 사용하고, 또한 자사주를 사용한 자금 조달이나 부적절한 이익 조작, 본업을 잊고 버추얼 사업을 중심으로 인수합병에 의한 사업 확장을 하는 과도한 다각화 경영, 정치 참여 의욕 등 엔론과의 공통점이 많이 지적되고 있다. 차이점으로는 엔론이 수조 엔, 라이브도어가 약 50억 엔의 부정 경리라는 점이 있다.
이 건으로 엔론의 중역과 단체 임원, 그리고 감사는 동일한 행위를 한 다른 회사 관계자들과 함께 "비즈니스 세계에 수학의 허수 개념을 응용한 것에 대해"라는 이유로 2002년에 이그노벨상경제학상을 수상했다.
2001년 엔론의 파산은 분식회계와 기업 윤리 문제에 대한 전 세계적인 관심을 불러일으켰으며, 한국 사회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대기업의 회계 투명성 강화와 지배구조 개선에 대한 논의를 촉발하는 계기가 되었다. 엔론의 회계부정은 아서 앤더슨과 같은 회계법인의 묵인 하에 이루어졌으며, 이는 기업 감사 시스템의 문제점을 드러냈다.
엔론 사태는 참여연대를 비롯한 한국 시민단체들의 재벌 개혁 운동에 중요한 동력을 제공했다. 시민단체들은 엔론 사태를 통해 드러난 문제점들을 지적하며, 한국 재벌 기업들의 불투명한 회계 관행과 취약한 지배구조를 개선해야 한다고 강력하게 주장했다. 이들은 소액주주 운동, 기업 지배구조 개선 캠페인 등을 통해 재벌 개혁을 위한 사회적 압력을 강화했고 이는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냈다.
8. 1. 미국
캘리포니아 주 전력 위기에서 엔론의 연루는 전력 시장 자유화된 전력 시장에서 전력 거래 규칙 재검토의 계기 중 하나가 되었다. 엔론 파산 이후, 미국 대기업에서 잇따라 분식 회계가 발각되면서 회계 불신이 확산되었고, 2002년 7월에는 월드컴(WorldCom)의 부정 경리가 드러나면서 파산하는 사태가 발생했다. 2002년 6월에는 부시 대통령이 "썩은 사과가 몇 개 있지만, 미국 대기업의 95%는 건전하며 자산과 부채 내용도 적절하다"라며 팬데믹을 우려하지 않도록 촉구했지만, 그 직후 월드컴의 파산이 일어났다.감사를 담당하면서 한편으로는 분식 회계 및 그 증거 은폐에 가담했던 대형 회계법인 아서 앤더슨(Arthur Andersen)의 신용은 추락했고, 당시 세계 5대 회계법인 중 하나로 불렸던 명문 회계법인은 2002년 해산을 피할 수 없게 되었다. 엔론과 월드컴을 합쳐 미국뿐 아니라 세계를 대표하는 3개의 거대 기업과 신용을 단기간에 상실한 미국 경제는 큰 혼란에 빠졌고 세계 경제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월드컴 파산과 공통점을 지적받는 것과 관련하여 기업 지배 구조에서 회계, 감사, 정보 공개 등 제도 재검토의 계기가 되어, 2002년 7월에는 상장회사회계개혁 및 투자자보호법(일명 SOX 법)이 제정되었다.
엔론의 주가가 20달러 이하가 된 2001년 10월에도 여전히 많은 애널리스트가 엔론 주식을 "강력 매수"로 추천했던 것은 애널리스트의 객관성, 상황 대응 능력에 대한 신뢰를 잃게 만드는 결과가 되었고, 컴퓨터에 의한 객관적이고 기계적인 등급 모델의 발전을 촉진했다.
이 건으로 엔론의 중역과 단체 임원, 그리고 감사는 동일한 행위를 한 다른 회사 관계자들과 함께 "비즈니스 세계에 수학의 허수 개념을 응용한 것에 대해"라는 이유로 2002년에 이그노벨상경제학상을 수상했다.
8. 2. 한국
2001년 엔론의 파산은 분식회계와 기업 윤리 문제에 대한 전 세계적인 관심을 불러일으켰으며, 한국 사회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128] 특히, 대기업의 회계 투명성 강화와 지배구조 개선에 대한 논의를 촉발하는 계기가 되었다. 엔론의 회계부정은 아서 앤더슨과 같은 회계법인의 묵인 하에 이루어졌으며, 이는 기업 감사 시스템의 문제점을 드러냈다.[129]엔론 사태는 참여연대를 비롯한 한국 시민단체들의 재벌 개혁 운동에 중요한 동력을 제공했다. 시민단체들은 엔론 사태를 통해 드러난 문제점들을 지적하며, 한국 재벌 기업들의 불투명한 회계 관행과 취약한 지배구조를 개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소액주주 운동, 기업 지배구조 개선 캠페인 등을 통해 재벌 개혁을 위한 사회적 압력을 강화했다.
9. 대중문화 속의 엔론
- 딕 앤 제인: 복수는 최고!는 엔론의 파탄을 참고하여 제작된 영화이다.
- 엔론: 거대 기업은 어떻게 붕괴되었는가?는 엔론의 파탄을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이다.
- 왜곡된 엔론: 허영의 붕괴는 입사부터 붕괴까지 엔론과 함께한 전직 직원 한 명을 그린 다큐멘터리 영화이다.
참조
[1]
웹사이트
Fortune 500: Enron
https://money.cnn.co[...]
[2]
뉴스
Andersen guilty in Enron case
http://news.bbc.co.u[...]
2002-06-15
[3]
웹사이트
Enron Creditors Recovery Corp. – About ECRC
http://www.enron.com[...]
2011-12-06
[4]
뉴스
Ashmore Energy International Acquires Prisma Energy International
http://www.businessw[...]
Business Wire
2006-09-08
[5]
웹사이트
The 20 Biggest Bankruptcies in United States History | TitleMax
https://www.titlemax[...]
2019-05-17
[6]
뉴스
Enron Announces Its Return From the Dead With Crypto Patents and a Bunch of Merch
https://www.inc.com/[...]
[7]
웹사이트
Enron web site Terms of Use and Conditions of Sale
https://enron.com/pa[...]
[8]
웹사이트
Fact Check: Is Enron relaunching as a crypto firm?
https://www.newsweek[...]
2024-12-02
[9]
웹사이트
Enron Corporation – Company Profile, Information, Business Description, History, Background Information on Enron Corporation
http://www.reference[...]
[10]
웹사이트
Funding Universe: History of Belco Oil & Gas Corp
http://www.fundingun[...]
[11]
서적
Edison to Enron: Energy Markets and Political Strategies
Scrivener
[12]
서적
A Financial History of Modern U.S. Corporate Scandals from Enron to Reform
Routledge
[13]
웹사이트
The Rise and Fall of Enron
http://www.sjsu.edu/[...]
[14]
웹사이트
Enron Corporation
https://tshaonline.o[...]
2010-06-12
[15]
서적
What went wrong with Enron
J Wiley & Sons
[16]
서적
Power Failure: The Inside Story of the Collapse of Enron
Doubleday
[17]
서적
Enron: The Rise and Fall
Wiley
[18]
뉴스
Enron Pact Troubled Merrill Employee
https://www.washingt[...]
2001-07-31
[19]
뉴스
Early on, exec saw Enron deal as risk
https://www.chron.co[...]
2002-07-31
[20]
뉴스
CORPORATE CONDUCT: CLOSE LINKS; Merrill Banker Had Many Direct Ties to Enron
https://www.nytimes.[...]
2002-07-31
[21]
뉴스
Boris Jordan: The man who made Moscow's Market
https://www.bloomber[...]
1995-05-22
[22]
뉴스
Тихий американец или 5 российских скандалов из жизни Бориса Йордана
http://www.flb.ru/iw[...]
1999-12-29
[23]
뉴스
Jumping Off the Bandwidth Wagon
https://www.nytimes.[...]
1999-07-11
[24]
뉴스
Montana Power, Williams Communications, Enron Units Announce Fiber Providers for Portland-to-Los Angeles Network
http://www.prnewswir[...]
1997-12-17
[25]
뉴스
Profiting from Enron Bankruptcy
https://knpr.org/knp[...]
2004-11-29
[26]
뉴스
SUPERNAP: The World's Most Advanced Data Center
https://www.wallstre[...]
2015-09-11
[27]
뉴스
Welcome to Las Vegas – Home of the technology superpower you've never heard of
https://www.theregis[...]
2008-05-24
[28]
뉴스
Broadband Strategy Got Enron in Trouble; Bid to Create Market for Fiber-Optic Space Included Aggressive Accounting
2001-01-01
[29]
웹사이트
Teesside Power Station
http://www.engineeri[...]
Engineering Timelines
[30]
뉴스
Looking back at the designs of Paul Rand – The Boston Globe
https://www.bostongl[...]
2015-04-08
[31]
서적
Conspiracy of fools : a true story
https://archive.org/[...]
Broadway Books
2005
[32]
웹사이트
The Smartest Logo in the Room
https://designobserv[...]
2008-02-11
[33]
웹사이트
How Enron's great water adventure ended in tears
https://www.theguard[...]
2002-11-05
[34]
서적
The Smartest Guys in the Room: The Amazing Rise and Scandalous Fall of Enron
https://archive.org/[...]
Portfolio
[35]
서적
Conspiracy of Fools: A True Story
https://archive.org/[...]
Random House
[36]
뉴스
Rebecca Mark's Exit Leaves Enron's Azurix Treading Deep Water
http://expressindia.[...]
The Wall Street Journal
2000-08-28
[37]
서적
Water Finance: Public Responsibilities and Private Opportunitie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1
[38]
서적
The Smartest Guys in the Room: The Amazing Rise and Scandalous Fall of Enron
Portfolio
2003
[39]
서적
Enron: the rise and fall
John Wiley & Son
1003
[40]
웹사이트
Enron's Azurix to sell Wessex Water at loss
https://www.chron.co[...]
Chron
2022-05-20
[41]
간행물
Sharp
[42]
뉴스
Whistle-blower sent off
The Daily Telegraph
2001-01-20
[43]
웹사이트
#510: 09-17-03 THREE TOP FORMER MERRILL LYNCH EXECUTIVES CHARGED WITH CONSPIRACY, OBSTRUCTION OF JUSTICE, PERJURY IN ENRON INVESTIGATION
https://www.justice.[...]
www.justice.gov
2022-05-20
[44]
웹사이트
Enron announces organization of CrossCountry Energy Corp.
https://www.power-en[...]
Power Engineering
2024-06-14
[45]
웹사이트
Enron Board Approves Proposal to Create New Pipeline Company
https://www.blacksto[...]
Blackstone
2024-06-14
[46]
뉴스
Berkshire to Buy a Gas Pipeline From Dynegy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24-06-14
[47]
웹사이트
CCE Completes Purchase of Gas Pipelines Formerly Owned by Enron
http://naturalgasint[...]
naturalgasintel.com
2024-06-14
[48]
웹사이트
New Mexico Wants a Piece of Enron -- Transwestern Pipeline
naturalgasintel.com
[49]
웹사이트
Energy Transfer Partners, L.P. Completes First Step in the Acquisition of the Transwestern Pipeline
Energy Transfer
[50]
웹사이트
The 10 Biggest Energy Company Bankruptcies
https://oilprice.com[...]
Oilprice.com
2014-10-10
[51]
웹사이트
Enron Corporation (ENRN Q) Common Stock Historical Price Table
https://web.archive.[...]
Gilardi.com
2019-01-29
[52]
서적
The encyclopedia of the industrial revolution in world history
2014
[53]
뉴스
Andersen Guilty in Effort to Block Inquiry on Enron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20-05-03
[54]
웹사이트
Minute Maid Park
https://web.archive.[...]
Houston Astros Official Site
2016-01-19
[55]
뉴스
Enron the Incredible
https://www.forbes.c[...]
Forbes
2002-01-15
[56]
서적
The encyclopedia of the industrial revolution in world history
2014
[57]
뉴스
Skilling comes out swinging
https://money.cnn.co[...]
Money/CNN
2006-04-10
[58]
웹사이트
Skilling to skeptical financial analyst, "Thanks asshole" – Democratic Underground
http://www.democrati[...]
Democratic Underground
[59]
웹사이트
Clean up your act Musk, Tesla's a total disaster!
https://www.cnbc.com[...]
Mad Money
2015-02-12
[60]
저널
Deals Mark Demise of Energy Merchant Business
https://web.archive.[...]
Energy Intelligence Group, Inc.
2014-06-22
[61]
웹사이트
Vulcan's pipeline grip
http://capital.vulca[...]
Investing Private Capital
2004-08
[62]
웹사이트
Enron closes sale of Prisma Energy to Ashmore
http://www.marketwat[...]
MarketWatch
2016-04-01
[63]
뉴스
Enron Creditors Get 53 Percent Payout, Aided by Lawsuit Accords
https://www.bloomber[...]
Bloomberg News
2012-01-14
[64]
웹사이트
Enron Creditors Recovery Corp.
https://web.archive.[...]
Wayback Machine
2013-07-26
[65]
웹사이트
Enron Creditors Recovery Corp.
https://opencorporat[...]
OpenCorporates
[66]
웹사이트
Merchant Cash Advance Executive Comes Clean On Industry's Dirty Lending Tactics
https://web.archive.[...]
IndyPrint.info
2016-11-03
[67]
웹사이트
Enron investors to split billions from lawsuit
https://web.archive.[...]
CNN
2017-07-20
[68]
웹사이트
Enron Insider Sales Roster
https://web.archive.[...]
InsiderSense.com
2017-09-06
[69]
뉴스
Enron scandal brings overdue scrutiny of stock analysts
USA Today
2002-03-25
[70]
웹사이트
Where Wall Street went wrong
https://money.cnn.co[...]
CNN
2017-07-20
[71]
뉴스
Enron's Many Strands: Ex-Chairman's Finances; Lay Sold Shares For $100 Million
https://www.nytimes.[...]
2002-02-16
[72]
웹사이트
Enron inquiry turns to sales by lay's wife
https://www.nytimes.[...]
2004-11-17
[73]
뉴스
Ex-Enron exec gets two-year probation
https://www.washingt[...]
2006-10-06
[74]
웹사이트
Swimming With Sharks
https://web.archive.[...]
2015-09-22
[75]
서적
Financial Statement Analysis: A Practitioner's Guide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76]
웹사이트
Public Citizen Access to Justice, Financial Reform and Government Accountability
https://web.archive.[...]
2010-12-03
[77]
웹사이트
Blind Faith: How Deregulation and Enron's Influence Over Government Looted Billions from Americans
http://www.citizen.o[...]
[78]
웹사이트
Subsequent Events California's Energy Crisis
http://www.eia.gov/e[...]
US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79]
뉴스
Tapes: Enron plotted to shut down power plant
http://www.cnn.com/2[...]
2005-02-03
[80]
뉴스
Tapes Show Enron Arranged Plant Shutdown
https://www.nytimes.[...]
2005-02-04
[81]
웹사이트
Grandma Millie, Widows and Orphans
https://www.huffpost[...]
2010-07-04
[82]
웹사이트
Enron's "Grandma Millie" In High School Classrooms, F-Bombs And All
https://web.archive.[...]
2009-03-02
[83]
서적
Financial Derivatives: Pricing and Risk Management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84]
서적
Energy Derivatives: Trading Emerging Markets
https://books.google[...]
Energy Publishing Enterprises
[85]
뉴스
UBS Closing Trading Floor It Acquired From Enron
https://www.nytimes.[...]
2002-11-21
[86]
간행물
Principal Player in the Electricity Game
1990-09-17
[87]
서적
Financial risk management
Tata McGraw-Hill
2007
[88]
웹사이트
Enron's Empire
https://www.corpwatc[...]
[89]
서적
Enron: The Rise and Fall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90]
간행물
What Happened at Enron?
https://www.scribd.c[...]
Thunderbird School of Global Management
[91]
서적
Indian Power Sector: Challenge and Response: Compilation of Papers Presented During 1991–2001
https://books.google[...]
Excel Books India
[92]
서적
Cases in the Environment of Business: International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SAGE
[93]
뉴스
Enron Sought To Raise Cash Two Years Ago
https://www.nytimes.[...]
2002-03-09
[94]
서적
Conspiracy of Fools: A True Story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95]
뉴스
INDIA: Enron's Dabhol suffers legal setback in Indian row
http://www.enron-mai[...]
2001-11-09
[96]
뉴스
No way but to negotiate
https://web.archive.[...]
2001-06-19
[97]
서적
Project Finance for Construction and Infrastructure: Principles and Case Studie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98]
서적
The Three Laws of International Investment: National, Contractual, and International Frameworks for Foreign Capital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99]
서적
Indian Economy
https://books.google[...]
Tata McGraw-Hill
[100]
웹사이트
Enron Sought to Raise Cash Two Years Ago
https://web.archive.[...]
Georgetown University
[101]
간행물
Enron Communication, 4th Quarter, 2000
2000-12-31 # 추정 날짜
[102]
뉴스
Enron Oil, Gas Production Unit to Become Independent
https://web.archive.[...]
1999-07-20
[103]
웹사이트
Performance Audit of Hydrocarbon PSCs – Findings in respect of Panna-Mukta and Mid & South Tapti Fields
https://web.archive.[...]
Comptroller and Auditor General of India
2010-09
[104]
뉴스
Panna-Mukta oilfield talks deadlocked
https://web.archive.[...]
2002-07-01
[105]
보도자료
Colin Powell to Receive Enron Prize
https://web.archive.[...]
Rice University
1995-11-09
[106]
보도자료
Gorbachev to Receive Enron Prize
http://www.media.ric[...]
Rice University
1997-08-28
[107]
보도자료
Shevardnadze to Receive Baker Institute's Enron Prize for Distinguished Public Service
http://www.media.ric[...]
Rice University
1999-04-05
[108]
보도자료
Mandela To Deliver Keynote Address At Rice University
http://www.media.ric[...]
Rice University
1999-10-15
[109]
뉴스
Greenspan, Putin to speak on campus
http://stage.media.r[...]
Rice University News & Media Relations
2001-11-08
[110]
웹사이트
Enron Prize
http://www.enron-mai[...]
2013-07-12
[111]
뉴스
Famous Fed flubs
https://money.cnn.co[...]
2011-03-24
[112]
뉴스
Pipe Dreams: Greed, Ego, and the Death of Enron
https://books.google[...]
Rice University News & Media Relations
2001-11-08
[113]
웹사이트
Enron Mentions
http://www.enron-mai[...]
[114]
웹사이트
Enron Mentions
http://www.enron-mai[...]
[115]
서적
Theory and Reality in Financial Economics: Essays Toward a New Political Finance
https://books.google[...]
World Scientific
[116]
잡지
Behind the Enron Scandal
https://content.time[...]
[117]
뉴스
G.O.P. Weighs Chief's Stance on Enron Tie
https://www.nytimes.[...]
2002-01-18
[118]
웹사이트
Playboy Magazine unveils 'Women of Enron'
https://www.newstime[...]
2002-06-25
[119]
웹사이트
'Don't Worry, the Enron Reboot Is Probably Just a Joke'
https://nymag.com/in[...]
2024-12-02
[120]
웹사이트
'Enron’s new CEO involved in ‘Birds Aren’t Real’ conspiracy movement
https://ktla.com/new[...]
2024-12-09
[121]
웹사이트
"'Enron CEO' Connor Gaydos hit in the face with pie in New York City"
https://www.nydailyn[...]
2024-12-13
[122]
웹사이트
Looking back at the designs of Paul Rand
https://www.bostongl[...]
Boston Globe Media Partners, LLC
2015-04-08
[123]
논문
From Insull to Enron: Corporate (Re)Regulation After the Rise and Fall of Two Energy Icons
https://pdfs.semanti[...]
[124]
웹사이트
エンロンの「スペース・オペラ」は続く(エンロン第3報)問われる経営責任・監査責任⇒SEC「新たな開示」を模索
http://www.daiwair.c[...]
大和インベスター・リレーションズ
2002-01-18
[125]
뉴스
Andersen guilty in Enron case
http://news.bbc.co.u[...]
BBC
2002-06-15
[126]
웹인용
Timeline
http://www.enron.com[...]
Enron Creditors Recovery Corp.
[127]
뉴스
Ashmore Energy International Acquires Prisma Energy International
http://www.businessw[...]
Business Wire
2006-09-08
[128]
서적
뒤집어보는 경제 회계부정 이야기
굿인포메이션
[129]
뉴스
'회계부정' 엔론 전 CEO, 24년4개월형 선고
http://www.chosun.co[...]
조선닷컴
2006-10-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