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친구 우비소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내 친구 우비소년'은 KBS 2TV와 KBS 1TV에서 방송된 애니메이션이다. 우비소년, 꽃님이, 앨비수 등을 비롯한 등장인물들이 도토리마을을 배경으로 다양한 에피소드를 겪는다. 2003년 12월부터 2011년 6월까지 여러 차례에 걸쳐 방송되었으며, 각 시즌마다 제작진과 주제가, 에피소드 등이 다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초등학교를 배경으로 한 애니메이션 - 비밀의 아코짱
아카츠카 후지오의 만화를 원작으로 하는 《비밀의 아코짱》은 마법의 콤팩트로 변신하는 주인공 아코짱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다양한 미디어 믹스 형태로 제작되어 여러 세대에 걸쳐 사랑받고 있으며, 후대 마법소녀물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초등학교를 배경으로 한 애니메이션 - 카드캡터 사쿠라
《카드캡터 사쿠라》는 CLAMP의 만화 작품으로, 초등학생 소녀 키노모토 사쿠라가 크로우 카드를 모으는 이야기를 다루며, 만화, 애니메이션 등으로 제작되어 큰 인기를 얻었다. - 2000년대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 메이플스토리 (애니메이션)
넥슨 게임 《메이플스토리》를 원작으로 매드하우스에서 제작한 애니메이션 《메이플스토리》는 세계수 파괴 10년 후 세계수를 되살리기 위한 주인공 알의 모험을 그리며, 알은 여러 종족 동료들과 함께 악의 조직 ‘흑익’에 맞서 싸운다는 내용을 담고 있고, 2007년 10월부터 2008년 3월까지 TXN 계열 방송국에서 방영되었다. - 2000년대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 검정고무신
검정고무신은 1960년대 한국 사회와 가족의 이야기를 다룬 애니메이션 시리즈로, 1999년 설날 특집으로 처음 방영되었으며, TV 시리즈와 극장판으로 제작되었고, 원작자와 제작사 간의 지적 재산권 분쟁이 있었다. - 2003년 애니메이션 - 심슨 가족
《심슨 가족》은 미국 중산층 심슨 가족을 중심으로 스프링필드라는 가상 도시를 배경으로 미국 사회를 풍자하는 애니메이션 시리즈이며, 성인용 풍자와 패러디를 담고 있어 미국 성인용 애니메이션으로 분류되지만, 논란과 비판도 존재한다. - 2003년 애니메이션 - 패밀리 가이
패밀리 가이는 세스 맥팔레인이 제작한 미국의 성인 애니메이션 시트콤으로, 가족의 일상을 블랙 유머와 패러디로 다루며 컬트적인 인기를 얻었다.
내 친구 우비소년 - [영화]에 관한 문서 | |
---|---|
제목 | |
원제 | Hello Woobiboy |
애니메이션 정보 (으쌰으쌰 우비소년) | |
제목 | 으쌰으쌰 우비소년 (TV 방영명: 우비소년) |
기획 | 이동우 |
총감독 | 이동우 |
캐릭터 원안 | 엄준영 |
캐릭터 디자인 | 엄준영 |
방송사 | SBS |
방영일 | 2003년 3월 26일 ~ 2003년 4월 24일 |
화수 | TV: 22화, 인터넷: 49화 |
애니메이션 정보 (내 친구 내복소년) | |
제목 | 내친구 내복소년 |
총감독 | 엄준식 |
총작화 감독 | 엄준식 |
제작사 | BBC, PBS키즈, 한국방송, 로이비쥬얼 |
방송사 | KBS 2TV(지상파) |
그 외 방송사 | 재능TV, 투니버스, 대교어린이TV |
방영일 | 2003년 12월 18일 ~ 2004년 6월 13일, 2004년 8월 30일 ~ 2004년 8월 31일, 2005년 7월 5일 ~ 2005년 9월 27일 |
화수 | 7화 (회당 4부) |
애니메이션 정보 (내 친구 우비소년 2) | |
제목 | 내 친구 우비소년 2 |
기획 | 이동우 |
총감독 | 엄준영 |
감독 | 박형동 |
프로듀서 | 윤석진 |
각본 | 박지원, 이영우 |
캐릭터 디자인 | 엄준영, 문영임, 박정훈 |
미술 | 이인경 |
방송사 | KBS 2TV |
그 외 방송사 | KBS 1TV, 대교어린이TV |
방영일 | 2005년 7월 5일 ~ 2005년 9월 27일, 2011년 3월 25일 ~ 2011년 6월 17일 |
화수 | 13화 (회당 2부) |
만화 정보 | |
작가 | 김남준 |
출판사 | 꿈있는 마을 |
그 외 출판사 | 형설아이(구 홍진P&M) |
개시 | 2003년 11월 20일 |
종료 | 2004년 6월 25일 |
책 수 | 각 2권 |
2. 방송 정보
wikitable
방송 채널 | 방송 기간 | 방송 시간 | 비고 |
---|---|---|---|
KBS 2TV | 2003년 12월 18일 ~ 2004년 6월 13일 | 목요일 오후 6시 ~ 6시 30분 | 1기 |
2004년 8월 30일 ~ 2004년 8월 31일 | 월요일, 화요일 오후 1시 35분 ~ 1시 50분 | ||
2005년 5월 17일 ~ 2005년 6월 28일 | 화요일 오후 6시 10분 ~ 6시 40분 | ||
2005년 7월 5일 ~ 2005년 9월 27일 | 2기 | ||
KBS 1TV | 2011년 3월 25일 ~ 2011년 6월 17일 | 금요일 오후 1시 30분 ~ 2시 |
2. 1. KBS 2TV (1기)
The Little Raincoat Boy영어는 2003년 12월 18일부터 2004년 6월 13일까지 목요일 오후 6시 ~ 6시 30분에 KBS 2TV에서 방송되었다. 2004년 8월 30일부터 8월 31일까지는 월요일, 화요일 오후 1시 35분 ~ 1시 50분에 방송되었으며, 2005년 5월 17일부터 6월 28일까지 화요일 오후 6시 10분 ~ 6시 40분에 방송되었다.2. 2. KBS 2TV (2기)
2005년 7월 5일부터 9월 27일까지 KBS 2TV에서 매주 화요일 오후 6시 10분 ~ 6시 40분에 방송되었다.2. 3. KBS 1TV
2011년 3월 25일부터 6월 17일까지 KBS 1TV에서 매주 금요일 오후 1시 30분부터 2시까지 방송되었다.3. 등장인물
3. 1. 주인공
3. 2. 기타 등장인물
4. 제작진
4. 1. 1기 제작진
- 제작: 이동우[2]
- 감독: 엄준영[2]
- 시나리오: 김남태[2]
- 콘티 연출: 박형동, 박정훈, 김동경, 박동기, 하민석, 강신혁, 이인경[2]
- 미술 감독: 이인경[2]
- 레이아웃: 이은영, 이승한, 윤석진[2]
- 배경: 하태양[2]
- 소품 디자인: 양은아[2]
- 원화 감독: 호중훈[2]
- 원화: 문영임, 한영자, 방수영[2]
- 동화: 강미옥[2]
- 선화: 이희정, 양경아, 최민영, 최윤주[2]
- 채색: 오지민[2]
- 편집 책임: 윤석진[2]
- 플래시 애니메이션: 강신혁, 조항진, 정광수, 차상기[2]
- 제작 PD: 김도석[2]
- 음악 감독: 전종혁[2]
- 주제가
- * 작사: 전종혁[2]
- * 작곡: 이영우[2]
- * 노래: 박상민[2]
- 효과: 최은진, 오명준[2]
- 음향 감독: 박희찬[2]
- 믹싱: 박희찬, 함종민[2]
- 제작 협조: 배영철(한국콘텐츠진흥원), 김선구, 이동주, 전대현, 노재원, 한미정[2]
4. 2. 2기 제작진
제작 지휘는 이동우, 총감독은 박형동이 맡았다.[3] 제작 피디는 윤석진, 연출 감독은 박정훈이다.[3] 시나리오는 박지원, 이영우가[3] 담당했다. 캐릭터 디자인은 엄준영, 문영임, 박정훈이[3], 설정 디자인은 이인경, 김아가[3] 담당했다. 미술 감독은 이인경이다.[3] 콘티는 하민석, 류정우, 최현명, 공영석, 김재희, 강신혁, 이인경, 유윤성이[3] 담당했다. 작화 감독은 한요한,[3] 레이아웃은 이은영, 이대현, 이지윤이[3] 담당했으며, 레이아웃 협력은 오승철, 공영석, 박지연이[3] 담당했다.원화는 최정국, 최은순, 문영임, 박형미, 홍선미, 방수영, 유정상이[3], 원화 작감은 김윤하, 문영임이[3] 담당했다. 클린업은 최병건, 김미영이[3], 동화는 박지영, 남경보, 윤혜원, 김은희가[3] 담당했다. 배경은 홍은미, 박경희, 천현정이[3] 담당했다. 디지털 스캔은 이재은, 김민욱이[3], 선화 체크는 양경아, 이은영이[3] 담당했다. 선화는 목영미, 남준석, 이지현, 송해정, 이재은, 박꽃님, 조철용, 김현진, 최병훈이[3], 채색은 이진윤이[3] 담당했다. 컴포지트는 안덕현, 민현종, 김택규, 박경희가[3], 플래시 애니메이터는 강신혁, 차상기, 김양근이[3] 담당했다. 편집 감독은 윤석진,[3] 제작 진행은 김도석, 윤우림, 이은영이[3] 담당했다.
3D 감독은 신수식,[3] 3D 미술은 이정하가[3] 담당했다. 모델링 · 맵핑은 강보경, 문상준, 박영미, 신선미가[3], 이펙트는 신수식, 임덕진이[3] 담당했다. HD 출력은 치우 엔터테인먼트에서[3] 담당했다. 음악 감독은 전종혁이며,[3] 주제가 작사는 박형동, 박정훈이[3], 노래는 김환희가[3] 불렀다. 음악 스튜디오는 쉘 뮤직이다.[3] 음향 감독은 박희찬,[3] 녹음은 서울애니메이션센터, 박동주가[3] 담당했다. 대사 편집은 임윤미,[3] 사운드 디자인은 김영린, 양정호, 양인이[3] 담당했다. 믹싱은 박희찬, 김영린, 양정호가[3] 담당했으며, 믹싱 스튜디오는 아산정보기능대학 디지털 스튜디오이다.[3] 목소리 협조는 배방초등학교[4] 임상준 외[3] 담당했다.
종합편집의 편집 감독은 배유진,[3] 제작 편집은 박재범, 박경현이[3] 담당했다. CG는 신정원이[3] 담당했다. 프로듀서는 민영문, 목훈, 윤석진, 엄준영이다.[3] 제작은 한국방송공사, 로이비쥬얼이[3] 담당했다.
5. 에피소드 목록
5. 1. 시즌 1
5. 2. 시즌 2
6. 용어 설명
도토리마을은 이 작품의 배경이 되는 마을이다. 대도시 근처의 도토리나무가 무성한 작고 예쁜 전원마을이다. 도토리 마을 입구에는 커다란 도토리나무가 있는데, 이 나무는 도토리마을의 수호신으로 받들어지고 있으며, 이 나무 아래에서 소원을 빌면 소원이 이루어진다고 한다.
뫼비우스의 TV는 뫼비우스 월드라는 놀이공원의 광고가 나오는 TV이다. TV를 켜면 반복되는 시간 속에 갇혀버리게 되며, 갇힌 사람은 광고의 일부분이 된다.
머리가 좋아지는 기구는 단계별로 아이큐를 높이는 기구인데, 앞구르기 3000번, 엉덩이로 이름 쓰기 등 황당한 내용으로만 구성되어 있다.
오타 군의 주문은 외계인을 부르는 주문, 귀신을 부르는 주문 등 다양한 효과를 지니고 있다. 주문은 "꼴레망또 깐뚜루 친친코알 르까뚜알 망꼬삐따" 와 같이 들린다.
원래 러시아 인형 안에는 작은 인형이 들어 있지만, 펭귄 문방구에 있는 러시아 인형 안에는 해골이 들어 있다.
우비 일행이 다니는 도토리초등학교에서 우비와 친구들은 모두 2학년 1반 소속이다.
주판 블레이드는 평범한 수판처럼 보이지만 신발처럼 신을 수 있게 되어 있다.
펭귄 아저씨가 운영하는 문방구는 펭귄문방구이다.
편지지는 지극히 평범한 편지지에 불과하지만, 우비가 이 편지지로 행운의 편지를 써서 온 마을에 퍼뜨리는 바람에 큰 소동이 일어난다.
피리는 불면 방귀 소리가 나는 피리이다.
요술 크레파스는 그림을 그리면 그 그림의 대상이 그림과 같은 모습으로 바뀌게 된다. 요술 지우개로 그림을 지우면 원래대로 돌아온다. 이 지우개는 요술 크레파스와 한 세트로 이루어진 지우개로, 요술 크레파스로 모습이 바뀐 사람을 원래 모습으로 되돌려놓을 때 사용한다.
참조
[1]
웹인용
애니메이션 상영관
http://www.kocca.kr/[...]
한국콘텐츠진흥원
2011-04-29
[2]
웹인용
내 친구 우비소년
http://music.daum.ne[...]
다음 뮤직
2011-07-25
[3]
문서
현재의 한국폴리텍IV대학 아산캠퍼스
[4]
문서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 북수리 소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