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너는 소를 두 마리 가지고 있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너는 소를 두 마리 가지고 있다"는 다양한 정치, 경제 체제를 풍자하는 농담이다. 이 농담은 1936년경부터 미국에서 유행하기 시작했으며, "이즘의 비유"라는 제목으로 알려졌다. 자본주의, 사회주의, 공산주의, 파시즘, 뉴딜 정책 등 다양한 경제 및 정치 시스템을 소의 소유와 관련된 상황으로 묘사하며 풍자한다. 1960년대 후반 코미디언 팻 폴슨이 이 농담을 활용하여 정치 풍자를 선보였고, 인터넷을 통해 널리 퍼져 다양한 문화권에서 변형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 농담은 문화적 차이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기도 하며, 엔론 스캔들과 같은 특정 사건을 풍자하는 데도 활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정치 풍자 - 버킷헤드경
    버킷헤드경은 영화 속 다스 베이더 패러디 캐릭터이자, 여러 차례 영국 총선에 출마하여 정치 풍자 퍼포먼스를 선보인 인물이다.
  • 소에 대한 비유 - 캐시 카우
    캐시 카우는 유지 보수나 투자를 거의 하지 않고도 꾸준한 수익을 창출하는 제품, 사업, 자산을 의미하지만, 혁신 저해 및 신규 시장 진입의 어려움이라는 단점을 가진다.
  • 소에 대한 비유 - 금송아지
    금송아지는 출애굽기에 나오는 이스라엘 백성이 모세 부재 시에 만든 우상으로, 우상 숭배의 대표적 사례로 여겨지며 여러 종교에서 비판적으로 해석되고 현대 사회에서는 물질주의를 비판하는 은유로도 사용된다.
  • 농담 - 해학
    해학은 언어유희를 통해 우스꽝스러운 상황을 과장하여 유쾌한 웃음을 유발하는 표현 방식이며,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서 심리적 웰빙과 사회적 관계 등에 영향을 미친다.
  • 농담 - 사메지마 사건
    사메지마 사건은 일본 인터넷 커뮤니티 2channel에서 시작된 도시전설 또는 인터넷 괴담으로, 실체가 불분명한 가공의 사건을 지칭하며 다양한 추측과 소문이 확산되어 여러 미디어에서 재조명되기도 한다.
너는 소를 두 마리 가지고 있다
기본 정보
제목너는 소 두 마리를 가지고 있다
주제농업, 경제, 정치를 풍자하는 유머
다양한 경제 체제에 따른 소유 방식
사회주의당신은 소 두 마리를 가지고 있다. 정부는 그것들을 가져다가 당신에게 우유를 조금 준다.
공산주의당신은 소 두 마리를 가지고 있다. 정부는 그것들을 가져다가 당신에게 우유를 조금 준다.
파시즘당신은 소 두 마리를 가지고 있다. 정부는 그것들을 가져다가 당신에게 우유를 당신에게 판다.
나치즘당신은 소 두 마리를 가지고 있다. 정부는 그것들을 가져다가 당신을 쏜다.
자본주의당신은 소 두 마리를 가지고 있다. 한 마리를 팔고 황소를 산다.
환경 보호주의당신은 소 두 마리를 가지고 있다. 정부는 당신에게 소젖을 짜지 못하게 한다.
관료주의당신은 소 두 마리를 가지고 있다. 정부는 먼저 소를 키우지 못하게 하고, 소를 키울 허가증을 신청한 후, 소가 두 마리임을 증명하기 위한 서류를 작성해야 한다. 그런 다음 정부는 소를 가져다가 쏘아 버린다.
아나키즘당신은 소 두 마리를 가지고 있다. 당신은 소를 팔고, 당신이 좋아하는 것을 산다.
생디칼리즘당신은 소 두 마리를 가지고 있다. 당신은 협동조합을 조직하여 소를 관리한다.
전체주의당신은 소 두 마리를 가지고 있다. 정부는 당신을 공격하여 당신의 소를 가져간다.
봉건주의당신은 소 두 마리를 가지고 있다. 영주는 당신에게서 우유의 일부를 가져간다.
자유지상주의당신은 소 두 마리를 가지고 있다. 한 마리를 팔고, 다른 한 마리는 강제로 노동에 투입한다.
절대군주제당신은 소 두 마리를 가지고 있다. 왕은 그 소들을 소유한다.
민주주의당신은 소 두 마리를 가지고 있다. 당신은 이웃들에게 어떤 소를 가질지 투표하게 한다.
대표 민주주의당신은 소 두 마리를 가지고 있다. 당신은 이웃들에게 어떤 소를 가질지 투표할 사람을 선출한다.
술탄주의당신은 소 두 마리를 가지고 있다. 술탄은 그 소들을 가져간다.
기업주의당신은 소 두 마리를 가지고 있다. 당신은 소를 판매하고, 휴가와 골프를 즐기고, 컨설턴트를 고용하여 소를 다시 키울 방법을 분석한다.
벤처 자본주의당신은 소 두 마리를 가지고 있다. 당신은 투자자들에게 소 세 마리를 보여준다. 그런 다음 당신은 언론에 소 다섯 마리를 기획하고 있다고 발표한다. 당신은 주식을 발행하고, 소를 다시 사들인다. 당신은 소 여섯 마리에 대한 권리를 모두 사들인다.
프랑스 기업당신은 소 두 마리를 가지고 있다. 당신은 파업을 한다. 왜냐하면 당신은 소 세 마리를 원하기 때문이다.
일본 기업당신은 소 두 마리를 가지고 있다. 당신은 그 소들을 디자인 변경하여 보통 소의 1/10 크기로 만들어, 논리적으로 소 20마리를 생산한다.
이탈리아 기업당신은 소 두 마리를 가지고 있지만, 어디에 있는지 모른다. 당신은 점심을 먹으러 간다.
러시아 기업당신은 소 두 마리를 가지고 있다. 당신은 그것들을 센다. 당신은 소 다섯 마리가 있다. 당신은 다시 센다. 당신은 소 42마리가 있다. 당신은 보드카를 더 마신다.
스위스 기업당신은 소 5000마리를 가지고 있지만, 그 소들이 누구 소유인지 알 수 없다.
중국 기업당신은 소 두 마리를 가지고 있다. 당신은 소들을 돌보도록 300명에게 지시한다. 당신은 유제품 생산에 전념한다. 당신은 누가 당신의 소를 소유하고 있는지 아무에게도 알리지 않는다.
인도 기업당신은 소 두 마리를 가지고 있다. 당신은 그들을 숭배한다.
영국 기업당신은 소 두 마리를 가지고 있다. 당신은 그들에게 우유를 먹게 한다.
미국 기업당신은 소 두 마리를 가지고 있다. 당신은 한 마리를 팔고, 다른 한 마리는 강제로 더 많은 우유를 생산하게 한다. 그리고 당신은 컨설턴트를 고용하여 왜 소가 죽었는지 분석한다.
텍사스 기업당신은 소 두 마리를 가지고 있다. 당신은 총을 가지고 있다.
호주 기업당신은 소 두 마리를 가지고 있다. 당신은 맥주를 마시며 소들이 알아서 사업을 운영하게 한다.
이라크 기업당신은 소 두 마리를 가지고 있다. 그들은 당신을 향해 총을 쏘려고 한다.
아일랜드 기업당신은 소 두 마리를 가지고 있다. 그중 한 마리는 말이다.
캐나다 기업당신은 소 두 마리를 가지고 있다. 밴쿠버에서는 한 마리만 가질 수 있다.
뉴질랜드 기업당신은 소 두 마리를 가지고 있다. 호주 기업은 당신의 회사를 인수하려고 한다.
사우디아라비아 기업당신은 소 두 마리를 가지고 있다. 당신은 카우푸딩을 먹는다.
이스라엘 기업당신은 소 두 마리를 가지고 있다. 당신은 하이파의 테크니온 대학에서 유대인 소를 유전적으로 개발하여 세상에서 가장 효율적인 소가 되게 한다.
팔레스타인 기업당신은 소 두 마리를 가지고 있다. 이스라엘인들은 그것들을 빼앗아 간다.
벨기에 기업당신은 소 두 마리를 가지고 있다. 당신은 그들을 네덜란드와 프랑스 기업에 팔고, 돈을 스위스 은행 계좌에 입금한다.
그리스 기업당신은 소 두 마리를 가지고 있다. 당신은 EU 보조금을 받기 위해 그들을 숨긴다.
나이지리아 기업당신은 소 두 마리를 가지고 있다. 당신은 그들에게 뇌물을 준다.
파키스탄 기업당신은 소 두 마리를 가지고 있다. 그들은 폭탄으로 무장했다.
아프가니스탄 기업당신은 소 두 마리를 가지고 있다. 당신은 당신의 삼촌에게 판매하고 그의 조카에게 판매하여 자신에게 이익을 돌려준다.
자메이카 기업당신은 소 두 마리를 가지고 있다. 당신은 그들에게 연기를 피우게 한다.
멕시코 기업당신은 소 두 마리를 가지고 있다. 당신은 한 마리를 미국에 밀매하고 나머지 한 마리는 타코로 만든다.
콜롬비아 기업당신은 소 두 마리를 가지고 있다. 당신은 그들을 코카인으로 바꾼다.
북한 기업당신은 소 두 마리를 가지고 있다. 어느 날 갑자기 사라진다.

2. 역사

"두 마리의 소" 농담은 1930년대 미국에서 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1] 이 농담은 처음에는 단순한 경제학적 비유로 시작했지만, 점차 다양한 정치, 사회 시스템을 풍자하는 형태로 발전했다.

이 농담은 경제학 입문 교재에서 사용되는 예시에서 비롯되었다. 원래는 통화가 없는 사회에서 농부들이 축산물을 교환하는 물물교환 경제의 한계를 설명하고 화폐 제도 도입의 필요성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이후 "두 마리의 소" 풍자에서는 농부가 현대 경제 시스템에 편입된 사람으로 묘사되고, 소는 유통, 자본, 생산물, 자산의 은유로 사용된다. 이러한 농담들은 주로 해당 제도의 결점이나 불합리함을 지적하거나 풍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10][11][12][13][14]

이후 이 농담은 다양한 정치, 문화, 사회, 철학적 제도나 이론을 풍자하는 형태로 발전했으며, 심지어 광우병과 같은 실제 소 관련 보도도 풍자의 소재로 활용되었다.

2. 1. 초기 기원

빌 셔크는 1936년경부터 "이즘의 비유"라는 제목으로 이러한 목록이 미국 전역에 퍼졌다고 언급한다.[2] 1938년 ''시카고 데일리 트리뷴''의 한 칼럼에서는 실라스 스트론이 1935년 11월 29일 시카고 경제 클럽에서 한 연설에서 사회주의, 공산주의, 파시즘 및 뉴딜주의와 관련된 버전이 유래되었다고 한다.[3][4]

이러한 종류의 농담은 1944년 미국의 학자들 사이에서 화제가 되었다. 그 해의 ''현대 언어 저널''에서는 다음과 같은 예시를 들고 있다.[1][15]

이념내용
사회주의소 두 마리가 있으면 이웃에게 한 마리를 준다.
공산주의소 두 마리가 있으면 정부에 제공하고, 정부로부터 우유를 배급받는다.
자본주의소 두 마리가 있으면 한 마리를 팔고 황소를 산다.
국가 사회주의소 두 마리가 있으면 정부가 당신을 쏴 죽이고 소를 가져간다.


2. 2. 발전과 확산

1960년대 후반, 미국의 코미디언 팻 폴슨은 ''스머더스 형제 코미디 아워''에서 이 농담을 활용해 정치 풍자를 선보였다.[6] "두 마리의 소" 농담은 인터넷 초기에 유행한 최초의 인터넷 유머 중 하나였지만, 이 농담의 초기 버전은 인터넷 보급 이전인 1960년대 초반의 타자기에 의한 유포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이 농담은 World Wide Web의 국제적인 전개와 함께 다양한 문화권에서 정형화된 유머로 자리 잡았다.

2. 3. 정치 및 경제 시스템

현대 언어 저널에 실린 고전적인 예시는 다음과 같다.[1]

정치 체제내용
사회주의소 두 마리가 있으면 정부가 한 마리를 가져가 이웃에게 준다.
공산주의소 두 마리가 있으면 정부가 두 마리 모두 가져간 후 약간의 우유를 준다.
파시즘소 두 마리가 있으면 소는 당신이 갖고 우유를 정부에 준다. 그러면 정부가 당신에게 우유를 판다.
뉴딜주의소 두 마리가 있으면 한 마리를 쏘고 다른 한 마리의 젖을 짠 다음 우유를 하수구에 붓는다.
나치즘소 두 마리가 있으면 정부가 당신을 쏘고 소를 갖는다.
자본주의소 두 마리가 있으면 한 마리를 팔아 수소를 산다.



빌 셔크는 이러한 목록이 1936년경부터 "이즘의 비유"라는 제목으로 미국 전역에 퍼졌다고 언급한다.[2] 1938년 시카고 데일리 트리뷴의 한 칼럼에서는 사회주의, 공산주의, 파시즘 및 뉴딜주의와 관련된 버전이 실라스 스트론이 1935년 11월 29일 시카고 경제 클럽에서 한 연설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3][4]

이러한 종류의 유머는 1960년대 후반 미국 코미디언 팻 폴슨의 ''스머더스 형제 코미디 아워'' 독백의 기반을 형성했다. 그는 풍자를 풍자하며 자본주의에 대해 다음과 같이 논평했다. "...그런 다음 두 마리 모두 아내의 이름으로 하고 파산 신고를 하세요." 이 내용은 나중에 1968년 그의 풍자적인 미국 대통령 선거 운동의 한 요소로 사용되었으며, 1968년 코미디 앨범 ''팻 폴슨 대통령 후보(Pat Paulsen for President)''에 포함되었다.[6]

엔론 스캔들의 경제학은 "두 마리 소" 농담의 대상이 되었으며, 이는 종종 엔론의 재무에서 발생한 회계 사기를 묘사한다. 엔론을 설명할 때는 다음과 같은 농담이 사용되었다.

''엔론주의'': 당신은 소 두 마리를 가지고 있다. 당신은 은행에 있는 처남이 개설한 신용장을 사용하여 세 마리를 공개 상장 회사에 판매한 다음, 관련된 일반 공개를 통해 부채/지분 스왑을 실행하여 소 네 마리를 모두 되돌려받고 소 다섯 마리에 대한 세금 면제를 받는다. 여섯 마리의 소의 우유 권리는 CFO가 비밀리에 소유한 케이맨 제도 회사로 중개자를 통해 이전되며, CFO는 일곱 마리의 소에 대한 권리를 상장 회사에 다시 판매한다. 연례 보고서에는 회사가 여덟 마리의 소를 소유하고 있으며 여섯 마리에 대한 옵션이 있다고 명시되어 있다.[7]


농담의 결말은 다양하다. 2008년 잡지 ''와이어드''는 엔론이 미국 대통령을 사기 위해 소 한 마리를 팔고, 연례 보고서에는 대차대조표가 제공되지 않았으며, 궁극적으로 대중이 엔론의 황소를 구매하는 것으로 농담을 맺었다.[8] 2002년, 파워 엔지니어링은 엔론이 COW (cows on web) 플랫폼을 사용하여 온라인으로 소를 거래하기 시작할 것이라고 발표하면서 농담을 끝냈다.[9]

이러한 종류의 농담은 경제학 입문 교재에서 자주 사용되는 예시에서 시작된다. 통화가 없는 사회에서 이웃과 축산물을 교환하며 살아가는 농부의 비유는 다음과 같이 시작한다.

  • "너는 암소 두 마리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을 원한다. 그렇다면, 닭을 가지고 암소 한 마리를 원하는 다른 농부를 너는 찾기 시작한다."


원래 이 비유는 교환 경제의 한계를 설명하고 화폐 제도 도입의 필요성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이후 "두 마리의 암소" 풍자에서 농부는 현대 경제 시스템에 편입된 사람으로, 암소는 유통, 자본, 생산물, 자산의 은유로 사용된다. 이러한 농담은 제도의 결점이나 불합리함을 지적하거나 풍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10][11][12][13][14]

이 농담은 1944년 미국의 학자들 사이에서 이미 화제가 되었다. 그 해 '더 모던 랭귀지 저널(The Modern Language Journal)' 기사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15]

정치 체제내용
사회주의너는 암소 두 마리를 가지고 있다. 그러니 이웃에게 한 마리를 주자.
공산주의너는 암소 두 마리를 가지고 있다. 그러니 그 암소를 정부에 제공한 후, 너는 정부로부터 우유를 배급받을 수 있다.
자본주의너는 암소 두 마리를 가지고 있다. 그러니 그 두 마리의 암소 중 한 마리를 팔고 황소를 사자.
국가 사회주의너는 암소 두 마리를 가지고 있다. 그러니 정부는 너를 쏴 죽이고 그 암소를 가져간다.



초기 "두 마리의 소" 농담은 정부관료가 소유자의 소에 대한 소유권을 방해하는 방식과 자본주의, 공산주의 같은 상반된 경제 제도를 비교 설명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후 이 농담은 다양한 정치, 문화, 사회, 철학 제도나 이론을 풍자하는 형태로 발전했다. 광우병과 같은 실제 소 관련 보도도 풍자의 소재로 활용되었다.

2. 4. 문화적 차이

리처드 M. 스티어스와 루시아라 나르돈은 글로벌 경제에 관한 저서에서 "소 두 마리" 비유를 사용하여 문화적 차이의 개념을 설명한다. 그들은 이러한 종류의 농담이 "현실적이지만 과장된 캐리커처"이기 때문에 재미있다고 여겨지며, 이러한 농담이 널리 퍼진 것은 상당한 문화적 차이에서 비롯된다고 썼다. 스티어스와 나르돈은 또한 다른 사람들은 이러한 농담이 문화적 고정관념을 제시하며 주의해서 보아야 한다고 믿는다고 말한다.[5]

2. 5. 기타 변형

이 농담은 다양한 정치, 문화, 사회, 철학에 관한 제도나 이론을 풍자하는 데 사용된다.[7] 사실상 모든 것이 "두 마리의 소" 농담의 대상이 될 수 있으며, 광우병과 같은 실제 소 관련 사건도 풍자의 소재로 쓰인다.

이 농담은 초기 인터넷에서 유행한 최초의 인터넷 유머 중 하나이며, 그 기원은 인터넷 보급 이전인 1960년대 초반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여러 문화권에서 정형화된 유머로 받아들여진 이 농담은 World Wide Web의 국제적인 전개와 함께 퍼져나갔다.

오늘날에도 "두 마리의 소" 농담은 여전히 유행하며, 수많은 변형이 만들어져 여러 웹사이트에서 번역, 인용되고 있다. 유명 다운로드 사이트인 Tucows는 공식 명칭인 "The Ultimate Collection Of Windows Software"의 약칭이 아니라, 그 로고가 암시하듯이 "두 마리의 소" 농담에서 유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앞서 언급한 공식 명칭은 그럴듯하게 후치된 것이라고도 한다.

3. 한국의 특수성

한국에서는 특히 1980년대 민주화 운동과 급격한 경제 성장을 거치면서 다양한 이념 논쟁이 활발했고, 이 과정에서 "두 마리의 소" 농담이 더욱 주목받았다.

참조

[1] 논문 In Defense of Dictionaries and Definitions 1944-01
[2] 서적 500 Years of New Words Doubleday 1983
[3] 간행물 Vox Lycei 1939-1940 https://books.google[...]
[4] 뉴스 The Class in Political Isms 1938-12-03
[5] 서적 Managing In The Global Economy 2005
[6] 웹사이트 "Pat Paulsen for President" - album info and review http://www.livedaily[...] LiveDaily Store 2007-12-18
[7] 웹사이트 360 Environmental https://www.360envir[...] 2022-12-01
[8] 잡지 New and Improved Economic Cow Jokes https://www.wired.co[...] 2022-11-30
[9] 웹사이트 Enron and the Two Cows https://www.power-en[...] 2022-11-30
[10] 학술지 Future Tense: e-jokes http://www.proquest.[...] 1997-06-04
[11] 학술지 Bovinus economicus http://www.proquest.[...] Willoughby
[12] 학술지 Enronism Avenue Of The Americas [USA edition] 2002-01-10
[13] 학술지 Insider Column http://www.proquest.[...] Bangkok Post 2002-01-17
[14] 학술지 Texan bull http://www.proquest.[...] 2003-04-14
[15] 논문 In Defense of Dictionaries and Definitions 1944-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