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네덜란드 상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네덜란드 상원은 네덜란드 의회의 상원이며, 12개 주 의회 의원, 카리브 네덜란드 선거인단, 비거주 선거인단의 간접 선거를 통해 선출된다. 1815년 설립된 이후 여러 차례 개혁을 거쳐, 1983년에는 의원 임기가 4년으로 단축되었으며, 2023년 기준 농민-시민 운동이 가장 많은 의석을 보유하고 있다. 상원은 법안 심의, 정부 견제 등의 역할을 수행하며, 의장단은 상원 의장과 두 명의 부의장으로 구성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네덜란드의 정치 - 네덜란드 의회
    네덜란드 의회는 15세기 부르고뉴 공국 시대에 시작되어 네덜란드 공화국의 주권 기관으로 기능하다 프랑스 점령기에 해산된 후 네덜란드 연합 왕국 성립과 함께 부활한 양원제 입법부이며, 하원은 직접 선거, 상원은 간접 선거로 선출되고 하원은 법안 발의권을 가지며, 국왕의 연례 연설 등에는 양원이 합동회의를 개최한다.
  • 네덜란드의 정치 - 레이스트레커르
    레이스트레커르는 명부식 비례대표제를 채택한 국가, 특히 벨기에와 네덜란드에서 정당의 선두 후보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며, 네덜란드에서는 하원 원내대표를 맡거나 연립 정부 구성 시 고위직을 제안받고, 집권 정당 중 가장 큰 정당의 레이스트레커가 총리가 되기도 한다.
  • 나라별 의회 - 이탈리아 의회
    이탈리아 의회는 상원과 하원으로 구성되며, 1948년 헌법에 따라 설립되었으며, 입법, 행정부 감시, 대통령 선출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2020년 헌법 개정으로 상원 의원 수와 하원 의원 수가 감축되었다.
  • 나라별 의회 - 크로아티아 의회
    크로아티아 의회(사보르)는 9세기 귀족 의회에서 기원하여 다양한 형태로 크로아티아인들의 정체성을 대변해 왔으며, 1990년 다당제 선거 이후 151명의 의원으로 구성되어 헌법 개정, 법률 제정, 정부 감시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네덜란드 상원 - [의회]에 관한 문서
네덜란드 상원 정보
네덜란드 상원 로고
네덜란드 상원 로고
원어 이름Eerste Kamer der Staten-Generaal
로마자 표기Eerste Kamer der Staten-Generaal
약칭Eerste Kamer
별칭Senaat
소속 의회네덜란드 의회
의회 유형상원
설립일1815년
임기4년
주요 인물
의장얀 안토니 브라위인
의장 소속 정당자유민주국민당
의장 선출일2019년 7월 2일
제1부의장메이 리 보스
제1부의장 소속 정당녹색좌파당-노동당
제1부의장 선출일2023년 7월 4일
제2부의장로버트 크롤
제2부의장 소속 정당농민-시민 운동
제2부의장 선출일2023년 7월 4일
의원 구성
의원 수75
정부 구성 정당농민-시민 운동(16석)
자유민주국민당(10석)
자유당(4석)
야당 구성 정당녹색좌파당-노동당(14석)
기독교민주당 아펠(6석)
민주66(5석)
사회당(3석)
기독교연합(3석)
동물당(3석)
JA21(3석)
민주주의를 위한 포럼(2석)
개혁당(2석)
볼트 네덜란드(2석)
50PLUS(1석)
독립 정치 네덜란드(1석)
선거 및 임기
임기4년
선거 제도간접 선거를 통한 비례대표제
최근 선거2023년 5월 30일
다음 선거2027년 5월
회의 및 위치
회의 장소헤이그 비넨호프 상원 본회의장
상원 본회의장
상원 본회의장
기타 정보
공식 웹사이트네덜란드 상원 공식 웹사이트

2. 역사

네덜란드 상원의 공식 명칭은 '국가원 제1원'(Eerste Kamer der Staten-Generaalnl) 또는 줄여서 '제1원'(Eerste Kamernl)이지만, 영어권에서는 주로 '상원'(Senate영어)으로 불리며 네덜란드 언론에서도 '세나트'(Senaatnl)라는 명칭이 자주 사용된다. 의원을 칭할 때는 '제1원 의원'(Eerste Kamerlidnl)이 공식적이고 가장 일반적이며, '상원 의원'(senaatslidnl) 또는 '상원의원'(senatornl)이라는 용어도 쓰인다.

1814년 제정된 네덜란드 현대 헌법은 단원제의 네덜란드 총회를 재설립했다. 이듬해 구 남부 네덜란드(현재의 벨기에)가 네덜란드 연합 왕국에 편입될 것이 확실해지자, 새로 구성된 헌법 위원회는 양원제 도입을 논의했다. 남부 지역 위원들은 귀족에게 입법부 내 지위를 보장해야 한다는 이유로 양원제를 주장했고, 북부 지역 위원들은 처음에는 소극적이었으나 귀족 신분이 의원 자격 요건이 되지 않는다는 조건 하에 동의했다.[1][2] 그 결과 1815년 8월 24일 발효된 새 헌법은 국왕이 종신직으로 임명하는 40명에서 60명 사이의 의원으로 구성된 상원을 규정했다. 초대 상원은 1815년 9월 21일 브뤼셀에서 하원과 합동으로 처음 소집되었다.[3] 초기 상원은 왕실(국왕과 각료)의 보루 역할을 했다. 국왕이 임명한 상원 의원들은 대부분 국왕의 측근이었으며, 하원에서 발의된 법안 중 국왕이 불편하게 여기는 법안, 특히 의원 발의 법안에 대해 거부권을 행사하도록 종종 요청받았다.[1] 1830년 벨기에가 독립한 후에도 상원은 존속했지만, 의원 수는 20명 이상 30명 이하로 절반가량 줄었다.[3]

1848년 헌법 개혁으로 네덜란드 정치에 많은 변화가 일어났다. 이 개혁으로 하원은 직접 선거로 선출하게 되었다. 요한 루돌프 토르베케가 이끈 헌법 위원회는 상원 역시 직접 선거로 선출하기를 원했으나, 당시 다수를 차지했던 보수적인 하원은 두 의회가 지나치게 유사해질 것을 우려하여 이를 막았다. 또한 상원은 일상 정치와 거리를 두고 법안을 더 독립적으로 심사하는 '숙고의 전당'(chambre de réflexion|샹브르 드 레플렉시옹프랑스어) 역할을 해야 하는데, 직접 선거를 위한 선거 운동이 필요하다면 이것이 불가능하다고 여겨졌다. 그래서 상원은 이후 주 의회에 의해 선출되도록 결정되었다. 39석의 의석은 인구에 따라 각 주에 역진적 비례 대표 방식으로 배분되었고, 9년 임기의 의원 중 3분의 1을 3년마다 다수결 방식으로 선출했다.[4] 1848년 이후 입법의 질 관리가 상원의 주요 기능이 되었다.[5]

상원의 존재와 기능은 역사적으로 계속 비판의 대상이었으며, 상원 개혁 또는 폐지를 요구하는 국가 위원회 보고서, 정부 제안, 의원 발의 법안 등이 여러 차례 제출되었다. 특히 사회민주당과 진보적 자유주의자들은 1903년과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상원 폐지를 시도했지만, 충분한 지지를 얻지 못했다.[1]

그러나 하원에 남성 보통선거권과 비례대표제가 도입된 지 5년 후인 1922년에 개혁이 이루어졌다. 1922년 헌법 개정으로 상원에도 비례대표제가 도입되었다. 의석을 주별로 배분하는 대신, 주들을 인구 규모가 비슷한 네 그룹으로 묶어 각 그룹에서 정당 명부 비례대표제에 따라 12명 또는 13명의 상원 의원을 선출했다. 상원 의원의 임기는 6년으로 단축되었고, 네 그룹 중 두 그룹이 3년마다 의원을 선출했다. 1956년에는 상원 의원 수가 50명에서 75명으로 증가했고, 주 그룹 간의 의석 배분은 인구 분포 변화를 고려하여 조정되었다.[4]

상원은 1983년에 또 다른 개혁을 거쳤다. 상원 의원의 임기는 하원과 같은 4년으로 더 단축되었다. 주 그룹과 단계적 선거 제도는 폐지되고, 전국 단일 선거구에서 4년마다 상원 전체 의원을 선출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이 헌법 개혁을 준비했던 국가 위원회는 상원의 직접 선거도 권고했으나, 하원은 이 제안을 거부하는 결의안을 채택했다.[6]

그 이후로도 여러 사소한 변화가 있었다. 2010년에는 정당 명부가 선거 연합을 구성할 수 있는 가능성이 폐지되었고, 후보자가 선호 투표로 선출되기 위해 필요한 득표 수가 할당량의 50%에서 100%로 증가했다.[4] 2017년 헌법 개정으로 네덜란드령 카리브해의 세 상원 선거단 설립이 가능해졌다. 보네르, 신트외스타티우스, 사바의 네덜란드 국적 시민들이 투표권을 가지며, 이 선거단 의원들은 2019년 3월 20일에 처음 선출되었다.[7] 네덜란드 국외 거주자들을 위한 비거주 선거단 설립은 2022년 헌법 개정으로 가능해졌다.[8]

2. 1. 한국과의 비교

바이넨호프의 상원 의사당 외관


호프바이퍼에서 본 상원 의사당 외관


한국의 국회는 단원제를 채택하고 있어 네덜란드와 직접적인 비교는 어렵지만, 네덜란드 상원의 역사적 변천 과정은 양원제 도입 및 운영 방식, 특히 상원의 역할과 선출 방식에 대한 여러 시사점을 제공한다.

1814년 네덜란드 현대 헌법 제정 당시에는 단원제 네덜란드 총회가 재설립되었으나, 구 남부 네덜란드(현 벨기에)가 네덜란드 연합 왕국으로 편입되면서 상황이 변했다. 남부 지역 출신 헌법 위원들은 귀족 계층의 정치적 참여 보장을 위해 양원제를 강력히 주장했다. 북부 지역 위원들은 이에 소극적이었으나, 귀족 신분이 상원 의원의 자격 요건이 되지 않는다는 조건 하에 양원제 도입에 동의했다.[1][2] 그 결과 1815년 8월 24일 발효된 새 헌법은 국왕이 종신직으로 임명하는 40~60명의 의원으로 구성된 상원을 규정했다. 초대 상원은 1815년 9월 21일 브뤼셀에서 처음 소집되었다.[3] 초기 상원은 사실상 국왕의 영향력 아래 있었으며, 국왕이 임명한 의원들은 주로 국왕의 측근들로 채워져 하원에서 발의된 법안 중 국왕의 뜻에 반하는 것을 거부하는 역할을 수행했다.[1] 1830년 벨기에 독립 후 상원은 유지되었으나 의원 수는 절반으로 줄었다.[3]

1848년 헌법 개혁은 네덜란드 정치 시스템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요한 루돌프 토르베케가 이끈 헌법 위원회는 하원 의원을 국민이 직접 선출하도록 변경했다. 위원회는 상원 역시 직접 선거로 선출하기를 원했지만, 당시 다수를 차지했던 보수적인 하원은 상원이 하원과 지나치게 유사해질 것을 우려하여 이를 반대했다. 또한 상원은 일상적인 정치 현안에서 한 걸음 물러나 법안을 신중하게 심의하는 '숙고의 전당'(chambre de réflexion|샹브르 드 레플렉시옹프랑스어) 역할을 해야 하는데, 직접 선거를 위한 선거 운동이 이러한 독립성을 해칠 수 있다고 보았다. 결국 상원 의원은 각 주 의회에서 간접 선거로 선출하는 방식이 유지되었다. 39석의 의석은 인구에 따라 각 주에 역진적 비례 방식으로 배분되었고, 9년 임기의 의원 중 3분의 1을 3년마다 다수결로 선출했다.[4] 이 개혁 이후 입법의 질 관리가 상원의 주요 기능이 되었다.[5] 이는 양원제 도입 논의 시 상원의 고유한 역할과 위상을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을 던져준다.

상원의 존재와 기능에 대한 비판은 꾸준히 제기되었고, 상원 개혁 또는 폐지 요구는 여러 차례 공식적으로 논의되었다. 특히 사회민주당과 진보적 자유주의자들은 1903년과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상원 폐지를 시도했으나 충분한 지지를 얻지 못했다.[1]

본격적인 개혁은 하원에 남성 보통선거권과 비례대표제가 도입된 지 5년 후인 1922년에 이루어졌다. 1922년 헌법 개정으로 상원 선거에도 비례대표제가 도입되었다. 기존의 주별 의석 배분 방식 대신, 주들을 비슷한 인구 규모의 네 그룹으로 묶어 각 그룹에서 정당 명부 비례대표제로 12~13명의 상원 의원을 선출했다. 임기는 6년으로 단축되었고, 3년마다 두 그룹씩 의원을 새로 선출하는 단계적 선거 방식이 채택되었다. 1956년에는 상원 의원 수가 50명에서 75명으로 늘어났고, 인구 변화를 반영하여 주 그룹 간 의석 배분이 조정되었다.[4] 이는 상원이 특정 계층이나 지역의 이해관계를 넘어 국민 전체의 다양한 의사를 반영하도록 제도를 개선하려는 노력으로 볼 수 있으며, 한국의 선거제도 개혁 논의, 특히 비례대표제 확대 논의와 관련하여 참고할 만하다.

1983년에는 또 한 차례 개혁이 이루어져 상원 의원의 임기가 하원과 동일한 4년으로 단축되었다. 또한, 주 그룹별 단계적 선거 제도가 폐지되고 전국을 단일 선거구로 하여 4년마다 상원 의원 전체를 한 번에 선출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당시 헌법 개혁을 준비했던 국가 위원회는 상원 직접 선거를 권고했으나, 하원은 이 제안을 받아들이지 않았다.[6]

이후에도 몇 가지 변화가 있었다. 2010년에는 정당 간 선거 연합 구성 가능성이 폐지되었고, 후보자가 선호투표로 당선되기 위한 득표 기준이 할당량의 50%에서 100%로 상향 조정되었다.[4] 2017년 헌법 개정으로 네덜란드령 카리브해 지역(보네르, 신트외스타티우스, 사바) 주민들을 위한 세 개의 상원 선거단 설치가 가능해졌고, 이들은 2019년부터 상원 선거에 참여하고 있다.[7] 2022년에는 네덜란드 국외 거주자들을 위한 선거단 설치도 헌법 개정을 통해 가능해졌다.[8]

네덜란드 상원의 역사는 시대적 요구와 민주주의 발전에 따라 의회 제도가 끊임없이 변화하고 발전해야 함을 보여준다. 이는 한국의 국회 역시 현재의 제도에 안주하지 않고, 국민의 의사를 더 효과적으로 반영하며 민주주의를 심화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지속적인 개선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3. 선거 및 구성

네덜란드 상원은 공식적으로 '국가원 제1원'(Eerste Kamer der Staten-Generaalnld) 또는 줄여서 '제1원'(Eerste Kamernld)이라 불리지만, 언론 등에서는 '상원'(Senaatnld)이라는 명칭도 흔히 사용된다. 상원 의원은 공식적으로 '제1원 의원'(Eerste Kamerlidnld)으로 칭하지만, '상원 의원'(senaatslidnld) 또는 senatornld라는 용어도 쓰인다.

1814년 네덜란드 현대 헌법 제정 당시에는 단원제의 네덜란드 총회가 재설립되었다. 그러나 과거 남부 네덜란드(현재의 벨기에)가 네덜란드 연합 왕국에 포함되면서 상황이 변했다. 남부 지역 출신 헌법 위원들은 귀족에게 의회 내 지위를 보장해야 한다는 이유로 양원제 도입을 강력히 주장했다. 북부 지역 위원들은 이에 소극적이었으나, 귀족 신분이 의원 자격 요건이 되지 않는다는 조건 하에 동의했다.[1][2] 결국 1815년 8월 24일 발효된 새 헌법은 국왕이 종신직으로 임명하는 40명에서 60명 규모의 상원을 규정했다. 초대 상원은 1815년 9월 21일 브뤼셀에서 처음 소집되었다.[3] 초기의 상원은 사실상 국왕과 정부의 영향력 아래 있었으며, 국왕의 측근들로 채워져 하원에서 발의된 법안 중 국왕의 뜻에 맞지 않는 것을 거부하는 역할을 주로 수행했다.[1] 1830년 벨기에가 독립한 후 상원 의원 수는 절반(20~30명)으로 줄었다.[3]

1848년 헌법 개혁은 네덜란드 정치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이 개혁으로 하원 의원을 주 의회가 아닌 국민이 직접 선출하게 되었다. 당시 요한 루돌프 토르베케가 이끈 헌법 위원회는 상원 역시 직접 선거로 선출하기를 원했으나, 보수적인 성향이 강했던 하원은 두 의회가 지나치게 유사해질 것을 우려하여 이를 반대했다. 또한 상원은 일상 정치와 거리를 두고 법안을 신중하게 검토하는 '사색의 회의'(chambre de réflexionfra) 역할을 해야 하는데, 직접 선거를 치르면 이러한 독립성을 유지하기 어렵다는 이유도 있었다. 결국 상원은 기존처럼 주 의회에서 간접 선거로 선출하는 방식이 유지되었다. 당시 39석의 의석은 인구에 따라 각 주에 배분되었고, 9년 임기의 의원을 3년마다 3분의 1씩 다수결 방식으로 선출했다.[4] 1848년 개혁 이후 상원의 주요 기능은 제출된 법안의 질을 관리하는 것으로 자리 잡았다.[5]

상원의 존재와 기능에 대한 비판은 역사적으로 꾸준히 제기되어 왔으며, 상원 개혁 또는 폐지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여러 차례 있었다. 특히 사회민주당과 진보적 자유주의자들은 1903년과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상원 폐지를 시도했으나 충분한 지지를 얻지 못했다.[1]

이후 몇 차례의 선거 제도 개혁을 거쳐 현재의 상원 구성 방식이 확립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선거 제도 참조)

현재 네덜란드 상원은 총 75명의 의원으로 구성되며, 12개 주 의회와 카리브 네덜란드 및 해외 거주자 선거단이 4년마다 간접 선거를 통해 선출한다.[7][8] 정치적으로 더 큰 영향력을 가진 하원과 달리 상원은 일주일에 한 번만 회의를 연다. 상원 의원 중에는 오랜 정치 경력을 가진 인물도 있지만, 다른 직업을 가지면서 파트타임으로 정치 활동을 하는 경우도 많다. 상원은 제출된 법안을 승인하거나 거부할 권한은 있지만, 법안을 직접 수정하거나 발의할 수는 없다.

3. 1. 선거 제도



네덜란드 상원 의원 75명은 간접 선거를 통해 선출된다. 선거인단은 12개 주 의회 의원, 카리브 네덜란드의 3개 섬(보네르, 신트외스타티우스, 사바) 주민들이 선출하는 선거단, 그리고 해외 거주 네덜란드 국민을 대표하는 비거주 선거단으로 구성된다.[7][8] 주 의회 의원들은 4년마다 네덜란드 국민의 직접 선거로 선출되며, 이들이 다시 상원 의원을 선출하는 방식이다. 카리브 네덜란드 선거단과 비거주 선거단도 상원 선거에 참여한다.

상원 선거는 4년마다 정당 명부 비례대표제로 실시되며, 전국을 단일 선거구로 한다. 각 정당은 후보자 명부를 제출하고 유권자(선거인단)는 이 명부에 투표한다. 의석 배분은 헤어-니마이어 방식(Hare-Niemeyer method)을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후보자가 당선되려면 일정 수준 이상의 선호 투표를 얻어야 한다. 이 기준은 2010년 선거법 개정으로 기존 할당량의 50%에서 100%로 강화되었다.[4] 또한 2010년부터 정당 간 선거 연합을 구성하는 것은 금지되었다.[4]

현재의 선거 제도는 여러 차례 개혁을 거쳐 확립되었다. 1848년 헌법 개혁 당시 상원은 주 의회에서 선출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당시에는 39석을 인구에 따라 역진적 비례 대표 방식으로 각 주에 배분했으며, 9년 임기의 의원을 3년마다 3분의 1씩 다수결 방식으로 선출했다.[4] 이는 하원의 직접 선거 도입과 함께 이루어졌으나, 상원은 직접 선거 시 하원과 지나치게 유사해지고 '사색의 회의'로서의 독립성을 잃을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간접 선거 방식이 유지되었다.[1]

1922년 헌법 개정으로 상원 선거에도 비례대표제가 도입되었다. 의석을 주에 직접 배분하는 대신, 주들을 비슷한 인구 규모의 네 그룹으로 묶고 각 그룹에서 정당 명부 비례대표제로 12~13명의 의원을 선출했다. 임기는 6년으로 줄었고, 3년마다 두 그룹씩 절반의 의원을 교체 선출했다. 1956년에는 의원 수가 50명에서 현재의 75명으로 늘어났으며, 인구 변화를 반영하여 주 그룹 간 의석 배분도 조정되었다.[4]

1983년 개혁으로 상원 의원의 임기는 하원과 같은 4년으로 줄었고, 주 그룹별 단계적 선거 제도는 폐지되어 전국을 단일 선거구로 하여 4년마다 전체 의원을 동시에 선출하는 현재의 방식으로 변경되었다.[6]

최근 선거인단 구성에도 변화가 있었다. 2017년 헌법 개정으로 카리브 네덜란드의 세 섬 주민들이 선출하는 선거단이 만들어져 2019년 선거부터 참여하게 되었고,[7] 2022년에는 해외 거주 네덜란드 국민을 위한 비거주 선거단 설립이 가능해졌다.[8]

3. 2. 의원 자격 및 임기

네덜란드 국민으로서 투표 자격을 갖춘 만 18세 이상 시민이라면 누구나 네덜란드 총회의 상원 의원 선거에 출마할 자격을 갖는다. 다만, 상원 의원이 하원 의원직을 동시에 맡는 것은 금지되어 있다.[9]

상원 의원의 임기는 4년이며, 주 의회에 의해 4년마다 간접 선거 방식으로 선출된다. 현재의 4년 임기는 1983년 헌법 개정을 통해 하원 의원의 임기와 동일하게 맞춰지고, 전체 의원을 동시에 선출하는 방식으로 변경된 것이다.[6] 이전에는 임기가 여러 차례 변경되었다. 1815년 상원이 처음 설립되었을 때는 국왕이 의원을 종신직으로 임명했으나,[3] 1848년 개혁 이후에는 9년 임기로 변경되었고 3년마다 3분의 1씩 교체되었다.[4] 1922년에는 임기가 6년으로 단축되었으며, 3년마다 절반의 의원을 새로 선출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4]

3. 3. 정당별 의석 분포

2023년 5월 30일 실시된 네덜란드 상원 선거 결과에 따른 정당별 의석 분포는 다음과 같다.

정당대표의석 수
농민-시민 운동 (BoerBurgerBeweging)일로나 라가스16
녹색좌파-노동당 (GroenLinks–PvdA)파울 로젠뮬러14
자유민주인민당 (Volkspartij voor Vrijheid en Democratie)에디트 쉬퍼스10
기독교민주당 아펠 (Christen-Democratisch Appèl)테오 보번스6
민주66 (Democraten 66)파울 판 메넨5
자유당 (Partij voor de Vrijheid)알렉산더 판 하템4
동물당 (Partij voor de Dieren)니코 코프만3
JA21안나벨 난닝가3
사회당 (Socialistische Partij)티니 콕스3
기독교연합 (ChristenUnie)티네케 후이징가3
민주주의를 위한 포럼 (Forum voor Democratie)요한 데싱2
볼트 네덜란드 (Volt Nederland)가비 페린-고피2
개혁정치당 (Staatkundig Gereformeerde Partij)피터 샬크2
50PLUS마르틴 판 로이옌1
독립정치 네덜란드 (Onafhankelijke Politiek Nederland)아우케 판 데르 고트1


4. 의장단

의장단은 상원의 일상 업무를 담당한다. 의장단은 상원 의장과 두 명의 부의장으로 구성된다.[11][12]

직책사진이름소속 정당
의장
2019년 7월 2일부터
얀 안토니 브뤼인
얀 안토니 브뤼인
(1958년생)
자유민주국민당 (VVD)
제1부의장
2023년 7월 4일부터
메이 리 보스
메이 리 보스
(1970년생)
녹색좌파-노동당 (GL-PvdA)
제2부의장
2023년 7월 4일부터
로베르트 크롤
로베르트 크롤
(1954년생)
농민-시민 운동 (BBB)


5. 역할 및 권한

하원과 함께 입법부를 구성하는 네덜란드 상원의 주요 역할은 하원에서 통과된 법안을 최종적으로 검토하고 승인하는 것이다. 상원은 제출된 법안에 대해 가부를 결정할 권한을 가진다.[1][5]

그러나 상원은 하원과 달리 스스로 법안을 발의하거나 하원에서 넘어온 법안을 수정할 수 없다. 이러한 제한 때문에 상원은 법안의 정치적 측면보다는 법 기술적 완성도, 기존 법률과의 체계 정합성, 헌법 부합 여부 등을 신중하게 심사하는 데 중점을 둔다. 이는 상원이 정치적 논쟁에서 벗어나 입법의 질을 관리하는 '숙고의 장'(chambre de réflexion|샹브르 드 레플렉시옹프랑스어)으로서 기능해야 한다는 기대 때문이다.[5] 이러한 역할은 1848년 헌법 개혁 이후 상원의 주요 기능으로 확립되었다.[5]

상원 회의는 보통 일주일에 한 번 열린다. 상원 의원은 오랜 정치 경력을 가진 인물이거나 다른 분야에서 활동하며 파트타임으로 의정 활동에 참여하는 경우가 많다. 상원 의원은 주 의회 의원들에 의해 4년 임기로 선출된다.

참조

[1] 웹사이트 Tweekamerstelsel https://www.parlemen[...] 2018-01-13
[2] 웹사이트 Geschiedenis Eerste Kamer https://www.eersteka[...] 2018-01-13
[3] 웹사이트 Eerste Kamer der Staten-Generaal (1815-1861) http://resources.huy[...] 2018-01-13
[4] 웹사이트 Geschiedenis kiesstelsel Eerste Kamer https://www.parlemen[...] 2018-01-13
[5] 웹사이트 English http://www.eerstekam[...] 2014-08-02
[6] 웹사이트 Staatscommissie-Cals/Donner https://www.parlemen[...] 2024-03-09
[7] 간행물 Q&A's kiescollege 2019 https://www.rijksdie[...] Rijksdienst Caribisch Nederland 2019-01-03
[8] 웹사이트 Wet kiescollege niet-ingezetenen (36.071) https://www.eersteka[...]
[9] 웹사이트 Het lidmaatschap van de Eerste Kamer - https://www.eersteka[...] 2023-06-08
[10] 웹사이트 Eerste Kamer https://www.kiesraad[...] 2016-04-20
[11] 웹사이트 College van Voorzitter en Ondervoorzitters https://www.eersteka[...] 2023-07-07
[12] 웹사이트 Vos en Croll gekozen tot Ondervoorzitters https://www.eersteka[...] 2023-07-04
[13] 웹사이트 Vos en Croll gekozen tot Ondervoorzitters https://www.eersteka[...] 2023-07-04
[14] 웹사이트 Uitslag Eerste Kamerverkiezing 2023 https://www.kiesraad[...] 2023-06-01
[15] 문서 주의 인구에 기반한 투표 가치 계수로 조정한 후의 값
[16] 문서 주의 인구에 기반한 투표 가치 계수로 조정한 후의 득표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