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네비올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네비올로는 이탈리아 피에몬테가 원산지인 적포도 품종이다. 네비올로는 바롤로, 바르바레스코 등 고급 와인의 주재료로 사용되며, 숙성 잠재력이 뛰어나다. 이 포도는 이탈리아 외에도 미국, 호주 등지에서 재배되며, 지역에 따라 스판나, 키아베나스카 등의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네비올로 와인은 높은 산도와 탄닌, 타르, 장미 등의 독특한 향을 특징으로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적포도주용 포도 품종 - 콩코드 포도
    콩코드 포도는 1849년 에프라임 웨일스 불이 매사추세츠주 콩코드에서 개발한 품종으로, 젤리, 잼, 포도 주스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특히 웰치스 포도 과즙 회사의 기원이 되었다.
  • 적포도주용 포도 품종 - 말벡
    말벡은 고대 로마 시대부터 재배된 적포도 품종으로, 현재는 아르헨티나에서 국가 품종으로 여겨질 만큼 널리 재배되며 짙은 색상과 풍부한 탄닌을 특징으로 한다.
네비올로
개요
이탈리아 네비올로 클러스터 클로즈업
네비올로 클러스터
종류적포도
학명비티스 비니페라
원산지피에몬테, 이탈리아
주요 생산 지역피에몬테
주요 와인바롤로
바르바레스코
로에로
가티나라
게메
별칭네비에울
명칭
어원이탈리아어 '네비아(nebbia, 안개)', 또는 '노빌레(nobile, 고귀한)'
피에몬테어네비에울 (nebieul)
로마자 표기Nebbiolo
IPA (영어)/ˈnɛbiːˈoʊloʊ/
IPA (이탈리아어)/nebˈbjɔːlo/
IPA (피에몬테어)/neˈbjøl/
특징
설명이탈리아 피에몬테 지역이 원산지인 적포도 품종이다.
기타
VIVC 번호8417

2. 역사

포도 품종학자들은 네비올로가 피에몬테 지역의 토착종이라고 믿고 있지만, 일부 DNA 증거는 이 품종이 동쪽에 있는 북부 롬바르디아의 발텔리나 지역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3] 서기 1세기에 플리니우스는 현재 바롤로 DOCG 지역 북서쪽에 위치한 폴렌티아 지역에서 생산되는 와인의 탁월한 품질을 언급했다. 플리니우스는 폴렌초 와인의 포도 품종을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았지만, 그의 와인에 대한 묘사는 이후 네비올로 기반 와인에 대한 설명과 유사하여, 이것이 피에몬테 지역에서 네비올로로 만든 와인에 대한 최초의 언급일 수 있다.

네비올로에 대한 최초의 명확한 언급은 1268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당시 "니비올(nibiol)"로 알려진 와인이 토리노 근처 리볼리에서 재배되었다고 묘사되었다.[4] 1303년에는 로에로 지역의 한 생산자가 "네비올로(nebiolo)"(sic) 한 통을 가지고 있었다는 기록이 있었다. 1304년 논문 ''Liber Ruralium Commodorum''에서 이탈리아 법학자 피에트로 크레센치는 "누비올라(nubiola)"로 만든 와인이 품질이 매우 뛰어나다고 묘사했다. 15세기에 라 모라 지역(현재 바롤로 지역)의 법규는 네비올로 포도나무가 그 지역에서 얼마나 높은 평가를 받았는지 보여주었다. 이 법률에 따르면, 네비올로 포도나무를 베는 것에 대한 처벌은 무거운 벌금에서 재범의 경우 오른손 절단 또는 교수형까지 다양했다.[2]

이 포도는 18세기에 영국인들이 프랑스인과의 오랜 정치적 갈등으로 인해 보르도의 대체 와인 소스를 찾으면서 피에몬테 밖에서 처음으로 주목을 받았다. 그러나 피에몬테에서 런던으로의 운송이 쉽지 않아 피에몬테 와인은 보르도, 포트, 셰리와 관련된 영국 애호가와의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하지 못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네비올로의 재배는 19세기 필록세라 유행이 발생할 때까지 계속 증가했다. 해충으로 인해 광대한 포도원이 황폐화되자 일부 포도원 소유주들은 다른 포도 품종으로 다시 심기로 결정했으며, 바르베라가 주요 수혜자가 되었다. 오늘날 네비올로는 피에몬테 포도원의 약 9%를 차지하는 반면, 바르베라는 30%를 차지한다.[4]

3. 포도 재배

랑게(Langhe)의 네비올로 포도원 안개. 이탈리아어 '안개' 는 네비올로 이름의 기원일 수 있다.


포도 품종학자들은 네비올로가 피에몬테 지역의 토착종이라고 믿고 있지만, 일부 DNA 증거는 이 품종이 동쪽에 있는 북부 롬바르디아의 발텔리나 지역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3] 플리니우스는 서기 1세기에 현재 바롤로 DOCG 지역 북서쪽에 위치한 폴렌티아 지역에서 생산되는 와인의 탁월한 품질을 언급했는데, 그의 와인에 대한 묘사는 이후 네비올로 기반 와인에 대한 설명과 유사하여, 이것이 피에몬테 지역에서 네비올로로 만든 와인에 대한 최초의 언급일 수 있다. 1268년에는 "니비올(nibiol)"로 알려진 와인이 토리노 근처 리볼리에서 재배되었다는 기록이 있고,[4] 1303년에는 로에로 지역의 한 생산자가 "네비올로(nebiolo)" 한 통을 가지고 있었다는 기록이 있었다. 1304년 논문 ''Liber Ruralium Commodorum''에서 이탈리아 법학자 피에트로 크레센치는 "누비올라(nubiola)"로 만든 와인이 품질이 매우 뛰어나다고 묘사했다. 15세기 라 모라 지역(현재 바롤로 지역)의 법규는 네비올로 포도나무를 베는 것에 대한 처벌이 무거운 벌금에서 재범의 경우 오른손 절단 또는 교수형까지 다양했다.[2]

18세기 영국인들이 프랑스인과의 갈등으로 보르도의 대체 와인 소스를 찾으면서 피에몬테 밖에서 처음으로 주목을 받았다. 그러나 피에몬테에서 런던으로의 운송이 쉽지 않아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하지 못했다. 19세기 필록세라 유행으로 포도원이 황폐화되자 일부 포도원 소유주들은 다른 포도 품종으로 다시 심기로 결정했으며, 바르베라가 주요 수혜자가 되었다. 오늘날 네비올로는 피에몬테 포도원의 약 9%를 차지하는 반면, 바르베라는 30%를 차지한다.[4] 2004년 연구에 따르면 네비올로는 피에몬테의 프레 이자 품종과 프랑스 품종인 비오니에 등 두 가지 향기로운 포도 품종을 통해 피에몬테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5]

네비올로는 이탈리아 피에몬테 알바 지역에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다른 피에몬테 포도 품종에 비해 네비올로는 가장 먼저 눈을 트는 품종 중 하나이며, 10월 중순에서 늦게 수확이 이루어지는 가장 늦게 익는 품종이다. 일부 빈티지에서는 바르베라와 돌체토의 발효를 마치고 네비올로를 수확하기도 한다.[4] 숙성을 돕기 위해 생산자들은 네비올로를 햇빛을 더 많이 받을 수 있는 남쪽 및 남서쪽 경사면에 심는다.[2] 가장 이상적인 위치는 150m 에서 300m 사이의 고도이며 바람으로부터 자연적인 보호를 제공해야 한다. 이 포도는 특히 눈 트기 또는 개화 기간에 습한 날씨가 있으면 수분에 매우 취약하다. 피에몬테 네비올로의 최고 등급 와인은 9월과 10월에 건조한 날씨가 있었던 빈티지에서 나오는 경향이 있다.[4] 네비올로는 높은 산도와 타닌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필요한 당과 과일 풍미를 발달시키기 위해 충분한 따뜻함이 필요하다. 카레마, 발텔리나, 도나츠와 같은 더 시원한 기후 지역에서는 강렬한 산도와 타닌을 가진 미디엄 바디 와인을 생산한다.[2]

네비올로는 다양한 포도원 토양 유형에 잘 적응하지 못하며, 바롤로와 바르바레스코가 생산되는 알바 주변 타나로 강의 오른쪽 강둑에서 발견되는 석회질 마르 토양을 선호한다. 사질 토양에서도 잘 자랄 수 있지만, 이 토양 유형의 와인은 향이 덜 나는 경향이 있으며, 특히 고전적인 타르 향이 부족하다.[2] 겜메와 가티나라의 더 가벼운 와인은 노바라베르첼리 사이 언덕의 산성 반암 토양에서 나온다. 아오스타 계곡 하류에서는 토양에 화강암이 고농도로 함유되어 있으며, 롬바르디아의 발텔리나 지역의 토양은 주로 편암 기반이다. 토양 유형 외에도 배수 능력과 마그네슘칼륨 농도가 생산되는 네비올로 와인의 종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4]

바롤로와 바르바레스코는 고급 와인으로 여겨지는 품종이다.[19] 토양의 성질이나 햇볕이 드는 정도 등 재배 조건에 많은 조건을 필요로 한다.[19]

네비올로는 기본적으로 색은 옅고, 미숙성 상태에서는 타닌과 산미가 강하지만, 3~4년 숙성하면 고급 와인이 된다.[19] 네비올로라는 이름은 쿠네오 현에서의 호칭이며, 피에몬테 주에서는 스판나(Spanna)[20], 롬바르디아 주에서는 키아베나스카(Chiavennasca), 아오스타 밸리에서는 피쿠투네르(Picoutener)나 피코텐드로(Picotendro)[21] 등으로 불린다.[18]

3. 1. 클론

워싱턴 주(Washington State)의 레드 윌로우 포도원(Red Willow Vineyard)에서 자라는 네비올로 잎


피노 누아(Pinot noir)와 같이 고대 혈통을 가진 많은 품종처럼, 네비올로 포도나무는 유전적으로 불안정하고 돌연변이가 잘 일어난다. 2001년 기준으로 약 40개의 서로 다른 클론의 네비올로가 확인되었다.[4] 와인 양조에 사용되는 세 가지 주요 표현형은 람피아, 미체, 네비올로 로제이다.

네비올로 로제는 원래 네비올로 클론으로 여겨졌지만, DNA 연구를 통해 네비올로와 부모-자식 관계를 가진 별개의 포도 품종임이 밝혀졌다. 바롤로와 바르바레스코의 DOCG 규정은 와인을 네비올로만으로 만들도록 요구하지만, 네비올로 로제는 실제로 허용된다. 네비올로 로제가 와인의 옅은 색상으로 인해 별개의 품종이라는 사실이 밝혀지기 오래전에 인기를 잃었기 때문에 그 영향력은 제한적이다. 결과적으로, 네비올로 로제는 바롤로와 바르바레스코 생산을 위해 재배되는 포도나무의 작은 비율만을 차지한다. 게다가, 그 존재가 상당한 것으로 알려진 병입은 몇 개 되지 않는다.[7]

람피아 계통은 다양한 토양 유형에 가장 잘 적응한다. 네비올로의 혈통에서 근친 교배로 인해, 이 포도나무는 바이러스로 인한 포도 질병에 매우 취약하다. 람피아 유전형의 바이러스 감염은 원래 미체 표현형을 발생시켰다(하지만 현재 재배되는 미체 클론은 바이러스가 없다). 미체는 다양한 토양 유형에 덜 쉽게 적응하지만, 작은 송이와 낮은 수확량으로 인해 고도로 농축된 와인을 만든다.[2] 많은 포도원에서 생산자들은 와인의 복잡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다양한 네비올로 클론을 유지한다.[4]

4. 와인 양조

네비올로는 전통적으로 숙성 초기에는 옅은 루비색을 띤다.


네비올로 와인 양조는 "전통적" 방식과 "모더니스트" 방식으로 나뉜다. 두 방식 모두 온도 조절 발효 기술이 없던 과거의 양조 방식에서 유래되었다. 네비올로의 늦은 수확 시기 때문에 날씨가 추워지면 발효가 지연되었고, 이는 침용 기간과 타닌 등의 페놀 화합물 추출을 연장시켰다. 발효가 시작되면 온도가 35°C~38°C까지 올라가 아로마와 풍미를 감소시켰다. 높은 타닌 함량 때문에 초기 바롤로는 떫은 맛을 부드럽게 하기 위해 오크 배럴에서 5년 이상 숙성해야 했다. 위생에 대한 이해 부족은 불쾌한 풍미와 와인 결함을 유발했고, 이를 완화하기 위해 최소 24시간 디캔팅이 필요했다.[4]

오늘날에는 전통주의자와 모더니스트 모두 위생 관리를 철저히 하고 현대 와인 제조 장비를 사용한다. 많은 생산자가 전통적인 방식과 현대적인 기술을 함께 사용한다. 전통적인 방식은 20~30일의 긴 침용 기간과 오래된 대형 ''보티(botti)'' 크기의 배럴을 사용한다. 현대적인 방식은 7~10일의 짧은 침용 기간과 27.8°C~30°C의 낮은 발효 온도를 활용하여 과일 풍미와 아로마를 보존한다. 발효 기간이 끝나갈 무렵 와인 저장고를 가열하여 젖산 발효를 유도하여 거친 산도를 부드럽게 한다. 현대 와인 메이커는 작은 새 오크 배럴을 선호하며, 숙성 기간은 2년 정도이다. 새 오크는 바닐라 향을 부여하여 네비올로의 특징적인 장미 향을 가릴 수 있다.[4]

4. 1. 블렌딩

피에몬테 지역에서는 네비올로의 색상을 더하거나, 포도의 거친 탄닌을 부드럽게 하기 위해 다른 포도 품종을 섞는 오랜 역사가 있다. 바르베라, 크로아티나, 보나르다 피에몬테세와 같은 적포도 품종 외에도 아르네이스와 파보리타와 같은 백포도 품종 역시 네비올로와 섞는 방식으로 사용되었다.[8] 역사적으로 아르네이스와 네비올로를 섞는 것은 매우 일반적이어서 아르네이스의 다른 이름은 "바롤로 비앙코" 또는 "화이트 바롤로"였다.[8]

오늘날, 바롤로와 바르바레스코의 DOCG 규정은 와인이 100% 단일 품종 네비올로로 만들어져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1998년, 바르바레스코 지역의 생산자들은 와인에 다른 포도 품종을 10~15% 섞는 것을 허용하는 제안을 했지만, 이탈리아 와인 평론가들의 부정적인 여론으로 인해 그 계획은 무산되었다. 오즈 클라크와 같은 평론가들은 일부 생산자들이 바롤로의 색상과 풍미를 좋게 하기 위해 바르베라나 시라, 심지어 카베르네 소비뇽을 사용할 수 있다는 추측을 하지만, 이것이 실제로 일어난다는 명확한 증거는 없다.[4]

로에로 DOC의 네비올로 기반 와인의 경우, 2~5%의 아르네이스를 섞는 것이 허용되지만, 대부분의 생산자는 이 허용량을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베스폴리나, 크로아티나, 보나르다를 섞는 것이 허용되는 겜메와 가티나라의 많은 생산자들은 거의 100% 네비올로를 사용한다. 롬바르디아의 발텔리나 지역에서는 메를로, 피노 네로, 피뇰라, 프루뇰로, 로솔라를 네비올로와 섞을 수 있다.[4]

5. 주요 와인 생산 지역

바롤로 한 잔


네비올로는 2010년 기준으로 전 세계적으로 5993ha에서 재배되며, 이 중 457ha를 제외한 대부분이 이탈리아 북서부 피에몬테주에 있다.[9] 피에몬테주에서는 바롤로, 바르바레스코, 가티나라, 겜메, 네비올로 달바 등 주요 DOC 및 DOCG 와인의 기본 품종이다. 피에몬테주 외에도 발레 다오스타의 도나즈, 롬바르디아주발텔리나와 프란차코르타 등 인접 지역과 베네토주에서도 소량 재배되며, 일부 생산자는 네비올로 ''레치오토'' 와인을 만들기도 한다.

워싱턴 주 레드 윌로우 빈야드에 있는 1985년 네비올로 초기 재배지


이탈리아 외에는 미국 와인 생산자들이 캘리포니아주, 워싱턴주, 오리건주, 버지니아주에서 총 68ha를 재배한다. 멕시코 바하칼리포르니아주 북부에서는 180ha에서 네비올로를 생산한다. 아르헨티나 산후안주에는 49ha, 호주 빅토리아주 킹 밸리에는 98ha가 재배되고 있으며,[2] 서호주 지오그래피 와인 지역에서도 성공을 거두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 우루과이, 칠레에서도 소량 재배된다.

캘리포니아 와인에서는 19세기 초 이탈리아 이민자들의 영향으로 네비올로가 도입되었다. 20세기 카베르네 소비뇽과 메를로 인기로 재배 면적이 감소했지만, 현재 센트럴 밸리를 중심으로 산발적으로 재배되고 있다. 캘리포니아 와인 생산자들은 네비올로에 적합한 부지를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4]

워싱턴 주에서는 1985년 야키마 밸리 AVA 레드 윌로우 빈야드에 처음 심어졌고, 1987년 첫 단일 품종 와인이 출시되었다. 워싱턴 주 생산자들은 네비올로 재배 적지를 찾고 있으며, 주로 단일 품종 와인을 생산하지만 돌체토, 시라와 혼합하기도 한다.[11]

호주에서는 초기 재배지가 덥고 건조하여 어려움을 겪었으나, 빅토리아 주 킹 밸리, 애들레이드 힐스 등 서늘한 지역에서 성공적인 결과를 얻었다. 모닝턴 반도와 마가렛 리버 지역은 피에몬테 랑게와 비슷한 기후 조건을 보이며, 벤디고, 클레어 밸리, 머지도 잠재력을 인정받고 있다.[4] 현재 호주에서는 빅토리아 북동부, 야라 밸리, 남호주, 특히 애들레이드 힐스를 중심으로 수백 종의 네비올로 와인이 생산된다.[12] 네비올로는 호주 일부 재배자, 생산자들의 관심을 끌었으며, 가을과 겨울 안개가 잦은 내륙, 고지대에서 좋은 결과를 보인다.[13]

멕시코 와인 생산지 멕시코 엔세나다에서는 L.A. Cetto 생산자들이 미국 국경 근처 바하칼리포르니아에서 네비올로 재배 실험을 통해 좋은 결과를 얻고 있다.

남아메리카 칠레에서는 초기 결과가 좋지 않았지만, 와인 생산자들은 적합한 품종을 찾고 있다. 아르헨티나 네비올로는 높은 수확량으로 발전이 더뎠다. 유럽 오스트리아 미텔부르겐란트 지역에서 일부 재배가 이루어진다.[4]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는 1910년 처음 수입되었으나 1990년대까지 단일 품종으로 재배되지 않았고, 2016년 기준 재배 면적은 25헥타르 미만이다.[14]

5. 1. 이탈리아



포도 품종학자들은 네비올로가 피에몬테 지역의 토착종이라고 믿고 있지만, 일부 DNA 증거는 이 품종이 동쪽에 있는 북부 롬바르디아의 발텔리나 지역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3] 서기 1세기에 플리니우스는 현재 바롤로 DOCG 지역 북서쪽에 위치한 폴렌티아 지역에서 생산되는 와인의 탁월한 품질을 언급했다. 플리니우스는 폴렌초 와인의 포도 품종을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았지만, 그의 와인에 대한 묘사는 이후 네비올로 기반 와인에 대한 설명과 유사하여, 이것이 피에몬테 지역에서 네비올로로 만든 와인에 대한 최초의 언급일 수 있다. 네비올로에 대한 최초의 명확한 언급은 1268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당시 "니비올(nibiol)"로 알려진 와인이 토리노 근처 리볼리에서 재배되었다고 묘사되었다.[4] 1303년에는 로에로 지역의 한 생산자가 "네비올로(nebiolo)"(sic) 한 통을 가지고 있었다는 기록이 있었고, 1304년 논문 ''Liber Ruralium Commodorum''에서 이탈리아 법학자 피에트로 크레센치는 "누비올라(nubiola)"로 만든 와인이 품질이 매우 뛰어나다고 묘사했다. 15세기에 라 모라 지역(현재 바롤로 지역)의 법규는 네비올로 포도나무가 그 지역에서 얼마나 높은 평가를 받았는지 보여주었다. 이 법률에 따르면, 네비올로 포도나무를 베는 것에 대한 처벌은 무거운 벌금에서 재범의 경우 오른손 절단 또는 교수형까지 다양했다.[2]

18세기에 영국인들이 프랑스인과의 오랜 정치적 갈등으로 인해 보르도의 대체 와인 소스를 찾으면서 피에몬테 밖에서 처음으로 주목을 받았다. 그러나 피에몬테에서 런던으로의 운송이 쉽지 않아 피에몬테 와인은 보르도, 포트, 셰리와 관련된 영국 애호가와의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하지 못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네비올로의 재배는 19세기 필록세라 유행이 발생할 때까지 계속 증가했다. 해충으로 인해 광대한 포도원이 황폐화되자 일부 포도원 소유주들은 다른 포도 품종으로 다시 심기로 결정했으며, 바르베라가 주요 수혜자가 되었다. 오늘날 네비올로는 피에몬테 포도원의 약 9%를 차지하는 반면, 바르베라는 30%를 차지한다.[4]

피에몬테 지역은 네비올로의 포도 재배 본고장으로 여겨지며, 이 포도 품종으로 가장 유명한 와인이 생산되는 곳이다. 이 지역의 일관된 대륙성 기후는 타나로 강의 영향과 결합하여 네비올로 고유의 ''테루아''를 만들어내며, 이는 세계 다른 지역에서는 쉽게 재현되지 않는다.

피에몬테 북부의 노바라와 베르첼리 지역에 심어진 네비올로는 더 가볍고 흙 냄새가 나는 와인을 생산하는 경향이 있다.


가장 잘 알려진 네비올로 기반 와인은 알바 근처의 바롤로 & 바르바레스코 지역에서 생산되는 DOCG 와인이다.

  • 바르바레스코는 두 와인 중 더 가볍게 여겨지며, DOCG 규정이 덜 엄격하다. 일반적인(normale) 병입은 오크통에서 9개월, 총 21개월 숙성을 요구하며, ''리세르바''(riserva) 병입은 총 45개월 숙성을 요구한다.
  • 바롤로 DOCG는 ''normale'' 병입의 경우 오크통에서 18개월[10], 총 3년 숙성을 요구하며, ''리세르바''의 경우 총 62개월 숙성을 요구한다.


두 지역의 최소 알코올 도수는 약간의 차이가 있어, 바르바레스코는 최소 12.5%, 바롤로는 13%를 요구한다.[4] (그러나, 1999년부터 바롤로도 최소 12.5%를 요구한다.)

바롤로 지역은 바르바레스코 지역보다 3배 크며, 각 코뮌(commune, 행정구역)은 네비올로 기반 와인을 생산하는데, 이들 와인 사이에는 뚜렷한 차이가 있다.

  • 카스틸리오네 팔레토 코뮌에서는 와인이 더 강력하고 농축되어 있으며, 섬세함을 가질 잠재력이 있다.
  • 몬포르테 달바에서 재배된 네비올로는 탄닌 구조가 탄탄하며, 숙성 잠재력이 가장 높다.
  • 세랄룽가 디 크레아 지역은 가장 무겁고 풀 바디의 네비올로 와인을 생산하며, 다른 지역보다 2주 정도 늦게 수확을 시작한다.


이 세 지역은 지역 동쪽에 위치해 있으며, 모래와 석회암이 지배적인 토양을 가지고 있다. 서쪽의 라 모라와 바롤로 코뮌은 백악과 마아가 지배적인 토양을 가지고 있으며, 향이 더 풍부하고 질감이 더 부드러운 와인을 생산한다. 바롤로와 바르바레스코 지역 전체에는 점토 퇴적물이 있어, 네비올로에 상당한 탄닌을 더한다.[4]

바롤로(Barolo)와 바르바레스코(Barbaresco) 외에도, 네비올로는 북부 피에몬테의 노바라베르첼리 언덕에 위치한 겜메(Ghemme)와 가티나라(Gattinara) DOCG 와인에서 발견된다.

  • 이 지역에서 포도는 스판나(Spanna)라고 불리며, 더 가볍고 흙내음이 나는 와인을 생산하는 경향이 있다. 생산자들은 네비올로 100%를 의무화하는 대신, 보나르다(Bonarda), 크로아티나(Croatina), 베스폴리나(Vespolina)를 소량 블렌딩할 수 있지만, 대부분 현대 생산자들은 네비올로의 높은 비율을 선호한다.
  • 피에몬테 북서부 코너, 발레 다오스타 근처의 Carema DOC의 서늘한 기후는 향이 풍부한 네비올로 와인을 생산하지만, 일부 빈티지에서는 숙성에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 바롤로와 바르바레스코 맞은편의 타나로 강에 위치한 로에로(Roero) 지역의 와인은 타닌이 적고 가벼운 경향이 있는 반면, Nebbiolo d'Alba DOC 하에 인근 알바(Alba)에서 생산된 와인은 더 복합적이고 바디감이 있을 수 있다.[4]


피에몬테 외에도, 네비올로는 롬바르디(Lombardy) 지역의 발텔리나(Valtellina)에 상당한 양이 재배되며, 이 곳에서는 포도를 키아벤나스카(Chiavennasca)라고 부른다. 높은 수확량과 아고산 기후는 숙성이 부족하고 산도가 높은 네비올로를 생산하는 경향이 있다. 네비올로는 또한 Sfursat로 알려진 농축된 아마로네 타입 와인을 만드는 데 사용된다. 프란차코르타에서 네비올로는 바르베라(Barbera), 카베르네 프랑 및 메를로와 함께 지역의 ''rosso'' 와인에서 허용되는 포도 품종이다. 피에몬테 북서쪽에 위치한 발레 다오스타에서는 네비올로가 카레마(Carema) 인근의 돈나즈(Donnaz) 지역에서 일부 재배된다.[4]

5. 2. 기타 지역



네비올로는 2010년 기준으로 전 세계적으로 5993ha의 면적에서 재배되며, 이 중 457ha를 제외한 모든 지역이 이탈리아 북서부의 피에몬테주에 위치해 있다.[9] 피에몬테주 외에는 발레 다오스타의 도나즈 지역과 롬바르디아주발텔리나, 프란차코르타 등 인접 지역에서도 발견된다. 베네토주에는 소량의 네비올로가 재배되며, 일부 생산자는 이를 사용하여 네비올로 ''레치오토'' 와인을 만든다.

이탈리아 외에서는 미국 와인 생산자들이 캘리포니아주, 워싱턴주, 오리건주, 심지어 버지니아주에서 총 68ha에 달하는 면적으로 재배를 시도하고 있다. 멕시코의 바하칼리포르니아주 북부 지역에서는 180ha에서 네비올로 품종을 생산한다. 아르헨티나산후안주에는 49ha가 재배되고 있으며, 호주의 빅토리아주 킹 밸리 지역의 생산자들은 98ha의 네비올로 재배를 통해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두었다.[2] 서호주의 지오그래피 와인 지역에서도 성공을 거두었다. 네비올로는 또한 남아프리카 공화국, 우루과이, 칠레에서도 소량 재배된다.

캘리포니아 와인에서, 19세기 초 이탈리아 이민자들의 영향으로 네비올로는 미국의 와인 산업에 도입되었다. 20세기에 카베르네 소비뇽과 메를로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네비올로를 비롯한 다른 이탈리아 품종들의 재배 면적은 꾸준히 감소했다. 오늘날 캘리포니아 주 전역에 네비올로가 산발적으로 재배되고 있으며, 대부분은 저가 와인 생산 지역인 센트럴 밸리에 위치해 있다. 캘리포니아 와인 생산자들이 더 높은 품질의 와인을 생산하려 함에 따라, 네비올로에 이상적인 부지를 찾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4]

워싱턴 주에서는 1985년 야키마 밸리 AVA의 레드 윌로우 빈야드에 처음 네비올로가 심어졌으며, 1987년에 첫 단일 품종 와인이 출시되었다. 캘리포니아와 마찬가지로 워싱턴 주 생산자들도 네비올로를 재배하기에 가장 적합한 부지를 파악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와인은 주로 단일 품종으로 생산되지만, 일부 생산자들은 돌체토와 시라를 혼합하여 와인을 만들기도 한다.[11]

호주에서 와인 생산자들은 네비올로 품종으로 초기에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는데, 최초로 재배된 많은 곳이 포도 재배에 너무 덥고 건조한 내륙 지역이었기 때문이다. 보다 서늘한 기후의 지역에 대한 연구를 통해 빅토리아 주의 킹 밸리(King Valley)와 더 서늘한 애들레이드 힐스(Adelaide Hills)와 같은 변두리 기후에서 더 적합한 예시들이 나오게 되었다. 추가 연구에 따르면 모닝턴 반도와 마가렛 리버 지역은 피에몬테의 랑게 지역과 비슷한 강수량, 상대 습도, 일조량을 가지고 있다. 벤디고, 클레어 밸리, 머지 역시 현재 네비올로의 잠재력을 위해 탐구되고 있다.[4] 현재 호주에서는 수백 종의 네비올로 와인이 생산되고 있으며, 주로 빅토리아 북동부 지역, 야라 밸리, 그리고 남호주, 특히 애들레이드 힐스에서 생산된다.[12]

네비올로는 수년에 걸쳐 호주의 일부 열정적인 재배자들과 생산자들의 관심을 끌었으며, 그들은 이 품종의 매우 훌륭한 예시들을 생산했다. 대부분의 경우, 이 품종이 가장 잘 자라는 호주의 지역은 가을과 겨울에 안개 구름이 흔히 보이는 곳, 즉 내륙 지역과 고지대인 경향이 있다.[13]

멕시코 와인 생산지인 멕시코 엔세나다에서는 (L.A. Cetto) 생산자들이 미국 국경 근처 바하칼리포르니아에 네비올로를 심는 실험을 해왔으며, 유망한 결과를 얻고 있다. 아르실라에서 생산되는 와인처럼 수확량이 적은 포도나무에서 생산된 100% 네비올로 와인은 매우 훌륭한 색상과 훌륭한 품질을 자랑한다.

남아메리카에서는 칠레에서 초기 결과로 높은 산도와 좋지 않은 색상의 와인이 생산되었으며, 와인 생산자들은 자국 기후에 가장 적합한 품종을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아르헨티나 네비올로의 발전은 과도하게 높은 수확량으로 인해 지연되었다. 유럽에서는 오스트리아 미텔부르겐란트 지역에 일부 재배가 이루어지고 있다.[4]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는 1910년 아브라함 아이작 페롤드에 의해 처음으로 품종이 수입되었지만, 1990년대까지 단일 품종으로 재배되지 않았으며, 2016년에는 25헥타르 미만의 재배 면적이 기록되었다.[14]

6. 와인의 특징

피에몬테 지역은 네비올로 포도 재배의 중심지이며, 이 품종으로 가장 유명한 와인을 생산하는 곳이다. 이 지역의 대륙성 기후는 타나로 강의 영향과 결합하여 네비올로 고유의 ''테루아''를 만들어내는데, 이는 세계 다른 지역에서는 쉽게 재현하기 어렵다. 알바 근처의 바롤로 & 바르바레스코 지역에서 생산되는 DOCG 와인이 가장 잘 알려져 있다. 바르바레스코는 두 와인 중 더 가볍게 여겨지며, DOCG 규정이 덜 엄격하다. 일반적인(normale) 병입은 오크통에서 9개월, 총 21개월 숙성을 요구하며, ''리세르바''(riserva) 병입은 총 45개월 숙성을 요구한다. 반면, 바롤로 DOCG는 ''normale'' 병입의 경우 오크통에서 18개월[10], 총 3년 숙성을 요구하며, ''리세르바''의 경우 총 62개월 숙성을 요구한다. 두 지역의 최소 알코올 도수는 약간의 차이가 있어, 바르바레스코는 최소 12.5%, 바롤로는 13%를 요구한다.[4] (그러나, 1999년부터 바롤로도 최소 12.5%를 요구한다.)

바롤로 지역은 바르바레스코 지역보다 3배 크며, 각 코뮌(commune, 행정구역)은 네비올로 기반 와인을 생산하는데, 이들 와인 사이에는 뚜렷한 차이가 있다. 카스틸리오네 팔레토 코뮌에서는 와인이 더 강력하고 농축되어 있으며, 섬세함을 가질 잠재력이 있다. 몬포르테 달바에서 재배된 네비올로는 탄닌 구조가 탄탄하며, 숙성 잠재력이 가장 높다. 세랄룽가 디 크레아 지역은 가장 무겁고 풀 바디의 네비올로 와인을 생산하며, 다른 지역보다 2주 정도 늦게 수확을 시작한다. 이 세 지역은 지역 동쪽에 위치해 있으며, 모래와 석회암이 지배적인 토양을 가지고 있다. 서쪽의 라 모라와 바롤로 코뮌은 백악과 마아가 지배적인 토양을 가지고 있으며, 향이 더 풍부하고 질감이 더 부드러운 와인을 생산한다. 바롤로와 바르바레스코 지역 전체에는 점토 퇴적물이 있어, 네비올로에 상당한 탄닌을 더한다.[4]

바르바레스코는 바롤로처럼 숙성 잠재력이 높다. 이 와인은 1976년 빈티지이며 숙성된 네비올로의 특징적인 오렌지색을 띠고 있다.


네비올로로 만든 와인은 풍부한 산도와 탄닌이 특징이다. 대부분의 예시는 숙성을 위해 만들어진 와인이며, 최고 품질의 빈티지 중 일부는 많은 와인 애호가들이 마시기에 적합해지기까지 상당한 숙성 기간(최소 10년 이상)이 필요하며, 병입 후 30년 이상 개선될 수 있다. 네비올로가 숙성되면서 부케는 더욱 복잡하고 매력적으로 변하며, 타르와 장미 향이 가장 흔하게 나타난다. 네비올로와 관련된 다른 향으로는 말린 과일, 자두, 가죽, 감초, 뽕나무, 향신료뿐만 아니라 말린 허브와 신선한 허브도 있다. 바롤로와 바르바레스코는 가장 무겁고 숙성이 필요한 경향이 있지만, 모더니스트 스타일로 만든 와인은 젊은 나이에도 더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 카레마, 랑게, 가티나라에서 생산된 더 가벼운 스타일은 빈티지 후 몇 년 이내에 마실 준비가 되는 경향이 있다. 캘리포니아와 호주산 네비올로는 생산자와 포도원의 품질에 따라 달라진다.

고급 와인으로 여겨지는 바롤로와 바르바레스코는 이 품종으로 만들어진다.[19] 토양의 성질이나 햇볕이 드는 정도 등 재배 조건에 많은 조건을 필요로 한다.[19] 기본적으로 색은 옅고, 미숙성 상태에서는 타닌과 산미가 강하지만, 3~4년의 숙성을 거쳐 고급 와인이 된다.[19]

7. 동의어

노바라베르첼리 지역에서는 널리 '''스판나'''라고 알려져 있다.[15] 아오스타 밸리 지역과 카레마 주변에서는 '''피쿠테네르'''라고 알려져 있다.[16] 발텔리나에서는 '''키아베나스카'''라고 알려져 있다.[2]

네비올로 포도 품종은 바르베시노, 브루넨타, 펨미나, 람피아, 마르케사나, 마르테사나, 멜라스카, 멜라스케토, 멜라스코네, 미셰, 몬페리나, 모르사노 디 카라글리오, 네비에울 그로소, 네비에울 마스키오, 네비올린, 네비올린 카나베사노, 네비올린 룽고, 네비올린 네로, 네비에, 네비에울, 네비에울 푸멜라, 네비올로, 네비올로 뒤 피에몬테, 니비에울 부르긴, 니비오, 니비올, 누비올라, 판틴, 피코, 피코텐드레, 피코텐드로, 피코테, 피코테네로, 피코울테네르, 피코우텐드로 마스키오, 포체테, 푸르네트, 프루넨트, 프루넨타, 푸그네트, 로제타, 스파냐, 스판, 스파나 코무네, 스파나 그로사, 우바 스파나 등으로도 알려져 있다.[17]

참조

[1] 웹사이트 Nebbiolo https://web.archive.[...]
[1] 사전 Nebbiolo http://www.lexico.co[...] Oxford University Press
[2] 백과사전 Nebbiolo Oxford University Press 2015
[3] 서적 Native Wine Grapes of Ital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4
[4] 백과사전 Nebbiolo Harcourt 2001
[5] 뉴스 Nebbiolo is viognier cousin, conference hears http://www.decanter.[...] 2019-01-17
[6] 서적 Wine Grapes: A complete guide to 1,368 vine varieties, including their origins and flavours Allen Lane 2012
[7] 서적 Native Wine Grapes of Ital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4
[8] 백과사전 Arneis Harcourt 2001
[9] 서적 Which Winegrape Varieties are Grown Where? A Global Empirical Picture http://www.adelaide.[...] University of Adelaide Press 2019-01-17
[10] 웹사이트 BAROLO DOCG appellation rules https://www.langhevi[...] 2022-11-15
[11] 서적 Washington wines and wineries: the essential guide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7
[12] 웹사이트 Nebbiolo red wine variety https://www.vinodive[...] 2020-07-18
[13] 웹사이트 Why nebbiolo wines from the Adelaide Hills make drinkers misty-eyed with emotion https://www.afr.com/[...] 2020-07-18
[14] 웹사이트 Nebbiolo - Grapes - South Africa https://southafrica.[...] 2023-12-15
[15] 사전 Nebbiolo Zanichelli 2006
[16] 웹사이트 Nebbiolo http://www.diwinetas[...] 2019-01-17
[17] 웹사이트 Passport data: Nebbiolo http://www.vivc.de/i[...] Julius Kühn-Institut 2019-01-17
[18] 웹사이트 ブドウ品種を知ろう!ネッビオーロ https://www.enoteca.[...] 2024-12-05
[19] 웹사이트 ワイン品種情報 https://chichukaifoo[...] 2024-12-05
[20] 웹사이트 スパンナ https://wine-link.ne[...] 2024-12-05
[21] 웹사이트 ピコテンドロ https://wine-link.ne[...] 2024-12-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