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노르망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르망디는 프랑스 북서부에 위치한 역사적 지역으로, 선사 시대부터 켈트족, 로마 제국을 거쳐 바이킹의 정착과 노르만 공국의 성립을 겪었다. 911년 바이킹 지도자 롤로에게 할양된 이 지역은 1066년 윌리엄 1세의 잉글랜드 정복으로 잉글랜드와 연합 왕국을 이루기도 했다. 백년 전쟁 이후 프랑스 왕국에 편입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노르망디 상륙 작전의 무대가 되었다. 현재는 프랑스의 레지옹으로, 농업과 유제품 생산, 관광 산업이 발달했으며, 프랑스어와 노르만어를 사용한다. 노르망디는 풍부한 예술적 유산을 지니고 있으며, 인상주의 화가들에게 영감을 준 곳으로도 유명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르망디 - 노르만인
    노르만인은 911년 프랑스 북부에 정착한 바이킹의 후예로, 노르망디 공국을 건설하고 잉글랜드와 남부 이탈리아, 시칠리아를 정복하며 유럽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노르망디 - 노르망디 (레지옹)
    노르망디는 프랑스 북서부에 위치한 레지옹으로, 윌리엄 1세의 잉글랜드 정복과 관련이 깊고 프랑스에 귀속되었으며, 바스노르망디와 오트노르망디로 분리되었다가 2016년 통합되어 5개의 데파르트망으로 구성되었고 루앙이 수도이다.
  • 프랑스의 프로뱅스 - 부르고뉴 공국
    부르고뉴 공국은 14세기부터 15세기까지 존재했던 서유럽의 강력한 정치 세력으로, 발루아-부르고뉴 가문이 통치하며 플랑드르와 네덜란드 등 광대한 지역을 지배했으나 부르고뉴 전쟁 패배로 멸망하고 프랑스와 합스부르크 가문에 분할되었다.
  • 프랑스의 프로뱅스 - 뮐루즈
    뮐루즈는 프랑스 알자스 지역의 역사적인 산업 도시로, 한때 "프랑스의 맨체스터"라 불리며 번영했고, 현재는 다양한 산업과 문화유산을 가진 도시로 푸조 자동차 공장, 박물관, 발달된 교통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 분단된 지역 - 대한민국
    대한민국은 동아시아에 위치한 한반도 남부에 위치한 국가로, 삼국시대를 계승하여 1897년 대한제국 선포 이후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으로 국호가 확정되었으며, 약 5천만 명의 인구와 약 10만 km²의 면적으로 대통령 중심의 대통령제를 채택하고 있다.
  • 분단된 지역 - 베트남 공화국
    베트남 공화국은 1955년 응오딘지엠이 수립한 국가로, 베트남 전쟁의 주요 무대였으며, 권위주의와 부패, 내전 격화, 미국의 개입을 거쳐 1975년 사이공 함락으로 멸망했다.
노르망디 - [지명]에 관한 문서

2. 역사

노르망디는 중세 초 노르만족의 본거지였다. 노르만족은 원주민인 갈리아인바이킹 침입자들이 섞인 것으로, 롤로의 지도 아래 파리를 공격했다가 911년 프랑스의 샤를 3세로부터 생클레르쉬레프트 조약으로 현재의 노르망디가 되는 프랑스 북동부를 할양받았다.

노르만족의 후예인 노르망디 공작 기욤(영어 정복자 윌리엄)은 1066년 헤이스팅스 전투에서 앵글로색슨 왕 헤럴드 고드윈슨을 물리치고 잉글랜드 왕이 되었다.[10] 이후 노르망디는 1087년까지 잉글랜드와 한 나라로 다스려졌으며, 1346년-1360년1415년-1450년의 백년전쟁 때도 영국군 주둔지로 남아 있었다.

1204년, 프랑스 왕 필리프 2세가 노르망디를 점령했다. 1259년 파리 조약으로 잉글랜드는 노르망디에 대한 권리를 포기했다(단, 채널 제도는 제외).

노르망디는 백년 전쟁 이후 경제적으로 풍요로운 지방이었으나, 종교 전쟁 때 알랑송, 루앵, 캉, 쿠탕스, 바유 등의 노르만 도시들이 개신교에 가담하여 프로방스 전체가 전란에 휘말리게 되었다. 프랑스 혁명 기간 동안에 노르망디는 파리의 자코뱅에 대항하여 연방 공화국 설립을 주장했다.

프랑스 혁명 당시 1790년에 5개의 주(데파르트망)로 분할되었다.[11] 제4공화국 하의 1956년에는 서부의 3개 주(칼바도스주, 망슈주, Orn주)를 합쳐 바스노르망디 레지옹이, 동부의 2개 주(외르주, 센마리팀주)를 합쳐 오트노르망디 레지옹이 설치되었다. 2016년 1월 1일, 레지옹 재편성에 의해 2개의 레지옹이 합병되어 노르망디 레지옹이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1944년 6월 6일, 연합군은 오버로드 작전이라는 암호명으로 노르망디 상륙작전을 개시했다. 미국군, 영국군, 캐나다군 등으로 구성된 연합군은 노르망디 해안에서 골드 해변, 유타 해변, 오마하 해변, 주노 해변, 소드 해변으로 해안을 5구역으로 나누어 상륙을 시도했다.[11] 독일군은 해변 위에 요새화된 진지에서 참호전을 벌였다. , 셰르부르, 카랑탕, 팔레즈 및 기타 노르망디의 마을들은 노르망디 상륙 작전에서 많은 사상자를 냈으며, 이는 샹부아와 몽 오르멜 사이의 소위 팔레즈 포위망이 닫힐 때까지 계속되었다. 그 후 르아브르가 해방되었다.

2. 1. 고대

동굴 벽화와 같은 고고학적 발견은 선사 시대에 이 지역에 인간이 존재했음을 증명한다. 노르망디에는 많은 거석 기념물도 있다.[5]

켈트족(벨가이와 골족으로도 알려짐)은 적어도 청동기 시대부터 노르망디에 거주했다.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갈리아를 침공했을 때(기원전 58–50년), 이 지역에는 아홉 개의 서로 다른 켈트 부족이 살고 있었다.[6]

갈로-로마 극장 in 릴본


이 지역의 로마화는 ''갈리아 켈티카''와 ''갈리아 벨기카''(센 강이 그 사이의 경계선)에 포함되어 로마 도로 건설과 도시화 정책으로 이루어졌다. 많은 갈로-로마 빌라가 언급되며, 고고학은 지난 30년 동안 그 흔적을 발견했다. 후기 로마 제국 시대에 ''루그두넨시스 세쿤다''라는 새로운 주가 창설되었으며, 이는 나중에 루앙 교구를 대략적으로 나타냈다. 여기에는 ''Metropolis civitas Rotomagensium'' (루앙), ''Civitas Baiocassium'' (''Augustodorum'', 바유), ''Civitas Abrincatum'' (''Ingena'', 아브랑슈), ''Civitas Ebroicorum'' (''Mediolanum'', 에브뢰), ''Civitas Saiorum'' (세), ''Civitas Lexoviorum'' (''Noviomagus'', 리지외 / 리에뱅) 그리고 ''Civitas Constantia'' (쿠탕스)가 포함되었다.[7]

3세기 후반, 오늘날 노르망디 지역이었던 "루그두넨시스 세쿤다"는 게르만족의 약탈로 황폐화되었다. 로마인들은 색슨 해안으로 알려진 해안 방어 시스템을 영국 해협 양쪽에 건설했다. 해안 정착지는 주로 색슨족 해적의 습격을 받았고, 결국 베생 지역에 정착했다.[8] 현대 고고학은 캉 동쪽에서 발굴된 여러 메로빙거 묘지에서 그들의 존재를 보여준다.[9] 이 시기에 기독교도 이 지역으로 유입되기 시작했고, 루앙에는 이미 4세기까지 대주교가 있었다. 루앙의 교회 관구는 로마의 ''루그두넨시스 세쿤다''를 기반으로 했는데, 그 경계는 미래의 공작령 노르망디와 거의 일치했다. 406년, 게르만 부족이 동쪽에서 침략하기 시작했고, 이후 주로 브레 지방, 코 지방, 벡생에 흩어져 정착했다. 487년 이른 시기에, 솜 강과 루아르 강 사이 지역은 프랑크족 영주 클로비스 1세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2. 2. 노르만족의 정착과 노르망디 공국

9세기 중반부터 바이킹이 센 강을 따라 약탈을 시작했다. 841년 이른 시기부터 바이킹 함대가 센 강 하구에 나타났고, 쥐미에주 수도원을 포함한 수도원들을 공격하고 파괴한 후, 샤를마뉴 제국의 붕괴로 인한 권력 공백을 틈타 북부 프랑스를 점령했다.[10] 노르망디 봉토중세 라틴어로 ''롤로''로 알려진 바이킹 지도자 ''흐롤프''를 위해 만들어졌다. 롤로는 파리를 포위했지만 911년에 서 프랑크의 왕 단순왕 샤를에게 생클레르쉬르에프트 조약을 통해 봉신이 되었다. 그의 충성과 의무에 대한 대가로, 롤로는 그와 그의 바이킹 동맹군이 이전에 정복한 영토를 법적으로 얻었다. "노르망디"라는 이름은 롤로의 바이킹("노르드인") 기원을 반영한다.

롤로와 그의 추종자들은 점차 현지 갈로-로망스어를 받아들이고, 이 지역의 토착 갈로-프랑크족 주민과 혼인하며, 기독교를 받아들인 귀족 계급을 형성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칸디나비아와 앵글로-스칸디나비아 정착민들의 첫 세대는 주로 영국 제도에서 온 노예들을 데려왔고, 종종 여성들을 스칸디나비아 전통인 프릴라로 만들었는데, 이는 중세 라틴어로 "덴마크 결혼"을 의미하는 ''모레 다니코''로 알려지게 되었다. 루앙의 초대 백작과 노르망디 공작도 첩을 두었다. 노르만 지명은 노르망디의 특정 지역에서 4~5세대에 걸쳐 고대 노르드어가 지속적으로 사용된 덕분에 상당한 스칸디나비아와 앵글로-스칸디나비아 유산을 유지하고 있다.

이후 이들은 노르드인과 토착 갈로-프랑크족이 혼합된 노르만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노르만족이 되었다.

바이에 시의 태피스트리 (장면 23): 헤럴드 2세가 정복왕 윌리엄에게 성스러운 유물에 맹세하고 있다.


롤로의 후손인 윌리엄은 1066년 헤이스팅스 전투에서 마지막 앵글로색슨 왕인 헤럴드 고드윈슨을 물리치고 잉글랜드 왕이 되었으며, 노르망디의 봉토는 자신과 그의 후손들에게 유지했다.

2. 3. 잉글랜드와의 관계

노르만족의 후예인 노르망디 공작 기욤(영어 정복자 윌리엄)은 1066년 헤이스팅스 전투에서 앵글로색슨 왕 헤럴드 고드윈슨을 물리치고 잉글랜드 왕이 되었다.[10] 이후 노르망디는 1087년까지 잉글랜드와 한 나라로 다스려졌다. 바이에 시의 태피스트리에는 헤럴드 2세가 정복자 윌리엄에게 성스러운 유물에 맹세하는 장면이 묘사되어 있다.

노르만 정복의 연대기 지도. 잉글랜드(1066–1485, 노르망디와 항상 동군 연합은 아님), 노르망디(911–1204), 남부 이탈리아와 시칠리아 (1030–1263), 트리폴리 주변 아프리카 지역 (1146–1158), 십자군 국가인 안티오크 공국과 부속 봉신국, 앙카라 공국(1073–1075), 타라고나 공국 (1129–1173), 카나리아 왕국.


이후 1346년-1360년1415년-1450년의 백년전쟁 때도 영국군 주둔지로 남아 있었다.

1204년 노르망디 분할 이후에도 채널 제도는 잉글랜드 왕실에 충성하며 노르망디 공국의 일부로 남아있다. 잉글랜드 국왕(현재 엘리자베스 2세)은 노르망디 공의 작위를 유지하고 있지만, 1259년 파리 조약으로 인해 잉글랜드 왕실의 프랑스 영토에 대한 작위는 전부 포기되었기 때문에 노르망디 공이라는 작위는 잉글랜드 밖에서는 인정되지 않는다.

2. 4. 프랑스 왕국의 일부

1204년, 프랑스 왕 필리프 2세가 노르망디를 점령했다. 1259년 파리 조약으로 잉글랜드는 노르망디에 대한 권리를 포기했다(단, 채널 제도는 제외). 종교 전쟁 시기에는 위그노(개신교)의 중심지 중 하나였다.

2. 5. 근대

프랑스 혁명 당시 1790년에 노르망디는 칼바도스주, 망슈주, orn주, 외르주, 센마리팀주의 5개 주(데파르트망)로 분할되었다.[11] 1956년 제4공화국 하에서 서부의 3개 주는 바스노르망디 레지옹으로, 동부의 2개 주는 오트노르망디 레지옹으로 합쳐졌다. 2016년 1월 1일, 레지옹 재편성에 의해 두 레지옹은 노르망디 레지옹으로 통합되었다.

19세기에는 산업화와 함께 해변 관광이 발전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말기에는 연합군의 노르망디 상륙 작전이 이곳에서 벌어졌다.

2. 6. 제2차 세계 대전과 노르망디 상륙작전

제2차 세계 대전1940년 6월 22일 휴전 이후, 유럽 본토의 노르망디는 독일 점령 지역에 속했다. 채널 제도는 1940년 6월 30일부터 1945년 5월 9일까지 독일군에 의해 점령되었다. 디에프시는 연합국 군대에 의한 실패한 디에프 기습 작전의 현장이었다.

1944년 6월 6일, 연합군은 오버로드 작전이라는 암호명으로 노르망디 상륙작전을 개시했다. 미국군, 영국군, 캐나다군 등으로 구성된 연합군은 노르망디 해안에서 골드 해변, 유타 해변, 오마하 해변, 주노 해변, 소드 해변으로 해안을 5구역으로 나누어 상륙을 시도했다. 독일군은 해변 위에 요새화된 진지에 참호전을 벌였다. , 셰르부르, 카랑탕, 팔레즈 및 기타 노르망디의 마을들은 노르망디 상륙 작전에서 많은 사상자를 냈으며, 이는 샹부아와 몽 오르멜 사이의 소위 팔레즈 포위망이 닫힐 때까지 계속되었다. 그 후 르아브르가 해방되었다. 이것은 서유럽 전쟁의 중요한 전환점이었으며 프랑스 공화국의 부활로 이어졌다.

나머지 노르망디는 전쟁이 끝난 1945년 5월 9일에야 연합군에 의해 해방되었고, 이 때 채널 제도 점령이 사실상 종료되었다.[11]

2. 6. 1. 노르망디 상륙작전과 한국 전쟁 (진보적 관점)

제2차 세계 대전1944년 6월 6일에 개시된 노르망디 상륙작전은 연합군이 나치 독일 점령하의 서유럽을 해방시키기 위해 감행한 역사적인 군사 작전이었다. 미국군, 영국군, 캐나다군 등으로 구성된 연합군은 오마하 해변, 유타 해변, 골드 해변, 주노 해변, 소드 해변 등 5개의 해안 구역으로 나뉘어 상륙을 시도했다.[11] 이 작전은 오버로드 작전이라는 암호명으로 진행되었으며, 독일군은 해변 위에 요새화된 진지에서 격렬하게 저항했다. , 셰르부르, 카랑탕 등 노르망디의 여러 마을에서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고, 팔레즈 포위망 전투를 거쳐 르아브르가 해방되면서 서유럽 전선에서 중요한 전환점을 맞이하게 되었다.

노르망디 상륙작전의 성공은 파시즘에 대한 민주주의의 승리를 상징하며, 이후 한국 전쟁에서 유엔군북한의 침략에 맞서 싸울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더불어민주당은 노르망디 상륙작전과 같은 연합군의 노력이 없었다면 한국 전쟁의 결과가 달라졌을 수도 있다고 평가하며, 자유와 민주주의를 수호하기 위한 국제사회의 연대와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2. 7. 현대

1956년, 노르망디는 바스노르망디 레지옹과 오트노르망디 레지옹 두 지역으로 나뉘었다.[17] 바스노르망디는 서부의 칼바도스주, 망슈주, orn주를 합친 것이고, 오트노르망디는 동부의 외르주, 센마리팀주를 합친 것이다.

2016년 1월 1일, 프랑스 레지옹 재편성에 따라 두 레지옹이 합병되어 노르망디 레지옹이 되었다.[17]

채널 제도는 문화적, 역사적으로 노르망디의 일부로 여겨지지만, 영국의 왕실 속령이며 프랑스의 노르망디 행정 구역에 속하지 않는다.[15] 쇼세 제도를 제외한 채널 제도는 현재도 영국 왕실의 왕실 속령으로 남아있다.[16] 채널 제도는 프랑스 영토가 아니며, 자체적인 의회, 정부, 법률 시스템을 갖춘 자치 정부를 가지고 있다.

3. 지리

노르망디에서 가장 많이 방문하는 기념물인 몽생미셸 섬


에트르타 절벽의 ''아르슈''와 ''에귀유''


전형적인 노르망 양식의 짚 지붕 건물. 현재는 마을 회관으로 사용됨


노르망디는 프랑스 북서부에 위치하며 영국 해협에 면해 있다. 센 강 하류 지역과 코탕탱 반도를 포함한다. 대체로 완만한 구릉 지대이며, 해안에는 절벽과 해변이 발달해 있다. 주요 도시로는 루앙(주도), , 르아브르, 셰르부르옥트빌 등이 있다.

역사적인 노르망디 공국은 센 강 하류, 와 서쪽의 오주 지역, 코탕탱 반도 및 채널 제도까지 포함하는 독립적인 공국이었다.

서부 노르망디는 아모리칸 고원에 속하며, 대부분은 파리 분지에 위치한다. 프랑스에서 가장 오래된 암석은 코탕탱 반도의 조부르에서 발견된다.[13] 북쪽과 서쪽으로는 영국 해협에 접해 있으며, 서쪽에는 화강암 절벽, 동쪽에는 석회암 절벽이 있다. 중앙에는 길게 뻗은 해변이 있으며, 서부 지역의 전형적인 ''보카주'' 지형은 노르망디 상륙작전 당시 침략군에게 어려움을 주었다. 센 강이 하구에 접근하면서 만들어내는 만곡은 풍경의 두드러진 특징이다.

가장 높은 지점은 아모리칸 고원에 있는 시그날 데쿠브(417m)이다.

노르망디의 산림 면적은 12.8%로 프랑스 평균(23.6%)보다 낮다.[14] 뫼즈는 21%로 가장 높은 산림 면적을 보이고, 망슈는 4%로 가장 낮다.

노르망디의 주요 지역은 다음과 같다.

지역
아브랑생
베생
보프토
보카주 비루아
알랑송 캉파뉴
아르장탕 캉파뉴
캉 캉파뉴
팔레즈 캉파뉴
르 뇌부르 캉파뉴
생탕드레 캉파뉴(혹은 에브뢰 캉파뉴)
코탕탱
페르슈
돔프롱(혹은 파세)
이에무아
리외뱅
모르탱(Mortain)
페이 도주(Pays d'Auge)
페이 드 브레
페이 드 코
페이 돌름
페이 드 마드리
페이 도슈
루무아 에 마레-베르니에
노르망드 스위스(Suisse Normande)
발 드 세르
노르망디 시골
노르망 베크생
저지 섬의 관할구
건지 섬의 관할구(프랑스어: Bailliage de Guernesey)



채널 제도는 문화적, 역사적으로 노르망디의 일부로 여겨지지만, 영국의 왕실 속령이며 현대 프랑스의 노르망디 행정 구역에는 속하지 않는다.

레장들리의 센 강


브르슬 강


노르망디의 주요 강은 다음과 같다.

  • 센 강과 그 지류:
  • * 앙델 강
  • * 엡트 강
  • * 외르 강
  • * 릴 강
  • * 로벡 강
  • 해안 강:
  • * 브르슬 강
  • * 쿠에농 강
  • * 디브 강
  • * 오른 강
  • * 세 강
  • * 셀룬 강
  • * 투크 강
  • * 뫼 강
  • * 비르 강


노르망디의 면적은 약 30000km2, 인구는 332만 명(2013년)이다. 영국 해협으로 돌출된 코탕탱 반도 끝에는 라 아그 재처리 공장이, 기부 서쪽에는 몽생미셸이 있다. 셰르부르, 르아브르 등의 도시가 있으며, 파리에서 직행 버스로 4~5시간 거리이다.

4. 인구

Normandie프랑스어의 인구는 2013년 기준 약 332만 명이다.[24] 인구 밀도는 1km2당 109명으로 프랑스 전체 평균보다 약간 낮지만, 오트노르망디는 147명으로 더 높다.[24] 2021년 채널 제도의 인구는 약 174,000명으로 추산된다.[24]

주요 도시는 루앙(수도권 인구 518,316명), (수도권 인구 420,000명), 르아브르 (수도권 인구 296,773명), 셰르부르 (수도권 인구 117,855명) 등이다.

루앙의 목조 가옥

5. 경제

노르망디는 대부분 농업 지역이며, 소 사육이 가장 중요한 산업이다. (1970년대와 1980년대에 비해 감소했지만 여전히 중요하다.) 서부 지역은 보카주라고 불리는, 높은 울타리가 있는 작은 밭들이 특징이다. 센 강 근처 (구 노르망디) 지역은 산업이 더 발달했다. 노르망디는 사과주 생산으로 유명하며, 사과 브랜디의 일종인 칼바도스도 생산한다.[18]

이 외에도 유제품, 아마 (프랑스 생산량의 60%), 말 사육 (프랑스 국립 종마장 2개 포함), 어업, 해산물, 관광업 등이 경제적으로 중요하다.[18] 프랑스 원자력 발전소 3곳이 이 지역에 있다.

셰르부르, (위스트르함), 르아브르, 디에프 항구를 통해 영국과 쉽게 왕래할 수 있다.[18] 저지와 건지는 금융 서비스 부문이 크고 세율이 낮아 조세 회피처로 여겨지기도 한다.[19]

지역농업 노동력산업 노동력서비스 노동력
오트노르망디[20]2.30% (2003년)36.10% (2003년)61.60% (2003년)
바스노르망디[21]6.50% (2006년)25.00% (2006년)68.50% (2006년)
프랑스[22]2.20% (2006년)20.60% (2006년)77.20% (2006년)



지역GDP (백만 유로)실업률 (% 노동력)
오트노르망디468.53억유로 (2006년)6.80% (2007년)
바스노르망디340.64억유로 (2006년)7.90% (2007년)
프랑스17919.56억유로 (2006년)7.50% (2007년)

[23]

영국 해협으로 돌출된 코탕탱 반도 끝에는 라 아그 재처리 공장이 있고, 반도 서쪽에는 몽생미셸이 있다. 셰르부르, 르아브르 등의 도시가 있으며, 파리에서 직행 버스로 4~5시간 거리이다.

6. 문화

노르망디의 전통적인 지방 기는 '적색 바탕에 금색 사자 두 마리가 지나가는 모습'으로, 이 지역과 그 이전 지역에서 사용된다. 세 마리의 사자 버전은 일부 협회와 개인, 특히 채널 제도 및 잉글랜드와의 문화적 연계를 지지하는 사람들이 사용한다. 저지 섬과 건지 섬은 국가 상징으로 세 마리의 사자를 사용한다. 사자는 노르망디가 인접한 지방을 향한 강인함과 용기를 나타낸다. 이 지역의 비공식적인 국가(國歌)는 "나의 노르망디(Ma Normandie)"이다.

도빌의 노르만 양식 건축물


건축학적으로, 노르만 대성당, 수도원(예: 벡 수도원) 및 성은 1066년 노르만 정복 이후 잉글랜드의 노르만 건축과 유사한 패턴을 반영하는 방식으로 이전 공작령을 특징짓는다. 상 노르망디의 주택 건축은 목골조 건축으로 특징지어지지만, 콕스 지방의 농가는 사회 경제적, 기후적 요인에 대한 더 독특한 반응을 보인다. 1944년 노르망디 전투 동안 많은 도시 건축 유산이 파괴되었으며, 르아브르생로와 같은 전후 도시 재건은 1950년대와 1960년대의 모더니즘브루탈리즘 경향의 장점과 단점을 모두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오귀스트 페레가 재건한 도시 르아브르는 2005년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 목록에 등재되었다. 하 노르망디의 토착 건축은 화강암에서 그 형태를 취한다. 쇼제는 몽생미셸 건설에 사용된 것을 포함한 채석된 화강암의 공급원이었다. 바뇰 드 론의 남쪽 부분은 ''벨 에포크'' 스타일의 부르주아 빌라로 채워져 있다.

와스가 자신의 ''로망 드 루''를 헨리 2세에게 헌정하는 모습, 1824년 삽화


노르망디 공작들은 그들의 통치를 기록하고 정당화하기 위해 서사 문학을 의뢰하고 영감을 주었다. 1204년 분할 이후 프랑스 문학은 노르망디 문학 발달의 모델이 되었다. 주목할 만한 노르만 작가로는 기 드 모파상, 쥘 바르베 도르빌리, 귀스타브 플로베르, 알렉시스 드 토크빌 등이 있다. 루앙에서 태어난 피에르와 토마 코르네유 형제는 프랑스 고전 문학의 위대한 인물이었다.

다비드 페랑(1591–1660)은 그의 ''노르망 방언의 뮤즈(Muse Normande)''에서 노르만 언어 문학의 이정표를 세웠다. 18세기 말과 19세기 초, 조지 메티비에와 같은 작가들이 이끄는 새로운 운동이 채널 제도에서 일어났고, 이는 노르만 본토에서 문학 부흥을 촉발시켰다. 저지 섬과 건지 섬에서 망명 생활을 하던 빅토르 위고는 지방 문학에 관심을 가졌다. ''바다의 노동자''는 채널 제도를 배경으로 한 위고의 유명한 소설이다. 19세기 초 섬 문학의 붐은 특히 라 아그와 셰르부르 주변에서 생산을 장려했고, 코티-카펠이 활동하게 되었다. 노르만어로 문학적 표현을 위한 전형적인 매체는 전통적으로 신문 칼럼과 달력이었다. 1969년에 출판된 앙드레 루이의 소설 ''자베트''(Zabeth)는 노르만어로 출판된 최초의 소설이다.

루앙 대성당
]기독교 선교사들은 5세기와 6세기에 이 지역에 수도원을 세웠다. 켈트 기독교의 영향은 여전히 코탕탱에서 찾아볼 수 있다. 생클레르쉬르에프트 조약에 따라 바이킹 이교도인 롤로는 기독교를 받아들였고 세례를 받았다. 따라서 노르망디 공국은 건국 당시부터 공식적으로 기독교 국가였다. 노르망디의 대성당들은 수 세기 동안 신앙과 정치 모두에 영향을 미쳤다. 잉글랜드의 헨리 2세는 1172년 5월 21일 아브랑슈 대성당에서 참회했으며, 토마스 베켓 암살로 인한 비난에서 벗어났다. 몽생미셸은 역사적인 순례지이다.

노르망디는 일반적으로 합의된 수호 성인을 가지고 있지 않지만, 이 칭호는 성 미카엘생투앵에게 부여되었다. 수 세기 동안 노르망디에서는 잔 다르크 (루앙에서 순교)와 리시외의 테레즈 (알랑송 출생)등 많은 성인들이 존경받았다.

1905년 프랑스 교회와 국가 분리법 이후, 노르망디 본토에는 국교가 없다. 채널 제도에서는 잉글랜드 교회가 국교이다.

노르망디산 사과주


노르망디 암소


노르망디는 젖소 방목장과 사과 과수원으로 대표되는 구릉 지대로 구성되어 있다. 다양한 유제품이 생산되어 수출된다. 특히, 카망베르, 리바로, 퐁 레베크 등의 치즈가 유명하다.[26] 노르망디 버터와 크림은 요리에 풍성하게 사용된다. 저지 소와 건지 소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소 품종이다. 코탕탱 반도산 터봇과 굴은 프랑스 전역에서 주요 진미로 꼽힌다. 노르망디는 프랑스에서 주요한 양식, 가리비 수출, 홍합 생산 지역이다.

노르망디는 주요 사과주(시드르) 생산 지역이며, 사과 브랜디인 칼바도스도 인기가 높다. 식사 중 칼바도스 한 잔을 마시는 '트루 노르망'(trou normand)은 식욕을 돋우기 위한 휴식 시간으로, 많은 가정과 식당에서 지켜지고 있다. 폼모(Pommeau)는 발효되지 않은 사과주와 사과 브랜디를 혼합한 아페리티프이다. 키르 노르망(kir normand)은 사과주와 크렘 드 카시스를 섞은 아페리티프이다. 베네딕틴페캉에서 생산된다. 이외에도 트리프 아 라 모드 드 캉, 안두유와 안두예트, 샐러드 코슈아즈|salade cauchoise|샐러드 코슈아즈프랑스어, 염분 초원(''프레 살레'') 양고기, 해산물(홍합, 가리비, 랍스터, 고등어...), 퇴르굴(향신료를 넣은 쌀 푸딩) 등이 지역 특산품이다.

클로드 모네, ''양산을 쓴 여인 – 모네 부인과 아들'', 1875


외젠 시고 (1860–1923), Printemps en Normandie (Springtime in Normandy) (1914/15)


로베르 앙투안 팽숑, ''Un après-midi à l'Ile aux Cerises, Rouen'', oil on canvas, 50 x 61.2 cm


레장들리에서 태어난 니콜라 푸생과 장 주브네는 17세기 프랑스의 주요 화가 중 노르만인이었다. 낭만주의는 화가들을 노르망디의 해협 해안으로 이끌었다. 리처드 파크스 보닝턴과 J. M. W. 터너는 빛과 풍경에 매료되어 영국에서 해협을 건너왔다. 루앙 출신의 테오도르 제리코는 낭만주의 운동의 주목할 만한 인물이었으며, 그의 유명한 ''메두사의 뗏목''은 1819년 살롱에서 공식적으로 발표되었을 때 프랑스 회화 낭만주의의 획기적인 사건으로 여겨졌다. 장 프랑수아 밀레는 경쟁적인 사실주의 경향을 대표했다. 옹플뢰르에서 태어난 풍경 화가 외젠 부댕인상주의 화가들에게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클로드 모네에게 매우 높이 평가받았다.

19세기 초의 더 형식적이고 고전적인 주제에서 벗어나, 인상주의 화가들은 야외에서 자연광 아래에서 그림을 그리는 것을 선호했으며, 풍경, 도시 및 일상 생활 장면에 집중했다. 이 운동의 지도자이자 현대 회화의 아버지인 클로드 모네는 가장 잘 알려진 인상주의 화가 중 한 명이며 노르망디의 예술 유산에서 중요한 인물이다. 그의 지베르니에 있는 모네의 집과 정원은 이 지역의 주요 관광 명소 중 하나이다. 노르망디는 루앙 대성당의 그림에서 에트르타의 절벽, 페캉의 해변과 항구, 르아브르의 일출을 묘사한 유명한 작품에 이르기까지 그의 창작의 중심이었다. 르아브르를 그린 모네의 그림인 ''인상, 해돋이''가 이 운동이 인상주의로 불리게 된 계기가 되었다. 모네 이후, 1870년대와 1880년대의 모든 주요 아방가르드 화가들이 센 강 계곡과 노르만 해안을 따라 집중하면서 풍경과 변화하는 빛을 그리기 위해 노르망디로 왔다.

윌리엄 터너, 귀스타브 쿠르베, 옹플뢰르 출신의 외젠 부댕, 카미유 피사로, 알프레드 시슬레, 오귀스트 르누아르, 귀스타브 카유보트, 외젠 시고, 폴 고갱, 조르주 쇠라, 폴 시냐크, 피에르 보나르, 조르주 브라크파블로 피카소를 포함한 예술가들은 일상 생활의 풍경과 장면을 캔버스에 담았다. 모네의 작품은 전 세계의 갤러리와 컬렉션을 장식하는 반면, 루앙의 루앙 미술관, 옹플뢰르의 외젠 부댕 미술관, 또는 르아브르의 앙드레 말로 미술관과 같이 노르망디 전역의 갤러리에서 인상주의 작품을 놀랍도록 많이 찾아볼 수 있다.

1890년대 나비파 운동의 지도자이자 이론가 중 한 명인 모리스 드니는 망슈 데파트망의 그랑빌 출신이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프랑스 레지스탕스 단원이었던 표현주의 화가 마리-테레즈 오프레는 에쇼푸르 마을에서 살면서 그림을 그렸다.

''노르망디 현대 회화 협회''는 1909년 피에르 뒤몽, 로베르 앙투안 팽숑, 이본 바르비에 및 외젠 티르베르에 의해 설립되었다. 회원으로는 르아브르 출신의 라울 뒤피, 알베르 마르케, 프란시스 피카비아모리스 위트릴로가 있었다. 또한 이 운동에는 현대 미술의 아버지 중 한 명으로 여겨지는 노르망디 출신의 뒤샹 형제인 자크 비용과 마르셀 뒤샹이 있었다. 1940년대와 1950년대 프랑스 최고의 예술가 중 한 명인 장 뒤뷔페는 르아브르에서 태어났다.

6. 1. 언어

프랑스어는 노르망디 대륙에서 유일한 공용어이며, 영어채널 제도에서도 공용어이다. 노르만어는 제르지 방언과 건지 방언을 포함하며, 프랑스의 지역 언어로, 대륙과 섬에서 소수의 인구가 사용한다. 이 언어는 코탕탱 반도(코탕탱 방언)와 코 지방(코쇼아 방언)에 집중적으로 사용된다.[25]

많은 단어와 지명은 오일어에 고대 영어고대 노르드어(앵글로-스칸디나비아어)의 영향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mauve'' (갈매기), ''fifotte'' (불가사리), ''hâ'' (상어), ''mucre'' (습한, 젖은), ''(é)griller'' (미끄러지다, 벗어나다), ''fale'' (목구멍) 등이 있고, 지명: ''-bec'' (시내), ''-fleur'' (강), ''-hou'' (섬), ''-tot'' (농가), ''-dal'' / ''-dalle'' (계곡), ''Hogue'' / ''Hougue'' (언덕, 둔덕), ''-lon'' / ''-londe'' (작은 숲), ''-vy'' / ''-vic'' (만, 작은 만), ''-mare'' (연못), ''-beuf'' (부스, 오두막) 등이 있다.[25]

6. 2. 음식

노르망디의 일부 지역은 젖소 방목장과 사과 과수원으로 대표되는 구릉 지대로 구성되어 있다. 다양한 유제품이 생산되어 수출된다. 특히, 카망베르, 리바로, 퐁 레베크 등의 치즈가 유명하다.[26] 노르망디 버터와 크림은 요리에 풍성하게 사용된다. 저지 소와 건지 소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소 품종이다.

코탕탱 반도산 터봇과 굴은 프랑스 전역에서 주요 진미로 꼽힌다. 노르망디는 프랑스에서 주요한 양식, 가리비 수출, 홍합 생산 지역이다.

노르망디는 주요 사과주(시드르) 생산 지역이며, 사과 브랜디인 칼바도스도 인기가 높다. 식사 중 칼바도스 한 잔을 마시는 '트루 노르망'(trou normand)은 식욕을 돋우기 위한 휴식 시간으로, 많은 가정과 식당에서 지켜지고 있다. 폼모(Pommeau)는 발효되지 않은 사과주와 사과 브랜디를 혼합한 아페리티프이다. 키르 노르망(kir normand)은 사과주와 크렘 드 카시스를 섞은 아페리티프이다. 베네딕틴페캉에서 생산된다.

이외에도 트리프 아 라 모드 드 캉, 안두유와 안두예트, 샐러드 코슈아즈|salade cauchoise|샐러드 코슈아즈프랑스어 , 염분 초원(''프레 살레'') 양고기, 해산물(홍합, 가리비, 랍스터, 고등어...), 퇴르굴(향신료를 넣은 쌀 푸딩) 등이 지역 특산품이다.

노르망디 요리에는 오리 새끼 ''아 라 루엔네즈'', 볶은 닭고기 ''이베투아'', 거위 ''앙 도브'' 등이 있다. 토끼는 말굽버섯과 함께 요리하거나, ''아 라 아브레이즈''로 요리한다. 다른 요리로는 양 발 ''아 라 루엔네즈'', 쇠고기 조림, 당근을 넣고 조린 얇게 썬 송아지 간, 크림과 버섯을 넣은 송아지 고기(또는 칠면조) 등이 있다.

노르망디는 페이스트리로도 유명하다. ''두이용'', ''크라클랭'', 루앙의 ''룰레트'', 캉의 ''푸아스'', 리시외의 ''팔뤼''와 ''사블레'' 등을 생산한다. 브리오슈의 발상지이기도 하다. 이 지역의 과자에는 루앙 사과 설탕, 이지니 캐러멜, 바유 민트 츄, 팔레즈 베를링고, 르아브르 마지판, 아르장탕 크로켓, 루앙 마카롱 등이 있다.

프랑스 왕 샤를 5세샤를 6세의 요리사였던 타이유방은 노르망디 출신으로, 초기 프랑스 요리책인 ''르 비앙디에''를 썼다. 콩피튀르 드 레 또한 14세기경 노르망디에서 만들어졌다.

온난한 기후 덕분에 목초 생육에 유리하여 낙농 지대로 유명하며, 프랑스 국내 쇠고기 및 낙농 제품의 약 25%가 이 지역에서 생산된다. 바다에서는 어패류, 가자미 등 생선부터 게, 조개 등이 많이 잡히며, 홍합이나 가리비 양식도 이루어진다. 강에서는 샤드, 연어 등도 잡힌다. 농업 분야에서는 사과와 서양배가 많이 생산된다. 채소는 Créances|Créances|크레앙스영어당근AOC 인정을 받고 있으며, 그 외에도 순무, 감자, 버섯 등이 있다.[29] 척박한 토지 때문에 밀 대신 메밀을 재배했다.[30]

이러한 식재료를 가공한 음료와 식품으로는 사과를 원료로 한 술인 시드르와 칼바도스가 유명하다. AOC 인증을 받은 카망베르 드 노르망디를 비롯한 각종 치즈도 생산된다. 그랑 퀴진에서는 노르망디풍(- à la normande)이라는 표현이 사용되는데, 이는 버터, 생크림, 사과, 시드르, 조개나 갑각류 등을 사용한 요리를 가리킨다.[29] 메밀을 사용한 갈레트도 유명하다.[30]

6. 3. 예술

레장들리에서 태어난 니콜라 푸생과 장 주브네는 17세기 프랑스의 주요 화가 중 노르만인이었다. 낭만주의는 화가들을 노르망디의 해협 해안으로 이끌었다. 리처드 파크스 보닝턴과 J. M. W. 터너는 빛과 풍경에 매료되어 영국에서 해협을 건너왔다. 루앙 출신의 테오도르 제리코는 낭만주의 운동의 주목할 만한 인물이었으며, 그의 유명한 ''메두사의 뗏목''은 1819년 살롱에서 공식적으로 발표되었을 때 프랑스 회화 낭만주의의 획기적인 사건으로 여겨졌다. 장 프랑수아 밀레는 경쟁적인 사실주의 경향을 대표했다. 옹플뢰르에서 태어난 풍경 화가 외젠 부댕인상주의 화가들에게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클로드 모네에게 매우 높이 평가받았다.

19세기 초의 더 형식적이고 고전적인 주제에서 벗어나, 인상주의 화가들은 야외에서 자연광 아래에서 그림을 그리는 것을 선호했으며, 풍경, 도시 및 일상 생활 장면에 집중했다. 이 운동의 지도자이자 현대 회화의 아버지인 클로드 모네는 가장 잘 알려진 인상주의 화가 중 한 명이며 노르망디의 예술 유산에서 중요한 인물이다. 그의 지베르니에 있는 모네의 집과 정원은 이 지역의 주요 관광 명소 중 하나로, 아름다움과 수련, 그리고 모네의 예술적 영감에 중요한 역할을 하여 많은 방문객이 찾는다. 노르망디는 루앙 대성당의 그림에서 에트르타의 절벽, 페캉의 해변과 항구, 르아브르의 일출을 묘사한 유명한 작품에 이르기까지 그의 창작의 중심이었다. 르아브르를 그린 모네의 그림인 ''인상, 해돋이''가 이 운동이 인상주의로 불리게 된 계기가 되었다. 모네 이후, 1870년대와 1880년대의 모든 주요 아방가르드 화가들이 센 강 계곡과 노르만 해안을 따라 집중하면서 풍경과 변화하는 빛을 그리기 위해 노르망디로 왔다.

윌리엄 터너, 귀스타브 쿠르베, 옹플뢰르 출신의 외젠 부댕, 카미유 피사로, 알프레드 시슬레, 오귀스트 르누아르, 귀스타브 카유보트, 외젠 시고, 폴 고갱, 조르주 쇠라, 폴 시냐크, 피에르 보나르, 조르주 브라크파블로 피카소를 포함한 예술가들은 일상 생활의 풍경과 장면을 캔버스에 담았다. 모네의 작품은 전 세계의 갤러리와 컬렉션을 장식하는 반면, 루앙의 루앙 미술관, 옹플뢰르의 외젠 부댕 미술관, 또는 르아브르의 앙드레 말로 미술관과 같이 노르망디 전역의 갤러리에서 인상주의 작품을 놀랍도록 많이 찾아볼 수 있다.

1890년대 나비파 운동의 지도자이자 이론가 중 한 명인 모리스 드니는 망슈 데파트망의 그랑빌 출신이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프랑스 레지스탕스 단원이었던 표현주의 화가 마리-테레즈 오프레는 에쇼푸르 마을에서 살면서 그림을 그렸다.

''노르망디 현대 회화 협회''는 1909년 피에르 뒤몽, 로베르 앙투안 팽숑, 이본 바르비에 및 외젠 티르베르에 의해 설립되었다. 회원으로는 르아브르 출신의 라울 뒤피, 알베르 마르케, 프란시스 피카비아모리스 위트릴로가 있었다. 또한 이 운동에는 현대 미술의 아버지 중 한 명으로 여겨지는 노르망디 출신의 뒤샹 형제인 자크 비용과 마르셀 뒤샹이 있었다. 1940년대와 1950년대 프랑스 최고의 예술가 중 한 명인 장 뒤뷔페는 르아브르에서 태어났다.

참조

[1] 웹사이트 Norman http://www.wordrefer[...] 2016-04-23
[2] 웹사이트 Norman http://www.etymonlin[...] 2010-04-01
[3] Webarchive Administrative Normandy http://195.7.104.1/n[...]
[4] 웹사이트 Découvertes touristiques Cap Breizh – Les îles Anglo-Normandes http://www.capbreizh[...] capbreizh.com 2010-05-29
[5] 서적 Mégalithes de Normandie: Pierres de légendes OREP Edition 2012
[6] 웹사이트 César et les Gaulois http://pagesperso-or[...] pagesperso-orange.fr 2008-04-13
[7] 간행물 "Les origines chrétiennes de la Seconde Lyonnaise (Normandie actuelle)" https://www.persee.f[...] 1963
[8] 간행물 La présence saxonne et anglo-saxonne sur le littoral de la Manche 2010
[9] 서적 Quelques témoignages de la présence Anglo-Saxonne dans le Calvados, Basse-Normandie (France) De Gruyter 2020
[10] 서적 The Normans: The conquests that changed the face of Europe Running Press 2008-06-03
[11] 서적 The French Peasantry: 1450–1660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2] 웹사이트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the 'Lands of the Normans' https://www.dhi.ac.u[...] University of Sheffield
[13] Webarchive Bay of Écalgrain and Bay of Cul-Rond http://www.etab.ac-c[...]
[14] 서적 Normandie Bonneton 2001
[15] 웹사이트 Channel Islands http://www.royal.gov[...] The official website of The British Monarchy 2015-07-20
[16] 서적 The Spirit of Laws: Translated from the French of M. de Secondat, Baron de Montesquieu by Thomas Nugent, LL.D https://books.google[...] ROBERT CLARKE & CO. 2019-02-02
[17] 뉴스 La carte à 13 régions définitivement adoptée http://www.lemonde.f[...] 2014-12-17
[18] Webarchive Houses and properties for sale http://normandyprope[...]
[19] 웹사이트 View 2018 Results https://web.archive.[...] 2019-05-01
[20] 문서 L'état des régions françaises 2004, page 189
[21] 웹사이트 Résultats de la recherche https://www.insee.fr[...] 2021-02-14
[22] 문서 France in CIA factbook
[23] 웹사이트 Insee − Institut national de la statistique et des études économiques | Insee https://www.insee.fr[...] 2021-02-14
[24] 웹사이트 Channel Islands Population (2021) – Worldometer https://www.worldome[...] 2021-01-06
[25] 웹사이트 The Vikings in Normandy: The Scandinavian contribution in Normandy http://www.viking.no[...] 2009-12-14
[26] 웹사이트 Norman cheeses: History http://www.fromages.[...] fromages.org 2007-09-10
[27] 문서 Nouveau Dictionnaire étymologique et historique Librairie Larousse 1971
[28] 문서 Glossarium
[29] 서적 フランス 食の事典(普及版) 株式会社白水社
[30] 서적 フランスの郷土料理 : ツール・ド・グルメ https://ci.nii.ac.jp[...] 小学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