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도 (도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농도는 농업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건설된 도로를 의미하며, 대한민국과 일본에서 관련 법률에 따라 정의되고 관리된다. 일본에서는 농림수산성이 주로 관할하며, 농업용 자재 수송, 농산물 유통 등에 사용되는 기간적 농도와 농업 활동에 직접 사용되는 포장 내 농도로 분류된다. 농도는 정비 사업에 따라 광역 농도, 일반 농도, 농면 농도, 고향 농도 등으로 구분되며, 일본의 농도 총 연장은 국도의 2배 이상이지만, 일부는 일반 도로로 전환되거나 사업 재검토로 인해 연장이 감소하는 추세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로의 종류 - 공도
공도는 일반 교통에 제공되는 길을 의미하며, 한국에서는 도로법에 따라 고속도로, 국도, 지방도 등이 포함되고, 도로교통법의 적용을 받으며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영향을 미친다. - 도로의 종류 - 유료도로
유료도로는 도로 건설 및 유지 관리 비용 충당, 교통 혼잡 완화 등을 목적으로 통행료를 징수하는 도로를 의미하며, 고대부터 다양한 방식으로 운영되어 왔으나 교통 정체, 역진세 논란 등 문제점과 함께 효율성, 형평성에 대한 찬반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 농업 - 비료
비료는 식물 생장에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하거나 토양을 개선하여 작물 생산성을 높이는 물질로, 질소, 인, 칼륨 등의 영양소를 함유하며 유기질 비료와 무기질 비료로 나뉘지만 과도한 사용은 환경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 농업 - 사직단
사직단은 토지의 신과 곡식의 신에게 제사를 지내던 제단으로, 한국의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 중국의 명청시대까지 존재했으며, 현재는 한국의 사직단 터 일부와 중국 베이징의 사직단이 남아 각 지역 문화재로 보호받고 있다.
농도 (도로) | |
---|---|
정의 | |
정의 | 농업용으로 사용되는 도로 |
종류 | |
종류 | 농촌 지역 도로 농지 연결 도로 임산물 운반 도로 |
기능 | |
기능 | 농산물 운송 농기계 이동 농촌 주민 교통 |
나라별 현황 | |
대한민국 | 농어촌도로 참조 |
미국 | 팜투마켓 도로 |
일본 | 농도 참조 |
2. 정의 및 법적 근거
농도(農道)는 농업용 도로를 줄여서 부르는 말로, 농업 작업을 위해 농지 등에 설치된 도로이다。 농도는 일반 자동차도 통행할 수 있지만, 통행권에 제한이 있다。 일반 도로는 승용차, 트럭, 버스 등 고속 자동차가 통행하지만, 농도는 경운기 같은 소형차나 트랙터, 콤바인 등 크고 느린 농업용 기계가 다닌다. 농작물 등을 운반하기 위해 트럭 같은 고속 자동차도 다니므로 고저속 혼합 교통이 이루어진다。
농작물 집하, 비료 등을 나를 때는 트럭 등을 길가에 세워 싣고 내리는 작업을 해야 한다. 따라서 농업 교통의 특성을 고려해 도로 구조를 설계하며, 자동차 교통량 중 농업 관련 통행이 과반수를 차지한다고 전제한다.
토지개량법에 따라 건설되는 농도는 도로법 적용을 받지 않지만, 기능이나 노선 배치에 따라 도로 구조령을 따른다. 도로 표지나 신호등 같은 교통 관리 시설은 도로법, 도로교통법, 표지령에 따라 규정되어 일반 공도처럼 신호등, 가드레일 등 교통 안전 시설도 설치한다。 농도에는 "무리한 운전을 하지 마십시오", "농경차 주의", "트랙터 횡단 주의" 등 감속을 유도하는 표지가 설치되어 있다。
토지개량사업법에 따른 토지개량사업, 독립행정법인 녹지자원기구법에 따른 농업용지 종합정비사업, 특정 산간보전정비사업 또는 고향 농도 긴급정비사업으로 조성되어 농도로 관리되는 도로가 이에 해당한다. 단, 도로법 제7조 제1항 또는 제8조 제1항에 따라 도도부현도 또는 시정촌도로 인정된 도로는 제외된다.
2. 1. 일본
農道|のうどう|노우도우일본어는 일본의 농촌 지역에서 농업용을 목적으로 설치된 도로의 총칭이다. 일반적으로 토지개정법 제2조에 근거하여 '''농업용 도로'''(農業用道路일본어)라고 지칭한다. 그러나 농로는 도로법에 근거한 도로 구분이 거의 없다. 따라서 소관 주무부처는 국토교통성이 아닌 농업 성향이 짙은 도로라 농림수산성에서 주로 관할한다. 일부 농도는 시정촌도나 주요 지방도, 도도부현도 등으로 인정받은 경우가 있어, 농로가 아닌 일반적인 도로[7]도 더러 있다.농도는 농업 작업을 위해 농지 등에 설치된 도로로, 농업용 도로를 줄여서 부르는 용어이다. 일반 자동차도 통행할 수 있지만, 통행권에는 제한이 있다. 일반 도로에서는 승용차, 트럭, 버스 등 고속 자동차가 통행하는 반면, 농도는 경운기 등의 소형차나 트랙터, 콤바인 등 대형이면서 저속인 농업용 기계가 통행한다. 또한 농작물 등의 운반을 위해 트럭과 같은 고속 자동차도 통행하기 때문에 고저속 혼합 교통이 된다. 농작물 집하, 비료 등의 운반 시에는 트럭 등을 도로변에 자유롭게 주정차시켜 싣고 내리는 작업을 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농업 교통 형태의 특수성을 고려한 규모 구조로 되어 있으며, 자동차 교통량 중 농업 관련 통행이 과반수를 차지한다는 전제하에 도로 구조가 설계되어 있다.
토지개량법에 기초하여 건설되는 농도는 도로법의 적용을 받지 않지만, 그 기능이나 노선 배치에 따라 도로 구조령에 준거한다. 도로 표지나 신호등 등의 교통 관리 시설은 도로법, 도로교통법, 표지령에 의해 규정되어 있으며, 일반 공도와 마찬가지로 신호등이나 가드레일 등의 교통 안전 시설도 설치되어 있다. 농도에서 보이는 도로 표지 중에는 "무리한 운전을 하지 마십시오", "농경차 주의", "트랙터 횡단 주의" 등 감속을 촉구하는 표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특징적이다.
토지개량사업법에 근거한 토지개량사업, 독립행정법인 녹지자원기구법에 근거한 농업용지 종합정비사업, 특정 산간보전정비사업 또는 고향 농도 긴급정비사업에 의해 조성된 도로로서 농도로 관리되고 있는 것이 해당된다. 단, 도로법 제7조 제1항 또는 제8조 제1항에 따라 도도부현도 또는 시정촌도로 인정된 도로는 포함되지 않는다.
3. 관리 주체
농도는 지역 시·읍·면의 요청에 따라 사업이 계획된다. 사업 규모에 따라 도(道) 또는 도도부현(都道府縣)이 보조 사업을 통해 건설하지만, 완공 후에는 지역 시·읍·면으로 이관되어 농도대장에 기재된 후 시·읍·면이 관리한다. 시·읍·면이 관리하는 일정 요건(전 폭원 4m 이상 등)을 갖춘 농도는 그 연장에 따라 보통교부세의 투자적 경비에 대한 보정 조치가 취해진다.
3. 1. 일본
농도(農道|のうどう|노우도우일본어)는 일본의 농촌 지역에서 농업용을 목적으로 설치된 도로의 총칭이다. 일반적으로 토지개정법 제2조에 근거하여 '''농업용 도로'''(農業用道路일본어)라고 지칭한다. 그러나 농로는 도로법에 따른 도로 구분이 거의 없다. 따라서 소관 주무부처는 국토교통성이 아닌 농림수산성이다. 일부 농도는 시정촌도, 주요 지방도, 도도부현도 등으로 인정받은 경우가 있어, 농로가 아닌 일반적인 도로[7]도 있다.토지개량사업법에 근거한 토지개량사업, 독립행정법인 녹지자원기구법에 따른 농업용지 종합정비사업, 특정 산간보전정비사업 또는 고향 농도 긴급정비사업에 의해 조성되어 농도로 관리되는 것이 이에 해당한다. 단, 도로법 제7조 제1항 또는 제8조 제1항에 따라 도도부현도 또는 시정촌도로 인정된 도로는 포함되지 않는다.
농도는 지역 시·읍·면의 요청에 따라 사업이 계획된다. 사업 규모에 따라 도(道) 또는 도도부현(都道府縣)이 보조 사업을 통해 건설하지만, 완공 후에는 지역 시·읍·면으로 이관하고 농도대장에 기재한 뒤 시·읍·면이 농도로 관리한다. 농도대장에 기재된 농도 중, 시·읍·면이 관리하는 (전 폭원 4m 이상 등) 일정 요건을 갖춘 농도에 대해서는, 그 연장에 따라 보통교부세의 투자적 경비에 대한 보정 조치가 취해진다.
4. 기능에 따른 분류
농도는 농업 작업을 위해 농지 등에 설치된 도로로, 농업용 도로를 줄여 부르는 말이다. 일반 자동차도 다닐 수 있지만, 통행권에 제한이 있다. 일반 도로는 승용차, 트럭, 버스 등 고속 자동차가 주로 다니는 반면, 농도는 경운기 같은 소형차나 트랙터, 콤바인 등 크고 느린 농업용 기계, 농작물 운반용 트럭 등이 함께 다녀 고저속 혼합 교통이 발생한다. 농작물이나 비료 등을 싣고 내릴 때는 트럭을 길가에 세워야 하므로, 농업 교통의 특성을 고려해 도로 구조를 설계한다. 즉, 자동차 통행량 중 농업 관련 통행이 대부분이라는 전제하에 도로를 설계한다.
토지개량법에 따라 건설되는 농도는 도로법 적용을 받지 않지만, 기능이나 노선 배치에 따라 도로 구조령을 따른다. 도로 표지나 신호등 등 교통 관리 시설은 도로법, 도로교통법, 표지령에 따라 설치되며, 일반 도로와 같이 신호등, 가드레일 등 안전 시설도 갖추고 있다. 농도에는 "무리한 운전을 하지 마십시오", "농경차 주의", "트랙터 횡단 주의" 등 감속을 유도하는 표지판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농도는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 기간적 농도: 농업용 자재 반입, 농산물 처리·가공·저장·유통 시설로의 운반, 또는 이러한 시설에서 시장, 소비지로의 수송에 사용된다.
- 포장 내 농도: 농지에서의 작업, 농산물 수확, 방제 작업, 반출 등 농업 활동과 직접 관련된 곳에 사용된다.
- 간선 농도 (마을과 농지, 농지 간, 농지와 기간적 농도를 연결)
- 지선 농도 (간선에서 분기되어, 농지, 경작지에 연결)
- 통작도 (수확물 운반용)
- 통작도의 연락도
- 경작도 (경작지 내의 농도)
4. 1. 일본
農道|のうどう|노우도우일본어는 일본의 농촌 지역에서 농업용을 목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설치된 도로의 총칭이다. 일반적으로 토지개정법 제2조에 근거하여 '''농업용 도로'''(農業用道路일본어)라고 지칭한다. 그러나 농로는 도로법에 근거한 도로 구분이 거의 없어, 국토교통성이 아닌 농림수산성에서 주로 관할한다. 일부 농도는 시정촌도, 주요 지방도, 도도부현도 등으로 인정받은 경우도 있어, 일반적인 도로[7]도 더러 있다.농도는 농업 작업을 위해 농지 등에 설치된 농업용 도로를 줄여 부르는 용어이다. 일반 자동차도 통행할 수 있지만, 통행권에 제한이 있다. 일반 도로는 승용차, 트럭, 버스 등 고속 자동차가 통행하는 반면, 농도는 경운기 등 소형차나 트랙터, 콤바인 등 대형 저속 농업용 기계 외에 농작물 운반을 위한 트럭 등 고속 자동차도 통행하여 고저속 혼합 교통이 이루어진다. 농작물 집하, 비료 운반 시에는 트럭 등을 도로변에 자유롭게 주정차하여 싣고 내리는 작업을 할 필요가 있어, 농업 교통 형태의 특수성을 고려한 규모 구조로 설계된다. 즉, 자동차 교통량 중 농업 관련 교통량이 과반수를 차지한다는 전제하에 도로 구조가 설계된다.
토지개량법에 기초하여 건설되는 농도는 도로법의 적용을 받지 않지만, 기능이나 노선 배치에 따라 도로 구조령에 준거한다. 도로 표지나 신호등 등 교통 관리 시설은 도로법, 도로교통법, 표지령에 의해 규정되어, 일반 공도와 마찬가지로 신호등이나 가드레일 등 교통안전시설도 설치되어 있다. 농도에는 "무리한 운전을 하지 마십시오", "농경차 주의", "트랙터 횡단 주의" 등 감속을 촉구하는 표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특징적이다.
농도는 용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 '''기간적 농도''': 농업용 자재 반입, 농산물 처리·가공·저장·유통 시설로의 집하, 혹은 그러한 시설에서 시장, 소비지로의 수송에 이용된다.
- '''포장 내 농도''': 포장으로의 통작, 농산물 수확, 방제 작업, 반출 등에 이용되는 등 농업 활동에 직접적으로 관련된다.
- 간선 농도: 집락과 포장, 포장 간, 포장과 기간적 농도 등을 잇는다.
- 지선 농도: 간선에서 분기되어, 포구, 경작구에 연락한다.
- 통작도: 수확물 운반을 위한 농도이다.
- 통작도의 연락도
- 경작도: 경작구 내의 농도이다.
5. 사업에 따른 분류 (일본)
농도는 이를 정비하는 사업 명칭에 따라 구분할 수 있으며, 광역자치단체가 보조 사업으로 건설하는 '''광역자치단체 사업'''과 '''기타 사업'''으로 분류된다.
- '''광역자치단체 사업'''
- 농림어업용 휘발유세 재원 대체 농도 정비 사업에 따른 농업용 도로 ('''농면 농도''')
- 광역 영농 단지 농도 정비 사업에 따른 농업용 도로 ('''광역 농도''')[5]
- 일반 농도 정비 사업에 따른 농업용 도로 ('''일반 농도''')
- 농도 환경 정비 사업 (주로 기존 농도의 보수 및 개선)
- 전원 교류 기반 정비 사업 (도시와의 교류 등 접근 도로 정비)
- '''기타 사업'''
- 고향 농도 긴급 정비 사업 ('''고향 농도''')
- 도로 정비 교부금에 의한 정비 사업 (광역 농도, 임도, 시정촌도의 일체적 정비)
각 사업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해당 항목을 참조하면 된다.
5. 1. 농면 농도 (일본)
농면농도는 휘발유에 부과되는 세금인 휘발유세를 사용하여 정비된 농도이다[1]。 농림어업용 기계에 소비되는 휘발유에는 휘발유세가 면제되지만, 거래 시 사용처 확인이 어렵기 때문에, 농림어업용 기계 소비분에 해당하는 휘발유세 상당 금액을 재원으로 도로를 정비하여 휘발유세 면제를 대신한다[2][3]。 이 사업은 '''농림어업용 휘발유세 재원 대체 농도 정비 사업'''이라고 하며, 이 도로를 '''농면농도'''(농면 도로)라고 부른다[4][5]。
농림어업용 휘발유세 재원 대체 농도 정비 사업은 1959년경부터 농림어업용 휘발유의 세금 면제 요구가 강해짐에 따라 농림수산성이 보조 사업으로 시작하였다[6]。 1953년 도로교통법 개정으로 국도나 현도 정비를 위한 도로 특정 재원으로 휘발유세가 전환되면서, 당시 일본의 주력 산업이었던 농림수산업에 대한 혜택이 줄어든 것이 배경이다[7]。
5. 2. 광역 농도 (일본)
농촌 지역에 산재한 농지를 하나의 단지로 간주하여 집하, 출하, 가공 프로세스의 일원화를 통해 생산지로서의 시장 경쟁력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농로이다. 도시에 대한 환상 도로 혹은 간선도로에 대한 우회 도로로서의 기능을 갖는 경우도 있으며, 농촌의 생활 수준 개선에 기여한다고 여겨진다. 이 사업을 '''광역 영농 단지 농도 정비 사업'''이라고 하며, 그 도로를 일반적으로 '''광역 농도'''라고 부른다[1]. 도야마현 등 '''슈퍼 농도'''라는 호칭이 주로 사용되는 지역도 있다[1].5. 3. 일반 농도 (일본)
도도부현이 시행하는 농도망의 기반이 되는 농도 정비를 말하며, 광역 농도, 농면 농도 이외의 것을 가리킨다. 이 사업을 '''일반 농도 정비 사업'''이라고 하며, 그 도로를 일반적으로 '''일반 농도'''라고 부른다.[1]5. 4. 고향 농도 (일본)
지방채를 재원으로 하는 지방 단독 사업으로, 도(道)와 현(県)이 수행하는 사업과 시(市)와 정(町) 및 촌(村)이 수행하는 사업이 있다. 집락 간 또는 집락과 기간적 공공 시설 등과의 사이를 연결하는 농도 등을 정비하는 것으로, 이 사업을 '''고향 농도 긴급 정비 사업'''이라고 하며, 그 도로를 일반적으로 '''고향 농도''' (고향 긴급 농도라고도 함)라고 부른다[6]. 1993년에 창설된 본 사업은 2007년까지의 시한 조치로 되어 있다[6].6. 정비 현황 (일본)
2013년 8월, 일본 농림수산성의 농도 정비 상황 조사에 따르면 농도의 총 연장은 17만 3659 km로, 국도 총 연장의 2배 이상이다.[1] 포장률은 36.1%이며, 농도 전체의 57%는 폭이 4m 미만이다. 농도의 일부가 도도부현도나 시정촌도로 전환되거나, 2009년 사업 예산 심의에서 농도 사업이 재검토 대상이 되어, 2010년 이후 신규 구간 착수가 보류되었으므로, 농도 전체의 연장은 짧아지고 있다.[1] 계속 진행 중인 구간은 새롭게 제도화된 교부금으로 공사가 계속 진행될 예정이다.
참조
[1]
간행물
Environmentally Sensitive Maintenance on Agricultural Roads to Reduce Nutrient and Sediment Pollution in the Kishacoquillas Watershed
http://www.dirtandgr[...]
Thomas D. Larson Pennsylvania Transportation Institute
2014-05-17
[2]
논문
Modeling Investments in County and Local Roads to Support Agricultural Logistics
http://www.trforum.o[...]
2014-05-17
[3]
웹사이트
Farm/Ranch to Market Facts
http://www.dot.state[...]
Texa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2008-02-26
[4]
뉴스
Tex-Arcana: What's a farm-to-market road?
http://www.chron.com[...]
2011-04-08
[5]
웹사이트
農道整備事業実施要綱
https://www.maff.go.[...]
農林水産省
2021-10-16
[6]
간행물
ふるさと農道緊急整備事業について
https://web.archive.[...]
農林水産省
2003-04-01
[7]
문서
일본의 주요 지자체에서 관장하는 도로들이 있다. 대표적인 예로 보면 [[도도부현도]]가 해당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