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농예화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농예화학은 농업 및 환경 분야의 연구를 수행하는 화학의 세부 학문 분야이다. 메이지 시대에 독일어와 영어의 번역어로 시작되어 토양, 비료, 농약, 발효, 양조 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해왔다. 1900년대부터 농학의 한 분야로 인식되어 대학교 농학부에 농예화학과가 설치되었으나, 생물공학의 발전과 대학원 중점화에 따라 학과 명칭이 변경되었다. 농예화학은 화학의 지식과 기술을 농업에 적용하여 식량 생산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하며, 바이오 연료, 바이오 유래 물질, 유전자 변형 생물체(GMO) 등 다양한 연구 분야를 포괄한다. GMO는 식량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지만, 잠재적인 부작용과 논란도 존재한다.

2. 역사

'''농예화학'''이라는 학문 명칭은 메이지 초기에 서구 학문을 도입하면서 독일어 "Agrikulturchemie", 영어 "Agricultural Chemistry"를 번역하여 사용하기 시작했다.[18] 당시에는 "농산물" 외에 기술적 가공을 거친 것을 가리키는 "농예물"이라는 단어가 있었다.[18] 한때 "농업화학", "농용화학"과 혼용되기도 했지만, 폭넓은 응용 범위를 고려하여 일본농예화학회는 "기술·예술을 의미하는 '예' 자가 들어간 '농예화학'이 더 적절하다고 생각했다"고 추측한다.[18]

1900년경 농예화학이 농학의 한 분야로 인식되기 시작하면서 대학교 농학부에 '''농예화학과'''가 설치되었다.[22] 1974년 후지노 야스히코(오비히로 축산대학)와 타카오 쇼이치(홋카이도 대학)는 서구의 농업화학이 "화학의 참신한 지식과 기술을 가져와서 농업과 식량 생산을 높이려는 것"[21]이며, 그 후에도 "거의 이 원점 및 그 부근에 있다"[21]고 한 반면, 일본의 농예화학은 독자적인 발전을 이루었다고 평가했다.

1990년대부터 생물공학의 대두와 대학원 중점화에 따라 각 대학의 농학부 농예화학과는 다른 학과와 재편되거나 생물응용화학과, 생명과학과, 생명기능화학과, 생명공학과 등으로 변경되었다. 일본농예화학회는 2014년 기준 약 1만 1000명의 회원을 보유하고 있었음에도 농예화학과 또는 농예화학 전공을 가진 대학 및 대학원은 메이지 대학(농학부)과 도쿄 농업대학 대학원(농학연구과)뿐이었다. 그러나 고치 대학에서는 2016년에 농예화학과가 재설치되었고,[24] 도쿄 농업대학에서는 2018년 4월부터 응용생물과학부 생물응용화학과가 농예화학과로 명칭을 변경했다.

농예화학 관련 주요 서적은 다음과 같다.

출판 연도저자서적 제목
1761년Johan Gottschalk Wallerius|요한 고트샬크 발레리우스영어Agriculturae fundamenta chemica (Åkerbrukets chemiska grunder)|농업 기초 화학영어[27]
1815년험프리 데이비Elements of agricultural chemistry|농업 화학의 제 원리영어[28]
1842년유스투스 폰 리비히Animal Chemistry or Organic Chemistry in its applications to Physiology and Pathology|동물 화학 또는 유기 화학의 생리학 및 병리학 적용영어[29][30]
1845년-1850년옌스 베르셀리우스Traité de chimie minérale, végétale et animal|광물, 식물, 및 동물 화학론영어 (6권)[31]
1860년-1874년장바티스트 부생고Agronomie, chimie agricole, et physiologie|농학, 농업 화학, 및 생리학영어 (5권, 1860–1874; 2판, 1884)
1868년Samuel William Johnson|새뮤얼 윌리엄 존슨영어How Crops Grow|작물은 어떻게 자라는가영어[32]
1870년Samuel William Johnson|새뮤얼 윌리엄 존슨영어How Crops Feed: A treatise on the atmosphere and soil as related to the nutrition of agricultural plants|작물은 어떻게 먹는가: 농업 식물의 영양과 관련된 대기와 토양에 관한 논문영어
1872년Karl Heinrich Ritthausen|카를 하인리히 리트하우젠영어Protein bodies in grains, legumes, and linseed. Contributions to the physiology of seeds for cultivation, nutrition, and fodder|곡물, 콩과 식물, 아마씨의 단백질체. 재배, 영양 및 사료를 위한 종자 생리학에 대한 기여영어[33]


2. 1. 세계 농예화학의 역사

'''농예화학'''이라는 학문 명칭은 메이지 초기에 서구 학문을 도입하면서 독일어 "Agrikulturchemie", 영어 "Agricultural Chemistry"를 번역하여 사용하기 시작했다.[18] 일본농예화학회의 조사에 따르면, 1876년 고마바 농학교의 교사 에드워드 킨치와 맺은 고용 계약서에 "농예화학 교사"라는 부분이 문서로 확인되는 가장 오래된 기술이다.[18] 당시 "농산물"과는 별개로, 기술적인 가공을 가한 것을 가리키는 "농예물"이라는 단어가 있었다.[18] 한때 "농업화학"이나 "농용화학"과 혼용되기도 했지만, 폭넓은 응용 범위를 고려하여 "기술·예술을 의미하는 '예'의 문자가 들어간 '농예화학'이 더 적절하다고 생각되게 되었다"고 일본농예화학회는 추측한다.[18]

전통적으로 토양, 비료에 관한 연구(토양학, 식물영양학), 농약에 관한 연구(농약학, 천연물유기화학), 발효양조에 관한 연구(발효학, 양조학) 등이 '''농예화학자'''에 의해 이루어져 왔다.[19][20]

1974년 후지노 야스히코(오비히로 축산대학)와 타카오 쇼이치(홋카이도 대학)는 구미의 농업화학이 "화학의 참신한 지식과 기술을 가져와서 농업과 식량 생산을 높이려는 것"[21]이며, 그 후에도 "거의 이 원점 및 그 부근에 있다"[21]고 한 반면, 일본의 농예화학은 독자적인 발전을 이루었다고 말한다. 현재 일본에서는 연구 대상이 생물공학의 전 영역에 걸쳐 확산되어 있어 농예화학이라는 학문을 명확하게 정의하기 어려워졌으며, 농예화학이라는 말만으로는 연구 대상을 상상하기 어렵다. 농예화학에는 고유의 방법론이 있는 것이 아니라, 생화학, 유기화학, 분자생물학, 생명공학 등의 분야와 거기에서 갈라져 나온 다양한 방법론을 공유하고 있다.

"농예화학"이 농학의 한 분야로 인식되기 시작한 것은 1900년경이며, 그 후 대학교 등의 농학부에 '''농예화학과'''가 설치되게 되었다.[22] 1990년대부터 생물공학의 대두와 대학원 중점화에 맞춰 각 대학의 농학부 농예화학과가 다른 학과와 재편성되는 등, 생물응용화학과, 생명과학과, 생명기능화학과, 생명공학과 등으로 변경되었다. 예를 들어, 1893년에 발족한 도쿄 대학 농학부 농예화학과는, 1994년에 학과제에서 과정제로의 이행에 따라 학과명이 소멸하고, 동 학과는 응용생물화학 전수·생물생산화학 전수, 생명화학 전수·생명공학 전수를 거쳐, 생명화학·공학 전수로 개편되었다.[23] 또한, 동 대학 대학원 농학계 연구과 농예화학 전공은, 농학생명과학연구과 응용생명화학 전공·응용생명공학 전공으로 재편되었다.[23] 그 후 약 1만 1000명의 회원(2014년)을 둔 일본농예화학회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농예화학과 또는 농예화학 전공을 가진 대학 및 대학원은 메이지 대학(농학부)과 도쿄 농업대학 대학원(농학연구과)뿐이었지만, 고치 대학에서는 2016년에 농예화학과가 재설치되었고,[24] 도쿄 농업대학에서는 2018년 4월부터 응용생물과학부의 생물응용화학과가 농예화학과로 명칭을 되돌리고 있다. 또한, 명칭에 관계없이 현재에도 커리큘럼은 물리화학, 무기화학, 유기화학, 생화학, 분자생물학 등 화학을 기초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공통적이다.

일본농예화학회에서는 농예화학을 배울 수 있는 대학, 대학원을 소개하고 있다.[26]

농예화학 관련 주요 서적은 다음과 같다.

출판 연도저자서적 제목
1761년Johan Gottschalk Wallerius|요한 고트샬크 발레리우스영어Agriculturae fundamenta chemica (Åkerbrukets chemiska grunder)|농업 기초 화학영어[27]
1815년험프리 데이비Elements of agricultural chemistry|농업 화학의 제 원리영어[28]
1842년유스투스 폰 리비히Animal Chemistry or Organic Chemistry in its applications to Physiology and Pathology|동물 화학 또는 유기 화학의 생리학 및 병리학 적용영어[29][30]
1845-1850년옌스 베르셀리우스Traité de chimie minérale, végétale et animal|광물, 식물, 및 동물 화학론영어 (6권)[31]
1860-1874년장바티스트 부생고Agronomie, chimie agricole, et physiologie|농학, 농업 화학, 및 생리학영어 (5권, 1860–1874; 2판, 1884)
1868년Samuel William Johnson|새뮤얼 윌리엄 존슨영어How Crops Grow|작물은 어떻게 자라는가영어[32]
1870년Samuel William Johnson|새뮤얼 윌리엄 존슨영어How Crops Feed: A treatise on the atmosphere and soil as related to the nutrition of agricultural plants|작물은 어떻게 먹는가: 농업 식물의 영양과 관련된 대기와 토양에 관한 논문영어
1872년Karl Heinrich Ritthausen|카를 하인리히 리트하우젠영어Protein bodies in grains, legumes, and linseed. Contributions to the physiology of seeds for cultivation, nutrition, and fodder|곡물, 콩과 식물, 아마씨의 단백질체. 재배, 영양 및 사료를 위한 종자 생리학에 대한 기여영어[33]


2. 2. 일본의 농예화학

'농예화학'이라는 학문 명칭은 메이지 초기에 서구 학문을 도입하면서 독일어 "Agrikulturchemie", 영어 "Agricultural Chemistry"를 번역하여 사용하기 시작했다.[18] 당시에는 "농산물" 외에도 기술적인 가공을 거친 것을 가리키는 "농예물"이라는 단어가 있었다.[18] 한때 "농업화학"이나 "농용화학"과 같은 다른 번역어와 혼용되기도 했지만, 일본농예화학회는 폭넓은 응용 범위를 고려하여 "기술·예술을 의미하는 '예' 자가 들어간 '농예화학'이 더 적절하다고 생각했다"고 추측한다.[18]

1900년경 '농예화학'이 농학의 한 분야로 인식되기 시작한 후, 대학교 농학부에 '''농예화학과'''가 설치되었다.[22] 전통적으로 토양이나 비료에 관한 연구(토양학, 식물영양학), 농약에 관한 연구(농약학, 천연물유기화학), 발효양조에 관한 연구(발효학, 양조학) 등이 농예화학자에 의해 이루어졌다.[19][20]

1974년 후지노 야스히코(오비히로 축산대학)와 타카오 쇼이치(홋카이도 대학)는 서구의 농업화학이 "화학의 참신한 지식과 기술을 가져와서 농업과 식량 생산을 높이려는 것"[21]이며, 그 후에도 "거의 이 원점 및 그 부근에 있다"[21]고 한 반면, 일본의 농예화학은 독자적인 발전을 이루었다고 평가했다. 현재 일본에서는 연구 대상이 생물공학 전 영역에 걸쳐 확산되어 농예화학이라는 학문만으로는 연구 대상을 상상하기 어려워지고 있다. 농예화학은 고유의 방법론을 가진 것이 아니라, 생화학, 유기화학, 분자생물학, 생명공학 등 다양한 분야의 방법론을 공유한다.

1990년대부터 생물공학의 대두와 대학원 중점화에 따라 각 대학의 농학부 농예화학과는 다른 학과와 재편되거나 생물응용화학과, 생명과학과, 생명기능화학과, 생명공학과 등으로 변경되었다. 일본농예화학회는 2014년 기준 약 1만 1000명의 회원을 보유하고 있었음에도, 농예화학과 또는 농예화학 전공을 가진 대학 및 대학원은 메이지 대학(농학부)과 도쿄 농업대학 대학원(농학연구과)뿐이었다. 그러나 고치 대학에서는 2016년에 농예화학과가 재설치되었고,[24] 도쿄 농업대학에서는 2018년 4월부터 응용생물과학부 생물응용화학과가 농예화학과로 명칭을 변경했다. 명칭과 관계없이 현재에도 커리큘럼은 물리화학, 무기화학, 유기화학, 생물화학, 생화학, 분자생물학 등 화학을 기초로 하고 있다는 점은 공통적이다.

일본농예화학회에서는 농예화학을 배울 수 있는 대학, 대학원을 소개하고 있다.[26]

2. 3. 현대 농예화학의 발전

전통적으로 토양이나 비료에 관한 연구(토양학, 식물영양학), 농약에 관한 연구(농약학, 천연물유기화학), 발효양조에 관한 연구(발효학, 양조학) 등이 농예화학자에 의해 이루어져 왔다.[19][20]

1974년에 후지노 야스히코(오비히로 축산대학)와 타카오 쇼이치(홋카이도 대학)는 구미의 농업화학이 "화학의 참신한 지식과 기술을 가져와서 농업과 식량 생산을 높이려는 것"[21]이며, 그 후에도 "거의 이 원점 및 그 부근에 있다"[21]고 평가한 반면, 일본의 농예화학은 독자적인 발전을 이루었다고 말한다. 현재 일본에서는 연구 대상이 생물공학의 전 영역에 걸쳐 확산되어 있어, 농예화학이라는 학문을 명확하게 정의하거나 연구 대상을 상상하기 어려워지고 있다. 농예화학은 고유의 방법론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생화학, 유기화학, 분자생물학, 생명공학 등의 분야와 거기에서 갈라져 나온 다종다양한 방법론을 공유한다.

1900년경 "농예화학"이 농학의 한 분야로 인식되기 시작하면서, 대학교 등의 농학부에 '''농예화학과'''가 설치되었다.[22] 1990년대부터 생물공학의 대두와 대학원 중점화에 맞춰 각 대학의 농학부 농예화학과가 다른 학과와 재편성되면서 생물응용화학과, 생명과학과, 생명기능화학과, 생명공학과 등으로 변경되었다. 이후 약 1만 1000명의 회원(2014년)을 둔 일본농예화학회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농예화학과 또는 농예화학 전공을 가진 대학 및 대학원은 메이지 대학(농학부)과 도쿄 농업대학 대학원(농학연구과)뿐이었지만, 고치 대학에서는 2016년에 농예화학과가 재설치되었고,[24] 도쿄 농업대학에서는 2018년 4월부터 응용생물과학부의 생물응용화학과가 농예화학과로 명칭을 되돌리고 있다. 명칭에 관계없이 현재에도 커리큘럼은 물리화학·무기화학·유기화학·생물화학·생화학·분자생물학 등 화학을 기초로 하고 있다는 점은 공통적이다.

일본농예화학회에서는 농예화학을 배울 수 있는 대학, 대학원을 소개하고 있다.[26]

3. 주요 연구 분야

농예화학은 다음과 같은 세부 연구 분야를 포함하는 폭넓은 학문이다.


  • 농업 및 환경 화학: 농업에서 분자 화학의 역할과 그 부정적인 영향을 다룬다. 식물 생화학, 농약, 토양 화학 등을 포함한다.
  • 바이오 연료 및 바이오 유래 물질: 식용 작물뿐만 아니라 바이오 연료 및 재료의 원료를 생산하는 과학 및 기술을 포괄한다.
  • 생명공학: 생물 촉매를 이용한 식품 생산, 형질 전환 식물로부터 유용한 화학 물질 획득, 생물 정화 등의 기술을 연구한다. 유전자 변형 생물체(GMO)와 오믹스(Omics) 연구도 포함된다.

3. 1. 농업 및 환경 화학

농업 화학은 농업에서 분자 화학의 역할과 그 부정적인 영향을 다룬다.

3. 1. 1. 식물 생화학

식물 생화학은 식물 내에서 발생하는 화학 반응을 포괄한다. 분자 수준의 지식은 식량을 제공하는 기술에 정보를 제공한다. 특히 식물과 다른 유기체 간의 생화학적 차이, 그리고 쌍자엽식물 대 외떡잎식물, 겉씨식물속씨식물, C2 식물 대 C4 탄소 고정 식물 등 식물 왕국 내의 차이점에 중점을 둔다.

3. 1. 2. 농약

제초제 살포 후의 농지


식량, 사료 및 섬유 생산을 돕기 위해 개발된 화학 물질에는 제초제, 살충제, 살균제[2] 및 기타 농약이 포함된다. 농약은 작물 수확량을 늘리고 작물 손실을 완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화학 물질이다.[3] 이는 해충과 질병을 효과적으로 조절하여 곤충 및 기타 동물이 작물에 접근하는 것을 막아 작물이 방해받지 않고 자랄 수 있도록 한다.

농약의 단점으로는 토양 및 물의 오염(잔류성 유기 오염 물질 참조)이 있다. 또한, 조류, 어류,[4] 수분 매개자[5]뿐만 아니라 농부에게도 독성이 있을 수 있다.

3. 1. 3. 토양 화학

농업 화학은 종종 토양 비옥도를 보존하거나 증가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며, 이는 농업 생산량을 유지하거나 개선하고 작물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토양은 건조 토양 질량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무기물(광물)과 살아있는 유기체, 분해 생성물, 휴믹산 및 풀빅산으로 구성된 유기물에 주의를 기울여 분석한다.[8]

비료는 중요한 고려 사항이다. 유기 비료는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지만, 채광(인산염 암석) 및 하버-보슈 공정에서 생산된 화학 물질에 의해 그 사용이 크게 대체되었다. 이러한 물질의 사용은 작물 생산 속도를 극적으로 증가시켰고, 이는 증가하는 인구를 부양할 수 있게 했다. 일반적인 비료에는 요소, 황산 암모늄, 인산 이암모늄, 인산 암모늄 칼슘이 있다.[9][10]

3. 2. 바이오 연료 및 바이오 유래 물질

지방으로부터 바이오 연료를 생산하는 경로. 공정은 골격 이중 결합의 수소화로 시작한다. 지방산 메틸 에스터는 에스테르 교환 반응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또는 C16 및 C18 디젤 연료는 포화 지방의 수소 분해로 발생한다.


농예화학은 식용 작물뿐만 아니라 연료("바이오 연료") 및 재료의 원료를 생산하는 과학 및 기술을 포괄한다. 에탄올 연료는 당의 발효에 의해 얻어진다. 바이오디젤은 동물성과 식물성 지방에서 추출된다. 메탄은 미생물 작용에 의해 가축 분뇨 및 기타 농업 폐기물로부터 회수할 수 있다.[11][12] 리그노셀룰로스는 새로운 재료의 유망한 전구 물질이다.[13]

3. 3. 생명공학

생물 촉매는 여러 식품을 생산하는 데 사용된다. 옥수수 유래 포도당의 고정화 효소 글루코스 이성질화 효소의 작용으로 매년 50억 톤 이상의 고과당 옥수수 시럽이 생산된다. 과일 주스의 정화 또는 제맛 제거를 위한 효소를 포함하여 새로운 기술이 많이 등장하고 있다.[14]

다양한 잠재적 유용 화학 물질이 형질 전환 식물로부터 얻어진다. 생물 정화는 생분해의 친환경적인 방법이다.

1990년대부터 생물공학의 대두와 대학원 중점화에 맞춰 각 대학의 농학부 농예화학과가 다른 학과와 재편성되면서, 생물응용화학과, 생명과학과, 생명기능화학과, 생명공학과 등으로 변경되었다. 현재 일본에서는 농예화학이라는 학문이 생물공학 전 영역에 걸쳐 확산되어 있어, 농예화학이라는 말만으로는 연구 대상을 상상하기 어려워지고 있다. 농예화학은 생화학, 유기화학, 분자생물학 등 다양한 분야의 방법론을 공유한다.

3. 3. 1. 유전자 변형 생물체 (GMO)

유전자 변형 생물체(GMO)는 과학자들이 유기체의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유전체 수준에서 변경한 식물 또는 생명체이다. 이러한 특성에는 인간을 위한 새로운 백신 제공, 영양소 공급 증가, 독특한 플라스틱 생산 등이 포함된다.[15] 또한 원래 유기체가 자라기에 적합하지 않은 기후에서도 자랄 수 있다.[15] GMO의 예로는 바이러스 저항성 담배와 호박, 숙성 지연 토마토, 제초제 저항성 콩 등이 있다.[15]

GMO는 생명공학을 사용하여 비료와 살충제를 생산하는 데 대한 관심 증가와 함께 등장했다. 1970년대에 생명공학에 대한 시장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더 많은 기술과 인프라가 개발되었고, 비용이 감소했으며, 연구가 발전했다. 1980년대 초부터 유전자 변형 작물이 포함되었다. 생명공학 작업이 증가함에 따라 향상된 작물을 생산하기 위해 생물학과 화학의 통합이 요구되며, 이는 증가하는 인구를 먹여 살리기 위해 필요한 식량의 양이 증가하는 것이 주요 이유이다.[16]

그럼에도 불구하고, GMO에 대한 우려 사항으로는 GMO를 섭취하여 잠재적인 항생제 내성이 생길 수 있다는 점이 있다.[15] 또한 많은 GMO가 최근에 개발되었기 때문에 인체에 미치는 장기적인 영향에 대한 우려도 있다.[15]

GMO를 둘러싸고 많은 논란이 있다. 미국에서는 GMO를 포함하는 모든 식품에 해당 내용을 표시해야 한다.[17]

3. 3. 2. 오믹스 (Omics)

특히 중요한 것은 단백질체학이며, 단백질은 농업의 많은 부분을 안내한다.[4]

참조

[1] 웹사이트 Scope, Journal of Agricultural Chemistry https://publish.acs.[...]
[2] 서적 Kirk-Othmer Encyclopedia of Chemical Technology 2000
[3] 논문 Pesticides: a review article 1994
[4] 논문 Impact of pesticides use in agriculture: their benefits and hazards 2009-03-00
[5] 논문 Food brands and retailers will scrutinize pesticides 2020-01-13
[6] 웹사이트 NOAA: Gulf of Mexico 'Dead Zone' Predictions Feature Uncertainty http://www.usgs.gov/[...] U.S. Geological Survey (USGS) 2012-06-23
[7] 웹사이트 What is hypoxia? http://www.gulfhypox[...] Louisiana Universities Marine Consortium (LUMCON) 2013-05-18
[8] 서적 Kirk-Othmer Encyclopedia of Chemical Technology 2016
[9] 서적 Techno-Economic Challenges of Green Ammonia as an Energy Vector 2021
[10] 논문 Role of nitrogen for plant growth and development: a review 2016-09-00
[11] 서적 Kirk-Othmer Encyclopedia of Chemical Technology 2012
[12] 서적 Kirk-Othmer Encyclopedia of Chemical Technology 2003
[13] 논문 Strategies for the Conversion of Lignin to High-Value Polymeric Materials: Review and Perspective 2016
[14] 논문 Industrial Use of Immobilized Enzymes 2013
[15] 논문 Genetically modified foods: safety, risks and public concerns—a review 2013-12-00
[16] 논문 Perspectives: Chemistry seeks its new level in agtech 2017-07-03
[17] 논문 House clears GMO food labeling bill 2016-07-18
[18] 웹사이트 「農芸化学」という名前の由来は? http://www.jsbba.or.[...] 일본농업화학회 2014-11-08
[19] 논문 キンチ, ケルネル, ロイブと日本の農芸化学曙時代 前編 : リービヒ流化学のキンチ,ケルネルによる移植と定着 2013-08-01
[20] 논문 キンチ, ケルネル, ロイブと日本の農芸化学曙時代 後編 : ケルネル水田試験からロイブによる生物化学時代へ 2013-09-01
[21] 논문 これからの農芸化学
[22] 웹사이트 農芸化学の100年(1987年2月15日発行) http://www.jsbba.or.[...] 일본농업화학회 2014-11-08
[23] 웹사이트 バイオサイエンスの世界へようこそ : 専攻・専修のなりたち https://www.bt.a.u-t[...] 東京大学大学院農学生命科学研究科 応用生命化学専攻/応用生命工学専攻 2015-10-06
[24] 웹사이트 平成28年度人文学部及び農学部の改組予定、理学部の定員減の予定について http://www.kochi-u.a[...] 2015-06-08
[25] 웹사이트 大学の沿革 http://www.kochi-u.a[...] 2015-06-08
[26] 웹사이트 農芸化学関連 全国大学・大学院研究科・専攻一覧 http://www.jsbba.or.[...] 公益社団法人 日本農芸化学会 2019-03-27
[27] 서적 Elémens d'agriculture physique et chymique 1766
[28] 서적 Elements of agricultural chemistry https://books.google[...] 1815
[29] 서적 Animal Chemistry or Organic Chemistry https://books.google[...] 1842
[30] 서적 Philadelphia edition https://books.google[...] 1847
[31] 서적 Traite de chimie minerale, vegetale et animal http://gallica.bnf.f[...]
[32] 서적 How crops grow: a treatise on the chemical composition, structure, and life of the plant, for all students of agriculture https://books.google[...] Orange Judd and Company 1868
[33] 서적 Die Eiweisskörper der Getreidearten, Hülsenfrüchte und Ölsamen. Beiträge zur Physiologie der Samen der Kulturgewachese, der Nahrungs- und Futtermitel 187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