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물의 마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눈물의 마녀》는 다리오 아르젠토 감독의 2007년 공포 영화로, 세 어머니 삼부작의 마지막 작품이다. 19세기 교회 고위 관계자의 시신 발굴 중 세 어머니 중 마지막 생존자인 마테르 라크리마룸의 유물이 발견되면서 이야기가 시작된다. 유물은 로마로 옮겨지고, 미술 복원학을 공부하는 사라 맨디가 유물을 조사하던 중 마테르 라크리마룸의 하수인에게 공격받는다. 마테르 라크리마룸이 깨어나면서 로마는 혼란에 빠지고, 사라는 어머니의 친구인 백마녀 마르타를 만나면서 마테르 라크리마룸에 맞서 싸울 준비를 한다. 영화는 사라가 형사 엔조 마르키와 함께 마테르 라크리마룸의 은신처로 들어가 그녀를 파괴하는 과정을 그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다리오 아르젠토 감독 영화 - 인페르노 (1980년 영화)
다리오 아르젠토 감독의 1980년 이탈리아 공포 영화 《인페르노》는 토마스 드 퀸시의 《심연의 탄식》에서 영감을 받아 제작된 "세 어머니" 삼부작 중 두 번째 작품으로, 뉴욕과 로마를 배경으로 연금술사의 저택에 얽힌 초자연적인 사건들을 다룬다. - 다리오 아르젠토 감독 영화 - 카드 플레이어
카드 플레이어는 2004년 개봉한 이탈리아 영화로, 연쇄 살인범이 웹캠 포커 게임을 통해 여성들을 납치하고 경찰을 협박하며, 강력한 방어 시스템 속에서 형사들이 범인을 추적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 2007년 성소수자 영화 - 세비지 그레이스
2007년 개봉한 영화 세비지 그레이스는 재벌 상속녀 바바라 데일리 베클랜드와 그녀 가족의 비극적인 이야기를 다루며 개봉 후 엇갈린 평가를 받았고 사실 왜곡 논란으로 소송이 제기되기도 했다. - 2007년 성소수자 영화 - 카라멜 (영화)
카라멜은 베이루트 미용실을 배경으로 다섯 레바논 여성의 삶, 사랑, 고민을 그린 영화로, 나딘 라바키 감독 및 주연, 결혼, 불륜, 동성애 등 다양한 인물들의 이야기를 통해 레바논 사회의 단면을 보여주며 칸 영화제 초청 및 국제 영화제에서 수상했다. - 이탈리아의 성소수자 영화 - 토탈 이클립스
19세기 프랑스 시인 랭보와 베를렌의 파격적인 동성애적 관계와 예술적 교감을 다룬 영화 토탈 이클립스는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와 데이비드 듈리스가 주연을 맡았으며, 예술과 욕망, 자유와 파멸이라는 주제를 탐구한다. - 이탈리아의 성소수자 영화 - 블랙 사바스 (영화)
마리오 바바 감독의 1963년 이탈리아 공포 옴니버스 영화 《블랙 사바스》는 알렉세이 톨스토이, 안톤 체호프, F.G. 스나이더의 단편 소설을 원작으로 세 개의 에피소드로 구성되었으며, 보리스 칼로프가 각 에피소드를 소개하고 출연한다.
눈물의 마녀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제 | La Terza madre (이탈리아어) |
영어 제목 | The Mother of Tears |
일본어 제목 | サスペリア・テルザ 最後の魔女 (사스페리아 테루자 사이고노 마녀) |
로마자 표기 | La Teŭja madeŭreŭ |
다른 제목 | The Third Mother (세 번째 어머니) |
영화 정보 | |
감독 | 다리오 아르젠토 |
각본 | 다리오 아르젠토 제이스 앤더슨 아담 기어쉬 |
원작 | 토머스 드 퀸시의 심연으로부터의 탄식 |
제작 | 다리오 아르젠토 클라우디오 아르젠토 |
출연 | 아시아 아르젠토 크리스티안 솔리메노 아담 제임스 모란 아티아스 발레리아 카발리 필리프 르루아 다리아 니콜로디 코랄리나 카탈디-타소니 우도 키어 이치카와 준 |
촬영 | 프레데릭 파사노 |
편집 | 발테르 파사노 |
음악 | 클라우디오 시모네티 |
제작사 | 메두사 필름 미리아드 픽처스 오페라 필름 |
배급사 | 메두사 디스트리부치오네 (이탈리아) 미리아드 픽처스 (미국) 킹레코드 (일본) |
개봉일 | 2007년 9월 6일 (TIFF) 2007년 10월 24일 (이탈리아) 2008년 6월 6일 (미국) 2009년 4월 25일 (일본) |
상영 시간 | 102분 (노컷판: 98분) |
제작 국가 | 이탈리아 미국 |
언어 | 영어 이탈리아어 |
제작비 | 350만 달러 |
흥행 수익 | 310만 달러 |
이전 작품 | 인페르노 |
2. 줄거리
19세기, 가톨릭 교회 관계자들이 고위 성직자의 시신을 발굴하던 중 세 어머니들 중 마지막 생존자인 마테르 라크리마룸(모란 아티아스)의 유물을 발견한다. 이 유물은 로마의 고대 미술관으로 옮겨지고, 미술 복원학을 공부하는 미국인 사라 맨디(아시아 아르젠토)는 큐레이터 마이클 피어스(애덤 제임스)와 교제 중이었다. 사라와 조수 큐레이터 기젤(코랄리나 카탈디-타소니)은 상자를 열고 튜닉을 발견하지만, 기젤은 마테르 라크리마룸의 악마적인 하수인들에게 공격받는다. 사라는 초자연적인 목소리의 도움으로 탈출한다.
이 영화에는 주요 인물과 조연을 포함한 다양한 인물들이 등장한다. 주요 인물과 조연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로마에서는 대량 자살, 살인, 폭력이 만연하며 혼란이 가중된다. 마이클의 아들이 마녀들에게 납치되고, 마이클은 살해당한다. 사라는 마녀들과 경찰 형사 엔조 마르키(크리스티안 솔리메노)에게 쫓기지만, 초자연적인 목소리의 도움으로 위기에서 벗어난다.
사라는 어머니 엘리사(다리아 니콜로디)의 친구이자 백마녀였던 마르타(발레리아 카발리)를 만난다. 마르타는 사라를 인도하는 초자연적인 목소리가 엘리사임을 알려준다. 엘리사는 과거 세 어머니들 중 가장 강력한 마테르 수스피리오룸에게 도전했다가 큰 부상을 입었고, 이에 대한 복수로 마테르 수스피리오룸은 사라의 부모를 살해했다. 마테르 라크리마룸은 로마를 시작으로 마법의 시대를 열고자 한다.
사라는 연금술사 드 위트의 도움으로 마테르 라크리마룸의 은신처를 찾는다. 엔조 마르키와 함께 지하 묘지로 들어간 사라는 마테르 라크리마룸에게 붙잡히지만, 엔조의 상처를 치료하고 창으로 마테르 라크리마룸의 튜닉을 찢는다. 튜닉을 화로에 던지자 은신처가 무너지고, 기둥이 마테르 라크리마룸을 꿰뚫어 죽인다. 지하 묘지가 붕괴되며 추종자들이 깔리고, 사라와 엔조는 간신히 지상으로 탈출한다.
3. 등장인물
3. 1. 주요 인물
배역 | 배우 | 일본어 더빙 |
---|---|---|
사라 맨디 | 아시아 아르젠토 | 사이토 에리 |
엔조 마르키 형사 | 크리스티안 솔리메노 | 사키노 슌스케 |
마이클 피어스 (박물관 관장) | 애덤 제임스 | 엔도 준이치 |
눈물의 어머니 (마테르 라크리마룸) | 모란 아티아스 | 코미야마 준코 |
엘리사 맨디 (사라의 어머니) | 다리아 니콜로디 | 세오 케이코 |
마르타 콜루시 (강령술사) | 발레리아 카발리 | 나가키 타이에이코 |
요하네스 신부 | 우도 키어 | 타카오카 빈빈 |
리쏘니 형사 | 로베르토 매디슨 | 타사카 히로키 |
밀레지 신부 | 토마소 반피 | 오카 테츠야 |
폴 피어스 (마이클의 아들) | 루카 페스카토레 | 잇시키 마유 |
카테리나 (마녀) | 준 이치카와 | 코미야마 준코 |
줄리안 | 파올로 스텔라 | 아이하라 타카아키 |
구글리엘모 데 위트 (연금술사) | 필립 르루아 | 엔도 준이치 |
지젤 (박물관 부관장) | 코랄리나 카탈디-타소니 | 코미야마 준코 |
엘가 (마르타의 연인) | 실비아 루비노 | 잇시키 마유 |
3. 2. 조연
- 크리스티안 솔리메노 - 엔조 마르키 형사 역
- 다리아 니콜로디 - 엘리사 맨디 역
- 아담 제임스 - 마이클 피어스 역
- 필립 르로이 - 구글리엘모 데 위트 역
- 발레리아 카발리 - 마르타 역
- 클라이브 리체 - 코트 입은 남자 역
- 마시모 사르키엘리 - 노숙자 역
- 로버트 매디슨 - 리쏘니 형사 역
- 이치카와 준 - 카테리나 역
- 지셀라 마렝고
- 실비아 루비노 - 엘가 역 (마르타의 연인)
- 루카 페스카토레 - 폴 피어스 역 (마이클의 아들)
- 토마소 반피 - 밀레지 신부 역
- 파올로 스텔라 - 줄리안 역
- 코랄리나 카탈디 타소니 - 지젤 (박물관 부관장) 역
배역 | 배우 | 일본어 더빙 |
---|---|---|
마이클 피어스 (박물관 관장) | 아담 제임스 | 엔도 준이치 |
엘리자 만디 (사라의 어머니) | 다리아 니콜로디 | 세오 케이코 |
마르타 콜루시 (강령술사) | 발레리아 카발리 | 나가키 타이에이코 |
리쏘니 형사 | 로베르토 매디슨 | 타사카 히로키 |
밀레지 신부 | 토마소 반피 | 오카 테츠야 |
폴 피어스 (마이클의 아들) | 루카 페스카토레 | 잇시키 마유 |
카테리나 (마녀) | 이치카와 준 | 코미야마 준코 |
줄리안 | 파올로 스텔라 | 아이하라 타카아키 |
구리에르모 데 위트 (연금술사) | 필립 르로이 | 엔도 준이치 |
지젤 (박물관 부관장) | 코랄리나 카탈디 타소니 | 코미야마 준코 |
엘가 (마르타의 연인) | 실비아 루비노 | 잇시키 마유 |
4. 제작
역할 | 담당 |
---|---|
감독 | 다리오 아르젠토 |
제작 | 클라우디오 아르젠토, 다리오 아르젠토, 마리나 베를루스코니, 줄리아 마렐레타 |
프로듀서 | 리 윌슨 |
라인 프로듀서 | 톰마소 카레비 |
제작 총괄 | 커크 다미코 |
공동 제작 | 리 윌슨 |
각본 | 제이스 앤더슨, 다리오 아르젠토, 월터 파사노, 아담 기라쉬, 시모나 시모네티 |
음악 | 클라우디오 시모네티 |
촬영 감독 | 프레데리크 파사노 |
편집 | 월터 파사노 |
미술 | 프란체스카 포카, 발렌티나 페로니 |
의상 | 루도비카 아마티 |
특수 분장 | 세르지오 스티바레티 |
시각 효과 감수 | 리 윌슨 |
시각 효과 | 앤섬 비주얼 이펙츠 |
일본어 자막 | 오카다 소헤이 |
더빙 번역 | 하시모토 마사코 |
더빙 연출 | 우데 키미 |
《눈물의 마녀》 제작은 1984년 다리아 니콜로디가 팡고리아와 인터뷰에서 각본은 완성되었으나 특수 효과와 로케이션 등을 수정 중이라고 밝히면서 시작되었다.[2]
2007년 칸 영화제를 앞두고 여러 비하인드 사진과 첫 공식 사진(2006년 11월 27일, 팡고리아 게재),[19] 18초짜리 짧은 예고편(2006년 12월 18일, Cinecitta.com 공개)이 공개되는 등 제한적인 프로모션이 진행되었다.[20] 2007년 1월 19일에는 베르나르 조이스텐의 저서 ''다리오 아르젠토와 영화''에 촬영 흑백 사진 여러 장이 게재되었다.[21]
칸 영화제는 《눈물의 마녀》가 경쟁 부문 후보로 고려될 수 있도록 제때 완성을 요청했으나,[10] 영화제에서는 20분 분량의 영상만 공개되었다.[26] 관객 반응은 엇갈렸다.[26]
이후 2008년 4월 25일 샌프란시스코 국제 영화제에서 미국 초연을 가졌다.
4. 1. 각본
1984년 초, 다리아 니콜로디는 ''팡고리아''와의 인터뷰에서 "세 번째 [영화]의 각본을 완성했지만, 프로젝트를 완벽하게 만들기 위해 아직 작업해야 할 몇 가지 사항, 특수 효과와 로케이션 등을 수정하고 있다."[2]라고 밝혔다. 니콜로디는 앨런 존스의 저서 ''프로폰도 아르젠토: 남자, 신화, 마법''에서 자신의 각본 버전을 다시 언급했지만, 이는 ''마더 오브 티어스''에 전부 또는 일부 사용되지 않았다.2003년 11월 29일, 이탈리아 북부 트리에스테 과학 플러스 픽션 페스티벌에서 다리오 아르젠토는 2004년 8월에 《세 번째 어머니》 촬영을 시작할 예정이며, 현재 시나리오 작업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3] 그는 영화의 주제가 "신비주의, 연금술, 테러리즘, 영지주의 등과 관련이 있다. 영지주의는 교회에서 이단이라고 말했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고문을 당했고, 그것이 이야기의 시작이 될 것이다. [...] 삼모녀를 떠난 지 20년이 넘었고, 회고적인 관점에서 전체 이야기를 다시 탐구하게 되어 놀랍도록 기분이 좋다."[3]라고 언급했다. 이 영화는 로마를 배경으로 하며 중세 시대의 마테르 라크리마룸에서 시작될 예정이었다.[3]
제작진은 다음과 같다.
역할 | 담당 |
---|---|
감독 | 다리오 아르젠토 |
제작 총괄 | 커크 다미코 |
제작 | 클라우디오 아르젠토, 다리오 아르젠토, 마리나 베를루스코니, 줄리아 마렐레타 |
공동 제작 | 리 윌슨 |
각본 | 제이스 앤더슨, 다리오 아르젠토, 월터 파사노, 아담 기라쉬, 시모나 시모네티 |
음악 | 클라우디오 시모네티 |
촬영 감독 | 프레데리크 파사노 |
편집 | 월터 파사노 |
미술 | 프란체스카 포카, 발렌티나 페로니 |
의상 | 루도비카 아마티 |
특수 분장 | 세르지오 스티바레티 |
시각 효과 감수 | 리 윌슨 |
시각 효과 | 앤섬 비주얼 이펙츠 |
일본어 자막 | 오카다 소헤이 |
더빙 번역 | 하시모토 마사코 |
더빙 연출 | 우데 키미 |
4. 2. 촬영
다리아 니콜로디는 1984년 이른 시기에 아르젠토와 함께 ''팡고리아''와의 인터뷰에서 "우리는 세 번째 [영화]의 각본을 완성했지만, 프로젝트를 완벽하게 만들기 위해 아직 작업해야 할 몇 가지 사항, 몇몇 특수 효과와 로케이션 등을 수정하고 있다."[2]라고 밝혔다. 니콜로디는 앨런 존스의 저서, ''프로폰도 아르젠토: 남자, 신화, 마법''을 위한 인터뷰에서 그녀의 각본 버전을 다시 언급했지만, 이는 ''마더 오브 티어스''에 전부 또는 일부로 사용되지 않았다.2005년 말, 아르젠토는 《세 번째 어머니》의 콘셉트 작업을 시작하기 위해 북유럽으로 갔다.[4] 얼마 지나지 않아, 아르젠토가 제이스 앤더슨과 아담 지어라쉬에게 영화의 각본을 함께 써달라고 요청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우리가 로마에 도착했을 때 다리오가 이미 치료에 대한 자신의 패스를 마쳤고, 우리는 아파트에 3주 동안 틀어박혀 다리오와 만나고, 지하 묘지를 방문하고, 초고를 완성했습니다." 이 무렵, 《팡고리아》는 영화의 제목이 《눈물의 어머니》(Mater Lachrymarum)가 될 것이라고 보도했다.[5]
《세 번째 어머니》의 각본은 2006년 2월에도 계속 다듬어지고 있었고, 앤더슨과 지어라쉬가 초고를 작성했고 아르젠토가 이를 수정했다.[6] 이 초기 각본은 《인페르노》 직후에 시작되었으며, 마테르 테네브룸의 집 파괴에서 살아남은 마녀가 일련의 살인 사건을 조사하는 형사 (엔니오 판타스티키니)를 지켜보는 내용이었다.[7] 다른 잠정적인 출연진으로는 정신과 의사로 키아라 카셀리, 신비한 대학 교수로 맥스 폰 시도우, 판타스티키니의 캐릭터가 살해당했을 때 사건을 맡는 젊은 조사관으로 조르다노 페트리가 있었다.[7] 이 시점에서 촬영은 같은 해 늦봄에 시작될 예정이었고, 2006년 11월에서 2007년 1월 사이에 개봉될 예정이었다.[6] 그러나 2006년 초, 아르젠토가 앤더슨과 지어라쉬의 각본에 불만을 품고 해고했다는 소문이 돌았다. 프랑스 공포 영화 잡지 《레크란 판타스티크》는 아르젠토만 각본가로 이름을 올릴 것이라고 보도했다. 3월 10일, 《세 번째 어머니》의 촬영이 9월까지 연기될 것이라고 발표되었다.[8] 4월 중순, 아르젠토가 6월에 이탈리아로 돌아가 《세 번째 어머니》 촬영을 즉시 시작할 것이며, 이는 "메두사, 주요 미국 회사[미리어드]와 함께 제작하는 대규모 예산 영화"가 될 것이라고 발표되었다.[9] 2006년 5월, 영화의 가능한 제목으로 《눈물의 어머니》(Mother of Tears)가 떠올랐다. 언론인 앨런 존스에 따르면, 이 제목은 "다리오가 관련되어 있는 한 결코 고려되지 않았다. 그것은 원래 미국의 판매 에이전트인 미리어드가 해외 배급을 위해 원했던 제목이었다."[10] 같은 달, 칸 영화제에서 나온 소문은 배우 시에나 밀러를 영화의 여자 주인공과 연결시켰다.[11] 또한 칸에서 메두사의 CEO 잠파올로 레타는 앤더슨과 지어라쉬의 말을 인용하여 "이것은 빈티지 아르젠토가 될 것이다. 꽤 강력한 작품이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12] 7월, 《세 번째 어머니》가 "다음 해 11월 또는 그 이후"까지 다시 연기되었고 아르젠토의 딸인 아시아 아르젠토가 영화에 캐스팅되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13]

2006년 10월 중순, 지에라쉬는 《세 번째 어머니》가 그 달 말에 촬영을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14] 주요 촬영은 로마에서 진행되었으며, 일부는 토리노와 테르니의 치네치타 스튜디오에서 촬영되었다.[15]
4. 3. 후반 작업
1984년 초, 다리아 니콜로디는 다리오 아르젠토와 함께 ''팡고리아''와의 인터뷰에서 "세 번째 영화의 각본을 완성했지만, 프로젝트를 완벽하게 만들기 위해 아직 작업해야 할 몇 가지 사항, 특수 효과와 로케이션 등을 수정하고 있다"라고 밝혔다.[2] 니콜로디는 앨런 존스의 저서 ''프로폰도 아르젠토: 남자, 신화, 마법'' 인터뷰에서 자신의 각본 버전을 언급했지만, 이는 ''눈물의 마녀''에 전부 또는 일부로 사용되지 않았다.2006년 10월 중순, 기라쉬는 《세 번째 어머니》가 그 달 말에 촬영을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14] 주요 촬영은 로마에서 진행되었으며, 일부는 토리노와 테르니의 치네치타 스튜디오에서 촬영되었다.[15] 2007년 3월까지 《눈물의 마녀》 편집 작업이 거의 마무리되었다.[16] 영화의 이탈리아어 및 영어 버전 사운드트랙 더빙은 2007년 4월 5일에 완료되었다.[15]
영화의 디지털 효과는 리 윌슨과 세르지오 스티발레티가 제작했다.[15] 촬영 감독 프레데릭 파사노에 따르면 영화는 차분한 차가운 색 팔레트로 시작하여 영화가 진행됨에 따라 빨간색으로 바뀔 것이라고 한다.[10]
《눈물의 마녀》 이탈리아 배급사 메두사 필름은 영화가 너무 폭력적이라고 판단하여 편집을 요청했다.[24] 메두사의 주요 반대는 "마녀 집회 사탄 장면에서의 변태적인 섹스와 주요 인물의 식인 살해 묘사"였다.[17] 아르젠토는 영화를 더 대중적으로 만들기 위해 재편집을 요청받았다.[17] 2007년 5월 28일, 영화가 이탈리아에서 14세 관람가 등급을 받을 것이 확정되었으며, 이후 "DVD 출시를 위해 복원될" "모든 하드코어 고어"를 제거해야 했다.[18]
5. 음악
클라우디오 시모네티는 2007년 4월 초, 4개월 간의 작업 끝에 영화 ''눈물의 마녀''의 사운드트랙을 완성했다.[15] 그는 많은 합창곡에 고전 음악 스타일과 중세 음악의 영향을 담았다. 시모네티는 영화의 주제 때문에 이 스코어가 이전 작업과 "매우 다르다"고 설명했다.[15] 이 음악은 아르젠토의 ''마스터즈 오브 호러'' 에피소드 ("제니퍼" 및 "펠츠")와 칼 오르프, 제리 골드스미스, 버나드 허먼 등 여러 작곡가들의 영향을 받았다.[15] 또한 전자 음악과 ''서스페리아'', ''페노미나''와 같은 아르젠토 영화에 대한 시모네티의 이전 작업의 영향도 통합되었다.[15]
시모네티의 "Mater Lachrimarum"의 마지막 부분은 "Dulcis in Fondo"라고 불리며, 그의 헤비 메탈 밴드 데모니아(Daemonia)가 연주했다.[15] 크레이들 오브 필스의 프론트맨 다니 필스는 영화 사운드트랙을 위해 시모네티와 함께 "Mater Lacrimarum"이라는 곡을 녹음했다.[41]
사운드트랙은 로마 카스텔누오보의 아쿠아리오 스튜디오에서 녹음되었다. 교향악단 부분은 오케스트라 D.I.M.I.가 연주했으며, 합창 부분은 2007년 2월에 노바 리리카 합창단이 연주했다.[42] 이들은 모두 사운드맨 주세페 라니에리의 도움을 받아 로마의 리드 스튜디오에서 녹음되었다. 2007년 4월 5일, 영화 제작자들은 사운드트랙 더빙을 완료했다.[15] 칸 영화제 프리뷰에서 언론인 앨런 존스는 시모네티의 스코어를 "완전한 성공"이라고 평가했다.[26]
사운드트랙은 영화의 이탈리아 전역 개봉(2007년 10월 31일)과 거의 동시에 에델 뮤직에서 발매되었다.[43]
6. 평가
''눈물의 마녀''에 대한 평가는 대체로 엇갈렸다. 많은 평론가들은 영화에 결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재미있다고 평가했다. 로튼 토마토에서는 73개의 리뷰를 바탕으로 49%의 지지율과 평균 5.3/10점을 기록했다. 로튼 토마토의 총평은 "전작인 ''서스페리아''와 ''인페르노''처럼 과도하고 케첩으로 뒤덮인 ''눈물의 마녀''는 동일한 바로크 양식의 웅장함과 1970년대의 감성을 지닌 삼부작을 완성한다"이다.[31] 메타크리틱에서는 18명의 비평가로부터 100점 만점에 52점을 받아 "평가 혼조"를 나타냈다.[32]
몇몇 평론가들은 ''세 어머니'' 삼부작의 마지막 영화인 ''눈물의 마녀''를 통해 다리오 아르젠토 감독의 전체적인 경력을 되돌아보는 기회를 가졌으며, ''눈물의 마녀''와 1970년대 및 1980년대 아르젠토 영화 사이의 유사점을 언급하기도 했다.
''버라이어티''의 데니스 하비는 "이 혼란스러운 초자연적 난장판은 의도하지 않은 듯한 유쾌함의 보고이다...이 '어머니'는 저렴하고 숨 가쁘게 진행되는 미래의 캠프 클래식이다"라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33] Salon.com의 스테파니 자차렉은 "''눈물의 마녀''는 타락하고, 피투성이이며, 뻔뻔하게 착취적이며, 줄거리는 거의 의미가 없다. 아르젠토 자신 외에는 아무도 만들 만큼 미치지 않을 영화다. 또한 생명력이 넘쳐서 ''쏘우''와 ''호스텔''과 같은 현대 공포 영화를 압도한다"고 호평했다.[34]
반면, ''The Village Voice''의 짐 리들리는 이 영화가 한때 위대했던 감독의 능력이 쇠퇴하고 있다는 증거라고 비판하며, "공포의 거장 아르젠토의 중요한 작품...을 존경하는 사람들에게는...이렇게 낮게 가라앉는 것을 보는 것이 고통스럽다."라고 말했다.[35] ''Film Journal International''의 메이틀랜드 맥도나는 "아르젠토를 공포 영화 제작자들보다 뛰어나게 만들었던 바로크 양식의 분위기와 시각적 미학이 안타깝게 부족하다...영어 더빙은 마지막 굴욕이다. 목소리조차도 끔찍하다"고 혹평했다.[36]
''The New York Times''의 네이선 리는 이 영화를 "엉뚱하고, 어색하고, 저속하고, 기발하고...값을 매길 수 없고, 조잡하고, 숭고하다...[아르젠토]의 경력에서 가장 재미있는 영화일 수 있다"고 평가하면서도, "순전히 시각적인 스토리텔링으로 볼 때...''수정 깃털의 새''와 비교하면 부족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그의 작품 중에서 그 어떤 것보다 잘, 아니면 더 잘하는 것이 있다: 그것은 끝까지 간다"라고 덧붙였다.[37]
''팡고리아''의 스쿠터 맥크레이는 "''눈물의 마녀''는 훌륭한 영화이며 기다릴 가치가 있다. 결점이 있는가? 물론이다. 그러나 ''테네브레'', ''페노미나'', ''서스페리아''와 ''인페르노''도 그렇고, 이제 모두 고전 아르젠토 영화의 정식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며 영화를 옹호했다.[38] ''시네판타스틱''의 스티브 비오드로스키 역시 "''눈물의 마녀''를 보는 경험은 어둠의 힘이 지배하는 원초적인 혼돈 속으로의 델리리움적 강하와 같다...완벽하게 만족스러운 해결책이다..."라고 호평했다.[39]
아르젠토 감독은 비평가들의 반응에 대해 "비평가들은 그다지 잘 이해하지 못한다. 그러나 비평가는 중요하지 않다. 절대 중요하지 않다. 왜냐하면 이제 관객들은 더 이상 비평가들을 믿지 않기 때문이다."라며 무시하는 태도를 보였다.[40]
한편, 영화의 폭력성과 선정성 때문에 여러 버전이 존재하며, 상영 시간은 각국의 등급 분류에 따라 98분(일본, 미국), 102분(무삭제판), 90분(아르헨티나) 등으로 다양하다.
7. 흥행
이 영화는 2008년 4월 25일 샌프란시스코 국제 영화제에서 미국 초연을 가졌다. 이어서 6월에는 마이리아드 픽쳐스를 통해 제한적인 극장 상영이 이루어졌으며, 2008년 9월 23일에는 더 와인스타인 컴퍼니를 통해 Dimension Extreme DVD로 출시되었다.
이탈리아에서 《눈물의 마녀》는 273개 극장에서 이틀 만에 827000USD의 수익을 올렸다. 303개 극장에서 개봉 첫 주말까지 1917934USD를 벌어들여 이탈리아 박스 오피스 4위를 차지했다. 현재까지 2077000EUR(3114070USD)를 벌어들였다. 미국에서 제한적인 개봉 첫 주, 《눈물의 마녀》는 7개 극장에서 19418USD의 수익을 올려 극장당 2774USD를 기록했으며, 《버라이어티》 주간 박스 오피스 차트 55위를 차지했다.
8. 기타
폭력적이고 선정적인 장면이 포함되어 있어, 각국의 등급 분류에 따라 여러 버전이 존재한다. 일본, 미국에서는 98분, 무삭제판은 102분, 아르헨티나에서는 90분 버전이 있다. 각 국의 심의 등급은 다음과 같다.
국가 | 등급 |
---|---|
이탈리아 | VM18 (극장 심사), VM14 (재심사) |
미국 | R (편집판), 미심사 (무삭제판) |
일본 | 심사 예정 (편집판), 미심사 (무삭제판) |
영국 | 18 |
독일 | 18 (편집판) |
아르헨티나 | 18 (편집판) |
네덜란드 | 16 |
오스트레일리아 | R |
8. 1. "세 어머니" 삼부작
《세 어머니》는 아르젠토의 삼부작으로, 이 영화의 마지막 작품이다. 이 삼부작은 토머스 드 퀸시의 《심연의 탄식》 중 〈레바나와 슬픔의 여인들〉에 나오는 등장인물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이 산문시는 슬픔을 의인화한 세 여성, 즉 마테르 라크리마룸(눈물의 어머니), 마테르 수스피리오룸(한숨의 어머니), 마테르 테네브룸(어둠의 어머니)을 소개한다. 아르젠토와 다리아 니콜로디는 드 퀸시의 세 슬픔을 눈물, 한숨, 그림자로 세상을 지배하는 세 명의 사악한 마녀로 재해석했다. 1977년에 개봉한 첫 번째 영화인 《서스페리아》는 원색의 대담한 사용과 각 살인을 위한 정교한 세트장을 포함하여 이 시리즈의 주요 스타일 요소를 소개했다. 속편인 《인페르노》는 1980년에 개봉했을 때 세 명의 중심 마녀에 관한 전반적인 줄거리의 연속성을 발전시켰다.[1]8. 2. 일본에서의 홍보
일본에서의 캐치프레이즈는 "'''세 번째 약속입니다. 절대로 혼자서 보지 마세요'''"였다.일본 공식 사이트에는 "'''Suspiria3'''"(서스페리아3)이라는 영제가 붙어 있다.
요시모토 바나나와 아야츠지 유키토는 일본 공식 사이트에 메시지를 보냈다.
일본 극장 공개에 맞춰 스기모토 유미를 이미지 캐릭터로 기용, 마녀로 분장한 스기모토가 각종 미디어에서 본 작품의 홍보에 임했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Mother of Tears (2007)
https://www.boxoffic[...]
[2]
웹사이트
Interview with Dario Argento and Daria Nicolodi Taken from FANGORIA Magazine – Volume No. 35 Issue 4
http://www.argento.v[...]
Master of Colors Dario Argento website
2006-05-28
[3]
뉴스
Argento to raise THE THIRD MOTHER
http://www.fangoria.[...]
Fangoria
2003-12-09
[4]
웹사이트
A Dario Argento "Piace Hitchcock"
http://www.corriere.[...]
2007-06-19
[5]
웹사이트
Scripters talk Argento's MOTHER OF TEARS
http://www.fangoria.[...]
Fangoria.com
2007-09-23
[6]
웹사이트
Dario Argento
http://www.profondor[...]
Profondo Rosso
2007-06-19
[7]
웹사이트
Set pronto per Argento
http://www.cinematog[...]
Cinematografo
2007-06-19
[8]
웹사이트
Dario Argento
http://www.profondor[...]
Profondo Rosso
2007-06-19
[9]
웹사이트
Dario Argento
http://www.profondor[...]
Profondo Rosso
2007-06-19
[10]
웹사이트
La terza madre
http://www.darkdream[...]
Dark Dreams
2006-12-15
[11]
웹사이트
Official Mother of Tears news
http://whiggles.land[...]
Whiggles.com
2007-03-14
[12]
웹사이트
Dario Argento set to deliver THE MOTHER OF TEARS!
https://www.aintitco[...]
Ain't It Cool News
2007-05-20
[13]
웹사이트
Flash
http://www.profondor[...]
Profondo Rosso
2007-06-20
[14]
웹사이트
MOTHER OF TEARS ready to roll
http://www.fangoria.[...]
2007-05-20
[15]
웹사이트
LA TERZA MADRE, NEWS
http://simonetti.for[...]
2007-04-11
[16]
웹사이트
Dario Argento – Gunnar Hansen – Luigi Cozzi
http://www.profondor[...]
Profondo Rosso
2007-03-14
[17]
웹사이트
The Alan Jones Diary: 2nd May 2007
http://www.frightfes[...]
London FrightFest Ltd.
2007-05-18
[18]
웹사이트
la terza madre rating confirmed
http://www.darkdream[...]
Dark Dreams
2007-06-19
[19]
웹사이트
First photo from MOTHER OF TEARS set
http://www.fangoria.[...]
Fangoria
2007-03-14
[20]
웹사이트
CNB Special – preview of 2007
http://news.cinecitt[...]
2007-03-14
[21]
웹사이트
CRIME DESIGNER : Bernard Joisten
http://www.editions-[...]
2007-03-14
[22]
웹사이트
TIFF '07 – Films & Schedules The Mother of Tears
http://tiff07.ca/fil[...]
Toronto International Film Festival Group
2007-08-14
[23]
웹사이트
ROMA FilmFest
http://2007.romacine[...]
Rome Film Fest
2007-10-15
[24]
웹사이트
Dario Argento – Profondo Rosso The Musical
http://www.profondor[...]
Profondo Rosso
2007-03-18
[25]
웹사이트
"Weekly Box Office, Jun 06–12 Jun 2008"
https://www.variety.[...]
2008-06-16
[26]
웹사이트
La Terza madre at Cannes!
http://www.darkdream[...]
Dark Dreams
2007-05-18
[27]
웹사이트
"IT'S ALIVE! First look at Burbank Fango schedule"
http://www.fangoria.[...]
Fangoria
2007-05-18
[28]
웹사이트
New ''Mother of Tears'' Promo Art
http://www.shocktill[...]
ShockTillYouDrop.com
2007-05-28
[29]
웹사이트
"IT'S ALIVE! First look at East Coast Fango schedule"
http://fangoria.com/[...]
2007-06-28
[30]
웹사이트
Mother of Tears: an illicit glimpse
http://whiggles.land[...]
Whiggles.com
2007-07-03
[31]
웹사이트
Mother of Tears: The Third Mother (2007)
https://www.rottento[...]
2018-08-21
[32]
웹사이트
Mother of Tears Reviews
https://www.metacrit[...]
2015-09-10
[33]
간행물
Mother of Tears: The Third Mother
https://variety.com/[...]
2023-04-25
[34]
웹사이트
Mother of Tears: The Third Mother
http://www.salon.com[...]
2008-06-08
[35]
뉴스
The Mother of Tears: Dario Argento Clowns Himself
http://www.villagevo[...]
2008-06-08
[36]
웹사이트
Mother of Tears: The Third Mother
https://web.archive.[...]
2008-06-05
[37]
뉴스
Mother of Tears, The: Supernatural Stew, Served With Camp
https://movies.nytim[...]
2008-06-06
[38]
웹사이트
Mother of Tears
http://www.fangoria.[...]
Fangoria.com
2008-06-07
[39]
간행물
Mother of Tears
http://cinefantastiq[...]
2008-06-06
[40]
웹사이트
Cinefantastique Online: Dario Argento Sheds the Mother of All Tears
http://cinefantastiq[...]
[41]
웹사이트
CRADLE OF FILTH
http://www.roadrunne[...]
2007-08-10
[42]
웹사이트
Nova Lyrica – Coro lirico – Roma
https://web.archive.[...]
[43]
웹사이트
La Terza Madre (The Mother of Tears)
http://www.moviegroo[...]
2007-1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