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뉴시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뉴시스는 2001년 9월에 등록되어 2002년 2월에 서비스를 시작한 대한민국의 민영 뉴스통신사이다. 스포츠코리아와의 합병을 통해 언론사로서의 기반을 다졌으며, 최해운 대표이사 체제 하에 취재 시스템을 구축하고, 2002년 FIFA 월드컵 뉴스 공급을 통해 통신사로서의 입지를 다졌다. 이후 여러 차례의 경영권 변동을 거쳐 2014년 머니투데이 미디어 그룹에 합류했으며, 종합시사주간지 뉴시스아이즈를 창간했다. 현재는 하루 평균 약 9000건의 외신기사와 2700건의 국내 기사 및 사진을 생산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통신사 - 연합뉴스
    연합뉴스는 1945년 합동통신으로 시작하여 1980년 합병을 거쳐 설립된 대한민국의 뉴스통신사이며, 국가기간뉴스통신사로 지정되어 한국어 등 7개 언어로 뉴스 서비스를 제공하고, 연합뉴스TV 등의 자회사를 운영한다.
  • 대한민국의 통신사 - GNN뉴스통신
    GNN뉴스통신은 진실과 인간애를 중시하며 지역 뉴스에서 글로벌 아젠다를 발굴하고 기아 문제 해결과 무료 교육 제공을 목표로 하는 세계 최초의 플랫폼 뉴스 통신사이다.
  • 1995년 설립된 기업 - FTSE 그룹
    FTSE 그룹은 피어슨과 런던증권거래소 그룹이 1995년 설립한 금융 정보 제공 기업으로, FTSE 100 지수 등을 포함한 다양한 지수를 개발 및 제공하며 투자 분석과 자산 배분 등에 활용되는 글로벌 벤치마크를 제공하고 지수 정보 이용 수수료 등으로 수익을 창출한다.
  • 1995년 설립된 기업 - 킴스클럽
    킴스클럽은 뉴코아아울렛 등에서 식품 매장을 운영하며, 2022년 10월 기준 전국 30개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 2001년 설립된 기업 - 미쓰이스미토모 은행
    미쓰이스미토모 은행은 2001년 스미토모은행과 사쿠라은행의 합병으로 탄생한 일본의 대형 은행으로, 미쓰이 그룹 및 스미토모 그룹과 연관되어 있으며 국내외 영업망을 통해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고 기업금융, 투자은행 등 여러 사업 부문을 운영하며 성장해왔다.
  • 2001년 설립된 기업 - 폰테라
    폰테라는 2001년 뉴질랜드 유제품 그룹, 키위 협동조합 유제품, 뉴질랜드 유제품 위원회의 합병으로 설립된 다국적 유제품 협동조합으로, 뉴질랜드 유제품 생산량의 95%를 수출하며 글로벌 B2B 유제품 영양 제품 공급업체로의 전환을 위해 글로벌 소비자 사업 매각을 발표했다.
뉴시스 - [회사]에 관한 문서
뉴스 통신사 정보
이름뉴시스 뉴스 통신사
로고
본사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중구 퇴계로 173 12층
국가대한민국
개국2001년 9월 6일
사용 가능 지역글로벌
설립2001년 9월
웹사이트www.newsis.com
언어한국어
다른 이름뉴스신디케이트 코리아 (로마자 표기: Nyuseushindikeiteu Koria)

2. 역사

2001년 9월 1,500여 명의 현직 기자들이 뉴스통신사의 복수경쟁체제를 지지하는 청원을 법원에 제출하는 과정을 거쳐 정식 등록을 받았다. 2002년 2월 대한민국 최대 민영 뉴스통신사로 서비스를 시작했다.

2001년 12월, 당시 스포츠투데이(현재 폐간)의 사진부를 외주 운영하며 사진통신사의 역할이 강했던 스포츠코리아와 합병하며 언론사의 모습이 갖춰지기 시작했다.

2002년 2월, 대표이사 '''최해운'''을 비롯한 5인의 주요 인물과 스포츠코리아 인원들이 협력해 취재시스템과 마케팅시스템을 구성하기 시작했다. 중학동 소재 경제통신사 건물에 위치했던 뉴시스는 충무로로 위치를 한차례 옮기고, 2008년 1월 기준으로 서울경제신문이 세들어 있는 충무로 건물로 이사를 하는 동시에 편집국 내부에 국제팀을 신설해 로이터 통신의 번역 뉴스를 출고하기 시작했다. 사진부와 영상취재팀을 구성해 스포츠 분야부터 사진과 영상취재클립을 시험 출고했다.

2002년 3월, 뉴시스 전산실은 '원스톱취재출고' 전산시스템을 완성했고, 경력 기자 중심으로 인력 채용에 나서기 시작했다.

2002년 6월, 편집국 조각이 계속 이뤄지는 가운데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를 포함한 10개 중앙언론사와 뉴스 서비스 시범 계약이 체결되고 실시간(사진 출고 후 계약 언론사까지 6분 만에 사진 데이터 도달) 2002년 FIFA 월드컵 뉴스 공급으로 통신사 뉴스 공급의 기틀을 마련했다.

2002년 7월, 편집국 경력 기자와 공채를 통해 모집되었던 1기 기자들 주축으로 즉각 입성이 불가능한 서울 대신 수원시에 사회부 경찰팀을 꾸렸다. 이전에는 번역 뉴스와 스포츠, 국내 사진과 영상 일변도였다.

2005년 11월, 창립자인 최해운 사장이 퇴진하고 대주주였던 머니투데이(대표이사 박무)가 주식소각 결정을 승인한다. 이 결정으로 서울경제신문 사장 출신인 김서웅 대표이사와 동회사 감사 출신인 나진원, 당시 지역본부를 맡고 있었던 정인호, 박세복과 거액의 체불임금을 전액 주식출자한 사원지주(대표자격 이두영) 등이 뉴시스를 인수해 정상화 노력을 시작했다.

2006년 1월, 한국일보 전직 회장이었던 장재국 씨가 뉴시스를 인수해 대표이사 배기철, 나진원 체제로 새롭게 정비했다.

2014년 1월, 머니투데이 미디어 그룹에 합류했고, 2015년 1월 제호 CI를 교체했다.

2006년 10월 종합시사주간지 뉴시스아이즈를 창간했다.

2. 1. 설립 및 초기 (2001년 ~ 2002년)

2001년 9월 1,500여 명의 현직 기자들이 뉴스통신사의 복수경쟁체제를 지지하는 청원을 법원에 제출하는 과정을 거쳐 정식 등록을 받았다. 2002년 2월 대한민국 최대 민영 뉴스통신사로 서비스를 시작했다.

2001년 12월, 당시 스포츠투데이(현재 폐간)의 사진부를 외주 운영하며 사진통신사의 역할이 강했던 스포츠코리아와 합병하며 언론사의 모습이 갖춰지기 시작했다.

2002년 2월, 대표이사 '''최해운'''을 비롯한 5인의 주요 인물과 스포츠코리아 인원들이 협력해 취재시스템과 마케팅시스템을 구성하기 시작했다. 중학동 소재 경제통신사 건물에 위치했던 뉴시스는 충무로로 위치를 한차례 옮기고, 2008년 1월 기준으로 서울경제신문이 세들어 있는 충무로 건물로 이사를 하는 동시에 편집국 내부에 국제팀을 신설해 로이터 통신의 번역 뉴스를 출고하기 시작했다. 사진부와 영상취재팀을 구성해 스포츠 분야부터 사진과 영상취재클립을 시험 출고했다.

2002년 3월, 뉴시스 전산실은 '원스톱취재출고' 전산시스템을 완성했고, 경력 기자 중심으로 인력 채용에 나서기 시작했다.

2002년 6월, 편집국 조각이 계속 이뤄지는 가운데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를 포함한 10개 중앙언론사와 뉴스 서비스 시범 계약이 체결되고 실시간(사진 출고 후 계약 언론사까지 6분 만에 사진 데이터 도달) 2002년 FIFA 월드컵 뉴스 공급으로 통신사 뉴스 공급의 기틀을 마련했다.

2002년 7월, 편집국 경력 기자와 공채를 통해 모집되었던 1기 기자들 주축으로 즉각 입성이 불가능한 서울 대신 수원시에 사회부 경찰팀을 꾸렸다. 이전에는 번역 뉴스와 스포츠, 국내 사진과 영상 일변도였다.

2. 2. 성장 및 서비스 확장 (2002년 ~ 2005년)

2001년 9월 정식 등록을 받은 뉴시스는 대한민국 최대 민영 뉴스통신사로 2002년 2월 서비스를 시작했다. 2001년 12월, 당시 스포츠투데이(현재 폐간)의 사진부를 외주운영하며 사진통신사의 역할이 강했던 스포츠코리아와 합병하며 언론사의 모습을 갖추기 시작했다.

2002년 2월, 대표이사 '''최해운'''을 비롯한 5인의 주요인물과 스포츠코리아 인원들이 협력해 취재시스템과 마케팅시스템을 구성하기 시작했다. 2002년 3월에는 '원스톱취재출고' 전산시스템을 완성하고, 경력기자 중심으로 인력채용에 나섰다. 2002년 6월에는 조중동을 포함한 10개 중앙언론사와 뉴스서비스 시범계약을 체결하고 실시간 월드컵뉴스 공급으로 통신사 뉴스공급의 기틀을 마련했다.

2002년 당시 뉴시스는 중학동 소재 경제통신사 건물에 위치했었다. 이후 충무로로 위치를 한차례 옮기고, 2008년 1월 기준으로 서울경제신문이 세들어 있는 충무로 건물로 이사했다. 한편으로 편집국 내부에는 국제팀을 신설해 로이터 통신의 번역뉴스를 출고하기 시작했고, 사진부와 영상취재팀을 구성해 스포츠분야부터 사진과 영상취재클립을 시험출고했다. 2002년 7월, 편집국 경력기자와 공채 1기 기자들 주축으로 수원에 사회부 경찰팀을 꾸렸다.

2005년 11월, 창립자인 최해운 사장이 퇴진하고 대주주였던 머니투데이가 주식소각 결정을 승인했다.

2. 3. 경영권 변동 (2005년 ~ 2014년)

2005년 11월, 창립자인 최해운 사장이 퇴진하고 대주주였던 머니투데이(대표이사 박무)가 주식소각 결정을 승인한다. 이 결정으로 서울경제신문 사장 출신인 김서웅 대표이사와 동회사 감사 출신인 나진원, 당시 지역본부를 맡고 있었던 정인호, 박세복과 거액의 체불임금을 전액 주식출자한 사원지주(대표자격 이두영) 등이 뉴시스를 인수해 정상화 노력을 시작했다. 2006년 1월, 한국일보 전직 회장이었던 장재국 씨가 뉴시스를 인수해 대표이사 배기철, 나진원 체제로 새롭게 정비했다. 2014년 1월, 머니투데이 미디어 그룹에 합류했고, 2015년 1월 제호 CI를 교체했다.

2. 4. 머니투데이 미디어 그룹 편입 (2014년 ~ 현재)

2014년 1월, 머니투데이 미디어 그룹에 합류했고 2015년 1월 제호 CI를 교체했다. 뉴시스는 평일 기준으로 하루 평균 약 9000 건의 외신기사와 2700건의 국내 기사와 사진을 생산한다. 본사에 150여 명, 지역본부에 150여 명의 취재기자가 속해 있다.

3. 뉴시스아이즈

참조

[1] 서적 International News Coverage and the Korean Conflict: The Challenges of Reporting Practices https://link.springe[...] Springer 2019-03-21
[2] 서적 Media Governance in Korea 1980–2017 https://link.springe[...]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18-02-10
[3] 웹사이트 https://www.chosun.c[...] 2020-08-13
[4] 웹사이트 https://www.khan.co.[...] 2001-07-10
[5] 웹사이트 뉴시스 소개 http://www.newsis.co[...] 2017-05-22
[6] 뉴스 韓国に2社目の通信社 http://world.kbs.co.[...] 韓国放送公社 2002-01-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