능주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능주역은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에 있는 경전선 철도역이다. 1930년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했으며, 지역명칭인 능주에서 역명 유래를 찾을 수 있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지상역으로, 무궁화호와 남도해양열차가 정차한다. 인접한 역으로는 이양역, 화순역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화순군의 건축물 - 화순역
전라남도 화순군에 위치한 화순역은 1930년 보통역으로 시작하여 한국전쟁 후 재건, 화물 취급 중심 운영, 남도해양열차 운행 재개를 거쳐 현재 무궁화호와 남도해양열차가 정차하는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지상역이다. - 화순군의 건축물 - 화순시외버스터미널
화순시외버스터미널은 전라남도 화순군에 위치하며 금호고속의 서울행 고속버스와 호남권 각 지역으로 가는 시외버스 노선을 운영하는 버스 터미널이다. - 화순군의 교통 - 화순역
전라남도 화순군에 위치한 화순역은 1930년 보통역으로 시작하여 한국전쟁 후 재건, 화물 취급 중심 운영, 남도해양열차 운행 재개를 거쳐 현재 무궁화호와 남도해양열차가 정차하는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지상역이다. - 화순군의 교통 - 국도 제29호선
국도 제29호선은 전라남도 보성군에서 충청남도 서산시까지 이어지는 200km가 넘는 국도로, 여러 차례 노선 변경 및 확장 개통을 거쳐 현재의 모습으로 전라남도, 광주광역시, 전라북도, 충청남도를 지나며 여러 고속도로 및 국도와 교차하는 주요 교통로이지만, 일부 구간은 개선이 필요하다. - 전라남도의 철도역 - 백양사역
백양사역은 전라남도 장성군에 위치한 호남선 지상역으로, 1914년 사거리역으로 개업하여 1967년 현재 역명으로 변경되었고, 섬식 승강장 2면 4선의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ITX-새마을과 무궁화호가 정차한다. - 전라남도의 철도역 - 나주역
나주역은 1913년 보통역으로 시작하여 KTX 등 다양한 열차가 정차하며, 섬식 승강장 2면 4선의 구조를 갖춘 전라남도 나주시에 위치한 철도역이다.
능주역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역 이름 | 능주역 |
한자 표기 | 綾州驛 |
로마자 표기 | Neungju |
주소 |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학포로 1896-10 |
개업일 | 1930년 12월 25일 |
폐업일 | 해당사항 없음 |
재건축 | 해당사항 없음 |
노선 정보 | |
소속 노선 | 경전선 |
역 구조 | 지상역 |
승강장 | 섬식 1면 2선 |
철로 수 | 2 |
운영 기관 | 한국철도공사 (KORAIL) |
역 등급 및 관리 | |
역 종류 | 보통역 |
역 등급 | 3급 |
관리역 | 광주송정관리역 |
지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광주전남본부 광주지역관리단 |
영업 정보 | |
기점역 | 삼랑진 |
이전 역 | 이양 (12.2 km) |
다음 역 | 화순 (8.9 km) |
영업 거리 | 243.1 km |
역 번호 | 해당사항 없음 |
승차 인원 | 해당사항 없음 |
통계 연도 | 해당사항 없음 |
승하차 인원 | 해당사항 없음 |
기타 | |
비고 | 해당사항 없음 |
2. 역명 유래
조선 인조 10년(1632년)에 능성고을이 인조의 어머니인 인헌왕후의 성씨인 능성 구씨의 본향이라 하여 현에서 주목으로 승격하면서 지명이 능주로 바뀌었다. 그 후 지역명에 따라 능주역이라 칭하게 되었다.[1]
3. 역사
4. 역 구조
4. 1. 승강장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지상역이다.
5. 인접한 역
남도해양열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