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인헌왕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헌왕후는 조선 원종의 비로, 본관은 능성 구씨이며, 구사맹과 평산 신씨의 딸이다. 1578년에 태어나 1626년에 사망했다. 1587년 정원군(후일 원종)과 혼인하여 연주군부인이 되었으며, 아들 능양군(후일 인조)이 인조반정으로 왕위에 오르자 연주부부인으로 봉해졌다. 원종이 사후에 원종으로 추존되면서 인헌왕후로 추존되었고, 능은 경기도 김포의 장릉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 원종 - 구사맹
    구사맹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선조 때 이조좌랑과 황해도 관찰사를 지냈으며, 그의 딸이 정원군과 혼인하여 인조를 낳아 인조 즉위 후 능안부원군에 추증되었다.
  • 조선 원종 - 원종 (조선)
    선조의 다섯째 아들이자 인조의 아버지인 원종은 생전 정원군에 봉해졌고, 광해군 때 아들 능창군이 역모로 몰려 죽은 후 홧병으로 사망했으며, 사후 인조 즉위로 왕으로 추존되어 장릉에 안장되었다.
  • 조선의 추존왕후 - 현덕왕후
    현덕왕후 권씨는 문종의 후궁이자 단종의 어머니로, 왕세자빈으로 책봉되었으나 단종을 낳고 산후병으로 사망 후 왕후로 추존, 세조 즉위 후 폐위되었다가 중종 때 복위되어 명예를 회복한 인물이다.
  • 조선의 추존왕후 - 효순왕후
    효순왕후는 영조의 며느리이자 진종으로 추존된 효장세자의 왕비로, 어린 나이에 결혼했으나 남편의 요절로 과부가 되었고, 현빈으로 책봉되어 영조의 총애를 받다 35세에 사망 후 왕후로 추봉, 소황후로 추숭되었다.
  • 1578년 출생 - 페르디난트 2세
    페르디난트 2세는 합스부르크 가문 출신의 신성 로마 제국 황제이자 보헤미아와 헝가리의 왕으로, 반종교개혁을 추진하여 30년 전쟁의 원인이 되었으나 초기에는 승리했으나, 이후 전쟁의 역전과 재정난 속에 아들에게 제위를 계승했다.
  • 1578년 출생 - 구인후
    구인후는 조선 시대 무신이자 정치인으로, 인조반정 참여, 정묘호란과 병자호란에서의 공훈, 그리고 심기원의 모역 음모 적발 등의 공로를 세워 정사공신, 영국공신에 책록되고 우의정과 좌의정까지 역임한 인물이다.
인헌왕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작위조선 원종의 추존 왕비
휘호경의정정(Gyeonguijeongjeong)
시호인헌(Inheon)
별칭계운궁(Gyewoon-gung)
가계
왕조전주 이씨 (혼인)
가문능성 구씨 (출생)
부친능안부원군 구사맹
모친평산부부인 신지향
배우자원종 (정원군)
자녀3남
인조
능원대군
능창대군
생애
출생일1578년 6월 2일
출생지조선 충청도
사망일1626년 2월 10일
사망지조선 한성부 경덕궁 회상전
기타 정보
능묘장릉
위치경기도 김포시 장릉로 79
작호연주군부인(Yeonjugunbubin), 연주부부인(Yeonjubububin)
▨완(▨wan)
왕비 책봉 (사후 추존)
시호경의정정인헌왕후 (Gyeonguijeongjeong-inheonwanghu)
생존 기간1587년 – 1626년
재위 기간1587년 – 1623년 (세자빈)
재위 기간 21623년 – 1626년 (왕비)

2. 생애

1578년 5월 23일 의정부 좌찬성을 지낸 아버지 구사맹[5]과 어머니 평산부부인 신씨의 딸로 태어났다. 증조모는 거창 신씨로 신승선의 손녀이자 신수근과 거창군부인[6]의 조카딸이며 중종의 정비 단경왕후의 사촌 여동생이기도 했다. 숙부 구사안은 중종의 딸 효순공주의 남편이다.

인헌왕후의 할아버지인 구순은 세종의 손녀인 길안현주의 외손자이고, 할머니인 이씨는 태종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의 현손으로, 조부모는 태종을 공통 조상으로 하는 10촌 지간이다. 모계로는 어머니 신지향(申芝香)의 할머니 이씨가 세종의 아들인 계양군의 손녀이다. 이처럼 왕실과 이중 삼중으로 얽힌 둘레혼으로 인해 인헌왕후의 부모는 세종을 공통 조상으로 하는 10촌 지간이며, 남편 정원군과는 태종과 세종을 공통 조상으로 한다.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세조덕종성종중종덕흥대원군   선조   원종
     세종  
   영응대군      길안현주   구희경구순구사맹───────→
   인헌왕후   
     └─→   계양군   부림군   이씨부인      신화국      평산부부인   



|}

1587년, 9세의 구씨는 7세의 정원군(정원군)과 혼인하였다. 선조의 셋째 아들이자 인빈 김씨의 아들이었던 정원군과 혼인하여 연주군부인(連珠郡夫人)의 작위를 받았다.

1623년 인조 반정으로 아들 능양군(綾陽君)이 광해군을 몰아내고 왕위에 오르자, 연주부부인(連珠府夫人)으로 봉작되었고, 별도로 계운궁(啓運宮)이라는 궁호를 받았다.[7] 경희궁터에 거주하다가 1626년(인조 4년) 2월 10일에 경희궁 회상전(會祥殿)에서 48세로 사망했다.[7]

인조 4년인 1626년 1월 14일에 47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1] 묘는 경기도 김포시에 있는 '''장릉'''이다.[2]

김유가 대제학으로 있을 때 묘지문을 썼으며,[8] 1632년 남편 정원대원군이 원종으로 추존되면서 왕후로 추존되어 인헌왕후가 되었다.[4] 인헌왕후가 왕후로 추존되면서 본관인 능성현(綾城縣)은 능주목(綾州牧)으로 승격되었다.[9] 능은 경기도 김포시장릉인데, 처음에는 육경원(毓慶園)이라 하였다가 정원대원군을 이장한 뒤 대원군의 묘호를 따 흥경원(興慶園)이라 하다가 추존 뒤 능으로 올렸다.

2. 1. 탄생과 가계

1578년 5월 23일 의정부 좌찬성을 지낸 아버지 구사맹[5]과 어머니 평산부부인 신씨의 딸로 태어났다. 증조모는 거창 신씨로 신승선의 손녀이자 신수근과 거창군부인[6]의 조카딸이며 중종의 정비 단경왕후의 사촌 여동생이기도 했다. 숙부 구사안은 중종의 딸 효순공주의 남편이다.

인헌왕후의 할아버지인 구순은 세종의 손녀인 길안현주의 외손자이고, 할머니인 이씨는 태종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의 현손으로, 조부모는 태종을 공통 조상으로 하는 10촌 지간이다.

모계로는 어머니 신지향(申芝香)의 할머니 이씨가 세종의 아들인 계양군의 손녀이다. 이처럼 왕실과 이중 삼중으로 얽힌 둘레혼으로 인해 인헌왕후의 부모는 세종을 공통 조상으로 하는 10촌 지간이며, 남편 정원군과는 태종과 세종을 공통 조상으로 한다.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세조덕종성종중종덕흥대원군   선조   원종
     세종  
   영응대군      길안현주   구희경구순구사맹───────→
   인헌왕후   
     └─→   계양군   부림군   이씨부인      신화국      평산부부인   



|}

인헌왕후는 1578년 5월 23일구사맹과 그의 두 번째 부인인 신씨 부인의 다섯째 딸이자 차녀로 태어났다. 그녀는 6명의 오빠, 4명의 언니, 그리고 1명의 여동생을 포함하여 10명의 형제가 있었다.

왕비의 부모는 세종을 5대조로 하여 왕실 혈통을 공유하여 10촌 관계이다. 구사맹은 그의 4대조인 영응대군을 통해, 신씨 부인은 그의 4대조인 계양군을 통해, 두 왕자가 이복 형제이기 때문이다. 또한 구씨 부인과 그녀의 미래 남편은 태종과 세종을 공통 조상으로 한다.

그녀의 아버지 쪽 증조모는 거창 신씨 부인으로, 신씨의 조카이자 단경왕후의 사촌 동생이었고, 그녀의 고조모는 세종대왕의 손녀이자 정순왕후의 아버지 쪽 사촌인 길안 공주였다.

그녀의 삼촌인 구사안은 중종과 문정왕후의 둘째 딸인 효순공주와 결혼했고, 그녀의 종증조부인 구문경은 연산군신씨의 외동딸인 휘신공주와 결혼했으며, 그는 또한 단경왕후의 또 다른 사촌 동생이었다.

2. 2. 혼인

1587년, 9세의 구씨 부인은 7세의 정원군(이부, 정원군)과 혼인하여 선조의 셋째 아들이자 수원의 김씨인 인빈 김씨의 아들이 되었다. 그리하여 정명공주영창대군의 시누이가 되었다. 그녀는 연주군부인(連珠郡夫人)의 작위를 받았다.

1623년 3월, 인조 반정으로 아들인 능양군(綾陽君)이 광해군을 몰아내고 보위에 오르자, 연주부부인(連珠府夫人)으로 봉작되었고, 별도로 계운궁(啓運宮)이라는 궁호를 받았다.[7] 경희궁터에 거주하다가 1626년(인조 4년) 2월 10일에 경희궁 회상전(會祥殿)에서 사망했다. 당시 향년 48세였다.[7]

2. 3. 죽음

인조 재위 4년인 1626년 1월 14일에 4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 그녀의 묘는 대한민국 경기도 김포시에 위치해 있으며 '''장릉'''(장릉한국어)으로 알려져 있다.[2]

2. 4. 사후

김유가 대제학으로 있을 때 묘지문을 썼다.[8] 1632년 남편 정원대원군이 원종으로 추존되면서 함께 왕후로 추존되어 인헌왕후가 되었다.[4] 인헌왕후가 왕후로 추존되면서 본관인 능성현(綾城縣)은 능주목(綾州牧)으로 승격되었다.[9] 능은 경기도 김포시장릉인데, 처음에는 육경원(毓慶園)이라 하였다가 정원대원군을 이장한 뒤 대원군의 묘호를 따 흥경원(興慶園)이라 하다가 추존 뒤 능으로 올렸다.

3. 가족 관계

능안부원군 구사맹과 생모 평산부부인 평산 신씨 신지향 사이에서 태어났다. 형제로는 6명의 오빠와 4명의 언니, 그리고 1명의 여동생이 있었다. 아버지 쪽 증조모는 거창 신씨 부인으로 단경왕후의 사촌 동생이었고, 고조모는 세종의 손녀이자 정순왕후의 사촌인 길안현주였다.

삼촌 구사안은 중종과 문정왕후의 둘째 딸인 효순공주와 결혼했고, 종증조부 구문경은 연산군신씨의 외동딸인 휘신공주와 결혼했으며, 그는 또한 단경왕후의 또 다른 사촌 동생이었다.

1587년 9세에 이부(7세)와 혼인하여 선조의 며느리가 되었다. 1623년 장남 능양군이 인조반정으로 왕위에 오르면서 경희궁으로 거처를 옮겼다.

가족 관계
관계본관이름생몰년비고
아버지능성능안부원군 구사맹1531년 - 1604년
어머니청주한극공의 딸
서원부부인 청주 한씨
1532년 - 1554년계모
평산평산부부인 평산 신씨 신지향1538년 - 1662년생모
오빠능성구성1558년 - 1618년
오빠능성구횡1562년 - 1636년
언니능성구경완1563년 - 1620년
언니능성구효완1567년 - ?
언니능성구정완1568년 - ?
오빠능성구용1569년 - 1601년
오빠능성구홍1569년 - 1601년
언니능성구장완1571년 - ?
오빠능성구굉1577년 - 1642년
여동생능성구신완1589년 - ?류충걸의 첫 번째 부인
남편원종1580년 - 1620년


3. 1. 부모

1578년 5월 23일(음력 4월 17일) 의정부 좌찬성을 지낸 아버지 구사맹[5]과 어머니 평산부부인 신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증조모는 거창 신씨로 신승선의 손녀이자 신수근과 거창군부인[6]의 조카딸이며 중종의 정비 단경왕후의 사촌 여동생이었다. 숙부 구사안은 중종의 딸 효순공주와 결혼했다.

인헌왕후의 할아버지인 구순은 세종의 손녀인 길안현주의 외손자이고, 할머니인 이씨는 태종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의 현손으로, 조부모는 태종을 공통 조상으로 하는 10촌 지간이다.

모계로는 어머니 신지향(申芝香)의 할머니 이씨가 세종의 아들인 계양군의 손녀이다. 이처럼 왕실과 이중 삼중으로 얽힌 혼인으로 인해 인헌왕후의 부모는 세종을 공통 조상으로 하는 10촌 지간이며, 남편 정원군과는 태종과 세종을 공통 조상으로 한다.

colspan="2" |본관생몰년부모비고
능안부원군 綾安府院君
구사맹 具思孟
능성1531년 - 1604년구순 具淳
전주 이씨[10]
세종의 외5대손[11]
평산부부인 平山府夫人
신지향 申芝香
평산1538년 - 1622년신화국 申華國
파평 윤씨
세종의 외5대손[12]
신립의 누나


3. 2. 배우자

配匹자|배필자중국어는 원종이다.[7]

조선 원종

원종
元宗
출생1580년 8월 12일 (음력 6월 22일)
한성부 경복궁 별전
사망1620년 1월 23일 (1619년 음력 12월 29일) (39세)
한성부 송현궁 사저


3. 3. 자녀

능양군종1595년 - 1649년인열왕후 한씨
장렬왕후 조씨제16대 국왕차남능원대군보1598년 - 1656년문화부부인 유씨
부부인 김씨3남능창대군전1599년 - 1615년부부인 구씨신경희의 옥사에 연루되어 자결


참조

[1]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2] 웹사이트 장릉 이야기 https://royaltombs.c[...]
[3] 문서 인헌왕후의 다섯 자매가 모두 '완(婉)' 자 돌림이다.
[4]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 인조 26권, 10년(1632 임신 / 명 숭정(崇禎) 5년) 5월 3일(경자) 1번째기사
[5] 문서 사후 영의정 능안부원군(綾安府院君)에 추증되었다
[6] 문서 연산군의 비
[7]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 인조 11권, 4년(1626 병인 / 명 천계(天啓) 6년) 1월 15일(기미) 9번째기사
[8]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 인조 12권, 4년(1626 병인 / 명 천계(天啓) 6년) 3월 21일(갑자) 7번째기사
[9]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 인조 26권, 10년(1632 임신 / 명 숭정(崇禎) 5년) 5월 3일(경자) 4번째기사
[10] 문서 의신군 이징원의 딸로 효령대군의 현손
[11] 계보 세종 → 영응대군 → 길안현주 → 구희경 → 구순 → 구사맹
[12] 계보 세종 → 계양군 → 부림군 → 이씨부인 → 신화국 → 신지향
[13] 문서 유효립의 딸
[14] 광해군일기 능창군 이전의 졸기 1615-11-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