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광주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광주역은 2000년 8월 10일 경전선 철도 이설과 함께 영업을 시작한 지상역이다. 섬식 승강장 2면 4선 구조이며, 경전선과 호남선 열차가 정차한다. 부전역 방면 효천역과 광주송정역 사이에 위치하며, 인근에 SK 서광주역 주유소, 만호초등학교, 금호2동 행정복지센터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광주광역시의 철도역 - 광주역
광주역은 1922년 개업하여 경전선과 호남선의 중요 정차역이었으나, KTX 운행이 광주송정역으로 이관된 후 현재는 일반 열차만 운행하며, 도시철도 연계 부족과 셔틀열차 폐지로 환승이 불편하다. - 광주광역시의 철도역 - 극락강역
극락강역은 1922년에 영업을 시작하여 1938년 보통역으로 승격되었으며, 호남선 무궁화호가 정차하는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지상역이다. - 광주 서구의 건축물 - 유스퀘어
유스퀘어는 광주광역시 광천동에 위치한 대한민국 최대 규모의 종합 버스터미널로, 전국 각지로 연결되는 버스 노선과 다양한 편의 시설을 갖춘 복합문화공간이지만, 도시철도와의 연계는 미흡하다. - 광주 서구의 건축물 - 페퍼스타디움
페퍼스타디움은 광주광역시 서구에 위치한 다목적 실내 경기장으로, 프로농구, 여자 프로농구, e스포츠 대회, 광주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 등이 개최되었으며 현재는 V-리그 여자부 광주 페퍼저축은행 AI 페퍼스의 홈 경기장으로 사용된다. - 광주 서구의 교통 - 국도 제1호선
국도 제1호선은 전라남도 목포시에서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까지 연결되는 일반 국도로, 조선 시대부터 주요 도로로 이용되었으며, 여러 차례의 변화를 거쳐 현재 광주광역시, 전북특별자치도, 충청남도, 세종특별자치시, 경기도, 서울특별시 등을 경유하며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어 있다. - 광주 서구의 교통 - 독립로
독립로는 광주광역시 남구 주월동에서 시작하여 북구 우산동까지 연결되는 도로이며, 서문대로와 직결되고 백운 교차로에서 국도 제22호선과, 천변로 교차로에서 천변좌로와 연결된다.
서광주역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역 이름 | 서광주역 |
한자 표기 | 西光州驛 |
로마자 표기 | Seogwangju |
주소 | 광주광역시 서구 풍서좌로 203 (매월동) |
노선 | 경전선 |
역 구조 | 지상역 |
승강장 | 2면 4선 |
개업일 | 2000년 8월 10일 |
운영 기관 | 한국철도공사 |
역 등급 | 3급 |
관리역 | 광주송정관리역 |
역 번호 | 275 |
노선 정보 | |
기점역 | 삼랑진 |
영업 거리 | 270.7 km |
이전 역 | 효천 |
이전 역 거리 | 4.1 km |
다음 역 | 동송정 |
다음 역 거리 | 4.3 km |
추가 정보 | |
비고 |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비치역 |
![]() | |
![]() |
2. 역사
- 2000년 8월 10일 : 경전선 철도 이설과 함께 영업 개시[1]
- 2004년 3월 31일 : 열차 시각표 개정과 함께 통일호 폐지
- 2006년 10월 31일 : 열차 시각표 개정과 함께 통근열차 폐지
3. 역 구조
서광주역은 2면 4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으로, 동송정역까지 고가로 되어 있어 역사 외부와 높이 차가 있다.
3. 1. 승강장
2면 4선식 쌍섬식 승강장으로 운영되며, 이 역과 동송정역 구간이 고가로 되어 있기 때문에 역사 외부와 높이 차가 있어 대합실보다 높은 곳에 승강장이 위치해 있다.
4. 역 주변
5. 인접한 역
경전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