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아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니아메는 니제르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로, 18세기 작은 마을들이 모여 시작되었다. 프랑스 식민지 시대에 수도로 지정된 후, 여러 차례 수도가 이전되는 과정을 거쳐 1926년 다시 니아메로 정착했다. 독립 이후 인구가 급증하여 2011년에는 150만 명 이상으로 추산되었으며, 2024년에는 미국의 군사 협정 철회에 반대하는 시위가 열리기도 했다. 니제르강을 따라 위치하며, 반건조 기후를 보인다. 니아메는 니제르의 행정, 경제, 문화의 중심지이며, 국립 박물관, 대모스크, 시장 등 다양한 시설과 명소를 갖추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니제르의 도시 - 타우아
타우아는 니제르 북부 사하라 사막의 면화, 땅콩 집산지이자 투아레그족, 하우사족 교역 중심지로, 17세기 두 마을에서 시작되어 여러 민족의 이주와 신앙 피난으로 성장했지만, 낮은 인간개발지수를 기록하기도 했으며, 현재는 두 개의 도시 자치구로 나뉘어 구시가지와 신시가지로 구성되고, 광물 자원과 교통망을 갖추고 '츄쿠' 치즈 생산지로도 알려져 있다. - 니제르의 도시 - 아가데즈
아가데즈는 니제르 사하라 사막에 위치한 도시로, 사하라 종단 무역의 중심지였으며, 2013년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지정되었고, 현재는 우라늄 수송의 중심지이다. - 아프리카에 위치한 수도 - 음바바네
음바바네는 엠짐바 산맥에 위치하며 관광과 사탕수수 수출에 의존하는 에스와티니의 수도이다. - 아프리카에 위치한 수도 - 튀니스
튀니지는 튀니지의 수도이자 북아프리카 주요 도시로서, 고대 카르타고 위성 도시에서 로마 시대 농업 중심지를 거쳐 아랍 왕조들의 지배와 프랑스 보호령 시기를 지나 튀니지 독립 후 수도가 되었으며, 현재는 경제, 문화, 정치 중심지로서 역사 유적과 현대 도시 시설이 공존한다.
니아메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일반 정보 | |
![]() | |
공식 명칭 | 니아메 |
다른 이름 | 냐마이 (자르마어) 야마이 (하우사어) 니아미 (타왈람마츠 타마자크어) |
별칭 | 해당 없음 |
국가 | 니제르 |
위치 | 니제르의 수도 |
표어 | 해당 없음 |
![]() | |
수도 | 니제르 |
시간대 | 서아프리카 시간 (UTC+01:00) |
행정 구역 | |
국가 | 니제르 |
지역 | 니아메 도시 공동체 |
코뮌 | 5개 코뮌 |
지구 | 44개 지구 |
구역 | 99개 구역 |
정치 | |
정부 형태 | 임명된 지구 정부, 선출된 시 의회, 선출된 코뮌 및 구역 의회 |
도시 공동체 주지사 | 해당 없음 |
시장 | 아산 세이두 산다 |
면적 | |
총 면적 | 239.30 km² |
인구 | |
인구 (2012년) | 1,026,848명 (니아메 도시 공동체) |
인구 (2020년 추정) | 1,334,984명 |
인구 밀도 | 5,400명/km² |
지리 | |
고도 | 207m |
기타 정보 | |
우편 번호 | 해당 없음 |
지역 번호 | 20 |
웹사이트 | 해당 없음 |
2. 역사
18세기부터 작은 마을이 존재했지만, 본격적으로 도시로 개발된 것은 프랑스의 식민지인 프랑스령 서아프리카가 되면서부터이다. 1890년대부터 프랑스는 니아메를 식민지 통치의 거점 중 하나로 개발하여, 1926년에는 프랑스령 서아프리카에 속하는 니제르의 정청이 설치되었다. 1960년 니제르 독립과 함께 수도가 되었다.
독립 후에도 발전을 계속하여, 2005년에는 프랑스어 사용 경기 대회의 개최 도시가 되었다.
2017년 우기에는 3개월에 걸친 장마로 인해 니제르강이 범람하여 11,000채 이상의 주택이 침수되는 등의 피해가 발생했다.[31]
2. 1. 식민지 이전
아마도 니아메는 18세기에 가웨예, 칼레이, 마우레이, 젱고 및 풀라니 코이라 등 작은 마을이 모여서 시작되었을 것이다.[5] 니아메는 1890년대 후반 프랑스가 식민지 중심지로 개발하기 전까지는 중요성이 거의 없었다. 당시 인구가 약 1,800명으로 추정되는 이 마을은 1905년 신설된 니제르 군사 지구의 수도로 선정되었지만, 1912년 수도는 더 발전된 도시인 진데르로 이전되었다.[5] 진데르가 나이지리아 국경과 가깝고 프랑스가 통제하는 항구와 멀리 떨어져 있었기 때문에 프랑스는 1926년 수도를 니아메로 다시 옮겼고, 이때 니아메의 인구는 약 3,000명이었다.[5]
2. 2. 프랑스 식민지 시대
니아메는 18세기에 가웨예, 칼레이, 마우레이, 젱고, 풀라니 코이라 등 작은 마을들이 모여 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5] 1890년대 후반 프랑스가 식민지 중심지로 개발하기 전까지 니아메는 별다른 중요성이 없었다. 당시 인구는 약 1,800명으로 추정되는 이 마을은 1905년 신설된 니제르 군사 지구의 수도로 선정되었지만, 1912년 수도는 더 발전된 도시인 진데르로 이전되었다.[5] 진데르가 나이지리아 국경과 가깝고 프랑스가 통제하는 항구와 멀리 떨어져 있었기 때문에 프랑스는 1926년 수도를 니아메로 다시 옮겼으며, 이때 니아메의 인구는 약 3,000명이었다.[5] 일련의 파괴적인 가뭄으로 인해 시골에서 도시로 인구가 유입되면서 크게 증가하여, 1945년에는 인구가 약 8,000명에 달했다.[5]1926~27년 이전에는 프랑스령 상 볼타-니제르의 부르키나파소-니제르 국경이 니제르 강을 따라 이어져 니아메가 정확히 경계선에 위치해 있었다.[6]
2. 3. 독립 이후
니아메는 아마도 18세기에 가웨예, 칼레이, 마우레이, 젱고, 풀라니 코이라 등 작은 마을들이 모여 시작되었을 것이다.[5] 1890년대 후반 프랑스가 식민지 중심지로 개발하기 전까지는 중요성이 거의 없었다. 당시 인구가 약 1,800명으로 추정되는 이 마을은 1905년 신설된 니제르 군사 지구의 수도로 선정되었지만, 1912년 수도는 더 발전된 도시인 진데르로 이전되었다.[5] 진데르가 나이지리아 국경과 가깝고 프랑스가 통제하는 항구와 멀리 떨어져 있었기 때문에 프랑스는 1926년 수도를 니아메로 다시 옮겼으며, 이때 니아메의 인구는 약 3,000명이었다.[5] 일련의 파괴적인 가뭄으로 인해 시골에서 도시로의 인구 유입이 촉발되어 인구가 크게 증가했으며, 1945년까지 인구는 약 8,000명에 달했다.[5]1926~27년 이전에는 프랑스령 상 볼타-니제르의 부르키나파소-니제르 국경이 니제르 강을 따라 이어져 니아메가 정확히 경계선에 위치해 있었다.[6]

1960년 독립 당시 인구는 약 30,000명으로 증가했다.[7][1][5] 1970년부터 1988년까지는 아를리트의 우라늄 광산에서 나오는 수익으로 인해 니제르 경제가 호황을 누린 시기였다. 그 결과, 니아메의 인구는 108,000명에서 398,365명으로 증가했고, 도시는 1970년 1367ha에서 1977년 4400ha로 확장되면서 라자레와 같은 주변 마을을 병합했다.[8] 계속되는 가뭄으로 인해 많은 니제르 농민들이 성장하는 도시로 이주했다.[5]
1992년 니아메와 그 주변 지역은 니아메 지역에서 분리되어 훨씬 작은 니아메 수도 지구를 형성했으며, 새로운 틸라베리 지역 내에 포함되었다.[9]
1999년 4월 9일, 1999년 니제르 쿠데타 당시 니제르 대통령 이보람 바레 마이나사라는 디오리 하마니 국제공항에서 헬기를 타려던 중 대통령 경비대원으로 추정되는 군인들의 매복 공격을 받아 총에 맞아 사망했다.
일부 추산에 따르면 2000년 인구는 70만 명에 달했다.[5] 2011년 정부 언론은 총 도시 인구를 150만 명 이상으로 추산했다. 이러한 증가의 주요 원인은 일자리를 찾기 위한 이주, 가뭄 기간 동안의 이주, 그리고 높은 출산율이다.[1] 특히 높은 출산율은 도시 시민의 다수가 젊은 층임을 의미한다.[1]
2024년 4월 13일, 수백 명이 니아메에서 수도의 군대가 미국과의 군사 협정을 철회하겠다고 발표한 후 미국의 군대 철수를 요구하며 집회를 열었다.[10]
2023년 7월부터 니제르 군부는 식민 시대의 거리 이름을 더 지역적인 이름으로 바꾸고 있다.[11]
2. 4. 최근 상황
니아메는 아마도 18세기에 가웨예, 칼레이, 마우레이, 젱고 및 풀라니 코이라 등 작은 마을들이 모여 시작되었을 것이다.[5] 1960년 독립 당시 인구는 약 30,000명이었다.[7][1][5] 1970년부터 1988년까지는 아를리트의 우라늄 광산에서 나오는 수익으로 니제르 경제가 호황을 누린 시기였다. 그 결과, 니아메의 인구는 108,000명에서 398,365명으로 증가했고, 도시도 1970년 1367ha에서 1977년 4400ha로 확장되면서 라자레와 같은 주변 마을을 병합했다.[8] 계속되는 가뭄으로 인해 많은 니제르 농민들이 성장하는 도시로 이주했다.[5]1992년 니아메와 그 주변 지역은 니아메 지역에서 분리되어 훨씬 작은 니아메 수도 지구를 형성했으며, 새로운 틸라베리 지역 내에 포함되었다.[9]
1999년 4월 9일, 1999년 니제르 쿠데타 당시 니제르 대통령 이보람 바레 마이나사라는 디오리 하마니 국제공항에서 헬기를 타려던 중 대통령 경비대원으로 추정되는 군인들의 매복 공격을 받아 총에 맞아 사망했다.
일부 추산에 따르면 2000년 인구는 70만 명에 달했다.[5] 2011년 정부 언론은 총 도시 인구를 150만 명 이상으로 추산했다. 이러한 증가의 주요 원인은 일자리를 찾아서, 가뭄 기간 동안의 이주, 그리고 높은 출산율이다.[1]
2017년 우기에는 3개월에 걸친 장마로 인해 니제르강이 범람하여 11,000채 이상의 주택이 침수되는 등의 피해가 발생했다.[31]
2024년 4월 13일, 수백 명이 니아메에서 수도의 군대가 미국과의 군사 협정을 철회하겠다고 발표한 후 미국의 군대 철수를 요구하며 집회를 열었다.[10]
2023년 7월부터 니제르 군부는 식민 시대의 거리 이름을 더 지역적인 이름으로 바꾸고 있다.[11]
3. 지리
니아메 지역은 립타코 사이, 즉 만 동쪽 능선의 북쪽 끝과 율레메덴 분지의 남서쪽 가장자리에 걸쳐 있다.[12] 250km2가 넘는 면적을 차지하는 이 대도시 지역은 해발 218m에 달하는 두 개의 고원 위에 자리 잡고 있으며, 니제르강에 의해 양분된다. 니아메에서 말리의 가오에서 거의 직선으로 남남동 방향으로 흐르는 강은 일련의 넓은 굽이를 이룬다. 이 도시는 서쪽에서 동쪽으로 흘러 거의 남쪽으로 직접 흐르도록 구불구불한 강 동쪽("좌안")에서 성장했다. 일련의 늪지 섬들이 니아메에서 시작되어 강 남쪽으로 뻗어 있다.
대다수의 인구와 정부 및 상업용 부동산은 강의 동쪽에 위치해 있다. 도시 중심부에는 로터리를 연결하는 여러 개의 넓은 대로가 있다. 케네디 다리와 우정의 다리, 두 개의 다리가 양쪽을 연결한다. 서쪽 강변 지역은 주로 가웨이, 사기아, 라모르데, 사가, 카라제와 같은 주거 지역과 압두 무무니 대학교로 구성되어 있다.
내륙 도시이지만, 아프리카를 대표하는 대하 중 하나인 니제르강 중류 좌안에 위치한 항만 도시이기도 하다.[30] 또한 사하라 사막 횡단로의 종착점에 해당하는 물자 집산지이다.[30]
니아메 단독으로 행정 구역인 '''니아메 수도 특별구'''(Communauté Urbaine de Niamey, CUN)를 구성하며, 어떠한 주에도 속하지 않는다. 지위는 각 주와 동등하게 취급된다. 주변은 틸라베리주에 둘러싸여 있다.
4. 기후
니아메는 덥고 반건조 기후(쾨펜 기후 구분 ''BSh'')에 속하며, 연간 강수량은 500mm에서 750mm 사이이다. 5월에 몇 차례 폭풍으로 시작하여 6월 중순부터 9월 초까지 지속되는 우기로 전환된 후 비가 급격히 줄어든다. 강수량의 대부분은 6월 말부터 9월 중순 사이에 내린다. 10월부터 4월까지는 비가 거의 내리지 않는다. 니아메는 연중 상당히 더우며, 세계에서 가장 더운 주요 도시 중 하나이다. 월 평균 최고 기온은 연중 4개월 동안 38°C에 달하며, 평균 최고 기온이 32°C 아래로 내려가는 달은 없다. 건기인 11월부터 2월까지는 밤에는 일반적으로 시원하며, 이 기간 평균 야간 최저 기온은 14°C에서 18°C이다.
우기는 6월 말부터 8월 중순까지 약 1개월 반인 데 비해, 건기는 10월 중순부터 4월까지 약 7개월로 길며, 건기 동안에는 비가 거의 내리지 않는 날이 계속된다. 니제르는 사하라 사막에 잠식될 위험이 높아 니제르 정부를 비롯한 국제 기구가 녹화 운동에 힘을 쏟고 있다.
니아메의 비는 오전에 내리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니제르 중부의 아이르 산지에서 일사로 데워진 지표면 부근의 공기가 상승하면서 낮에 비구름이 생기고, 그것이 동풍에 실려 다음 날 오전에 니아메에 도달하기 때문이다.[32]
다음은 1961년부터 1990년까지의 기후 자료이다.[38][39]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평균 최고 기온 (℃) | 32.5°C | 35.7°C | 39.1°C | 40.9°C | 40.2°C | 37.2°C | 34°C | 33°C | 34.4°C | 37.8°C | 36.2°C | 33.3°C | 36.2°C |
평균 최저 기온 (℃) | 16.1°C | 19°C | 22.9°C | 26.5°C | 27.7°C | 25.7°C | 24.1°C | 23.2°C | 23.6°C | 24.2°C | 19.5°C | 16.7°C | 22.4°C |
월 강수량 (mm) | 0mm | 0mm | 3.9mm | 5.7mm | 34.7mm | 68.8mm | 154.3mm | 170.8mm | 92.2mm | 9.7mm | 0.7mm | 0mm | - |
평균 강수일수 (≥ 1.0 mm) | 0.0 | 0.0 | 0.2 | 0.8 | 2.9 | 5.9 | 9.9 | 12.2 | 7.4 | 1.6 | 0.1 | 0.0 | - |
평균 상대 습도 (%) | 22 | 17 | 18 | 27 | 42 | 55 | 67 | 74 | 73 | 53 | 34 | 27 | - |
월 일조 시간 | 280 | 264 | 264 | 251 | 257 | 251 | 238 | 203 | 228 | 285 | 285 | 276 | - |
5. 인구
니아메의 인구는 독립 이후 급격히 증가했다. 1970년대 초와 1980년대의 가뭄, 1980년대 초의 경제 위기는 농촌 주민들의 이주를 가속화했다.[9] 1930년 약 3,000명이었던 인구는 1960년 약 30,000명, 1980년에는 250,000명, 2000년에는 800,000명으로 증가했다.[12] 세이니 쿤체 장군의 군사 정부는 거주를 엄격하게 통제하고 허가증이 없는 사람들을 마을로 "추방"하기도 했다.[19]
1980년대 후반과 1990년대의 자유화, 1990년대의 투아레그 반란, 2000년대의 기근은 내부 이주를 더욱 강화하여 도시 외곽에 대규모 비공식 정착지를 만들었다. 1980년대 이후 도시 중심부에는 가난하고 젊거나 장애가 있는 거지들이 눈에 띄게 늘어났는데, 이들은 문화적, 종교적 규범에 따라 ''사다카''를 모으는 잘 규제된 계층 구조를 형성하기도 했다.[19]
1990년대 수도 지역의 인구 증가율은 전국적인 증가율보다 낮았는데, 이는 니제르에서 대규모 농촌 이주(도시화)가 미미했거나, 과소 집계가 있었거나, 정부의 강제적인 도시에서 농촌으로의 추방이 효과적이었음을 시사한다.[19]
1960년 니제르 독립 당시 3만 명 정도였던 인구는 계속 증가하여 2011년 인구 조사 시점에는 130만 2910명으로 증가했다. 가뭄으로 인해 농업이 어려워진 농민들이 일자리를 찾아 수도로 유입되면서 인구 증가가 가속화되고 있다.
니제르의 출산율은 세계 최고 수준이어서, 2050년에는 679만 명, 2075년에는 2037만 명, 2100년에는 5615만 명에 달하는 세계 7번째의 초대형 도시가 될 것이라는 예측도 있다.[35]
연도 | 인구 |
---|---|
1901 | 600 |
1930 | 3000 |
1950 | 3000 |
1960 | 24370 |
1970 | 57548 |
1977 | 242973 |
1988 | 397437 |
2001 | 725030 |
2012 | 1026848 |
2020 | 1324700 |
2024 | 1600000 |
6. 종교
니아메는 니제르에서 가장 큰 모스크인 그랑 모스크가 있는 도시이다. 니제르 인구의 98% 이상이 무슬림이기 때문에, 모스크가 가장 흔한 예배 장소이다.[20][5] 또한 니아메 로마 가톨릭 대교구의 주교좌 성당인 영원한 도움의 성모 대성당을 비롯한 다양한 기독교 교회도 존재한다.[20][5]
7. 행정 구역
니아메는 니제르의 특별 수도구이며, 틸라베리 지역으로 둘러싸여 있다.
니아메 시는 자치적인 1급 행정 구역인 니아메 도시 공동체(프랑스어: Communauté Urbaine de Niamey, CUN)로 통치된다. 이 구역은 5개의 도시 코뮌을 포함하며, 44개의 "구역"과 99개의 "쿼티에르"로 나뉘고, 이전의 독립된 도시들도 포함한다. 이 구역은 7개의 지역과 동등한 1급 행정 구역이다. 니아메 도시 공동체는 국가 지도자가 임명한 행정부와 주지사를 포함한다.[1] 니제르의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니아메는 2000년 이후 지방 분권화를 겪었다. 2010년 9월 정부 법령 제2010-56호와 대통령령 제2010-679호는 CUN 산하에 니아메 시의 선출된 시의회를 의무화했다(CUN의 일부 외곽 지역 제외).[1] 45명의 시의원이 주민 투표로 선출되고, 이들은 다시 니아메 시장을 선출한다. 2011년 7월, 새로운 제도 하에서 첫 번째 시장인 우마루 도가리 무무니가 CUN 주지사 부인 아이샤투 불라마 카네와 시의회에 의해 취임했다.[1] 시의회와 시장은 CUN 주지사에 비해 제한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니아메는 코뮌 시스템에서 세 번째 정부 계층을 가지고 있다. 각 코뮌은 자체 시의회를 선출하며, 주요 도시 외곽에서는 독립된 도시처럼 기능한다. 니아메와 다른 주요 도시들은 지방 분권화 이후 여러 코뮌으로 구성된 대도시에서 코뮌 정부 간의 조정을 발전시키고 있다.[1]
1999년 니제르 헌법에 공식화된 지방 분권화 과정에 따라,[21] CUN은 99개의 쿼터("Quartiers")로 더 세분화된 5개의 도시 코뮌을 포함하며, 각 쿼터는 선출된 위원회를 갖는다. 니제르의 수도 니아메에는 99개의 구역이 있다.[22]
코뮌 | 구역 | 지도 | 5개 코뮌이 있는 시 지도 |
---|---|---|---|
제1코뮌 | 20개 구역 | ![]() | ![]() |
제2코뮌 | 17개 구역 | ![]() | |
제3코뮌 | 17개 구역 | ![]() | |
제4코뮌 | 17개 구역 | ![]() | |
제5코뮌 | 28개 구역 | ![]() |
니아메에는 이전에 니아메 시에 편입된 수두레, 라모르데, 감칼레, 얀탈라, 가웨예 등의 주변 마을과 촌락이 있던 지역도 포함된다.[25]
니아메는 239.3km2의 면적을 차지하며,[23] 이는 국가 전체 면적의 0.02%에 해당한다.[24] 1998년까지 대(大)니아메는 모두 틸라베리 지역에 속해 있었으며, 1992년 이전에는 '''니아메 주'''라고 불렸다. 니아메는 모든 면에서 틸라베리 지역에 둘러싸여 있다.[25] 시는 5개의 코뮌으로 나뉘며, 각 코뮌은 여러 구역으로 구성된다. 니아메 수도 특별구는 민선 시장과 하부 행정 기관을 갖는다.
- 코뮌 I
- 코뮌 II
- 코뮌 III
- 코뮌 IV
- 코뮌 V
8. 경제
니아메의 산업은 아직 발전 단계에 있으며 고도화되지 않았다. 농업에서는 땅콩, 잡곡(조)이 재배되며, 경공업으로 벽돌, 세라믹 제품, 시멘트, 섬유 제품이 생산되고 있다. 니제르 각지에서 재배되는 농산물의 집산지이기도 하며, 시내에는 대규모 시장이 여러 곳 존재한다.
9. 교통
니아메는 시내에서 남동쪽으로 12km 떨어진 디오리 하마니 국제공항이 있으며, RN1 고속도로가 통과한다. 니아메 기차역은 2014년 4월에 공식적으로 개통된 니제르 최초의 기차역이다.[26][27] 니제르강을 건너는 데는 보트도 사용된다.[5]
9. 1. 공항
니아메에는 시내에서 남동쪽으로 12km 떨어진 디오리 하마니 국제공항이 있으며, RN1 고속도로가 통과한다.[26][27] 디오리 하마니 국제공항은 서아프리카 국가들과 프랑스 등을 잇는다.
9. 2. 철도
니아메에는 니제르에서 처음 건설된 기차역인 니아메 기차역이 2014년 4월에 공식적으로 개통되었다.[26][27]9. 3. 기타
니아메는 시내에서 남동쪽으로 12km 떨어진 니아메 국제공항이 있으며, RN1 고속도로가 통과한다. 2014년 4월에 공식적으로 개통된 니아메 기차역은 니제르에서 처음 건설된 기차역이다.[26][27] 보트 또한 니제르강을 건너는 데 사용된다.[5]
10. 문화
이 도시의 주요 명소는 니제르 국립 박물관으로, 동물원, 재래 건축 박물관, 공예 센터, 공룡 골격 및 테네레의 나무를 포함한 전시물을 갖추고 있다. 그 밖의 볼거리로는 미국, 프랑스, 니제르 문화 센터, 7개의 주요 시장 (대형 니아메 그랜드 마켓 포함), 전통적인 레슬링 경기장, 경마장이 있다. 니아메에서 판매되는 화려한 도자기의 대부분은 인근 마을 부본에서 수작업으로 만들어진다.
마하트마 간디 국제 컨퍼런스 센터(MGICC)는 인도와 니제르가 공동으로 니아메에 건설했다. 2005년 12월에는 프랑코포니 경기가 개최되었다.
10. 1. 주요 시설
이 도시의 주요 명소는 니제르 국립 박물관으로, 동물원, 재래 건축 박물관, 공예 센터, 공룡 골격 및 테네레의 나무를 포함한 전시물을 갖추고 있다. 그 밖의 볼거리로는 미국, 프랑스, 니제르 문화 센터, 7개의 주요 시장 (대형 니아메 그랜드 마켓 포함), 전통적인 레슬링 경기장, 경마장이 있다. 니아메에서 판매되는 화려한 도자기의 대부분은 인근 마을 부본에서 수작업으로 만들어진다.마하트마 간디 국제 컨퍼런스 센터(MGICC)는 인도와 니제르가 공동으로 니아메에 건설했다. 2005년 12월에는 프랑코포니 경기의 개최지였으며, 니제르 국립 박물관, 니제르 최대의 모스크 등이 있다.
10. 2. 스포츠
스타드 제네랄 세이니 쿤체는 다목적 스포츠 경기장으로, 축구 경기 등에 사용된다. 니제르 축구 국가대표팀의 홈 구장이며, 니제르 프리미어 리그 경기도 이곳에서 열린다. 2005년 제7회 프랑스어권 경기 대회가 개최되었다.10. 3. 교육
이 도시에는 국립 행정 학교, 압두 무무니 대학교, 강 오른쪽 제방에 위치한 광업, 산업 및 지질 고등 연구소 및 니아메 디지털 센터, IRD, ICRISAT, 수문 연구소 등 많은 연구소가 있다. 니아메에는 아프리카 기상 응용 개발 센터가 있다.[28] 시내에는 국가 엘리트 양성 학교인 국립행정학교 외에도 국내 최대 대학인 아부두 무무니 대학교(구 니아메 대학교)가 있다.11. 자매 도시
템플릿은 허용되지 않는 템플릿이므로 제거해야 한다. 이미지 문법으로 대체한다.
니자르의 자매 도시는 다음과 같다.
참조
[1]
뉴스
Installation du Conseil de ville de Niamey et élection des membres : M. Assane Seydou Sanda, élu maire de la ville de Niamey
http://www.lesahel.o[...]
Laouali Souleymane, Le Sahel (Niamey)
2011-07-01
[2]
웹사이트
Structure of the Population RGPH 2012
https://stat-niger.o[...]
2020-12-31
[3]
웹사이트
Demographic Projections for Niger 2012-2024
https://www.stat-nig[...]
2020-12-31
[4]
웹사이트
Niger: Regions, Departments, Communes, Cities, Localities and Municipal Arrondissements - Population Statistics in Maps and Charts
https://citypopulati[...]
[5]
서적
Bradt Travel Guide - Niger
[6]
간행물
International Boundary Study No. 146 – Burkina Faso-Niger Boundary
https://fall.fsulawr[...]
1974-11-18
[7]
웹사이트
Niamey
https://www.britanni[...]
USA
2019-07-07
[8]
서적
Villes et organisation de l'espace en Afrique
https://books.google[...]
Karthala Editions
[9]
웹사이트
Statsoid
https://web.archive.[...]
2009-07-24
[10]
뉴스
Niger protesters demand US troop withdrawal
https://www.dw.com/e[...]
2024-04-13
[11]
간행물
Au Niger, la junte militaire rebaptise des rues de Niamey
https://www.dw.com/f[...]
2024-10-15
[12]
논문
Monitoring of Urban Growth and its Related Environmental Impacts: Niamey Case Study (Niger)
2016-11-01
[13]
웹사이트
Niamey Normals 1991–2020
https://www.nodc.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3-10-02
[14]
웹사이트
Global Surface Summary of the Day - GSOD
https://www.ncei.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3-01-26
[15]
웹사이트
Météo Climat stats for Niamey 1991–2020
http://meteo-climat-[...]
Météo Climat
2017-10-15
[16]
웹사이트
Klimatafel von Niamey (Aéro) / Niger
http://www.dwd.de/DW[...]
Federal Ministry of Transport and Digital Infrastructure
2016-06-14
[17]
웹사이트
Niger: Regions, Cities & Urban Centers - Population Statistics, Maps, Charts, Weather and Web Information
https://www.citypopu[...]
2020-10-24
[18]
웹사이트
Niamey Population 2020 (Demographics, Maps, Graphs)
https://worldpopulat[...]
2020-10-24
[19]
문서
Rues de Niamey, espace et territoires de la mendicité
http://www.politique[...]
Politique africaine
1996-10
[20]
서적
Religions of the World: A Comprehensive Encyclopedia of Beliefs and Practices
ABC-CLIO
[21]
문서
loi N°2002-016 bis du 11 une 2002
[22]
웹사이트
Parcours migratoire des citadins et problème du logement à Niamey
http://www.vrm.ca/do[...]
Département de Géographie, Faculté des Lettres et Sciences Humaines, Université Abdou Moumouni de Niamey
2005
[23]
문서
Section VI
2003
[24]
웹사이트
Etat et contexte de la fourniture des services publics dans la commune urbaine de Say
http://www.ace-recit[...]
LASDEL – Laboratoire d'études et recherches sur les dynamiques Sociales et le développement local, Niamey, Niger
2007-04
[25]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Niger (3rd ed.)
Scarecrow Press
[26]
뉴스
Inauguration of the first train station in Niamey
http://www.rfi.fr/af[...]
Radio France Internationale
[27]
뉴스
"{{sic|hide=y|A}} 80 Year-long Wait: Niger Gets its First Train Station"
Global Voices Online
[28]
웹사이트
African Centre of Meteorological Application for Development (ACMAD) - PreventionWeb.net
https://www.preventi[...]
2009-04
[29]
뉴스
Bombino, sur des notes bleues
https://musique.rfi.[...]
2023-09-21
[30]
문서
コンサイス地名辞典 外国編
三省堂
1977-07
[31]
뉴스
ニジェール洪水被害拡大、死者54人、避難者20万人近くに
https://www.afpbb.co[...]
AFP
2017-09-16
[32]
서적
砂漠と気候
成山堂
2016
[33]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Niamey
http://www.hko.gov.h[...]
Hong Kong Observatory
2013-10-03
[34]
웹사이트
Weather Information for Niamey
http://worldweather.[...]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2011-01-21
[35]
논문
Population predictions of the 101 largest cities in the 21st century
http://media.wix.com[...]
2014-01
[36]
웹인용
Niger: Regions, Cities & Urban Centers - Population Statistics, Maps, Charts, Weather and Web Information
https://www.citypopu[...]
2020-10-24
[37]
웹인용
Niamey Population 2020 (Demographics, Maps, Graphs)
https://worldpopulat[...]
2020-10-24
[38]
웹인용
Klimatafel von Niamey (Aéro) / Niger
http://www.dwd.de/DW[...]
Federal Ministry of Transport and Digital Infrastructure
2016-06-14
[39]
웹인용
STATIONSNUMMER 61052
http://www.dmi.dk/dm[...]
Ministry of Energy, Utilities and Climate
2016-06-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