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콜라이 티호노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니콜라이 티호노프는 1905년 우크라이나에서 태어나 소련의 엔지니어이자 정치인으로, 1980년부터 1985년까지 소련 각료회의 의장(총리)을 역임했다. 그는 1940년 소련 공산당에 입당하여 공장 수석 엔지니어, 철금속 공업부 차관, 국가 계획 위원회 부의장 등을 거쳤으며, 레오니트 브레즈네프의 후원을 받아 정치적 영향력을 키웠다. 티호노프는 브레즈네프, 유리 안드로포프, 콘스탄틴 체르넨코, 미하일 고르바초프 등 여러 서기장 시대에 걸쳐 요직을 맡았으나, 고령으로 인해 개혁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고, 고르바초프 집권 이후 퇴임했다. 그는 사회주의 노동 영웅 칭호를 받았으며, 레닌 훈장 등 다수의 훈장을 수여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련의 제1부정부수반 - 알렉세이 코시긴
알렉세이 니콜라예비치 코시긴은 1964년부터 1980년까지 소련의 총리를 역임한 정치인이자 경제학자로, 스탈린 시대에 급속 승진하여 경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1965년 경제 개혁을 통해 소비재 생산 확대와 경제 효율성 증대를 시도했다. - 소련의 제1부정부수반 - 프롤 코즐로프
프롤 코즐로프는 소비에트 연방의 정치인으로, 레닌그라드 당 조직 재건을 주도하고 흐루쇼프의 후계자로 거론되었으나 알코올 의존증과 뇌졸중, 그리고 노보체르카스크 학살 책임 논란으로 실각했다. - 하르키우 출신 - 드미트로 카류첸코
드미트로 카류첸코는 1997년부터 우크라이나 국가대표 에페 펜싱 선수로 활동하며 2015년 세계 선수권 대회 단체전 금메달, 세계 선수권 대회 단체전 은메달 1개 및 동메달 2개, 유럽 선수권 대회 단체전 금메달 1개, 은메달 1개 및 동메달 3개, 하계 유니버시아드 단체전 금메달 3개를 획득했고, 올림픽 참가 및 펜싱 월드컵 개인전 우승, 월드컵 종합 2위를 기록했다. - 하르키우 출신 - 세멘 노비코프
-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정치국원 - 미하일 칼리닌
미하일 칼리닌은 러시아 혁명가이자 소련의 정치인으로, 볼셰비키 혁명에 기여하여 소련의 국가 원수를 역임했으며, 스탈린 시대에는 명목상의 국가 원수 역할을 수행하다 사망 후 국장으로 예우받았다. -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정치국원 - 이오시프 스탈린
이오시프 스탈린은 소비에트 연방의 독재자이자 소련 공산당 지도자로서, 소련의 산업화와 2차 세계 대전 승리를 이끌었지만 대숙청과 공포 정치로 수백만 명의 희생을 초래했으며, 그의 통치와 유산은 오늘날까지도 논쟁의 대상이다.
니콜라이 티호노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니콜라이 알렉산드로비치 티호노프 |
원어 이름 | 러시아어: Никола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Тихонов 우크라이나어: Микола Олександрович Тихонов |
출생일 | 1905년 5월 14일 |
출생지 | 하르키우, 하르코프 현, 러시아 제국 |
사망일 | 1997년 6월 1일 |
사망지 | 모스크바, 러시아 |
국적 | 소비에트 및 러시아 |
민족 | 러시아인 |
직업 | 야금술사 |
학력 |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 야금학 대학 |
안장 장소 | 노보데비치 묘지, 모스크바 |
정치 경력 | |
소속 정당 | 소비에트 연방 공산당 (1940–1989) |
주요 직책 | |
직책 | 소비에트 연방 각료 회의 의장 |
임기 시작 | 1980년 10월 23일 |
임기 종료 | 1985년 9월 27일 |
전임자 | 알렉세이 코시긴 |
후임자 | 니콜라이 리즈코프 |
직책 2 | 각료 회의 제1부의장 |
임기 시작 2 | 1976년 9월 2일 |
임기 종료 2 | 1980년 10월 23일 |
수상 2 | 알렉세이 코시긴 |
전임자 2 | 드미트리 폴랸스키 |
후임자 2 | 이반 아르히포프 |
직책 3 | 각료 회의 부의장 |
임기 시작 3 | 1965년 10월 2일 |
임기 종료 3 | 1976년 9월 2일 |
수상 3 | 알렉세이 코시긴 |
직책 4 | 국가 경제 위원회 현행 계획 담당 부의장 |
임기 시작 4 | 1963년 |
임기 종료 4 | 1965년 |
지도자 4 | 표트르 로마코 |
공산당 경력 | |
직책 5 | 정치국 정회원 (25, 26, 27기) |
임기 시작 5 | 1979년 11월 27일 |
임기 종료 5 | 1985년 10월 15일 |
직책 6 | 25기 정치국 후보위원 |
임기 시작 6 | 1978년 11월 27일 |
임기 종료 6 | 1979년 11월 27일 |
직책 7 | 중앙위원회 위원 (23, 24, 25, 26, 27기) |
임기 시작 7 | 1966년 |
임기 종료 7 | 1989년 |
직책 8 | 22기 중앙위원회 후보위원 |
임기 시작 8 | 1961년 |
임기 종료 8 | 1966년 |
기타 정보 | |
원수 |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유리 안드로포프 콘스탄틴 체르넨코 |
제1 부수상 | 이반 아르히포프 헤이다르 알리예프 안드레이 그로미코 |
2. 초기 생애와 경력
티호노프는 1950년대에 철금속 공업부에서 일하기 시작했다. 1955년부터 1960년까지 철금속 공업부 차관, 각료회의 과학 위원회 위원(후에 위원장), 국가 계획 위원회 부위원장을 역임했다.[16] 제22차 당 대회에서 중앙 위원회 비투표 위원으로 선출되었고, 1966년 제23차 당 대회에서는 중앙 위원회 위원이 되었다.[16] 사회주의 노동 영웅 훈장을 받았다.[17]
부수상 재임 기간 동안 야금 및 화학 산업을 담당했으며, 제1부수상으로 승진한 후에도 이 분야에 대한 책임을 계속 맡았다. 중공업 전반에 대한 조정 역할도 수행했다.[1] 1976년 알렉세이 코시긴 수상이 병가를 내자, 레오니트 브레즈네프는 이 기회를 이용하여 티호노프를 제1부수상에 임명했다. 이로 인해 티호노프는 코시긴의 잠재적 후계자로 여겨지기도 했다. 티호노프는 브레즈네프와 코시긴 모두와 좋은 관계를 유지했으며, 그의 솔직함과 정직함은 두 사람 모두에게 높이 평가받았다.[25] 1978년 정치국 후보 위원이 되었고, 1979년에는 정식 위원으로 선출되었다.[2] 아프가니스탄 개입 결정에는 당시 국방장관이었던 드미트리 우스티노프와의 관계가 좋지 않아 참여하지 못했다.[25]
2. 1. 출생과 교육
Никола́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Ти́хонов|니콜라이 알렉산드로비치 티호노프ru는 1905년 5월 14일 러시아 제국 하르키우(현재의 우크라이나 하르키우)에서 러시아인과 우크라이나인 노동자 계급 가정에서 태어났다.[16] 1924년 성 카테린 연구소를 졸업했고, 1930년에는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 야금 연구소에서 엔지니어 학위를 받았다.[16] 졸업 후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의 레닌 야금 공장에서 엔지니어로 근무를 시작하여 1941년 1월 공장 수석 엔지니어가 되었다.[16]2. 2. 엔지니어 경력
1924년부터 1926년까지 엔지니어 보조로 일했다. 1930년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 야금 연구소에서 학위를 받고 엔지니어로 졸업했다. 1930년부터 1941년까지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의 레닌 야금 공장에서 엔지니어로 근무했으며, 1941년 1월에는 공장 수석 엔지니어로 임명되었다.[16]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에 머무는 동안 미래의 소련 지도자인 레오니트 브레즈네프를 만났다. 1940년 전(全)소련 공산당(볼셰비키)에 입당했으며, 10년이 끝나갈 무렵 공장장 자리를 확보했다.[17] 공장장으로서 티호노프는 조직 기술을 과시할 수 있었는데, 그의 지도 아래 공장은 동부 전선의 여파로 어려움을 겪는 노동자들을 위해 병원을 재개하고, 식당을 조직하고, 사교 클럽을 복원한 지역 최초의 공장이 되었다.[16]
2. 3. 브레즈네프와의 만남
티호노프는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에 머무는 동안 미래의 소련 지도자인 레오니트 브레즈네프를 만났다.[16] 1940년 전(全)소련 공산당(볼셰비키)에 입당했으며, 10년이 끝나갈 무렵 공장장 자리를 확보했다.[17]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브레즈네프는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주 당 제1서기가 되었고, 여기서 쌓은 인맥을 이용하여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 마피아'로 불리는 파벌을 형성하며 권력을 강화해 갔다. 이 시기에 티호노프는 브레즈네프와 교우 관계를 맺고 브레즈네프 파의 주요 일원이 되는 계기를 만들었다.
3. 중앙 정치 경력
제22차 당 대회에서 중앙 위원회 비투표 위원으로 선출되었고,[16] 제23차 당 대회에서는 중앙 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다.[16] 사회주의 노동 영웅 훈장을 받았다.[17]
1964년 니키타 흐루쇼프가 실각하고 레오니트 브레즈네프가 소련 공산당 제1서기(후에 서기장)로 취임하자, 티호노프는 각료 회의 부의장(부수상)으로 승진했다. 1976년 알렉세이 코시긴 수상이 병가를 내자, 브레즈네프는 티호노프를 각료 회의 제1부의장(제1부수상)으로 임명했다.[25] 제1부수상으로서 코시긴의 대기 인물이 될 수 있었으며, 브레즈네프와 코시긴 모두와 좋은 관계를 유지하며 그의 솔직함과 정직함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25]
1978년 정치국 후보 위원이 되었고,[2] 1979년에는 정치국 정위원이 되었다.[2]
3. 1. 초기 경력
티호노프(Никола́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Ти́хонов|니콜라이 알렉산드로비치 티호노프ru)는 1905년 5월 14일 우크라이나 하르키우에서 러시아인과 우크라이나인 노동자 계급 가정에서 태어났다. 1924년 성 카테린 연구소를 졸업하고, 1924년부터 1926년까지 엔지니어 보조로 일했다. 1930년 드니프로페트 로프스크 야금 연구소에서 엔지니어 학위를 받고 졸업했다. 1930년부터 1941년까지 드니프로페트 로프스크의 레닌 야금 공장에서 엔지니어로 근무했으며, 1941년 1월에는 공장 수석 엔지니어로 임명되었다.[16]드니프로페트 로프스크에 머무는 동안 미래의 소련 지도자인 레오니트 브레즈네프를 만났다. 1940년 전(全)소련 공산당(볼셰비키)에 입당했으며, 1940년대 후반 공장장 자리를 확보했다.[17] 티호노프는 공장장으로서 조직 기술을 과시했는데, 그의 지도 아래 공장은 동부 전선의 여파로 어려움을 겪는 노동자들을 위해 병원을 재개하고, 식당을 조직하고, 사교 클럽을 복원한 지역 최초의 공장이 되었다.[16] 1950년대에는 철금속 공업부에서 일하기 시작했다. 1955년부터 1960년까지 티호노프는 철금속 공업부 차관, 각료회의 과학 위원회 위원(후에 위원장), 국가 계획 위원회 부위원장을 역임했다.[17]
제22차 당 대회에서 중앙 위원회 비투표 위원으로 선출되었고,[16] 1966년 제23차 당 대회에서는 중앙 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다.[16] 사회주의 노동 영웅 훈장을 받았다.[17]
1964년 니키타 흐루쇼프가 실각하고 레오니트 브레즈네프가 소련 공산당 제1서기(후에 서기장)로 취임하자, 각료 회의 부의장(부수상)으로 승진했다.
3. 2. 부수상 및 제1부수상 시절
티호노프는 부수상 재임 기간 동안 야금 및 화학 산업을 담당했다.[1] 1976년 알렉세이 코시긴 수상이 병가를 냈을 때, 레오니트 브레즈네프는 티호노프를 각료 회의 제1부의장(제1부수상)으로 임명했다.[25] 제1부수상으로서 티호노프는 코시긴의 대기 인물이 될 수 있었다. 그러나 티호노프는 브레즈네프와 코시긴 모두와 좋은 관계를 유지한 몇 안 되는 인물 중 한 명이었으며, 두 사람 모두 그의 솔직함과 정직함을 높이 평가했다.[25]1978년 티호노프는 정치국 후보 위원이 되었고,[2] 1979년에는 정치국 정위원이 되었다.[2] 티호노프는 아프가니스탄 개입 결정에 대해 통보받지 못했는데, 이는 당시 국방부 장관이었던 드미트리 우스티노프와의 좋지 않은 관계 때문이었다.[25]
4. 소련 각료회의 의장 (총리) 재임 (1980-1985)
1940년 소비에트 연방 공산당에 입당하여 조선 기술자로 근무했다. 1963년 국가 계획 위원회 부의장에 취임하고, 1965년 부총리가 되었다. 그 후 제1부총리, 당 중앙 위원으로서 활약한 뒤 당 정치국원 후보가 되었다. 1979년 당 정치국원이 되었고, 브레즈네프 정권 말기인 1980년부터 안드로포프, 체르넨코, 고르바초프까지 4명의 서기장 시대에 걸쳐 총리를 역임했다.
알렉세이 코시긴이 1980년에 병으로 사임하자, 75세의 티호노프는 각료회의 의장으로 선출되었다.[3] 티호노프는 총리 재임 기간 동안 소련 경제 개혁을 자제했다.[16] 제26차 당 대회에서 제11차 5개년 계획 (1981–85)을 발표했으며, 소련 농업의 곡물 생산 부족 문제를 인정했다.[4][5] 또한, 소련-미국 관계 개선을 촉구했지만, 소련 경제 위기설은 일축했다.[5]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사망 이후, 티호노프는 콘스탄틴 체르넨코의 서기장 후보 지명을 지지했으나, 유리 안드로포프가 서기장으로 선출되었다.[8] 안드로포프는 티호노프를 헤이다르 알리예프로 교체하려 했으나, 1984년 안드로포프가 사망하면서 티호노프는 직책을 유지할 수 있었다.[8] 안드로포프와 체르넨코 시대에는 정치국 회의를 주재하고, 상호 경제 원조 회의에 소련 대표단을 이끄는 등 소련의 주요 지도자 역할을 수행했다.[10]
1985년 체르넨코가 사망하자, 티호노프는 고르바초프의 서기장 선출을 막으려 했지만 실패했다.[10] 미하일 고르바초프 집권 이후, 티호노프는 관리 시스템 개선 위원회의 위원장으로 선출되었으나, 이는 명예직이었고 실질적인 권한은 니콜라이 리쥐코프에게 있었다.[11] 고르바초프는 티호노프를 "부적합"하다고 판단하고, 보수적인 구성원들을 제거하면서 티호노프는 퇴임을 강요받았다.[12][13] 1985년 9월 27일, 리쥐코프가 티호노프의 뒤를 이어 총리직에 올랐다.[13]
4. 1. 총리 임명
알렉세이 코시긴이 1980년에 사임하자, 75세의 티호노프는 새로운 각료회의 의장으로 선출되었다.[3] 코시긴은 1980년 10월에 병으로 사임하였고, 같은 해 12월 18일에 사망하였다.4. 2. 브레즈네프 시대 (1980-1982)
알렉세이 코시긴이 1980년에 사임하자, 75세의 티호노프는 새로운 각료회의 의장으로 선출되었다.[3] 티호노프는 총리 재임 5년 동안, 당시 모든 통계가 경제 침체를 보여주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소련 경제 개혁을 자제했다.[16] 제26차 당 대회에서 제11차 5개년 계획 (1981–85)을 발표했으며, 위원들에게 부모 휴가를 원하는 어머니들을 위해 900만러시아 루블을 할당할 것이라고 말했다.[4] 티호노프는 대회 연설에서 소련 농업이 충분한 곡물을 생산하지 못하고 있음을 인정했다. 소련-미국 관계 개선을 촉구했지만, 소련 경제가 어떤 종류의 위기에 처해 있다는 모든 추측을 일축했다.[5] 그럼에도 불구하고 티호노프는 경제적 "결함"과 지속적인 "식량 문제"를 인정했다. 에너지 자원 절약, 노동 생산성 향상, 소련 생산 상품 품질 개선의 필요성도 토론 주제였다.[6] 1981년 1월, 티호노프는 정부의 인구 정책이 자신의 내각에서 가장 취약한 분야 중 하나라고 인정했다.[7] 실제로 그를 비롯한 많은 사람들은 러시아인의 출생률 저하를 걱정하기 시작했다. 정체 시대는 출생률을 감소시키고 러시아 인구의 사망률을 증가시켰다.[7]4. 3. 안드로포프 시대 (1982-1984)
레오니트 브레즈네프가 사망하자, 티호노프는 콘스탄틴 체르넨코의 서기장 후보 지명을 지지했다. 그러나 체르넨코는 투표에서 패배했고, 유리 안드로포프가 서기장으로 선출되었다.[8] 안드로포프는 티호노프를 헤이다르 알리예프로 교체할 계획을 가지고 있었다고 알려져 있다. 역사가 윌리엄 A. 클라크는 전 아제르바이잔 KGB 수장이었던 알리예프가 티호노프의 동의 없이 제1부총리로 임명된 점에 주목했다. 그러나 1984년 안드로포프가 사망하면서 티호노프는 직책을 유지할 수 있었다.[8] 일부 서방 분석가들은 안드레이 그로미코가 티호노프의 동의 없이 제1부총리로 임명된 것은 소련 권력 서열에서 그의 입지가 약해졌다는 신호라고 추측했다. 그로미코가 제1부총리로 임명되었을 때 티호노프는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을 국빈 방문 중이었다.[9]안드로포프는 건강이 악화되자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에 연설문을 작성했는데, 이 중 하나에서 자신의 사망 후 체르넨코가 아닌 미하일 고르바초프가 자신을 계승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이 연설은 체르넨코, 드미트리 우스티노프, 티호노프로 구성된 반(反)고르바초프 트로이카 때문에 중앙위원회 전체 회의에서 읽히지 않았다. 안드로포프의 말년에 티호노프는 정치국 회의를 주재하고, 1984년 동독에서 열린 상호 경제 원조 회의 회의에 소련 대표단을 이끌었으며, 동구권 국가들과의 양자 관계를 수행했고, 소련을 방문한 핀란드 총리를 접대했다. 안드로포프의 말년과 체르넨코의 권력 부상 사이에서 티호노프는 소련의 주요 지도자였다.[10]
4. 4. 체르넨코 시대 (1984-1985)
유리 안드로포프 사망 이후, 티호노프는 콘스탄틴 체르넨코의 서기장 선출을 지지했다.[8] 체르넨코 집권 기간 동안에도 티호노프는 총리직을 유지했으나, 고령으로 인해 당시 소련 지도부의 노쇠화를 상징하는 인물 중 하나로 여겨졌다.안드로포프는 건강이 악화되자 미하일 고르바초프를 후계자로 지명하는 연설문을 작성했지만, 티호노프는 체르넨코, 드미트리 우스티노프와 함께 이 연설이 중앙위원회 전체 회의에서 읽히지 않도록 막았다. 안드로포프 말년에 티호노프는 정치국 회의를 주재하고, 1984년 동독에서 열린 상호 경제 원조 회의에 소련 대표단을 이끄는 등 소련의 지배적인 역할을 수행했다.[10]
체르넨코가 서기장에 취임한 후에도 티호노프는 총리직을 유지했다. 그러나 1985년 체르넨코가 사망하자, 티호노프는 고르바초프의 서기장 후보에 대항할 경쟁자를 찾으려 했지만 실패했다.[10] 결국 고르바초프가 만장일치로 서기장에 선출되었고, 티호노프의 시도는 실패로 끝났다.
4. 5. 고르바초프 시대 (1985)
미하일 고르바초프가 집권하자 티호노프는 신설된 관리 시스템 개선 위원회의 위원장으로 선출되었다. 위원장 직함은 대체로 명예직이었고, 실제적인 수장은 부위원장인 니콜라이 리쥐코프였다.[11] 1985년 5월 23일, 티호노프는 1985년부터 1990년까지의 개발 계획을 발표했고, 2000년까지 이 계획은 동료들의 비판을 받았다.[17]1982년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사망 후, 티호노프는 후임 서기장으로 보수파인 콘스탄틴 체르넨코를 지지했다. 그러나 신임 서기장으로 개혁파인 유리 안드로포프가 선출되면서 체르넨코와 티호노프의 계획은 무산되었다. 1985년 3월 체르넨코가 사망했을 때, 티호노프는 후임으로 빅토르 그리고리신을 지지하며 고르바초프 선출을 막기 위해 움직였지만, 안드레이 그로미코 정치국원 등이 고르바초프 지지를 표명하며 실패하였다. 3월 11일의 정치국 회의에서 고르바초프는 만장일치로 소련 공산당 서기장으로 선출되었다.
고르바초프는 동료들에게 티호노프가 수상직에 "부적합하다"고 말했다. 고르바초프의 계획에 따라 정치국 내 가장 보수적인 구성원들을 제거하면서[12] 티호노프는 퇴임을 강요받았다.[13] 리쥐코프는 1985년 9월 27일 티호노프의 뒤를 이어 수상직에 올랐다.[13] 그의 사임은 1985년 9월 중앙위원회 전체 회의에서 공식화되었다.[14] 주목할 만한 점은 사임 당시 티호노프가 소련 지도부의 최고령자였다는 것이다.[15] 티호노프는 1989년 중앙위원회에서 물러날 때까지 비록 훨씬 덜 두드러진 역할이었지만 소련 정치에 참여했다.[16]
5. 은퇴 이후
1989년 강제 사임 이후 티호노프는 미하일 고르바초프에게 서한을 보내 그가 고르바초프를 서기장으로 선출하는 것을 지지했던 것을 후회한다고 밝혔다.[17] 이러한 견해는 소련 공산당이 소련에서 금지되면서 더욱 굳어졌다. 은퇴 후 그는 그의 다차에서 은둔하며 여생을 보냈다. 그의 친구 중 한 명이 언급했듯이, 그는 "은둔자"처럼 살았고 대중 앞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으며,[17] 자녀도 없고 아내도 사망했기에 그의 말년은 매우 힘들었다.[17] 소련 해체 전에 티호노프는 최고 소비에트의 국가 고문으로 활동했다.[18] 티호노프는 1997년 6월 1일에 사망하여 노보데비치 묘지에 묻혔다.[19] 그는 죽기 직전에 옐친에게 보낸 편지에서 "재정적 저축이 없으니 공적 비용으로 장례를 치러주시기 바랍니다"라고 썼다.[20]
6. 평가
Никола́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Ти́хонов|니콜라이 알렉산드로비치 티호노프ru는 알렉세이 코시긴의 뒤를 이어 소련 총리직을 맡았으나, 외교 및 국방 정책에 대한 경험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았다.[21] 타임지는 그를 "시험을 거친 예스맨"이라고 묘사하기도 했다.[21] 그러나 레오니트 브레즈네프는 티호노프를 자신의 '최고의 비평가'라고 언급하며 다른 견해를 보였다.[22]
티호노프는 보수적인 성향과 고령의 나이로 인해 필요한 개혁을 실행하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 때문에 다른 소련 총리들과 비교했을 때 탈소련 문화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했고, 그의 유산은 오늘날 거의 기억되지 않는다.[25]
1989년 강제 사임 이후, 티호노프는 미하일 고르바초프에게 서한을 보내 그를 서기장으로 선출하는 것을 지지했던 것을 후회한다고 밝혔다.[17] 그는 소련 공산당이 금지되면서 이러한 견해를 더욱 굳혔다. 은퇴 후에는 자신의 다차에서 은둔 생활을 하며 여생을 보냈고, 대중 앞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17]
소련 해체 이후 개인 연금이 취소되어 일반 노령 연금을 받았으며, 경호원들이 자신의 월급으로 그에게 과일을 사다 주었다는 일화는 그의 검소한 생활을 보여준다.[25]
7. 수상 내역
수상 내역 |
---|
참조
[1]
서적
How the Soviet Union is Governed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
서적
The Gorbachev factor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3]
서적
The Roots of Perestroika: The Soviet Breakdown in Historical Context
https://books.google[...]
McFarland & Company
[4]
서적
What is Soviet now?: identities, legacies, memories
https://books.google[...]
LIT Verlag Münster
[5]
웹사이트
Tikhonov Bids for U.S. Trade
https://news.google.[...]
1981-02-27
[6]
웹사이트
Soviets put squeeze on U.S. for summit
https://news.google.[...]
1981-02-27
[7]
서적
History of Modern Russia: From Tsarism to the Twenty-first Century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Ltd
[8]
서적
Crime and punishment in Soviet officialdom: combating corruption in the political elite, 1965–1990
https://books.google[...]
M. E. Sharpe
[9]
웹사이트
Gromyko's promotion may be premier's loss
https://news.google.[...]
1983-03-25
[10]
서적
The Rise & Fall of Communism
https://books.google[...]
Bodley Head
[11]
서적
Days of defeat and victor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2]
서적
The Rise & Fall of Communism
https://books.google[...]
Bodley Head
[13]
서적
History of Modern Russia: From Tsarism to the Twenty-first Century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Ltd
[14]
서적
Islam and Politics in Central Asia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15]
서적
The Council for Mutual Economic Assistance: the thorny path from political to economic integration
https://books.google[...]
M. E. Sharpe
[16]
웹사이트
http://www.warheroes[...]
warheroes.ru
2010-11-05
[17]
웹사이트
http://proekt-wms.na[...]
proekt-wms.narod.ru
2010-11-05
[18]
웹사이트
http://www.forbes.ru[...]
2010-11-21
[19]
웹사이트
http://www.warheroes[...]
warheroes.ru
2010-11-05
[20]
웹사이트
Министр СССР: о реформах Брежнев говорил — "не дергайте людей, дайте людям отдохнуть"
https://tass.ru/inte[...]
2021-03-30
[21]
간행물
Soviet Union: And Then There Was One
http://www.time.com/[...]
2011-01-21
[22]
웹사이트
"Брежнев называл Тихонова "мой критик""
https://www.kommersa[...]
2024-04-29
[23]
웹사이트
http://www.warheroes[...]
warheroes.ru
2010-11-05
[24]
웹사이트
https://2day.kh.ua/r[...]
2day.kh.ua
2023-03-27
[25]
웹사이트
http://www.kommersan[...]
2010-11-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