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니플헤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니플헤임은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얼음과 안개의 세계이다. 어원은 '안개'를 뜻하는 고대 아이슬란드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스노리 스투를루손의 《길피의 속임수》에 따르면, 무스펠스헤임 다음으로 최초로 창조된 세계이다. 니플헤임의 얼음과 무스펠스헤임의 불꽃이 만나 창조가 시작되었고, 세계수 위그드라실의 뿌리 아래에 위치하며, 로키의 딸 헬이 다스리는 죽은 자들의 세계와 동일시되기도 한다. 《고 에다》와 《흐라프나가르드 오딘》 등 다양한 문헌에서 언급되며, 필사본에 따라 니플헬과 혼동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별세계 - 아스가르드
    아스가르드는 북유럽 신화에서 아스 신족의 거처이자 요새로, 문헌에서 다양하게 묘사되며 무지개 다리 비프로스트를 통해 접근 가능한 신들의 회의 장소와 여러 궁전이 있는 곳으로 묘사되지만, 아시아 지역의 실제 국가로 해석되기도 하며 현대 대중문화에서도 널리 알려져 있다.
  • 별세계 - 타르타로스
    타르타로스는 그리스 신화에서 카오스, 가이아에 이어 세 번째로 태어난 원시 신이자 명계보다 더 깊은 심연으로, 우라노스와 크로노스가 위험한 존재들을 가두는 데 사용했고, 후에는 제우스가 티탄 신족을 유폐시키고 죄를 지은 신과 인간들이 벌을 받는 장소로 여겨지며, 플라톤의 묘사와 로마 신화, 헬레니즘 유대교 문헌, 신약성서에도 유사한 개념이 등장한다.
  • 사후 세계 - 낙원
    낙원은 여러 종교와 문화에서 이상적인 장소를 의미하며, 고대 이란어에서 유래하여 에덴동산, 천국, 정토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 사후 세계 - 황천
    황천은 고대 중국과 일본 신화에서 죽은 자의 세계를 가리키는 말로, 문화권에 따라 개념과 묘사가 다르며, 지하세계, 요미노쿠니(黄泉國), 요모츠쿠니(ヨモツクニ) 등으로 불리며 삶과 죽음에 대한 상징적 개념으로 해석되고 기독교 문헌에서 지옥을 가리키기도 한다.
  • 노르드 신화의 장소 - 세르클란드
    세르클란드는 관련 연구 문헌을 다루는 문서이며, 투레 요한손 아르네, 스벤 B. F. 얀손, 칼 L. 툰베리 등이 세르클란드와 관련된 연구를 발표했다.
  • 노르드 신화의 장소 - 아스가르드
    아스가르드는 북유럽 신화에서 아스 신족의 거처이자 요새로, 문헌에서 다양하게 묘사되며 무지개 다리 비프로스트를 통해 접근 가능한 신들의 회의 장소와 여러 궁전이 있는 곳으로 묘사되지만, 아시아 지역의 실제 국가로 해석되기도 하며 현대 대중문화에서도 널리 알려져 있다.
니플헤임
지리
위치헬헤임 북쪽
특징얼음으로 뒤덮인 세계
9개의 강이 흐름
신화
창조무스펠스헤임의 열기와 긴눙가가프를 통해 창조됨
흐베르겔미르모든 강물의 근원인 샘
니드호그위그드라실의 뿌리를 갉아먹는 용
역할죽은 자들의 세계 (헬헤임)와 연결
라그나로크 이후 악인들의 종착지
관련 신
문화
대중 문화다양한 판타지 작품의 배경으로 등장

2. 어원

''니플''(Nifl, "안개";[3])은 아이슬란드어 ''nifl''에서 유래했으며, 고대 영어 ''nifol'' ("어두운, 음울한"),[4] 중세 네덜란드어 ''nevel'', 고대 고지 독일어 ''nebul'' ("안개") 및 고대 그리스어 ''νεφέλη'' ("구름")와 동족어이다.

3. 북유럽 신화에서의 니플헤임

스노리 스투를루손의 ''길피의 속임수''에서는 니플헤임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함께, 세계수 위그드라실과의 관계, 그리고 헬과의 연관성이 나타난다. 하지만 필사본에 따라 니플헤임과 니플헬이 혼용되어 쓰이기도 한다.[9]

《흐라프나가르드 오딘》에서는 해(알프의 조명자)가 떠오르면서 밤을 쫓는 상황에서 북쪽의 니플헤임이 언급된다.


3. 1. 스노리 스투를루손의 《길피의 속임수》

스노리 스투를루손의 ''길피의 속임수''에서 고대 스칸디나비아의 왕 길피는 세 명의 모습으로 나타난 오딘에게 북유럽 신화에 대한 교육을 받는다. 길피는 오딘(야흐나르)으로부터 니플헤임은 무스펠스헤임 이후 최초로 창조된 세계임을 알게 된다.[5]

땅이 만들어지기 여러 시대 전에 안개 세계 [니플헤임]이 만들어졌는데, 그 한가운데에 흐베르겔미르라는 샘이 있고, 그곳에서 스볼, 군트라, 푤름, 핌불술, 슬리드, 흐리드, 실그, 일그, 비드, 레이프트강이 솟아나고, 굘은 헬 게이트 옆에 있다.non

오딘(스리디)은 길피에게 니플헤임의 얼음과 무스펠스헤임의 불꽃이 만나 창조가 시작되고 이미르가 형성되었다고 덧붙여 설명한다.[6]

니플헤임에서 추위와 끔찍한 모든 것들이 생겨났듯이, 무스펠스헤임을 향하는 모든 것도 뜨겁게 타올랐다. 그러나 긴눙가가프는 바람 없는 공기처럼 온화했고, 열기의 숨결이 서리와 만나 녹아 떨어지자, 그 열기를 보낸 힘에 의해 효모 방울에서 생명이 생겨나 인간의 형체가 되었다. 그 사람은 이미르라고 불리며, 서리 거인들은 그를 아우르겔미르라고 부른다. ...non

세계수 위그드라실과 관련하여, 야흐나르(오딘)는 길피에게 서리 요툰이 과거 긴눙가가프(공허)가 있던 두 번째 뿌리 아래에 위치해 있다고 말한다.[7]

물푸레나무는 모든 나무 중에서 가장 크고 최고이며, 가지는 온 세상을 덮고 하늘 위에 솟아 있다. 세 개의 뿌리가 나무를 받치고 매우 넓게 뻗어 있는데, 하나는 에시르 사이에 있고, 다른 하나는 서리 거인들 사이에 있으며, 옛날에 공허가 있던 그곳에 있다. 세 번째 뿌리는 니플헤임 위에 있고, 그 뿌리 아래에는 흐베르겔미르가 있으며, 니드호그가 아래에서 뿌리를 갉아먹는다.non

길피는 또한 로키가 헬을 낳았을 때, 오딘이 그녀를 니플헤임으로 내쫓았다는 정보를 얻는다.[8]

헬을 니플헤임으로 내쫓아 아홉 개의 세계를 다스리게 하여, 그녀에게 보내진 자들, 즉 병이나 노령으로 죽은 자들에게 모든 거처를 할당하게 했다. 그녀는 그곳에 많은 재산을 가지고 있으며, 그녀의 벽은 매우 높고 문은 크다.non

헬은 질병과 노령으로 죽은 자들의 세계의 주인이 되었다. 이것은 니플헤임과 헬이 동일시되는 유일한 경우이다(《고 에다》는 헬을 언급하지만 니플헤임에 대해서는 아무 말도 하지 않는다).[9]

그러나 필사본의 여러 판본에서 혼란이 있으며, 일부는 니플헬(헬의 가장 낮은 수준)이라고 하는 반면, 다른 판본은 니플헤임이라고 한다. 따라서 토르아스가르드를 건설한 후 죽인 ''요툰''의 마지막 목적지에 대한 구절에서:

이제 에시르가 언덕 거인이 그곳에 온 것을 확실히 보았을 때, 그들은 그들의 맹세를 경건하게 여기지 않고 토르를 불렀고, 그는 즉시 왔다. 그리고 즉시 묠니르 망치가 높이 들려졌다. 그는 장인의 임금을 지불했고, 태양과 달로 지불하지 않았다. 아니, 그는 심지어 그에게 요툰헤임에서의 거주를 거부했고, 단 한 번의 첫 번째 일격을 가해 그의 두개골을 작은 조각으로 산산조각 내어 니플헬 [니플헤임] 아래로 보냈다.non

참조

[1] 웹사이트 Oxford English Dictionary: Niflheim https://web.archive.[...] 2018-08-18
[2] 뉴스 Niflheim {{!}} Norse mythology https://www.britanni[...] 2017-08-12
[3] 웹사이트 hell - Origin and meaning of hell by Online Etymology Dictionary http://www.etymonlin[...]
[4] 웹사이트 nifol - Search Online Etymology Dictionary http://www.etymonlin[...]
[5] 서적 Section III of Gylfaginning https://books.google[...]
[6] 서적 Section VII of Gylfaginning https://books.google[...]
[7] 서적 Section XV of Gylfaginning https://books.google[...]
[8] 서적 Section XLII of Gylfaginning https://books.google[...]
[9] 서적 Section XXXIV of Gylfaginning https://books.google[...]
[10] 문서 Hrafnagaldr Óðins http://etext.old.no/[...]
[11] 문서 Odin’s Ravens’ Song http://www.germanicm[...]
[12]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249頁(「ギュルヴィたぶらかし」34章)
[13]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239頁(「ギュルヴィたぶらかし」15章)
[14]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227頁(「ギュルヴィたぶらかし」4章)
[15]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272頁(「ギュルヴィたぶらかし」49章)
[16]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227頁(「ギュルヴィたぶらかし」5章)
[17] 웹사이트 Online Etymology Dictionary http://www.etymonlin[...]
[18] 웹사이트 Online Etymology Dictionary http://www.etymonli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