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닉시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닉시치는 몬테네그로 북중부에 위치한 도시로, 고대 로마 시대부터 역사를 이어왔다. 일리리아 부족의 정착지였으며, 오스만 제국 시기에는 중요한 군사 기지 역할을 했다. 1877년 몬테네그로에 편입되었으며, 이후 도시 계획을 통해 현대적인 도시로 발전했다. 유고슬라비아 시대에는 산업 중심지로 성장했으나, 유고슬라비아 붕괴 이후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다. 현재는 몬테네그로의 주요 산업 중심지 중 하나이며, 풍부한 문화 유산을 가지고 있다. 닉시치는 몬테네그로 대학교의 학부와 스포츠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유럽 고속도로와 철도로 연결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몬테네그로의 지방 자치체 - 체티네
    체티네는 몬테네그로 남부에 위치한 역사적 중심지이자 구 왕궁 도시로, 15세기 말 수도 이전과 함께 건설되었으며 중요한 문화 유적지와 푸른 궁전을 보유하고 몬테네그로의 역사와 문화를 보존하는 역할을 한다.
  • 몬테네그로의 지방 자치체 - 샤브니크
    샤브니크는 1861년 몬테네그로에 설립된 도시로, 샤브니크 강에 제분소가 건설된 후 상업 중심지로 발전했으며, 유고슬라비아 시대 산업화 부재로 경제 침체를 겪고 인구 감소 추세에 있으며, 니크시치와 자블략을 연결하는 도로가 유일한 교통 수단이다.
  • 몬테네그로의 도시 - 체티네
    체티네는 몬테네그로 남부에 위치한 역사적 중심지이자 구 왕궁 도시로, 15세기 말 수도 이전과 함께 건설되었으며 중요한 문화 유적지와 푸른 궁전을 보유하고 몬테네그로의 역사와 문화를 보존하는 역할을 한다.
  • 몬테네그로의 도시 - 샤브니크
    샤브니크는 1861년 몬테네그로에 설립된 도시로, 샤브니크 강에 제분소가 건설된 후 상업 중심지로 발전했으며, 유고슬라비아 시대 산업화 부재로 경제 침체를 겪고 인구 감소 추세에 있으며, 니크시치와 자블략을 연결하는 도로가 유일한 교통 수단이다.
닉시치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니크시치 시가지 전경
니크시치 시가지 전경
주파 수도원
주파 수도원
차레프 다리
차레프 다리
공식 명칭Никшић (니크시치)
유형도시 및 지방 자치체
위치몬테네그로
구글 지도 검색어Nikšić
행정 구역
국가몬테네그로
지방 자치체니크시치
하위 행정 구역 수110개 정착지
정치
시장마르코 코바체비치 (NSD)
시장-의회시장-의회
지리
면적2,065 km²
인구
2011년56,970명 (도시)
2011년 (농촌)15,473명
2011년 (합계)75,282명
인구 순위몬테네그로에서 2위
인구 밀도37명/km²
2023년 (잠정)66,725명 (지방 자치체)
역사
설립일기원전 4세기 (안데르바), 5세기 (아나 가스툼)
기타 정보
시간대CET (+1)
서머 타임CEST (+2)
지역 번호+382 40
우편 번호81400
자동차 번호판NK
ISO 3166-2 코드ME-12
웹사이트niksic.me

2. 역사

4세기에 고트족이 닉시치를 건설했으며, 당시 고트어 이름은 아나가스툼(Anagastum)이었다. 이후 오노고슈트(Onogošt)로 불리기도 했다.[3] 닉시치는 일리리아 시대부터 고대 로마 시대까지의 유산이 풍부하게 남아있으며, 이는 지역 박물관, 서고, 문화 센터 등에 보관되어 있다.

초기 중세 시대에 닉시치는 남슬라브족의 트라부니아 또는 두클랴 부족 영토에 속했으며, 블라스티미로비치 왕조의 세르비아 공국의 지배를 받았다. 스테판 네마냐와 그의 네마니치 왕조 시기에는 오노고슈트 주파가 존재했다. 세르비아 제국 멸망 후 1373년 보스니아 왕국에, 1448년부터는 코사차 귀족 가문의 헤르체고비나 영토에 속했다.[5]

오스만 제국은 1465년에 오노고슈를 점령하여 400년 이상 지배했다. 1518년 문서에서 "닉시치"라는 이름이 처음 등장하며, 에블리야 체레비는 닉시치 주변 마을에 세르비아인들이 거주했다고 기록했다.[6] 1767년 아야 의회 이후 "닉시치"라는 이름이 공식적으로 사용되었다.[7] 오스만 통치 기간 동안 닉시치는 중요한 군사 요새였으며, 4개의 모스크가 건설되었다.[8]

제1차 세르비아 봉기의 영향으로 1805년 닉시치에서 헤르체고비나 세르비아인들의 봉기가 시도되었으나 진압되었다.[9] 1807년 페타르 1세 페트로비치-녜고쉬가 이끄는 군대와 러시아 제국 병력이 닉시치를 점령하려 했지만 실패했다.[8] 1876년 부치 도 전투에서 몬테네그로 공국이 오스만 군을 격파했고, 1877년 47일간의 포위 공격 끝에 닉시치를 점령했다.[10] 1878년 베를린 조약으로 닉시치는 공식적으로 몬테네그로 공국 영토가 되었다.[11]

몬테네그로 공국/왕국 시대에 닉시치는 니콜라 1세의 의뢰로 크로아티아 건축가 요시프 슬레이드가 도시 계획을 맡아 현대적인 도시로 변모했다. 슬레이드는 1883년 최초의 도시 계획을 채택하고, 차레브 모스트를 설계했다.[11]

유고슬라비아 왕국 시대에는 닉시치에서 철도 운송이 시작되었고,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에는 이탈리아에 점령되어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의 봉기와 그에 대한 진압이 있었다. 영국 공군의 폭격으로 큰 피해를 입기도 했다.[16]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시대에는 산업 발전이 이루어져 몬테네그로 산업 단지의 중심지가 되었지만, 유고슬라비아 전쟁 시기에는 경제적 어려움과 정치적 긴장을 겪었다.

2. 1. 고대

고대에는 일리리아 부족인 엔디루디니의 정착지였으며, 당시 기록에서는 안데르바 또는 엔데론으로 알려져 있었다.[3] 이 지역은 리존에 수도를 둔 일리리아 왕국의 핵심 지역 중 하나였다. 기원전 33년 옥타비아누스에게 항복한 부족 목록에 엔디루디니족이 등장한다. 엔디루디니족은 초기 로마 제국 시대에 부족 단위 행정 개편에 포함되었으며, 행정 중심지인 도클레아를 중심으로 도클라테족에 속하게 되었다.[3]

2. 2. 중세

초기 중세 시대에 이 지역은 남슬라브족(스키라베노이)의 트라부니아 또는 두클랴 부족 영토 내에 있었으며, 블라스티미로비치 왕조의 세르비아 공국의 지배를 받았다. 10세기 후반 블라스티미로비치 왕조와 내륙 지역이 붕괴되면서, 스테판 보이슬라브와 그의 보이슬라블례비치 왕조에 의해 도클레아가 부활했고, 그 뒤를 스테판 네마냐와 그의 네마니치 왕조가 이었으며, 이때 오노고슈트 주파가 존재했다. 세르비아 제국이 멸망하면서 오노고슈트는 1373년 보스니아 왕국의 지배하에 들어갔고, 1448년부터 헤르체고비나가 오스만 제국에 넘어갈 때까지 코사차 귀족 가문이 헤르체고비나 영토를 지배했다.

2. 3. 오스만 제국 시대

오스만 제국은 1465년에 오노고슈를 점령했으며,[5] 헤르체고비나 지역의 일부로서 400년 이상 튀르크의 지배를 받았다. 오노고슈는 1518년에 인쇄된 'Radonia Pribisalich de Nichsich'라는 문서에서 처음 "닉시치"로 언급되었다.[5] 에블리야 체레비는 닉시치 주변 마을에 거주하는 세르비아인들을 언급했다.[6] "닉시치"라는 이름은 1767년까지 오노고슈와 함께 사용되었는데, 당시 오스만 봉건 영주들의 고위급 회의인 아야 의회가 열린 후 닉시치라는 이름이 공식적으로 사용되었다.[7] 오스만 점령 후기에는 도시가 중요한 요새 군사 기지 역할을 했다. 오스만 통치 기간 동안 닉시치에는 총 4개의 모스크가 건설되었다.[8]

  • 돈요그라드스카 모스크: 1695년부터 1703년 사이에 건설되었다.[8]
  • 하지다누사 모스크: 1700년대 초 오스만 군 지휘관 하지-후세인 다네비치가 건설했으며, 미나렛이 없어서 구어체로 "짧은 모스크"라고 불렸다.[8]
  • 파샤의 모스크: 닉시치에서 가장 컸으며, 프리슈티나의 야샤르 파샤 모스크와 건축적으로 유사하다고 한다.[8]
  • 하지-이스마일의 모스크: 1807년에 세워졌으며, 그 세기 후반 오스만 제국이 닉시치에서 철수한 후에도 유일하게 살아남은 모스크였다.[8]


제1차 세르비아 봉기의 영향으로 1805년 여름, 봉기를 시작하려는 헤르체고비나 세르비아인들의 움직임이 닉시치에서 나타났다.[9] 닉시치 사람들은 포포보 폴리에, 트레비네, 트레비네 슈마(Требињска шума|트레비네 슈마sr)의 하람바샤들과 협력했으며 19,000명의 세르비아인이 봉기할 수 있다고 계산했고, 무기는 그리스를 통해 러시아에서 도착할 예정이었다. 튀르크는 이에 대해 카우즐라리치 파샤가 이끄는 10,000명의 군인을 보내 반란을 진압했다. 지역 슬라브 무슬림들이 참여했을 가능성이 있는 튀르크의 봉기 진압 이후, 역사적 자료에는 더 이상 광범위한 반란에 대한 언급이 없었다.[9]

1807년, 페타르 1세 페트로비치-녜고쉬가 이끄는 군대가 1,000명의 러시아 제국 병력과 함께 닉시치를 점령하려 했지만 오스만 군이 승리했다.[8] 1876년 7월 18일, 몬테네그로 공국은 닉시치 시의 서쪽 가장자리에서 부치 도 전투에서 오스만 군을 격파했다. 1877년 8월 27일, 닉시치의 나머지는 보이보다 마쇼 브르비차의 지휘 하에 몬테네그로 공국 군대에 의해 47일간의 포위 공격 끝에 오스만 당국으로부터 빼앗겼다.[10] 영국 고고학자 아서 에반스는 포위 공격 후 니콜라 1세와 남은 보스니아인(무슬림) 사이의 협상을 목격했고, 그 후 일기에 다음과 같이 적었다.

2. 4. 몬테네그로 공국/왕국 시대 (1877–1918)

1878년 베를린 조약으로 닉시치는 공식적으로 몬테네그로 공국의 영토로 인정되었다.[11] 오스만 제국의 작은 촌락이었던 닉시치는 현대적인 도시로 변모하기 시작했다. 니콜라 1세는 크로아티아 건축가 요시프 슬레이드에게 도시 계획을 의뢰했고, 1883년에 최초의 도시 계획이 채택되었다.[11] 슬레이드는 현대적인 닉시치의 도시 설계를 담당했을 뿐만 아니라, 인근에 있는 기념비적인 차레브 모스트도 설계했다.[11]

카레브 모스트는 요시프 슬레이드가 설계했으며 1894년에 완공되었다.

2. 5. 유고슬라비아 왕국 시대 (1918–1941)

니콜라 1세 국왕 폐위와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 왕국으로의 전환 과정에서 닉시치에서는 긴장과 폭력이 발생했다. 1918년 12월 23일, 닉시치는 몬테네그로 녹색파와 드라간 밀루티노비치 지휘 하의 세르비아군 간의 교전이 벌어진 장소였다. 녹색파는 크리스마스 봉기 동안 닉시치를 공격했지만, 세르비아군이 승리했다.[12] 크리스마스 봉기 이후에도 일부 몬테네그로 녹색파는 수년 동안 유고슬라비아 정부에 저항했다. 1923년 12월 28일, 크리스마스 봉기 이후 게릴라 활동을 계속하던 11명의 몬테네그로 "코미티"가 세르비아 헌병대에 의해 닉시치에서 처형되었다.[13]

유고슬라비아 왕국 시대에 닉시치에서 철도 운송이 시작되었다. 13년간의 공사 끝에 1938년 7월 12일, 첫 열차가 빌레차에서 닉시치에 새로 건설된 기차역에 도착했다.[14] 새로운 역 앞에는 페타르 2세 국왕의 초상화가 설치된 문이 장식되었고, 초상화 아래에는 "유고슬라비아 만세!"라고 쓰여 있었다.[14] 약 5,000명의 사람들이 첫 열차의 도착을 기다렸으며, 도착이 더운 날씨에 2시간이나 지연되었음에도 기다렸다.[14] 지연 동안, 많은 사람들이 참을성이 없어 보였고, 두 명의 참전 용사가 열차가 도착하기 전에 철도 선로에서 콜로 춤을 추었다고 한다.[14]

2. 6.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닉시치는 이탈리아 몬테네그로 총독부에 점령되었다. 이 점령 기간 동안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을 비롯한 여러 세력이 봉기를 일으켰다. 초기 파르티잔의 진격은 폭력적으로 진압되었으며, 닉시치에서는 저명한 공산주의자 류보 추피치와 16세의 요카 발레티치 등 많은 이들이 공개 처형되었다.[15]

1944년 4월 7일부터 8일까지 영국 공군은 비커스 웰링턴 장거리 폭격기를 사용하여 닉시치를 폭격했다.[16] 몬테네그로의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 사령관 중 한 명이었던 페코 다프체비치는 요시프 브로즈 티토에게 연합군이 나치 점령군을 몰아내기 위해 닉시치를 폭격하도록 요청했다.[16] 이 폭격으로 인한 사상자 수는 자료에 따라 약 200명[15]에서 500명[16]으로 다르게 보고되고 있다.

2. 7.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시대 (1945–1991)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닉시치는 전례 없는 산업 및 정치적 발전을 경험했다. 1948년 9월 24일, 카피노 폴리에 공항에서는 6대의 슈퍼마린 스핏파이어 항공기가 비밀리에 개조되어 이스라엘 공군에 인도되는 작전이 수행되었다.[17] 이 작전 동안 공항은 유고슬라비아 국가보안국에 의해 대중으로부터 격리되었으며, 표식이 없는 항공기는 이스라엘 공군 조종사들이 조종했다.[17] 이 중 3대는 한 달도 안 되어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에 투입되었다.[17]

요시프 브로즈 티토는 1959년 5월 닉시치를 처음 방문하여 "보리스 키드리치" 금속 가공 공장을 방문했다. 1969년 5월 12일, 티토는 공장이 설립 이후 처음으로 순이익을 기록했다는 보고를 받고 다시 방문하여, 노동자에게만 책임을 묻는 대신 공장의 기계를 현대화할 것을 주장했다.[18] 1985년까지 보리스 키드리치 금속 공장은 6,500명 이상의 노동자를 고용했지만, 그 해 두 차례의 파업이 발생했다.[19] 당시 유고슬라비아 디나르의 만성적인 인플레이션과 수입 의존도는 철강 제품 가격 인상 압력으로 이어져 서유럽 철강과의 경쟁력을 약화시켰다.[19]

이 시기 도시 인구는 10배 증가했으며, 닉시치는 몬테네그로 산업 단지의 중심지로 성장했다.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유고슬라비아 시대 동안 철강 공장, 보크사이트 광산, 전력 생산, 양조장 및 목재 가공 산업이 도시 안팎에 설립되어 번성했다.

2. 8. 유고슬라비아 전쟁 시기 (1991-1999)

유고슬라비아 해체 과정에서 닉시치는 경제적 어려움과 정치적 긴장을 겪었다. 닉시치 출신의 많은 유고슬라비아 인민군(JNA) 군인들이 전쟁에서 목숨을 잃었다.[15] 1993년에는 닉시치에 있던 하지-이스마일 모스크가 파괴되었다.[8]

이 시기 닉시치에서는 세르비아 민족주의를 지지하는 세력과 몬테네그로의 독립을 원하는 세력 간의 갈등이 심화되었다.

3. 지리

닉시치는 몬테네그로 북중부에 위치한다. 넓이 48km2, 해발 640m의 카르스트 평야인 "닉시치 평야"("Nikšićko polje")의 중심에 자리 잡고 있다.[26] 이 평야는 서부 몬테네그로의 전형적인 풍경인 사람이 살기 힘든 바위 산악 지형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닉시치 시는 "트레베사" 언덕 기슭에 위치한다.

제타 강은 "닉시치 평야"에서 발원하여 닉시치 시 근처를 흐르다가 닉시치 시 남쪽에서 지하강이 된다. 이 강은 1960년 수력 발전소 "페루치차"가 건설되기 전까지 평야의 잦은 홍수를 일으켰다. 발전소 건설로 인해 도시 근처에 "크루파츠 호수", "슬라노 호수", "브르타츠 호수" 등 세 개의 큰 인공 호수가 만들어졌다. 오늘날 이 호수들은 닉시치 시민들에게 인기 있는 레크리에이션 및 휴식처이다.

3. 1. 기후

닉시치 근처의 크루파츠 호수


쾨펜 기후 구분에 따르면, 닉시치는 여름철에 건조한 경향을 보이는 해양성 기후(Cfb)를 띠며, 이는 지중해성 기후의 영향을 받는다.[27] 1월 평균 기온은 1.7°C이며, 7월 평균 기온은 20.4°C이다. 평균 습도는 69%이다. 닉시치는 연간 2,238시간의 일조량을 보이며, 여름은 따뜻하고 비교적 습하며, 겨울은 춥고 비가 많이 내린다. 평균적으로 눈이 내리는 날은 연간 19일이다.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 최고 기온 (℃)5.6°C6.7°C10.2°C14.3°C19.4°C23.1°C26.7°C26.9°C22.8°C17.5°C11.3°C7.1°C
평균 기온 (℃)1.4°C2.5°C5.5°C9.5°C14.2°C17.5°C20.5°C20.1°C16.3°C11.4°C6.6°C2.9°C
평균 최저 기온 (℃)-2.1°C-0.9°C1.5°C5°C8.9°C11.9°C14.1°C13.9°C10.8°C6.8°C3°C-0.4°C
강수량 (mm)208.4mm194.4mm185.6mm170.3mm108.2mm92.7mm61mm90.2mm138.1mm201.7mm300.6mm239.1mm
평균 강수일수 (≥ 0.1 mm)131212131212888101313
평균 일조시간112.9116.8151.1169.0213.2238.4312.2284.6226.5187.9117.2107.9
평균 상대 습도 (%)727067676767575966717574

[44]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최고 기온 기록 (℃)17.7°C21.2°C23.5°C27.7°C30.6°C34.9°C39.4°C40.8°C36.6°C29.4°C27.6°C18.4°C
평균 최고 기온 (℃)6.5°C7.3°C10.8°C15°C20.1°C24.9°C28.3°C28.9°C22.9°C17.7°C12.3°C7.7°C
평균 최저 기온 (℃)-1.5°C-0.9°C1.8°C5.4°C9.4°C13.1°C15.3°C15.4°C11.3°C7.3°C3.4°C-0.2°C
최저 기온 기록 (℃)-20.2°C-17°C-11.6°C-5.4°C-1.4°C0.4°C5°C5.4°C0.6°C-4°C-9.3°C-15.6°C
강수량 (mm)208.4mm194.4mm185.6mm170.3mm108.2mm92.7mm61mm90.2mm138.1mm201.7mm300.6mm239.1mm
평균 강수일수 (≥ 0.1 mm)131212131212888101313
평균 일조시간112.9116.8151.1169.0213.2238.4312.2284.6226.5187.9117.2107.9
평균 상대 습도 (%)727067676767575966717574

[28][29][30]

4. 도시 경관

니크시치 지역은 고대부터 사람이 살았지만, 현대 니크시치의 모습은 대부분 계획도시로 만들어졌다. 오스만 제국의 오랜 지배에도 불구하고, 그 건축 유산은 거의 남아있지 않다. 오늘날 볼 수 있는 도시의 모습은 1883년에 만들어진 도시 계획을 따른 것으로, 니콜라 1세 몬테네그로 국왕이 크로아티아 건축가 요시프 슬레이드에게 설계를 맡겼다.[11]

이 계획에 따라 니크시치의 거리는 도시 중심 광장(오늘날 로터리)에서 북쪽과 동쪽으로 뻗어 나간다. 이 광장은 현지에서 ''Skver''라고 불린다. 방사형으로 뻗어 나가는 거리는 환상형 거리와 가로수에 의해 교차되어, 마치 거미줄과 같은 형태를 띤다.

이러한 거리 구조를 따라 다양한 건축 양식과 도시 패턴이 나타난다. 중심 로터리에 가장 가까운 곳은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해방된 후 형성된 니크시치의 역사적 중심지이다. 이곳은 슬레이드의 도시 계획의 핵심 지역이기도 하다. ''Trebjesa Hill'' 기슭에 위치하며, ''니콜라 1세 몬테네그로 국왕 궁전'', 시립 공원, 그리고 주요 도시 광장인 ''자유 광장''이 녜고셰바 거리''를 따라 위치해 있다. 이 지역은 대부분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몬테네그로의 전형적인 건축 양식을 보여주는 단층 또는 2층 연립 주택으로 이루어져 있다. 로터리와 그 주변 지역은 버스 및 기차역, 상업 및 시민 서비스 시설이 있어 여전히 도시 활동의 중심지 역할을 한다.

2018년 독립 기념일 전날 남쪽에서 바라본 니크시치의 자유 광장


중앙 로터리에서 더 멀리 떨어진 역사적 중심지는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시대에 건설된 대규모 주거 블록으로 둘러싸여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급속한 산업화로 인해 도시로 유입된 많은 사람들의 주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층 주거 블록이 건설되었다. 이 유고슬라비아 시대 아파트 블록은 여전히 니크시치 주민 대다수가 거주하는 곳이다.

이 블록들을 지나면 도시는 교외 지역으로 확장되는데, 주로 단독 주택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시 블록과 주요 산업 지역 근처에는 잘 계획된 저층 단독 주택 교외 지역이 조성되었지만, 중심지에서 멀어질수록 도시가 혼란스럽고 비공식적인 방식으로 확장되었다. 또한 니크시치 남쪽의 농촌 지역은 도시와 합쳐져 저밀도 교외 지역이 도시에서 모든 방향으로 뻗어 나가면서 ''니크시치 들판''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5. 문화

니크시치는 산업 중심지로 알려져 있지만, 풍부한 문화 유산을 가지고 있다. 도시의 주요 문화 시설은 ''Centar Za Kulturu''(문화 센터)에 통합되어 있다.


  • '''니콜라 왕궁''' 내 '''Zavičajni Muzej'''(군 박물관): 도시의 역사적 발전을 기록한다.
  • '''니크시치 미술관'''
  • '''공공 도서관''' 및 '''공공 기록 보관소'''
  • '''니크시치 극장'''
  • '''자후믈레''' 민속 음악 협회
  • '''Stari Grad Anderva''' 예술 협회


주요 문화 행사로는 몬테네그로에서 가장 유명한 문화 행사 중 하나인 ''Septembarski Dani Kulture''(9월 문화의 날)가 있다. 다른 연례 행사로는 ''Pjesnik na korzu''(산책로의 시인), ''Međunarodni festival glumca''(국제 배우 축제), ''Međunarodni festival kamerne muzike''(국제 실내악 축제), ''Međunarodni festival gitare''(국제 기타 축제) 등이 있다. 크루파츠 호수에서 매년 개최되는 ''Lake Fest'' 록 페스티벌과 베뎀 성에서 열리는 ''Bedem Fest'' 록 페스티벌은 구 유고슬라비아 지역에서 가장 인지도가 높은 음악 축제 중 하나로 꼽힌다.

보헤미안 예술 정신으로 유명하며, 시인 비토미르 니콜리치, 밀라딘 쇼비치, 마린코 파비체비치와 같은 싱어송라이터가 대표적인 인물이다. 지브코 니콜리치는 몬테네그린에서 가장 중요한 영화 감독으로 평가받는다.

지역 미디어는 공영 방송사인 ''TV 니크시치''와 ''라디오 니크시치''를 비롯해 여러 상업 라디오 방송국이 있다. ''철학부''와 ''문헌학부''에서 발행하는 잡지 ''Riječ''와 ''Luča'', 어린이 잡지 ''Poznanstva''도 니크시치 문화의 한 부분이다.

6. 교육

닉시치에는 40개의 교육 기관이 있다. 여기에는 11개의 보육원, 25개의 초등학교(음악 초등학교 1개 포함), 4개의 고등학교(스토얀 체로비치 김나지움 포함)가 있다.[1]

몬테네그로 대학교의 3개 학부가 닉시치에 위치한다.[1]


  • 철학부: 학부, 전문가 및 대학원 과정, 박사 과정을 운영하는 복합적인 교육 및 과학 기관이다. 철학 및 사회학 연구소와 지리학 연구소, 두 연구소가 있다.[1]
  • 문헌학부: 언어 및 문학 연구소가 있다.[1]
  • 스포츠 및 체육 학부[1]


닉시치의 철학부는 몬테네그로 고등 교육의 오랜 전통을 잇고 있다. 1947년 체티네에 설립된 최초의 대학인 전문학교에서 초등학교 교사를 양성했으며, 1963년부터는 닉시치 전문학교로 이어졌다. 1977년 닉시치 전문학교는 교육 전문학교로, 1988년에는 철학 학교로 개편되었다. 철학 학교에서는 교육과 과학을 융합한 학사, 석사, 박사 과정 교육을 실시한다.[1]

7. 스포츠

닉시치는 몬테네그로 스포츠의 중심지 중 하나로 여겨진다. 특히 격투기가 인기가 많으며, 유도, 가라테, 권투에서 강력한 전통을 가지고 있다. 닉시치의 유도 선수들은 국제 대회에서 매우 성공적인 성과를 거두었다.

수티에스카 축구 클럽은 도시 축구 전통의 기둥이다. 이 클럽은 유고슬라비아 시대에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로 진출했으며, 2006년 몬테네그로 1부 리그가 창설된 이후 가장 성공적인 클럽 중 하나이다. FK 체리크 또한 UEFA 유로파 리그 예선에 진출하면서 더욱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농구에서는 닉시치가 보얀 두블레비치나 아나 포체크와 같은 훌륭한 선수들을 배출했을 뿐만 아니라, 지역 팀인 KK 수티에스카 닉시치는 2013년에 몬테네그로 농구컵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핸드볼배구를 포함한 다른 단체 스포츠 또한 닉시치에서 인기가 있다.

주요 스포츠 시설로는 시립 경기장과 ''닉시치 스포츠 센터''가 있다. 닉시치 스포츠 센터는 3,000석 규모의 실내 스포츠 경기장, 올림픽 규격 수영장, 6레인 볼링장, 스포츠 사격장, 테니스풋살 코트, 그리고 다양한 기타 시설을 갖추고 있다.

부치예 스키 리조트는 시내 중심가에서 18km 떨어져 있어, 겨울 스포츠는 닉시치 시민들에게 인기 있는 레크리에이션 활동이다.

8. 인구

2011년 인구 조사 기준 닉시치 시의 인구는 56,970명이며, 닉시치 시를 포함하는 닉시치 지방 자치체의 인구는 2023년 기준 66,725명이다.[31] 닉시치 시는 닉시치 시의 수도권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인구 변화 (1948년~2011년)'''

인구 조사인구
19489,485
195314,804
196126,569
197140,107
198150,399
199155,718
200358,212
201156,970


8. 1. 민족 구성 (2011년)

201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닉시치의 민족 구성은 다음과 같다.[32]

민족인구비율
몬테네그로인36,71364.44%
세르비아인13,58423.84%
로마니4660.81%
발칸 이집트인4460.81%
보스니아인2160.37%
크로아티아인1350.23%
알바니아인720.12%
민족 무슬림630.11%
기타2190.38%
미신고3,8436.74%
합계56,970100%



몬테네그로인이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세르비아인이 그 뒤를 잇는다. 이 외에도 로마니, 발칸 이집트인, 보스니아인, 크로아티아인, 알바니아인, 민족 무슬림 등 다양한 소수 민족들이 닉시치에 함께 살아가고 있다.

8. 2. 종교 (2011년)

종교비율
동방 정교회51,53990.46%
이슬람1,7072.99%
무신론6891.2%
가톨릭2010.35%
기타6191.08%
미신고1,9873.48%
합계56,970100%


9. 경제

닉시치는 포드고리차와 함께 몬테네그로의 가장 큰 산업 중심지 중 하나이다. 제철소(Nikšićka Željezara), 보크사이트 광산, 트레브제사 양조장(Nikšićka Pivara) 등이 이 도시에 집중되어 있다.[34]

이러한 대규모 산업들은 유고슬라비아 해체 이후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으나, 민영화 과정을 거치며 회복되었다. 일부는 민영화가 완료되었고, 일부는 진행 중이다.

사회주의 시대만큼 많은 노동자를 고용할 수는 없게 되면서, 닉시치의 경제는 점차 서비스 지향적인 경제로 변화하고 있다. 1981년 닉시치의 1인당 GDP는 유고슬라비아 평균의 91%였다.[34]

10. 교통

닉시치는 몬테네그로의 주요 교통 거점 중 하나이다. E762 도로는 닉시치와 포드고리차를 연결하며, 길이는 55km이다. 이 도로는 비교적 새로운 2차선 도로이다. 닉시치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로 향하는 관문 역할을 하며, 북쪽으로는 포차, 남서쪽으로는 트레비네(Trebinje)로 이어진다. 닉시치에서 트레비네로 가는 길에는 코토르만리산(Risan)으로 이어지는 길이 있어, 몬테네그로 해안 지방으로 가는 가장 빠른 경로를 제공한다. 또한 닉시치에서는 샤브니크(Šavnik)를 거쳐 자블랴크(Žabljak)로 가는 도로도 있다.

닉시치는 포드고리차와 철도로 연결되어 있으나, 이 철도는 주로 닉시치에서 생산된 보크사이트를 포드고리차 알루미늄 공장(Podgorica Aluminium Plant)으로 운반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후 여객 수송을 시작하였다.

포드고리차 공항은 닉시치에서 70km 떨어진 곳에 있으며, 베오그라드, 부다페스트, 취리히,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 류블랴나, 파리, 로마, 등 여러 유럽 도시와 연결된다.

10. 1. 도로

E762 고속도로는 닉시치를 남동쪽의 포드고리차와 연결하고, 북서쪽으로는 플루지네를 거쳐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포차사라예보로 연결된다.[10] 리산/트레비네-닉시치-샤브니크-자블랴크 도로는 닉시치에서 코토르만과 몬테네그로 해안을 연결하는 가장 짧은 경로이다.[10] 닉시치는 몬테네그로 도시 중 최초로 우회 도로를 갖춘 곳 중 하나이며, 이 우회 도로는 도시 중심부의 교통 체증을 완화한다.[10]

10. 2. 철도

니크시치-포드고리차 철도는 닉시치의 유일한 철도 연결선으로, 포드고리차에서 베오그라드-바르 철도 및 포드고리차-슈코더 철도 노선과 연결된다.[35][36]

이 철도는 주로 닉시치 보크사이트 광산에서 포드고리차 알루미늄 공장으로 보크사이트를 운송하는 데 사용되었다. 현재 재건 및 전철화 작업이 진행 중이며, 완료 후 여객 서비스가 재개될 예정이다. 몬테네그로 철도는 이 철도를 운행하기 위해 3대의 CAF Civity 전동차를 주문했으며, 닉시치와 포드고리차 간 이동 시간이 50분으로 단축될 것이다. 새 열차 중 첫 번째 열차는 2013년 6월 1일에 운행을 시작했다.[35][36]

1938년에는 닉시치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빌레차를 잇는 협궤 (760mm) 철도가 개통되었다.[37] 이 노선은 트레비네 인근에서 차플리나, 젤레니카, 두브로브니크 세 방향으로 분기되었다. 차플리나에서는 남쪽으로 플로체 항구, 북쪽으로 모스타르사라예보를 거쳐 다른 지역으로 연결되었다.[37] 1948년에는 닉시치에서 티토그라드(포드고리차)까지 협궤 철도가 연장되었으나, 1965년에 표준궤 (1435mm)로 개조되었다.[38] 닉시치에서 차플리나까지의 협궤 노선은 1976년에 폐쇄되어 철거되었다.[39]

10. 3. 항공

닉시치 공항은 도시 서쪽에 있는 작은 스포츠 공항으로, 일반 항공 및 지역 항공 클럽의 요구를 충족시킨다. 2010년 FAI 세계 낙하산 선수권 대회를 개최하기도 했다.[40] 정기 여객 서비스는 아직 도입되지 않았다.

포드고리차 공항은 닉시치에서 60km 떨어져 있으며, 베오그라드, 사라예보, 부다페스트, 취리히, 프랑크푸르트, 류블랴나, 파리, 로마, 비엔나로 가는 정기 항공편이 운행된다. 티바트와 두브로브니크 공항은 약 100km 거리에 있으며, 주요 유럽 목적지로 정기 운항 서비스를 제공한다.

11. 자매 도시

닉시치는 다음과 같은 자매 도시를 두고 있다.[41][42]

국가도시
세르비아아릴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빌레차
슬로베니아보베츠
이탈리아브린디시
중국츠펑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포차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가츠코
스페인지로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그라다차츠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야이체
슬로베니아코페르
크로아티아코프리브니차
북마케도니아쿠마노보[43]
세르비아라자레바츠
슬로베니아무르스카소보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네베시네
세르비아노비 베오그라드
북마케도니아오흐리드
북마케도니아프릴레프
크로아티아라브
세르비아라자니
북마케도니아스트루미차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트레비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투즐라
세르비아발리에보
세르비아르바스
크로아티아자다르
북마케도니아젤리노


참조

[1] 웹사이트 Montenegrin 2011 census http://www.monstat.o[...] Monstat
[2] 서적 Census 2011 - Releases http://monstat.org/u[...]
[3]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The Augustan Empire, 43 B.C—A.D. 69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서적 The Serbs Wiley-Blackwell
[5] 웹사이트 'O NIKŠIĆU' https://www.mladinik[...]
[6] 문서 Putopis : odlomci o jugoslavenskim zemljama https://www.academia[...]
[7] 웹사이트 Kulturne Prilike I Kulturni Stvaraoci Nikšića Iz Osmanskog Perioda http://sandzackaknji[...] 2017-02-11
[8] 웹사이트 'Nikšić kroz istoriju: Džamije' https://www.onogost.[...] 2016-11-12
[9] 간행물 Trebinjski kraj u vreme prvog srpskog ustanka 2005
[10] 웹사이트 'Svaki drevni grad je posebna priča' http://www.novinenik[...] 2016-01-08
[11] 웹사이트 'Nikšić kroz istoriju: Izgradnja nove varoši' https://www.onogost.[...] 2016-04-24
[12] 문서 Istorija Crne Gore 2015-07
[13] 웹사이트 'Dvije komitske sudbine' https://okf-cetinje.[...] 2017-01-16
[14] 웹사이트 '"Ćiro" je stigao u Nikšić' http://www.novinenik[...] 2014-03-10
[15] 웹사이트 Danas: ''Ljubav je jača od svakog rata i svakog zla'' http://www.danas.rs/[...] 2014-05-09
[16] 웹사이트 Novosti: ''Peko traži da se gađa Nikšić'' http://www.novosti.r[...] 2015-01-13
[17] 웹사이트 ''Kad je Nikšić bio Alabama'' https://www.vijesti.[...]
[18] 웹사이트 'Retrospektiva: Tako je Tito govorio o Željezari "Boris Kidrič"' https://www.onogost.[...] 2016-05-20
[19] 웹사이트 'Željezara "Boris Kidrič" Nikšić: Gigant čije ime među metalcima u svijetu izgovara s poštovanjem' http://www.yugopapir[...] 1985-05
[20] 웹사이트 'U Nikšiću obilježeno 18. godina od NATO bombardovanja' https://www.vijesti.[...]
[21] 웹사이트 Diplomatski Skandal U Crnoj Gori: Sramno prema žrtvama http://www.novosti.r[...] 2018-02-12
[22] 웹사이트 'Брано Мићуновић „сувласник“ Црне Горе' http://www.nspm.rs/s[...] 2010-03-05
[23] 웹사이트 'Šešelj za Nedeljnik: Jovica Stanišić mi je spasio život, Brano Mićunović je spremao atentat na mene' http://www.nedeljnik[...] 2017-01-18
[24] 뉴스 Vreme 1993-06-07
[25] 웹사이트 'Litija duga kilometrima' http://www.novosti.r[...] 2011-05-11
[26] 웹사이트 niksic http://www.travelsra[...] travelsradiate.com 2010-11-19
[27] 간행물 Updated world map of the Köppen–Geiger climate classification http://www.hydrol-ea[...]
[28] 웹사이트 Climate: Nikšić http://www.meteo.co.[...] Hydrological and Meteorological Service of Montenegro 2021-03-06
[29] 웹사이트 Dnevni prosjeci i ekstremi http://www.meteo.co.[...] Hydrological and Meteorological Service of Montenegro 2021-03-06
[30] 웹사이트 Climate: Nikšić https://www.nodc.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3-11-18
[31] 웹사이트 Preliminary results of the 2023 Census of Population, Households, and Dwellings https://www.monstat.[...] Monstat 2024-01-25
[32] 웹사이트 Popis 2011 https://www.monstat.[...] 2011-09-29
[33] 웹사이트 Popis 2011 https://www.monstat.[...] 2011-09-29
[34] 서적 Atlas svijeta: Novi pogled na Zemlju Sveučilišna naklada Liber
[35] 웹사이트 Vlada Crne Gore (The Government of Montenegro) - U junu 2013. godine Crna Gora dobiće tri nova elektromotorna voza (Serbian) http://www.gov.me/na[...] 2011-11-17
[36] 웹사이트 ZCG Prevoz - Novosti - U julu 2013. godine, isporuka 3 nova EMV-a http://www.zcg-prevo[...] 2011-11
[37] 웹사이트 Uskotračne željeznice - Grafikoni http://www.zeljeznic[...] 2017-04-12
[38] 웹사이트 ZCG Prevoz - Nikšić - Titograd (Podgorica) http://zcg-prevoz.me[...] 2017-04-12
[39] 웹사이트 Uskotračne željeznice - Hum - Trebinje - Bileća - Nikšić - Titograd/Podgorica http://www.zeljeznic[...] 2017-04-12
[40] 웹사이트 World Parachuting Championships 2010 http://www.wpc2010.m[...]
[41] 웹사이트 Međunarodna saradnja https://niksic.me/lo[...] 2021-01-18
[42] 웹사이트 Bratimljenje http://www.uom.co.me[...] Zajednica opština Crne Gore 2013-01
[43] 웹사이트 Службен гласник на Општина Куманово https://kumanovo.gov[...] Kumanovo 2019-09-26
[44] 웹인용 Climate: Nikšić http://195.66.163.23[...] Hydrological and Meteorological Service of Montenegro 2018-05-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