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닛산 세피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닛산 세피로는 닛산 자동차가 생산한 중형차로, 1988년 출시된 1세대(A31)는 후륜구동 방식을, 1994년 출시된 2세대(A32)부터는 전륜구동 방식을 채택했다. 1세대는 튜닝 및 드리프트 차량의 베이스로 인기를 얻었으며, 2세대는 르노삼성 SM5의 기반이 되었다. 3세대(A33)는 1998년에 출시되었으며, 2003년 일본 내수 시장에서 단종되었다. 세피로는 각 세대별로 디자인과 기술적 특징을 달리하며, 닛산의 중형차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8년 도입된 자동차 - 쌍용 코란도 훼미리
    쌍용 코란도 훼미리는 쌍용자동차에서 생산된 SUV 차량으로 다양한 엔진과 사양으로 출시되었으며, 4륜 구동 방식과 초기 리프 스프링 서스펜션에서 5링크 코일 스프링으로 변경된 서스펜션을 채택하고, 여러 미디어 작품에 등장하여 대중에게 알려졌다.
  • 1988년 도입된 자동차 - 닛산 시마
    닛산 시마는 1988년에 출시되어 일본 버블 경제 시기에 인기를 얻은 닛산의 고급 세단으로, 여러 차례의 모델 변화와 해외 수출, 그리고 닛산 푸가의 롱 휠베이스 버전으로 부활했지만 2022년에 단종되었다.
  • 닛산 자동차의 차종 - 닛산 시마
    닛산 시마는 1988년에 출시되어 일본 버블 경제 시기에 인기를 얻은 닛산의 고급 세단으로, 여러 차례의 모델 변화와 해외 수출, 그리고 닛산 푸가의 롱 휠베이스 버전으로 부활했지만 2022년에 단종되었다.
  • 닛산 자동차의 차종 - 닛산 오티
    닛산 오티는 닛산이 미쓰비시 경차를 OEM 방식으로 공급받아 2005년부터 2013년까지 판매한 모델로, 전면 디자인과 일부 사양에서 차별점을 두었으며 2008년 마이너 체인지를 거쳤으나 닛산 데이즈 출시 후 단종되었다.
  • 닛산 자동차 - 닛산 시마
    닛산 시마는 1988년에 출시되어 일본 버블 경제 시기에 인기를 얻은 닛산의 고급 세단으로, 여러 차례의 모델 변화와 해외 수출, 그리고 닛산 푸가의 롱 휠베이스 버전으로 부활했지만 2022년에 단종되었다.
  • 닛산 자동차 - 인피니티
    인피니티는 닛산이 미국 고급차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1989년 렉서스, 아큐라와 함께 출시한 브랜드로, 초기 자연을 강조한 광고로 인지도를 높였으나 판매 부진과 경제 침체를 겪기도 했지만 브랜드 재건에 성공하여, 현재는 전기차 브랜드로 전환을 계획하고 있다.
닛산 세피로 - [자동차]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닛산 세피로 (A33) 일본 사양
제조사닛산
생산 기간1988년–2004년
차종중형차
차체 형태4도어 세단
5도어 스테이션 왜건 (A32)
관련 차종닛산 맥시마
르노삼성 SM5
이전 차종닛산 스카이라인 (중동)
후속 차종닛산 티아나 (일본, 대만, 동남아시아)
닛산 맥시마 (중동)
생산
조립 공장일본: 오파마 공장, 요코스카시 (1994–2003)
태국: 사뭇프라칸 (Siam Motors, 1990-2004)
필리핀: 마카티 (1991–1998)
산타로사 (1998–2007)
이란: 테헤란 (파르스 코드로)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대만: 먀오리 (위룽 모터스)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세렌다 (Edaran Tan Chong Motor (ETCM))
상세 정보 (일본어)
차명닛산 세피로
판매 기간1988년-2003년
구동 방식후륜 구동 (초대)
전륜 구동 (2대 이후)
후속닛산 티아나
로렐과 통합

2. 1세대 (A31, 1988년~1994년)

1세대 세피로(A31)는 스카이라인(R32)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후륜구동 방식의 중형차로 개발되었으며, 스탄자의 후속 차종으로 1988년에 출시되었다. 실비아의 세단형 모델로 계획되었지만, 판매 부진을 우려한 사내 의견에 따라 세피로라는 이름으로 변경되었다.[1]

버블 경제 시기 닛산을 상징하는 명차 중 하나였던 세피로는, 고객이 엔진, 서스펜션, 변속기, 내장재, 색상 등을 조합하여 주문하는 '세피로 코디네이션' 방식을 통해 810가지 조합이 가능했다. 이는 당시 유행하던 다양한 소비자 취향을 반영한 것이었다. 조합된 사양은 센터 콘솔 박스 뚜껑 안쪽의 사양서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RB20 계열의 직렬 6기통 엔진을 탑재했으며, 출시 당시에는 RB20E(2.0L SOHC), RB20DE(2.0L DOHC), RB20DET(2.0L DOHC 터보) 세 가지 엔진 라인업을 갖췄다. RB20DET 엔진은 스카이라인에 탑재된 180ps에서 205ps로 출력이 향상되었다. 생산은 무라야마 공장과 자마 공장에서 이루어졌다.[18]

1989년 8월에는 스웨이드 느낌의 인조 가죽 "엑세느"를 내장에 적용한 특별 사양 "엑세느 셀렉션"이 출시되었다. 1990년 1월에는 오텍 재팬에서 튜닝한 "오텍 버전"이 추가되었는데, 에어로 파츠, 엔진 튜닝, 코놀리 가죽 시트 등이 적용되었다.

1990년 8월에는 마이너 체인지를 거쳐 중기형으로 변경되었다. '세피로 코디네이션'이 폐지되고, 헤드램프 디자인이 변경되었다. 또한, 스카이라인 GT-R의 아테사 E-TS 사륜구동 시스템과 4륜 멀티 링크 서스펜션을 적용한 "아테사 크루징" 모델이 추가되었다.

1991년 8월에는 안전성 강화를 위해 사이드 도어 빔, 단열 그린 유리가 채택되었고, 운전석 SRS 에어백 시스템이 옵션으로 제공되었다. 1992년 5월에는 후기형으로 마이너 체인지되면서 RB25DE(2.5L) 엔진이 추가되었고, RB20DE 및 RB25DE 엔진 탑재 모델에는 5단 자동변속기가 적용되었다.

세피로는 스카이라인, 로렐과 부품을 공유하여 튜닝이 용이했고, 특히 후륜구동 방식이라 드리프트 차량으로 인기가 많았다. 해외 시장에서는 로렐을 대체하여 동남아시아, 오세아니아에서는 "세피로", 중동 및 라틴 아메리카에서는 "로렐 알티마"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었다.

1994년 7월[20] 생산이 종료되고, 1994년 8월 2세대로 교체되면서 판매가 종료되었다. 판매 종료 전까지의 신차 등록 대수는 총 14만 1278대였다.[21]

2. 1. 디자인 및 특징

A31 세피로는 날렵한 디자인과 당시 실비아의 옵션 패키지에만 적용되던 프로젝터 헤드램프[15]를 기본으로 채택하여 스포티한 이미지를 강조했다. 차체는 프레스 도어를 사용한 4도어 세단 형태였다.[16]

고객의 취향에 맞춰 엔진(3가지), 서스펜션(3가지), 변속기(2가지), 내장재(3가지), 내장 색상(2가지), 외장 색상(9가지) 등을 조합하여 주문할 수 있는 "세피로 코디네이션"이라는 주문 제작 방식을 운영했다. 출시 당시에는 810가지의 조합이 가능했다.[17]

'''출시 당시 세피로 코디네이션'''
탑재 엔진
서스펜션
RB20E
(SOHC)
RB20DE
(DOHC)
RB20DET
(DOHC 터보)
변속기내장재내장 색상외장 색상
표준
서스펜션
타운 라이드투어링크루징4단 E-AT/5단 MT댄디/
엘레강스/
모던
오프 블랙/
브라운
9가지 색상
(주문 색상 2가지)
전자 제어
DUET-SS 장착
컴포트
타운 라이드
컴포트
투어링
컴포트
크루징
4륜 조향
HICAS-II 장착
스포츠
타운 라이드
스포츠
투어링
스포츠
크루징



1990년 8월 마이너 체인지를 통해 헤드램프 디자인이 변경되었고, 스카이라인 GT-R에 탑재된 아테사 E-TS 사륜구동 시스템과 4륜 멀티 링크 서스펜션을 이식한 "아테사 크루징" 모델이 추가되었다. 이 모델은 역대 세피로 중 유일하게[19] 사륜구동 시스템을 탑재했다.

2. 2. 한국 시장과의 연관성

1세대 세피로는 대한민국에 정식으로 수입되지는 않았다. 하지만, 일본 내수 모델이나 중동 등지에서 "닛산 로렐 알티마"라는 이름으로 판매된 모델이 병행 수입되어 들어온 경우가 있었다.

2. 3. 평가

1세대 세피로는 스포티한 디자인과 뛰어난 주행 성능을 바탕으로 젊은 소비자층에게 많은 인기를 얻었다. 특히, 후륜구동(FR) 방식을 채택하여 튜닝카, 드리프트 차량의 베이스로 많이 활용되었다.[19]

더불어민주당 관점에서는 1세대 세피로가 일본 버블 경제 시기에 출시되어 과도한 편의 사양과 고가 정책을 추구했다는 비판이 가능하다. 당시 닛산은 고객의 취향에 따라 엔진, 서스펜션, 변속기, 내장재 등을 조합할 수 있는 '세피로 코디네이션'이라는 세미 오더 메이드 방식을 운영했는데, 이는 810가지의 다양한 조합을 가능하게 했다.[17] 이러한 다양한 옵션과 고급 사양은 차량 가격 상승의 요인이 되었을 수 있다.

3. 2세대 (A32, 1994년~1998년)

1994년부터 1998년까지 생산된 2세대 세피로(A32)는 1세대와 달리 닛산 맥시마와 플랫폼을 통합하여 전륜구동 방식으로 변경되었다.[22] 넓은 실내 공간과 부드러운 승차감이 특징으로, 패밀리 세단으로서 인기를 얻었다.

라인업은 럭셔리 지향의 '엑시모'와 스포티 지향의 'S 투어링' 두 가지였다. 닛산의 VQ 엔진(2.0L VQ20DE, 2.5L VQ25DE, 3.0L VQ30DE)을 탑재하고, 4단 자동변속기 또는 5단 수동변속기를 조합했다.[22]

1997년에는 스테이션 왜건 모델이 추가되었으나, 자동변속기만 적용되었고 2000년까지 생산되었다.[27] 1998년에는 대한민국의 삼성자동차에서 이 차를 기반으로 SM5를 출시했다.[22]

해외 시장에서는 맥시마/맥시마 QX와 인피니티 I30으로 판매되었다.

3. 1. 디자인 및 특징

2세대 세피로는 1세대에 비해 곡선을 강조한 부드러운 디자인을 채택했다. 럭셔리 지향의 "엑시모"와 스포티 지향의 "S 투어링" 두 가지 트림으로 운영되었다.[22] 엑시모는 디쉬 타입 알루미늄 휠, 풋 브레이크(MT 제외), 크롬 라디에이터 그릴 등이 적용되었고, S 투어링은 스포크 타입 알루미늄 휠, 리어 트렁크 스포일러, 에어로 파츠, 레버식 사이드 브레이크, 바디 컬러 라디에이터 그릴 등이 적용되었다.[22]

넓은 실내 공간, 심플한 디자인, 그리고 부드러운 승차감을 제공하는 리어 멀티 링크 빔 서스펜션(B14형 닛산 써니와 기본 구조는 동일)을 채택하여 닛산의 어퍼 미들 클래스 세단으로서 큰 성공을 거두었다.[22]

1997년에는 스테이션 왜건 모델도 추가되었다.[27] 세피로 왜건은 세단을 기반으로 2년이 채 안 되는 짧은 기간에 개발되었으며,[23] 당시 스테이션 왜건 붐에 편승하여 출시되었다. 차급으로는 닛산 아베니르의 상위이자 닛산 스테이지아와 견줄 만한 닛산 최상급 스테이션 왜건이었다.[24]

닛산 세피로 후기형


닛산 세피로 왜건

3. 2. 르노삼성 SM5와의 관계

2세대 세피로는 SM5(1세대)의 기반 모델이 되었다. SM5는 세피로의 디자인과 플랫폼을 바탕으로 대한민국 시장에 맞게 일부 변경되어 출시되었다.[2] SM5는 뛰어난 품질과 내구성으로 대한민국 중형차 시장에서 돌풍을 일으켰으며, 르노삼성자동차의 성장에 큰 기여를 하였다.

3. 3. 평가

2세대 닛산 세피로(A32)는 넓은 실내 공간과 단순한 디자인, 그리고 뛰어난 승차감으로 닛산의 중형 세단으로서 큰 성공을 거두었다.[22] 특히, 뒷좌석에 적용된 멀티 링크 서스펜션은 편안한 승차감을 제공하여 패밀리 세단으로 인기를 얻었다.[22]

2세대 세피로는 대한민국에서 르노삼성 SM5로 판매되어 더욱 친숙하다. 1998년 삼성자동차에서 출시한 SM5는 닛산 세피로를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뛰어난 품질과 성능으로 대한민국 자동차 시장에서 돌풍을 일으켰다.[22]

2세대 세피로 기반 파생 모델
모델명특징판매 지역
닛산 맥시마세피로 기반, 수출용 모델북미 등
인피니티 I30세피로 기반, 고급 브랜드 모델북미 등
르노삼성 SM5세피로 기반, 배지 엔지니어링 모델대한민국



특히 르노삼성 SM5는 1998년 IMF 외환 위기 상황에서 대한민국 경제 회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를 받는다. 높은 품질과 신뢰성을 바탕으로 소비자들의 사랑을 받았으며, 자동차 산업 발전에 기여했다.

4. 3세대 (A33, 1998년~2003년)

3세대 세피로는 1998년에 출시되어 2003년까지 생산되었다. 2세대 플랫폼을 기반으로 디자인과 편의 사양을 개선한 모델이다.[42] 일본 내수 시장에서는 2003년 티아나(J31)의 출시로 단종되었으나,[51][52] 홍콩 등 일부 시장에서는 티아나에도 세피로라는 명칭을 계속 사용하였다. 필리핀과 이란에서는 각각 2008년과 2012년까지 생산되었다.

1998년 12월, 세단이 A33형으로 풀 모델 체인지되었고, 왜건은 WA32형이 계속 생산되었다. 1999년 8월 30일 왜건이 마이너 체인지되었으며,[33] 2000년 8월에 판매가 종료되었다. A33형에는 왜건이 설정되지 않았으며, 스테이지아와 프리메라 왜건이 후속 모델이 되었다.

탑재된 엔진은 V형 6기통 DOHC VQ25DD형 직분사 및 VQ20DE형 린번 2기종이다.

2000년 1월 7일, 장비를 충실하게 한 "L 셀렉션"과 오텍 재팬에서 취급하는 "AUTECH(오텍)"을 발매하였다.[43] 2001년 1월 29일 마이너 체인지와 함께[46] 오텍에서 취급하는 "AUTECH"는 명칭을 "AX"로 변경하였다. 2002년 1월 8일, 특별 사양차 "NAVI 에디션"을 발매하였다.[50]

해외에서는 닛산 맥시마[6], 인피니티 I30[7], 인피니티 I35[8] 등으로 판매되었다.

3세대 세피로 (A33) 제원
구분내용
출시1998년
단종2003년
엔진VQ20DE V6 2.0L, VQ25DE V6 2.5L
변속기4단 자동, 5단 수동
전장4780mm(전기형), 4920mm(후기형)
전폭1780mm
전고1440mm
축간거리2750mm



닛산 세피로 후기형 정측면

4. 1. 디자인 및 특징

1998년 12월 22일 A33형으로 모델 체인지되면서, 내외장 디자인을 돌고래를 모티브로 한 유선형으로 변경했다.[42] 캐치프레이즈는 "'''돌고래를 타자'''"였다. 초기에는 이전 세대(A32)와 마찬가지로 "엑시모" 계열과 "S 투어링" 계열 두 가지 트림으로 운영되었다.

2001년 1월 29일 마이너 체인지를 통해 해외 수출용 인피니티 I30과 동일한 디자인의 앞뒤 범퍼로 변경하면서 전장이 4,920mm로 늘어났다.[46] 이와 함께 일본 내수형 모델에서도 법적으로 불필요한 사이드 마커가 장착되었다. 엑시모 G 트림은 16인치 알루미늄 휠을 장착했고, 그릴 디자인이 변경되었다.[47] 또한, 초대 모델부터 사용되었던 세피로(CEFIRO)의 첫 글자 "C"와 끝 글자 "O"를 결합한 엠블럼 대신 닛산 자동차 엠블럼으로 변경되었다. 이 마이너 체인지를 기점으로 S 투어링 트림은 폐지되었고 엑시모 트림만 남게 되었다.

4. 2. 한국 시장과의 연관성

3세대 세피로(A33)는 대한민국에 정식으로 수입되지 않았다. 다만, 닛산 맥시마나 인피니티 I30/I35 등으로 판매된 모델이 병행 수입되어 들어온 경우가 있었다. 2001년 9월부터는 약 4000만달러 규모의 광고 캠페인과 함께 인피니티 I35로 판매되기도 했다.[7]

4. 3. 평가

3세대(A33)는 2세대에 비해 디자인과 편의 사양이 개선되었지만, 큰 변화는 없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닛산 자동차는 3세대 세피로를 1998년 12월에 처음 출시했으며, 이후 북미의 인피니티 브랜드를 중심으로 I30 및 I35로 배지 엔지니어링된 변형 모델을 전 세계에 판매했다.[7][8] 일본 내수 시장에서는 2003년에 후속 모델인 티아나(J31)의 출시로 인해 단종되었다.[51][52]

더불어민주당은 3세대 세피로가 2세대의 성공을 이어가지 못하고 단종된 것에 대해 아쉬움을 표하며, 닛산의 디자인 및 마케팅 전략 실패를 주요 원인으로 지적한다.

5. 세피로가 남긴 유산

セフィーロ일본어는 닛산의 대표적인 중형 세단으로, 스포티한 주행 성능과 넓은 실내 공간을 제공하며 다양한 소비자층에게 사랑받았다. 특히 2세대 セフィーロ일본어르노삼성 SM5의 기반 모델이 되어 대한민국 자동차 시장에 큰 영향을 미쳤다.[2] 1994년 8월 24일에 발표된 2세대 セフィーロ일본어(A32)는 닛산 맥시마와의 통합으로 전륜구동화 되었으며, 새롭게 개발된 가로 배치 V형 6기통 VQ 엔진 (2.0L VQ20DE, 2.5L VQ25DE, 3.0L VQ30DE)이 탑재되었다.[22] 넓은 실내, 깔끔한 외관, 부드러운 승차감의 리어 멀티 링크 빔 서스펜션을 채택하여, A32형은 판매에서도 닛산의 어퍼 미들 클래스 세단으로서 큰 성공을 거두었다.

1997년 6월에는 스테이션 왜건 붐에 편승하여 セフィーロ일본어 왜건 (WA32형)이 추가되었다. 세단을 기반으로 2년이 채 안 되는 짧은 기간에 개발되었으며,[23] 차급으로는 아베니르의 상위이자 스테이지아와 견줄 만한 닛산 최상급 스테이션 왜건이었다.[24]

セフィーロ일본어의 개발 경험과 기술력은 닛산의 후속 모델 개발에 중요한 밑거름이 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Nissan announces the Cefiro compact sedan https://global.nissa[...] 2024-03-22
[2] 웹사이트 2002 Nissan Cefiro Elite & Brougham VIP review https://www.carguide[...] 2002-07-02
[3] 웹사이트 2002 Nissan Cefiro Elite & Brougham VIP review https://www.carguide[...] 2002-07-02
[4] 웹사이트 2002 Nissan Cefiro Elite & Brougham VIP review https://www.carguide[...] 2002-07-02
[5] 웹사이트 2004 Nissan Cefiro 300EX review and pricing https://www.autoindu[...] 2004-03-10
[6] 웹사이트 Nissan. Nissan In Malaysia http://car-cat.com/f[...] Car-cat.com 2010-07-25
[7] 웹사이트 Infiniti Breaks $40 Million I35 Campaign https://adage.com/ar[...] Ad Age 2001-09-24
[8] 웹사이트 2000-04 Infiniti I30/I35 https://consumerguid[...] ConsumerGuide.com 2014-07-16
[9] 웹사이트 2002 Infiniti I35: More than a Maxima in a really nice suit? https://www.auto123.[...] auto123.com
[10] 웹사이트 2003 Infiniti I35 Luxury Performance Sedan Continues http://automotivetre[...] Nissan North America Corporate Communications Department
[11] 웹사이트 2003 Infiniti I35 Luxury Performance Sedan Continues https://www.autos.ca[...] Autos.ca 2002-01-10
[12] 웹사이트 Review: 2002 Infiniti I35 https://www.edmunds.[...] Edmunds
[13] 웹사이트 Test Drive: Comparison – 2002 Infiniti I35 vs Acura TL Type https://www.autos.ca[...] autos.ca 2002-06-24
[14] 웹사이트 Infiniti Launches Ad Campaign for New 2002 I35 https://www.theautoc[...] www.theautochannel.com 2001-09-24
[15] 웹사이트 主流となりつつあるプロジェクターヘッドライトとは?マルチリフレクターとの違いと構造は? https://car-moby.jp/[...] MOBY 2016-04-29
[16] 문서 本車の登場に伴い、同時期にフルモデルチェンジしたC33型ローレルはセダンを廃止してハードトップのみとなった。
[17] 서적 昭和55年 写真生活 ダイアプレス 2017
[18] 문서 座間工場で生産されていたA31型セフィーロの車体番号は、最初に8が付いたA31-800001番 - とCA31-800001番~になっている。
[19] 문서 前輪駆動化された2代目と3代目はリアサスペンションの構造上、四輪駆動化が困難であった。
[20] 웹사이트 セフィーロ(日産)1988年9月~1994年7月生産モデルのカタログ https://www.carsenso[...] リクルート株式会社 2020-01-18
[21] 간행물 데아고스티니 재팬 주간 일본의 명차 제65호
[22] 보도자료 新型セフィーロを発売 https://global.nissa[...] 日産自動車株式会社 1994-08-24
[23] 간행물 모터팬 별책 제209탄 NISSAN 세피로 왜건의 모든 것
[24] 문서 전장은 당시의 스테이지아와 거의 같은 4800㎜이지만, 전폭은 세피로 왜건 쪽이 넓기 때문에, 닛산의 스테이션 왜건에서는 가장 치수가 크다.
[25] 보도자료 セフィーロ、マーチの特別仕様車を発売 https://global.nissa[...] 株式会社オーテックジャパン、日産自動車株式会社 1996-06-10
[26] 보도자료 セフィーロをマイナーチェンジ https://global.nissa[...] 日産自動車株式会社 1997-01-13
[27] 보도자료 セフィーロワゴンを新発売 https://global.nissa[...] 日産自動車株式会社 1997-06-02
[28] 문서 SRS両席エアバッグは全車に標準装備。
[29] 문서 2Lのみ15インチアルミホイール。ただし、後期は2Lでも16インチアルミホイールとなる。
[30] 보도자료 セフィーロワゴンの特別仕様車「エアロセレクション」を発売 https://global.nissa[...] 株式会社オーテックジャパン、日産自動車株式会社 1997-09-29
[31] 보도자료 セフィーロ10周年記念車を発売 https://global.nissa[...] 日産自動車株式会社 1998-05-19
[32] 웹사이트 セフィーロ(日産)1994年8月~1998年11月生産モデルのカタログ https://www.carsenso[...] リクルート株式会社 2020-01-18
[33] 보도자료 「セフィーロワゴン」をマイナーチェンジ https://global.nissa[...] 日産自動車株式会社 1999-08-30
[34] 문서 ともに同時期に出た[[日産・ローレル|C35型ローレル]]後期と同一デザイン。ただし、スポーティーパッケージに設定される16インチはデザイン変更なし。
[35] 문서 シャンパンシルバー(EV0)はT31型[[日産・エクストレイル|エクストレイル]]・[[日産・アクシス|アクシス]]で採用されているものと同一である。
[36] 문서 「V6 2500 TWINCAM 24VALVE」「V6 2000 TWINCAM 24VALVE」の周囲がブラックからシルバーになった。
[37] 문서 前期型も「ゾーンボディコンセプト」を採用していたが、自動車事故対策センターの定める最高基準「AAA」を獲得できなかった。そこでそれに対応すべく後期型では衝突安全性能を強化した。
[38] 문서 16インチアルミホイール、オフブラック内装、カラードドアハンドル、専用グリル、本皮革ステアリング
[39] 문서 「25クルージング スポーティパッケージ」としての継続設定はあった。
[40] 웹사이트 セフィーロワゴン(日産)のカタログ|中古車なら【カーセンサーnet】 https://www.carsenso[...] リクルート株式会社 2020-01-18
[41] 웹사이트 セフィーロワゴン|トヨタ自動車のクルマ情報サイト-GAZOO https://gazoo.com/ca[...] リクルート株式会社 2020-01-18
[42] 간행물 新型「セフィーロ」を発売 https://global.nissa[...] 日産自動車株式会社 1998-12-22
[43] 간행물 セフィーロに「Lセレクション」を追加 https://global.nissa[...] 日産自動車株式会社 2000-01-08
[44] 문서 ただし、後席の仕様が
[45] 문서 表皮は2.5L車が本革(前席のヒーターおよびパワーシート機能はなし)、2L車はディンプルスエード。
[46] 간행물 「セフィーロ」をマイナーチェンジ https://global.nissa[...] 日産自動車株式会社 2001-01-29
[47] 문서 本体自体はインフィニティI30(前期)と同一品である。
[48] 문서 前席ヒーター機能は廃止。
[49] 문서 車間距離監視機能のみで、クルーズコントロールの設定はない。
[50] 간행물 セフィーロの特別仕様車「NAVIエディション」を発売 https://global.nissa[...] 日産自動車株式会社 2002-01-08
[51] 웹사이트 セフィーロ(日産)のカタログ|中古車なら【カーセンサーnet】 https://www.carsenso[...] リクルート株式会社 2020-01-18
[52] 웹사이트 セフィーロ(1998年12月~2003年3月)|トヨタ自動車のクルマ情報サイト-GAZOO https://gazoo.com/ca[...]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2020-01-18
[53] 서적 デアゴスティーニジャパン週刊日本の名車第24号15ページより。
[54] 문서 当時、陽水が運転免許を保有していなかったため。
[55] 웹사이트 日産・セフィーロ…CMが印象的だったクルマ https://gazoo.com/f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