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다리오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리오금은 무릎 뒤쪽의 오목한 부위로, 해부학적으로 다양한 구조물들로 구성되어 있다. 다리오금의 지붕은 피부, 얕은 근막, 오금 근막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얕은 근막에는 작은두렁정맥, 뒤넙다리피부신경 등이 포함된다. 바닥은 넙다리뼈의 오금쪽 표면, 무릎 관절의 주머니, 오금근을 덮고 있는 근막으로 형성된다. 다리오금 내에는 정강신경, 온종아리신경, 오금정맥, 오금동맥, 작은두렁정맥, 오금림프절과 혈관 등이 얕은 곳에서 깊은 곳 순서로 위치하며, 온종아리신경은 다리오금의 위각에서 시작된다. 다리오금의 경계는 위쪽은 반막근, 반힘줄근, 넙다리두갈래근, 아래쪽은 장딴지근의 안쪽 및 가쪽 갈래와 장딴지빗근으로 이루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무릎 - 무릎보호대
    무릎 보호대는 작업, 스포츠, 일상 등 다양한 환경에서 무릎 부상 예방 및 충격 완화를 위해 사용되는 장비로,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종류와 재질로 제작된다.
  • 무릎 - 무릎뼈
    무릎뼈는 넙다리네갈래근 힘줄에 붙어 무릎을 펴는 기능을 돕는 대략 삼각형 모양의 종자뼈로, 골절이나 탈구 등 부상을 입기 쉬우며 태반 포유류와 조류에서 주로 발견되지만 다른 동물에게서도 확인되고 일부에서는 퇴화되기도 한다.
  • 하지해부학 - 넓적다리
    넓적다리는 대퇴골을 중심으로 근막에 의해 세 개의 구획으로 나뉘며, 각 구획의 근육들은 고관절과 무릎관절의 움직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대퇴동맥과 폐쇄동맥을 통해 혈액을 공급받으며, 다양한 질환 및 사회문화적 인식과 관련되어 있다.
  • 하지해부학 -
    발은 척추동물의 다리 끝부분으로, 26개의 뼈와 33개의 관절 등으로 이루어져 보행을 가능하게 하며, 사람의 발은 직립보행에 적합한 구조와 아치를 가지고 있고, 측정 단위나 관용구 등 다양한 의미로도 사용된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다리오금
개요
라틴어fossa poplitea
영어popliteal fossa
설명오금의 오목한 곳
구조
위치무릎 관절 뒤쪽
구성 요소
동맥동맥
정맥정맥
신경신경
림프림프
인체의 뒤쪽 모습. 다리오금은 파란색 동그라미로 표시되어 있다.
인체의 뒤쪽 모습. 다리오금은 파란색 동그라미로 표시되어 있다.
오른쪽 다리의 오금.
오른쪽 다리의 오금.

2. 구조

다리오금은 넙다리뼈 뒤쪽, 무릎관절 아래에 위치한 오목한 곳이다. 다리오금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 경계 ===

안쪽가쪽
위쪽반막근, 반힘줄근[10]넙다리두갈래근[10]
아래쪽장딴지근 안쪽갈래[10]장딴지근 가쪽갈래, 장딴지빗근[10]



=== 지붕 ===


  • 피부[9][1][5]
  • 얕은근막: 작은두렁정맥, 뒤넙다리피부신경의 종말가지, 안쪽넙다리피부신경의 뒤갈래, 가쪽장딴지피부신경, 안쪽장딴지피부신경이 포함된다.[9][1][5]
  • 오금 근막 (다리오금 근막, 슬와 근막)[9][10][1][2][5][6]


=== 바닥 ===

다리오금 깊은쪽의 바닥은 다음 구조물들에 의해 형성된다.

=== 내용물 ===

다리오금 내에는 다음과 같은 구조물들이 얕은 층에서 깊은 층 순서로 존재한다.[9]

순서구조물설명
1정강신경다리오금 내에서 가장 얕은 층에 위치한다.
2온종아리신경 (총비골 신경)다리오금의 위각에서 시작된다.
3오금정맥정강신경과 온종아리신경 사이에 위치하며, 오금동맥보다 얕은쪽에 있다. 작은두렁정맥이 끝나는 지점이기도 하다.
4오금동맥넙다리동맥에서 이어지는 깊은 구조물이다.
5작은두렁정맥 끝부분
6오금 림프절과 혈관


2. 1. 경계

안쪽가쪽
위쪽반막근, 반힘줄근[10]넙다리두갈래근[10]
아래쪽장딴지근 안쪽갈래[10]장딴지근 가쪽갈래, 장딴지빗근[10]


2. 2. 지붕

피부[9][1][5]

얕은 근막에는 작은두렁정맥, 뒤넙다리피부신경의 종말가지, 안쪽넙다리피부신경의 뒤갈래, 가쪽장딴지피부신경, 안쪽장딴지피부신경이 포함된다.[9][1][5]

오금 근막[9][10] (다리오금 근막[1][2], 슬와 근막[5][6])

2. 3. 바닥

다리오금 깊은쪽의 바닥은 다음 구조물들에 의해 형성된다.

2. 4. 내용물

다리오금 내에는 다음과 같은 구조물들이 있다. 얕은 층에서 깊은 층 순서로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9]

순서구조물설명
1정강신경다리오금 내에서 가장 얕은 층에 위치한 구조물 중 하나이다.
2온종아리신경다리오금의 위각에서 시작되며, 총비골 신경(총종아리 신경)이라고도 불린다.
3오금정맥정강신경과 온종아리신경 사이에 위치하며, 오금동맥보다 얕은쪽에 위치한다. 작은두렁정맥이 끝나는 지점이기도 하다.
4오금동맥넙다리동맥에서 이어지는 깊은 구조물이다.
5작은두렁정맥 끝부분
6오금 림프절과 혈관


2. 4. 1. 정강신경

정강신경은 다리오금 내에서 가장 얕은 층에 위치한 구조물 중 하나이다.[9] 다리오금 내 구조물은 얕은 층에서 깊은 층 순서로 다음과 같이 나열된다.[1][5]

2. 4. 2. 온종아리신경 (총비골신경)

온종아리신경은 다리오금의 위각에서 시작되며,[12] 총비골 신경(총종아리 신경이라고도 함)[3]이라고도 불린다.

2. 4. 3. 오금정맥

오금정맥은 정강신경과 온종아리신경 사이에 위치하며, 넙다리동맥이 연속된 오금동맥보다 얕은쪽에 위치한다.[9] 작은두렁정맥이 끝나는 지점이기도 하다.[11] 오금림프절과 혈관들이 함께 주행한다.[11]

2. 4. 4. 오금동맥

넙다리동맥에서 이어지는 오금동맥은 다리오금 안에 위치하는 깊은 구조물이다.[9]

2. 4. 5. 작은두렁정맥 (소복재정맥)

작은두렁정맥은 다리오금의 얕은 쪽에 위치한 구조물 중 하나이다. 오금정맥과 넙다리동맥이 연속된 오금동맥보다 얕은 쪽에 위치하며, 정강신경과 온종아리신경보다는 깊은 쪽에 위치한다.[11]

2. 4. 6. 오금림프절과 혈관

오금정맥, 넙다리동맥이 연속된 오금동맥, 작은두렁정맥의 끝나는 지점, 오금림프절과 혈관이 다리오금 내에 존재한다.[11]

3. 추가 이미지

볼기와 넙다리 뒤쪽의 근육


오금동맥, 뒤정강동맥, 종아리동맥


오른쪽 하지의 신경을 뒤에서 본 그림


가쪽에서 본 넓적다리의 근육

참조

[1] 웹사이트 Chapter 20: Popliteal nerve block http://www.arapmi.or[...] Defense & Veterans Pain Management Initiative (DVPMI) 2011-06-08
[2] 논문 Surgical anatomy & pathology of the popliteal fossa http://www.sciencedi[...] 2013-04-01
[3] 서적 Clinically Oriented Anatomy by Moore, 6th edition
[4] 웹사이트 The Popliteal Fossa - Borders - Contents - TeachMeAnatomy http://teachmeanatom[...]
[5] 웹사이트 Chapter 20: Popliteal nerve block http://www.arapmi.or[...] Defense & Veterans Pain Management Initiative (DVPMI) 2011-06-08
[6] 논문 Surgical anatomy & pathology of the popliteal fossa http://www.sciencedi[...] 2013-04-01
[7] 서적 Clinically Oriented Anatomy by Moore, 6th edition
[8] 웹사이트 The Popliteal Fossa - Borders - Contents - TeachMeAnatomy http://teachmeanatom[...] 2023-05-18
[9] 웹인용 Chapter 20: Popliteal nerve block http://www.arapmi.or[...] Defense & Veterans Pain Management Initiative (DVPMI) 2011-06-08
[10] 간행물 Surgical anatomy & pathology of the popliteal fossa http://www.sciencedi[...] 2013-04-01
[11] 서적 Clinically Oriented Anatomy by Moore, 6th edition
[12] 웹인용 The Popliteal Fossa - Borders - Contents - TeachMeAnatomy http://teachmeanat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