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강신경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강신경은 궁둥신경의 종말가지 중 하나로, 척수신경 L4~S3의 성분을 포함하며 다리 뒤쪽과 발에 분포한다. 오금, 종아리 뒤쪽, 발에서 각각 근육가지, 피부가지, 관절가지 등을 내어 다리 뒤쪽과 발의 근육과 피부 감각을 지배한다. 정강신경은 넙다리두갈래근, 장딴지근, 가자미근 등 여러 근육을 지배하며, 손상 시 발바닥 굽힘 및 발가락 굽힘의 소실, 발의 안쪽 굽힘 약화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손상의 원인으로는 외상, 압박, 신경염 등이 있으며, 치료에는 원인 파악과 함께 혈자리 자극 등이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반신의 신경 - 폐쇄신경
폐쇄신경은 허리신경얼기에서 시작하여 골반을 거쳐 넓적다리 안쪽으로 연결되는 신경으로, 다리 안쪽 피부 감각과 다리 모음근의 운동 기능을 담당하며, 무릎이나 요도 수술 시 신경 차단술에 활용되고, 일부 사람들에게는 부폐쇄신경이 존재할 수 있다. - 하반신의 신경 - 얕은종아리신경
얕은종아리신경은 다리의 피부 감각과 근육 운동을 담당하는 말초신경으로, 안쪽발등피부신경과 중간발등피부신경으로 나뉘어 발등 피부 감각을 담당하며, 긴종아리근과 짧은종아리근을 지배하고 손상 시 발등 젖힘 능력 상실 및 감각 저하를 유발하여 낙상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정강신경 | |
---|---|
개요 | |
![]() | |
![]() | |
라틴어 이름 | nervus tibialis |
영어 이름 | tibial nerve |
구조 | |
기원 | 천골 신경얼기를 통해 좌골 신경 |
가지 | 내측 족저 신경, 외측 족저 신경 |
분포 | '정강신경:' 긴 발가락 굽힘근, 긴 엄지 굽힘근 '안쪽 발가락신경:' 엄지 벌림근, 짧은 발가락 굽힘근, 짧은 엄지 굽힘근, 첫째 벌레근 '가쪽 발바닥신경:' 발바닥 네모근, 짧은 새끼 굽힘근, 엄지 모음근, 뼈사이근, 둘째부터 넷째까지의 벌레근, 새끼 벌림근 |
근육 지배 | |
앞쪽 | 반막근, 반힘줄근, 넙다리 두갈래근 긴갈래 |
뒤쪽 | 긴 발가락 굽힘근, 긴 엄지 굽힘근 |
안쪽 | 엄지 벌림근, 짧은 발가락 굽힘근, 짧은 엄지 굽힘근, 첫째 벌레근 |
가쪽 | 발바닥 네모근, 짧은 새끼 굽힘근, 엄지 모음근, 뼈사이근, 셋째 벌레근 및 새끼 벌림근 |
식별 | |
메시명 | Tibial Nerve |
메시 번호 | A08.800.800.720.450.760.820 |
도ර්랜드 사전 접두사 | n_05 |
도ර්랜드 사전 접미사 | 12566929 |
2. 구조
정강신경은 궁둥신경의 두 종말가지 중 더 큰 쪽으로, 척수신경 뿌리 L4, L5, S1, S2, S3 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오금동맥, 오금정맥보다 얕은쪽(또는 뒤쪽)에 놓여 있으며 오금의 위각에서 아래각까지 뻗으며 오금혈관을 가쪽에서 안쪽으로 가로지른다.
오금 아래각에서 정강신경은 가자미근 힘줄활보다 깊은쪽으로 주행하여 종아리뒤칸으로 들어가고, 종아리에서는 아래안쪽으로 주행하여 발목 뒤안쪽 측면(발꿈치뼈 안쪽결절과 안쪽복사 사이 중간 지점)에 이른다. 정강신경은 엄지벌림근 이는곳에서 굽힘근지지띠보다 깊은쪽에서 안쪽발바닥신경과 가쪽발바닥신경으로 나누어지며 끝난다.[2]
2. 1. 오금 (슬와)
정강신경은 궁둥신경의 두 종말가지 중 더 큰 쪽으로, 척수신경 뿌리 L4, L5, S1, S2, S3 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오금동맥, 오금정맥보다 얕은쪽(또는 뒤쪽)에 놓여 있으며 오금의 위각에서 아래각까지 뻗으며 오금혈관을 가쪽에서 안쪽으로 가로지른다. 정강신경이 오금에서 내는 가지들은 다음과 같다.[2][1]- 근육가지 - 오금의 먼쪽에서 갈라져 나오며 장딴지근의 안쪽갈래와 가쪽갈래, 가자미근, 장딴지빗근, 오금근에 분포한다. 오금근으로 가는 근육가지는 오금근을 가로질러 아래가쪽으로 주행하고, 오금근의 아래쪽 경계 주변을 감고 돌아 오금근의 깊은쪽(또는 앞쪽) 면에 분포한다. 오금근으로 가는 가지는 뒤정강근, 몸쪽정강종아리관절, 정강뼈, 뼈사이막, 먼쪽정강종아리관절에도 분포한다.
- 피부가지 - 오금의 중간에서 안쪽장딴지신경이라는 피부가지를 낸다. 안쪽장딴지신경은 종아리 뒤쪽의 아래쪽 절반을 덮고 있는 피부와 발의 가쪽 경계(새끼발가락 끝까지)를 지배한다.
- 관절가지 - 오금의 위쪽 부분에서 세 개의 관절가지들이 나온다. 위안쪽무릎신경은 넙다리뼈의 안쪽관절융기에 위치한다. 중간무릎신경은 무릎관절의 뒤쪽 관절주머니를 뚫고 넙다리뼈의 융기사이오목에 위치한 구조들에 분포한다. 아래무릎신경은 오금근의 위쪽 경계를 따라 주행하여 정강뼈의 안쪽관절융기에 이른다.
2. 2. 종아리 뒤쪽 (다리 뒤쪽)
오금의 아래각에서 정강신경은 가자미근의 힘줄활보다 깊은쪽에서 주행하여 종아리뒤칸으로 들어간다. 종아리에서는 아래안쪽으로 주행하여 발목의 뒤안쪽 측면에 이르는데, 이 지점은 발꿈치뼈의 안쪽결절과 안쪽복사 사이의 중간 지점이다. 정강신경이 끝나는 곳은 엄지벌림근의 이는곳으로, 굽힘근지지띠보다 깊은쪽이다. 이곳에서 정강신경은 발에 분포하는 안쪽발바닥신경과 가쪽발바닥신경으로 나누어지며 끝난다.[2] 종아리뒤칸에서 갈라져 나오는 정강신경의 가지들은 다음과 같다.[2]종류 | 분포 |
---|---|
근육가지 | 가자미근의 깊은 부분, 뒤정강근, 긴발가락굽힘근, 긴엄지굽힘근[2] |
피부가지 | 안쪽발꿈치신경은 굽힘근지지띠를 관통하여 발뒤꿈치의 뒤쪽과 아래쪽 면[2] |
관절가지 | 발목관절[2] |
2. 3. 발
발에서 정강신경은 안쪽발바닥신경과 가쪽발바닥신경으로 나누어지며 끝난다.[2]- 안쪽발바닥신경 - 두 종말가지 중 더 큰 쪽이다. 엄지벌림근과 짧은발가락굽힘근 사이로 주행하여 더 작은 가지들로 다시 나누어진다. 분포하는 구역은 손에서 정중신경이 분포하는 양상과 비슷하다. 근육가지들은 엄지벌림근, 짧은발가락굽힘근, 짧은엄지굽힘근, 첫째 벌레근에 분포한다. 또한 발바닥 안쪽의 피부에 분포하며, 네 개의 발가락가지를 내어 안쪽 3.5개의 발가락의 피부에 분포한다. 각각의 발가락가지는 발등가지를 내어 발등의 발톱에 분포한다. 또한 관절가지를 내어 발목뼈와 발허리뼈에 해당하는 뼈들에도 분포한다.[2]
- 가쪽발바닥신경 - 두 종말가지 중 더 작은 쪽이다. 앞가쪽으로 주행하여 다섯째 발허리뼈의 바닥에 이른 후 얕은가지와 깊은가지로 나누어진다. 분포 양상은 손의 자신경과 비슷하다. 가쪽발바닥신경의 주 줄기(main trunk)는 새끼벌림근에 분포하며, 발바닥의 피부도 지배한다.[2] 얕은가지는 다시 안쪽가지와 가쪽가지로 나누어진다. 가쪽가지는 짧은새끼굽힘근, 셋째와 넷째 뼈사이근, 발가락 가쪽 측면을 덮고 있는 피부에 분포한다. 안쪽가지는 안쪽발바닥신경과 교통하여 넷째 발가락사이틈새를 덮는 피부에 분포한다.[2] 깊은가지는 둘째, 셋째, 넷째 벌레근과 첫째, 둘째 바닥쪽뼈사이근, 엄지모음근에 분포한다.[2]
3. 지배 근육
부위 | 근육 |
---|---|
오금 | 가자미근, 비복근, 장딴지근, 슬와근 |
다리 뒤쪽 | 뒤정강근, 긴 발가락 굽힘근, 긴 엄지 굽힘근, 가자미근 (심부) |
발 | 내측 발바닥 신경: 엄지벌림근, 짧은 발가락 굽힘근, 짧은 엄지 굽힘근, 첫 번째 벌레근 |
넙다리 | 넙다리두갈래근(긴갈래) |
4. 임상적 중요성
정강신경은 드물게 손상되며, 직접적인 외상이나 좁은 공간에 갇히거나 오랜 기간 압박될 때 손상될 수 있다. 손상 시 발바닥굽힘과 발가락 굽힘이 소실되고, 안쪽번짐이 약화될 수 있다. (깊은종아리신경이 분포하는 앞정강근이 여전히 안쪽번짐을 수행한다.)[1]
4. 1. 치료
정강신경이 손상되는 경우는 드물며 직접적인 외상, 좁은 공간 내에서 포착되거나 오랜 기간 압박된 경우 발생할 수 있다. 손상이 있을 시 발바닥굽힘과 발가락 굽힘의 소실, 안쪽번짐 약화(깊은종아리신경이 분포하는 앞정강근이 여전히 안쪽번짐을 수행) 등이 일어날 수 있다.[1]정강신경 손상은 드물며, 직접적인 외상, 좁은 공간에서의 포착 또는 장기간의 압박의 결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손상은 발바닥 굽힘의 소실, 발가락 굽힘의 소실, 약화된 발 안쪽 굽힘(앞정강근은 여전히 발을 안쪽으로 굽힐 수 있음)을 유발한다.[1]
정강신경 손상의 원인, 증상, 치료 혈은 다음과 같다.[1]
원인 | 증상 | 치료 혈 |
---|---|---|
참조
[1]
서적
BD Chaurasia's Human Anatomy (Regional and Applied Dissection and Clinical) Volume 2 - Lower limb, abdomen, and pelvis
CBS Publishers and Distributors Pvt Ltd
2010
[2]
서적
BD Chaurasia's Human Anatomy (Regional and Applied Dissection and Clinical) Volume 2 - Lower limb, abdomen, and pelvis
https://archive.org/[...]
CBS Publishers and Distributors Pvt Ltd
2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