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금동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금동맥은 넙다리동맥의 연속으로, 다리오금에서 가자미근의 섬유활 아래를 통과한다. 넙다리뼈, 무릎관절, 오금근 등이 오금동맥 앞에 위치하며, 뒤쪽에는 오금정맥, 정강신경 등이 있다. 오금동맥은 앞정강동맥, 뒤정강동맥, 장딴지동맥 등 여러 가지를 분지하며, 햄스트링, 장딴지근, 가자미근 등에 혈액을 공급한다. 오금동맥은 맥박 촉진이 어렵고, 오금동맥류, 넙다리뼈 골절, 무릎 탈구 등으로 손상될 수 있으며, 오금동맥 포착 증후군을 유발할 수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지의 동맥 - 앞정강동맥
    앞정강동맥은 오금동맥의 가지로, 정강뼈와 종아리뼈 사이를 지나 발목관절 앞쪽에서 발등동맥으로 이어지며, 여러 가지를 내고 경골 절골술 시 손상될 수 있다.
  • 하지의 동맥 - 정강종아리동맥
오금동맥
개요
이름오금동맥
라틴어 이름arteria poplitea
세부 정보
기원넙다리동맥
분지앞정강동맥
뒤정강동맥
장딴지동맥
위무릎동맥(안쪽, 가쪽)
중간무릎동맥
아래무릎동맥(안쪽, 가쪽)
정맥오금정맥
이미지
오금동맥과 가지들
오금동맥과 가지들
다리오금의 림프절
오금의 림프절
볼기와 넓적다리 뒤쪽의 동맥. 오금동맥은 중앙 하단에 표시되어 있다.
볼기와 넓적다리 뒤쪽의 동맥. 오금동맥은 중앙 하단에 표시되어 있다.
설명
기능아래 다리에 혈액을 공급하는 대퇴동맥의 연속

2. 구조

오금 동맥과 기타 다리 동맥


오금동맥은 넙다리동맥에서 이어지는 동맥이다.[6] 가자미근의 섬유활 아래를 통해 다리오금을 빠져나간다.[6]

2. 1. 위치 관계

구분구조
앞쪽넙다리뼈의 오금쪽 면, 무릎관절, 오금근
뒤쪽오금정맥, 정강신경, 근막, 피부
가쪽위쪽: 넙다리두갈래근, 넙다리뼈의 가쪽관절융기
안쪽위쪽: 반막근, 넙다리뼈의 안쪽관절융기


2. 2. 가지

오금동맥에서 갈라져 나오는 가지들은 다음과 같다.[6]

  • 앞정강동맥
  • 뒤정강동맥
  • 장딴지동맥
  • 위안쪽무릎동맥
  • 위가쪽무릎동맥
  • 중간무릎동맥
  • 아래가쪽무릎동맥
  • 아래안쪽무릎동맥


오금동맥의 근육가지들은 햄스트링, 장딴지근, 가자미근, 장딴지빗근에 분포한다. 위쪽 근육가지들은 깊은넙다리동맥, 볼기동맥의 종말부와 임상적으로 중요한 문합을 이룬다.[6] 피부가지들은 오금동맥에서 직접, 또는 근육가지들을 통해 간접적으로 갈라져 나온다.[6] 무릎가지들은 위쪽에 두 개, 중간에 한 개, 아래쪽에 두 개로 총 다섯 개가 갈라져 나온다.[6] 중간무릎가지는 십자인대와 무릎관절의 윤활막에 혈액을 공급한다.[6]

2. 3. 정강종아리동맥

종아리동맥은 대개 뒤정강동맥에서 갈라져 나온다.[7] 종아리동맥이 갈라져 나가는 지점보다 몸쪽의 뒤정강동맥은 정강종아리동맥(tibioperoneal trunk, tibial-fibular trunk)이라고도 불린다. 따라서 오금동맥이 정강종아리동맥과 앞정강동맥으로 갈라진다고 말할 수도 있다.

3. 임상적 중요성

오금동맥은 몸 깊숙이 위치하기 때문에 오금동맥의 맥박을 느끼는 것은 어렵다. 오금동맥에서 맥박을 촉진할 때에는 사람을 엎드리게 한 후 무릎을 굽혀 오금의 근막과 햄스트링을 이완시키고 흔히 수행한다. 맥박이 가장 잘 느껴지는 지점은 오금동맥이 정강뼈 근처에 위치하는 오금의 아래쪽 부분이다. 오금동맥의 맥박이 약해지거나 소실된 경우 넙다리동맥의 폐쇄를 나타내는 소견일 수 있다.[8]

오금동맥류(오금동맥 전체, 또는 일부의 비정상적인 팽창)는 대개 오금의 부종과 통증을 일으킨다. 오금동맥류를 다른 종괴와 감별하는 방법에는 촉진 가능한 맥박(떨림), 또는 청진기에서 들리는 비정상적인 동맥의 소리(잡음)인 경우가 있다. 오금동맥이 정강신경보다 깊은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동맥류가 신경을 신장시키거나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맥관벽혈관)을 압박할 수 있다. 이렇게 신경이 압박된 경우 보통 장딴지 안쪽을 덮고 있는 피부, 발목, 발 등의 부위에 연관통이 생긴다. 한편 오금동맥은 넙다리뼈의 오금 쪽 면과 관절주머니에 가까이 위치하기 때문에 넙다리뼈 먼쪽의 골절이나 무릎의 탈구로 인해 동맥이 파열되고 출혈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오금동맥과 정맥이 오금 안에 갇힌 채로 가까이 있기 때문에 동맥과 정맥이 손상됐을 때 동정맥루(동맥과 정맥 사이에 생기는 연결)가 생길 수 있다. 이를 알아채지 못해 적절한 치료를 하지 못할 경우 다리와 발을 잃을 수 있다. 넙다리동맥을 결찰해야 하는 경우 혈액은 무릎동맥들의 곁순환을 통해 이 폐쇄된 지점을 우회하여 오금동맥까지 운반될 수 있다.[4]

장딴지의 근육들이 비정상적인 위치에 있거나 비대해졌을 경우 오금동맥이 눌려 제대로 다리와 발에 혈액을 공급하지 못하는 오금동맥 포착 증후군의 발생 위험이 있다. 이로 인해 운동 후에 장딴지의 통증, 감각 이상 등이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9]

4. 추가 이미지

오금동맥, 뒤정강동맥, 종아리동맥


넓적다리의 근육들. 가쪽 보기

참조

[1] 서적 Clinically Oriented Anatomy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 서적 CHAPTER 30 - Gastrocnemius flap https://www.scienced[...] W.B. Saunders 2021-02-20
[3] 논문 Popliteal artery branching patterns -- an angiographic study
[4] 서적 Clinically Oriented Anatomy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5] 서적 Clinically Oriented Anatomy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6] 서적 CHAPTER 30 - Gastrocnemius flap https://www.scienced[...] W.B. Saunders 2021-02-20
[7] 논문 Popliteal artery branching patterns -- an angiographic study
[8] 서적 Clinically Oriented Anatomy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9] 웹인용 Popliteal artery entrapment syndrome - Symptoms and causes https://www.mayoclin[...] 2022-07-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