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마스쿠스 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마스쿠스 강은 시리아의 다마스쿠스에서 유래된 칼날로, 특유의 표면 무늬와 뛰어난 강도로 유명하다. 이 칼날은 3세기부터 17세기까지 중동 지역에서 주로 생산되었으며, 인도에서 수입된 우츠 강을 원료로 사용했다. 우츠 강은 도가니 제철법으로 제작되었으며, 높은 탄소 함량과 불순물로 인해 독특한 물결 무늬와 뛰어난 강도를 가졌다. 다마스쿠스 강은 십자군 전쟁을 통해 유럽에 알려졌으나, 제조 기술은 15세기 이후 잊혀졌다. 현대에는 실험 고고학을 통해 재현하려는 노력이 진행되었으며, 패턴 웰디드 기술을 통해 유사한 무늬를 가진 강철을 제작하기도 한다. 다마스쿠스 강은 전설과 오해를 낳았으며, 대중문화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다마스쿠스의 역사 - 우마이야 모스크
우마이야 모스크는 다마스쿠스에 위치한 이슬람 사원으로 이슬람 세계에서 네 번째로 신성한 장소이며, 알왈리드 1세에 의해 건설되었고, 이전에는 여러 종교 시설이 있던 자리였으며, 초기 이슬람 건축의 중요한 사례로 평가받고 종교적으로도 큰 의미를 지닌다. - 다마스쿠스의 역사 - 아브델카데르 태수
아브델카데르 태수는 프랑스의 알제리 침략에 맞서 16년간 지하드를 이끈 알제리의 종교적, 군사적 지도자로서, 게릴라 전술과 국가 건설 시도에도 불구하고 프랑스에 항복했으나, 이후 다마스쿠스에서 기독교인을 보호하는 등 인도주의적 면모를 보이며 알제리 독립의 상징으로 추앙받는다. - 제강 - 철광석
철광석은 철을 함유한 광물의 총칭으로, 적철광, 자철광, 갈철광 등이 주요 광물이며, 제철 산업에 사용되고, 생성 과정과 성분에 따라 적철광, 자철광, 띠철광층 등으로 구분되며, 호주, 브라질, 중국이 주요 생산국이고, 저품위 철광석 활용 및 광미 재활용이 과제이다. - 제강 - 용광로
용광로는 철광석을 고온의 열풍과 일산화탄소로 환원시켜 용융된 철을 생산하는 굴뚝 모양의 설비로,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이었으나 환경 문제로 대체 기술 개발이 진행 중이며, 기원전 1세기경 중국에서 시작되어 전 세계로 확산되었다. - 날붙이 - 낫
낫은 신석기 시대부터 사용된 농업 도구로, 곡물 수확에 사용되었으며 시대와 지역에 따라 재료와 형태가 다양화되었고, 농업 외에 종교 의식, 무기, 상징 등으로도 사용되며 다양한 문화적 의미를 지닌다. - 날붙이 - 팔스
팔스는 안쪽 날이 날카로운 곡선 칼날을 가진 고대 무기로, 다키아인과 트라키아인이 사용했으며 로마 군단병에게 위협이 되어 로마군의 장비 개선에 영향을 미쳤다.
다마스쿠스 강 | |
---|---|
개요 | |
![]() | |
종류 | 합금강 |
용도 | 칼 검 총열 |
역사 및 제조 | |
기원 | 인도 |
제조 중심지 | 다마스쿠스 |
주요 생산 시기 | 9세기 ~ 18세기 |
제조 방법 | 우츠 강을 사용한 도가니 제강법 |
무늬 형성 원리 | 탄소 나노튜브 선철 (시멘타이트) |
재료 과학적 특징 | |
경도 | 높은 경도와 연성 |
조직 | 시멘타이트와 펄라이트의 층상 구조 |
기타 특징 | 독특한 물결무늬 |
관련 용어 | |
관련 용어 | 우츠 강 도가니 강 불ুম 강철 다마스쿠스 탄소 나노튜브 시멘타이트 펄라이트 |
참고 자료 | |
참고 문헌 | Figiel, Leo S. (1991). On Damascus Steel. Atlantis Arts Press. pp. 10–11. Atlantis Arts Press ISBN 978-0-9628711-0-8 Williams, Alan R. (2012). The Sword and the Crucible: A History of the Metallurgy of European Swords Up to the 16th Century. Brill. p. 30. ISBN 9789004227835. Bronson, Bennet (1986). The making and selling of wootz, a crucible steel of India. Archeomaterials. 1. S2CID 111606783. |
2. 명칭
'다마스쿠스 강'이라는 명칭은 여러 가지 설이 있다. 원조 다마스쿠스 검은 3세기~17세기까지 시리아의 다마스쿠스 등 중동 지역에서 만들어진 검을 말한다. 유럽인들에게는 십자군 전쟁을 통해 처음 알려졌기 때문에 생산지인 다마스쿠스의 이름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2. 1. 어원
"다마스쿠스 강"이라는 이름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설이 있다. 이슬람 학자 알킨디와 알비루니의 기록에 따르면, 다마스쿠스에서 생산되거나 단조된 검, 다마스쿠스에서 활동한 칼 장인의 이름, 또는 다마스크 직물과 유사한 표면 무늬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5][6][7][8] 가장 일반적인 설은 시리아의 수도 다마스쿠스에서 많이 판매되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는 것이다.[34][45]3. 역사
다마스쿠스 검은 3세기~17세기까지 중동, 특히 시리아의 다마스쿠스에서 만들어진 검이다. 십자군의 아랍 침공을 통해 유럽에 처음 알려졌으며, 생산지인 다마스쿠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다마스쿠스 검의 우수한 특성은 원재료인 철괴의 특별한 조성, 제강법, 단조 방식에 기인한다. 강철은 탄소 함량에 따라 강도가 달라지는데, 탄소가 많으면 강도와 경도는 높아지지만 탄력성이 낮아지고, 탄소가 적으면 강도가 약해진다. 다마스쿠스 강은 탄소량이 다른 부분이 층상 구조를 이루고, 철-탄소 카바이트(Fe3C) 입자가 철 결정 사이에 편재하여 높은 강도와 경도, 탄력성을 동시에 가진다.
이러한 특성으로 다마스쿠스 검은 현대 금속학과 합금법이 발명되기 전까지 가장 우수한 강철 검으로 여겨졌다. 다마스쿠스 검은 인도에서 생산된 우츠강(wootz steel)을 사용했는데, 우츠 강은 도가니에 철광석과 유리 등을 넣고 몬순 계절풍을 이용해 철을 제련하는 도가니 제철법으로 만들어졌다.
중동에는 인도에서 철괴 형태로 수입되었는데, 이 철괴는 높은 탄소 함량(1.5%)과 텅스텐, 바나듐, 몰리브덴 등의 불순물을 포함하여 철 입자가 굵은 덩어리를 이루고 다량(20%)의 철 카바이드 미세입자를 포함하고 있었다. 이 카바이드와 큰 과립상이 다마스쿠스 검 특유의 무늬를 만들었다.
철괴를 적절한 온도로 가열하고 망치로 두드려 칼 모양으로 단조하며 자연 냉각시키는 과정을 반복하면, 철 속의 카바이트 입자가 층을 이루며 카바이트 결정 띠로 성장한다. 이 띠가 특별한 무늬와 높은 경도를 가지게 한다. 현대 금속공학 분석에 따르면, 철 속 불순물인 극소량의 바나듐(0.003%) 등이 층상 구조 형성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59]
특유의 소용돌이 무늬는 후반 단조 과정에서 칼날과 수직 방향으로 홈이나 정 자국을 새겨 만드는데, '무하마드의 사다리'라고 불렸으며 최상급 다마스쿠스 검의 상징이었다. 칼날을 연마하고 산 처리하면 층상 구조가 표면에 드러나 물결 무늬나 소용돌이 무늬가 나타난다.
3. 1. 기원
다마스쿠스 검은 3세기부터 17세기까지 중동, 특히 시리아의 다마스쿠스에서 주로 생산되었다.[14] 원재료는 인도에서 생산된 우츠강(wootz steel)이었다.[9] 인도와 스리랑카는 기원전부터 최상급 철과 철제 검 생산지로 유명했다. 우츠 강은 도가니 제철법으로 만들어졌다. 이 방법은 도가니에 철광석과 유리 등의 재료를 넣고 가마에서 도자기를 굽는 것과 비슷하게, 몬순 계절풍을 이용하여 철을 제련하는 방식이었다.중동에는 손바닥 크기에 2.3kg 정도 되는 케이크 모양의 철괴(iron ingot) 형태로 수입되었다. 이 철괴는 높은 탄소 함량(1.5%)과 텅스텐, 바나듐, 몰리브덴 등의 불순물을 포함하고 있어, 철 입자가 굵은 덩어리를 이루고 다량(20%)의 철 카바이드 미세입자를 포함하고 있었다.
인도 외에도 메르브(투르크메니스탄), 야즈드(이란) 등지에서도 도가니 강철이 자체 생산되었다.[11][12] 아랍인들은 우츠 강을 다마스쿠스로 들여와 무기 산업을 발전시켰다.[13]
3. 2. 십자군 전쟁과 유럽
십자군의 이슬람 침공을 통해 유럽에 처음 알려진 다마스쿠스 검은 그 생산지인 다마스쿠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59] 십자군 전쟁 이후, 유럽의 많은 왕들은 다마스쿠스 검의 비밀과 제조법을 알아내기 위해 검을 입수하거나 다마스쿠스에 장인을 잠입시키는 등 많은 노력을 기울였으나 모두 실패하였다.[60]3. 3. 제조 기술의 실전
15세기 이후 인도에서 우츠 강의 원료가 되는 철광석이 고갈되면서 다마스쿠스 검의 생산이 급감했다.[59] 1750년경에는 고품질 다마스쿠스 검의 제조법이 완전히 실전되었고,[60] 19세기 초에는 저품질 다마스쿠스 검 생산마저 중단된 것으로 여겨진다.4. 특징
다마스쿠스 검이 우수한 특성을 갖는 것은 원재료인 철괴의 특별한 조성(組成), 제강법(製鋼法), 검의 단조(鍛造) 방식 때문이다. 강철은 탄소 함량에 따라 강도가 달라지는데, 탄소 성분이 많을수록 강도와 경도는 높아지지만 탄력성이 없어 쉽게 부러진다. 반면 탄소 함량이 낮으면 강도가 약해 쉽게 구부러지고 날이 무뎌진다.
다마스쿠스 강은 탄소량이 높은 부분과 낮은 부분이 시루떡이나 나무결 같은 미세한 층상구조(層狀構造)를 이루고, 매우 높은 경도의 철-탄소 카바이트(iron carbide Fe3C) 입자가 철 결정 배열 사이에 차별적으로 편재(偏在)한다. 이로 인해 높은 강도와 경도를 가지면서도 높은 탄력성을 유지하여, 현대 금속학과 합금법(合金法)이 발명되기 전에는 가장 우수한 강철이었다.
칼날을 연마하고 산(酸) 처리하면 층상구조가 표면에 드러나 물결 무늬 또는 소용돌이 무늬가 나타난다. 이 무늬는 아름다운 장식일 뿐만 아니라, 다마스쿠스 검의 높은 강도와 탄력성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Verhoeven, Peterson, Baker는 인장 시험과 경도 시험을 통해 다마스쿠스 검의 기계적 특성을 파악했다.[20] 현대 연구에 따르면 다마스쿠스 강은 1.0 wt% 탄소의 열간 압연 강재와 유사한 기계적 특성을 가진다. 평균 항복 강도 740 MPa는 열간 압연 강재(550 MPa)보다 높고, 평균 인장 강도 1070 MPa는 열간 압연 강재(965 MPa)보다 높았다. 로크웰 경도 측정값은 62에서 67 사이였다.
밴드 방향에 수직으로 충격을 가하는 다마스쿠스 강은 밴드 방향에 평행으로 충격을 가하는 경우보다 충격 강도가 훨씬 높다.[23] 이는 균열이 두 구성 강 사이의 계면을 따라 가장 빠르게 전파되는 파괴 메커니즘 때문이다.
4. 1. 우츠 강
인도에서 생산되었던 철을 우츠 강(wootz steel)이라고 불렀다(wootz는 인도 말로 철이라는 뜻이다).[59] 우츠 강은 도가니 제철법으로 만들어졌다. 도가니 제철법은 도가니에 철광석과 유리 등 재료를 담아 가마에서 도자기를 굽는 과정과 비슷하게 몬순 계절풍을 이용하여 철을 제련하는 방법이다. ಉಕ್ಕು|우쿠kn는 칸나다어로 강철을 의미한다.[53] 남인도에서 기원전 6세기에 개발되어 세계적으로 수출되었다.중동에는 철괴(iron ingot) 형태로 인도에서 수입되었는데, 손바닥 정도 크기에 2.3kg 정도로 케이크 모양이었다. 이 철괴는 특이하게 높은 탄소 함량(1.5%)과 텅스텐, 바나듐, 몰리브덴 등 불순물이 들어있어 철 입자가 굵은 덩어리(塊)로 입상(粒狀)을 이루고 다량(20%)의 철 카바이드 미세입자(microparticle)가 포함되어 있었다. 이러한 카바이드와 큰 과립상(果粒狀 granule)이 다마스쿠스 검의 특이한 무늬를 이루는 바탕이 되었다. 이러한 불순물이 포함된 철광석은 인도에서만 산출되었다고 한다.[59]
현대의 금속공학적 분석에 의해 철 속에 불순물로 들어있던 극소량의 바나듐(0.003%) 등이 녹은 철이 소결하는 과정에서 카바이드 결정을 성장하게 해서 층상구조를 형성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59] 그래서 이런 불순물이 포함되지 않은 다른 나라의 철광석으로는 다마스쿠스 강을 만들 수 없었던 것이다.
이후 학술적인 연구를 통해 거의 완벽하게 재현에 성공한 것으로 여겨졌지만, 독일 드레스덴 공과대학교의 페터 파울러 박사를 중심으로 한 연구 그룹의 조사에서, 우츠 강철에서 탄소 나노튜브 구조로 보이는 관형 구조가 발견되면서,[54][55] 현대의 우츠 강철 재현은 완전하지 않을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하지만, 발견된 것은 단순한 관형 구조뿐이며, 전자 현미경의 전자선에 의해 뚫린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되었고, 이에 대한 해답은 얻어지지 않았다.[56]
또한, 조사 대상이 된 16세기 이란산 칼의 소재인 도가니 강철이 어디에서 제조되었는지 불분명하다는 점, 더 나아가 다른 우츠 강철이나 그 외의 칼과의 비교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에서, 이 발견이 우츠 강철 전반에 공통되는 특징이라고 단언할 수 없다는 지적도 있다.[57]
4. 2. 제련 및 단조
다마스쿠스 검은 우츠 강 잉곳을 가열하고 망치로 두드리는 단조(鍛造) 과정을 반복하여 만들었다. 이 과정에서 철괴를 적절한 온도로 가열하고 망치로 두드려 칼 모양을 만든 후 자연 냉각시키는 과정을 수십 차례 반복한다.[59] 이 과정에서 철 속에 있던 미세한 카바이드 입자가 층을 이루며 카바이드 결정 띠로 성장하고, 이 고탄소 카바이드 띠가 특유의 무늬와 높은 경도를 가지게 된다.[59]칼날을 단조할 때 세로로 여러 홈이나 정(釘) 자국을 새기는데, 이 홈에 따라 소용돌이 무늬가 생긴다.[59] 이 무늬는 '무함마드의 사다리'라고 불렸으며 최상급 다마스쿠스 검의 상징이었다.[59] 홈의 모양과 단조 과정에 따라 무늬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59]
4. 3. 미세 구조
현대 금속공학적 분석에 따르면, 철 속에 불순물로 들어있던 극소량의 바나듐(0.003%) 등이 녹은 철이 소결하는 과정에서 카바이트 결정을 성장하게 해 층상구조를 형성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59] 이러한 불순물이 포함되지 않은 다른 나라의 철광석으로는 다마스쿠스 강을 만들 수 없었다.2006년 독일 연구팀은 나노와이어와 탄소 나노튜브가 다마스쿠스 강으로 만들어진 칼날에서 발견되었다는 보고서를 발표했다.[28][29][30] 드레스덴 공과대학교 연구팀은 X-선과 전자 현미경을 사용하여 다마스쿠스 강을 조사한 결과, 시멘타이트 나노와이어[46]와 탄소 나노튜브가 존재함을 발견했다.[28] 드레스덴 팀의 멤버인 페터 파울러는 이러한 나노 구조가 단조 공정의 결과라고 말한다.[29][47]
하지만, 페터 파울러 박사를 중심으로 한 연구 그룹은 우츠 강철에서 탄소 나노튜브 구조로 보이는 관형 구조가 발견되면서[54][55], 현대의 우츠 강철 재현은 완전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고 시사했다. 그러나 발견된 것은 단순한 관형 구조뿐이며, 전자 현미경의 전자선에 의해 뚫린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되었고, 이에 대한 해답은 얻어지지 않았다.[56]
또한, 조사 대상이 된 16세기 이란산 칼의 소재인 도가니 강철이 어디에서 제조되었는지 불분명하다는 점, 다른 우츠 강철이나 칼과의 비교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에서 이 발견이 우츠 강철 전반에 공통되는 특징이라고 단언할 수 없다는 지적도 있다.[57]
4. 4. 기계적 성질
다마스쿠스 강은 높은 강도와 경도, 그리고 탄력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어 당시로서는 매우 우수한 강철이었다. 강철은 일반적으로 탄소의 함량에 따라 강도가 달라지는데, 탄소 성분이 많을수록 강철의 강도(剛度)와 경도(硬度)는 높아지지만 탄력성이 없어 충격에 쉽게 부러지게 된다. 탄소 함량이 낮으면 강도가 약해 쉽게 구부러지고 예리한 날을 만들 수 없고 날이 쉽게 무뎌진다. 다마스쿠스 강은 탄소량이 높은 부분과 낮은 부분이 시루떡이나 나무결 같은 미세한 층상구조(層狀構造)를 이루고 있고 매우 높은 경도의 철-탄소 카바이트(iron carbide Fe3C) 입자가 철 결정 배열 사이에 차별적으로 편재(偏在)하여, 높은 강도와 경도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동시에 높은 탄력성을 유지하고 있었다.[59]Verhoeven, Peterson 및 Baker는 다마스쿠스 검의 기계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인장 시험과 경도 시험을 수행했다.[20] 현대의 일부 연구에서는 다마스쿠스 강이 1.0 wt% 탄소의 열간 압연 강재 바와 다소 유사한 기계적 특성을 가진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평균 항복 강도 740 MPa는 열간 압연 강재의 항복 강도 550 MPa보다 높았고, 평균 인장 강도 1070 MPa는 열간 압연 강재의 인장 강도 965 MPa보다 높았다. 다마스쿠스 강의 로크웰 경도 측정값은 62에서 67 사이였다.
밴드 방향에 수직으로 충격을 가하는 다마스쿠스 강은 밴드 방향에 평행으로 충격을 가하는 경우보다 충격 강도가 훨씬 높다.[23] 이는 다마스쿠스 강에서 균열이 두 구성 강 사이의 계면을 따라 가장 빠르게 전파되는 파괴 메커니즘 때문이다.
5. 현대의 재현 노력
십자군 전쟁 이후 유럽에서는 다마스쿠스 검의 비밀과 제조법을 알아내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으나, 15세기 이후 인도의 철광 고갈로 다마스쿠스 검 제조가 중단되고 그 비법도 잊혀졌다. 지난 1000년간 유럽의 수많은 왕과 장인들이 다마스쿠스 검을 재현하려 했고, 20세기에도 현대 금속학과 기술로 무장한 학자와 도검 장인들이 복원을 시도했지만 실패하여 현대 금속학의 미스터리로 남아있었다.
그러다 198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금속학자들의 연구를 통해 다마스쿠스 검의 성질에 대한 과학적 이해가 넓어졌고, 최근에는 원조 다마스쿠스 검과 조성, 표면 무늬, 미세 금속 구조를 거의 완벽하게 재현할 수 있게 되었다.[60]
실험 고고학을 이용하여 고고학자들 또한 다마스쿠스 강을 재현하려는 시도를 해왔다.
5. 1. 전통 방식의 재현
1980년대 이후 금속학자들의 연구로 다마스쿠스 강의 성질에 대한 과학적인 이해가 높아졌다.[60] J. D. 버호벤(J. D. Verhoeven)과 A. H. 펜드레이(A. H. Pendray)는 다마스쿠스 강철의 원소, 구조 및 시각적 특성을 재현하려는 시도에 대한 논문을 발표하여, 원조 다마스쿠스 검과 조성, 표면 무늬, 미세 구조 면에서 유사한 강철을 재현하는 데 성공했다.[43]하지만, 일부 연구에서는 탄소 나노튜브의 존재 여부와 관련하여 현대의 재현이 완전하지 않을 수 있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33] 독일 드레스덴 공과대학교의 페터 파울러 박사를 중심으로 한 연구 그룹은 우츠 강에서 탄소 나노튜브 구조로 보이는 관형 구조를 발견했다.[54][55] 그러나, 이 관형 구조가 전자 현미경의 전자선에 의해 뚫린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되었고, 이에 대한 해답은 얻어지지 않았다.[56]
5. 2. 패턴 웰디드 다마스쿠스 강
19세기 유럽에서는 원조 다마스쿠스 검의 무늬를 재현하기 위해 접쇠 단조 방식(패턴 웰디드)이 발명되었다. 이는 여러 종류의 강철을 겹쳐서 두드리고 접는 과정을 반복하여 인위적인 적층 구조를 만드는 것이다. 이 방식은 이전에도 유럽, 고려, 일본, 인도네시아 등에서 널리 사용되었다.[21]가장 어려운 방식 중 하나는 롤빵처럼 돌돌 말아서 두드리는 롤빵식 접쇠 단조이다. 이후 연마와 산(酸) 처리를 통해 원조 다마스쿠스 검과 유사한 무늬를 얻을 수 있지만, 더 크고 규칙적인 무늬로 구분된다.
1970년대까지는 원조 다마스쿠스 검도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만들어졌다고 알려졌으나, 1980년대 이후 현대 금속학적 연구를 통해 ভিন্ন 방식임이 밝혀졌다. 연구에 따르면, 접는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강철의 인성이 증가한다.[21] 샤르피 충격 시험 결과 54번 접힌 샘플의 충격 인성은 4.36 J/cm2, 250번 접힌 샘플은 5.49 J/cm2였다. 인장 시험에서는 두 샘플 모두 항복 강도와 연신율이 유사했지만, 최대 강도는 250번 접힌 샘플이 더 높았다.[21]

실험 고고학을 통해 다마스쿠스 강 재현 시도가 이루어졌다. 패턴 용접은 다마스쿠스 강 칼날과 유사한 패턴을 만들지만, 오늘날 우츠 강과 패턴 용접의 차이는 명확히 구분된다.[36][37][38] 1973년 윌리엄 F. 모란이 "다마스쿠스 칼"을 공개한 이후 패턴 용접된 강철은 "다마스쿠스 강"으로 불리게 되었다.[39][40]
현대 다마스쿠스 강은 여러 종류의 강철과 철 조각을 용접하여 만들며,[41] 패턴은 대장장이가 빌릿을 작업하는 방식에 따라 달라진다.[40] 미국 칼 제작자 협회 마스터 스미스 등급을 받으려면 최소 300층 이상의 다마스쿠스 칼날을 단조해야 한다.[42]
현재 고급 나이프 등에 사용되는 "다마스쿠스 강"은 이종 금속을 적층, 단조하여 우츠 강과 유사한 줄무늬를 나타낸 강재이다. 니켈을 사용하여 무늬를 더욱 선명하게 만들기도 한다. 강철제 롤러 체인이나 와이어를 단조하여 제작하는 체인 다마스쿠스나 와이어 다마스쿠스도 알려져 있다.
6. 문화적 영향
다마스쿠스 강은 그 명성과 역사로 인해 소총 총열을 자르거나 칼날 위로 떨어지는 머리카락을 벨 수 있다는 등 많은 전설을 낳았다. 오늘날 많은 종류의 강철이 고대 다마스쿠스 합금을 능가하지만, 생산 과정에서의 화학 반응으로 인해 다마스쿠스 강은 매우 유연하면서도 동시에 매우 단단하여 당시에는 특별한 칼날이 되었다.[15]
베오울프 이야기 《베오울프》에서 그렌델의 어머니를 죽이는 데 사용한 칼날은 일부 현대 영어 번역본에서 "다마스쿠스식"으로 묘사되었다.[16][17]
조지 R. R. 마틴의 소설 ''얼음과 불의 노래''와 텔레비전 드라마 왕좌의 게임에 나오는 매우 강력한 가상의 발리리아 강철은 다마스쿠스 강철에서 영감을 얻은 것으로 보이며, 마법적인 요소가 더해졌다.[19] 발리리아 강철은 다마스쿠스/우츠 강철과 마찬가지로 고대 문명의 잃어버린 기술로 여겨진다. 하지만 다마스쿠스 강철과 달리 발리리아 강철 칼날은 유지 보수가 필요 없고, 일반적인 전투로는 손상되지 않는다.
6. 1. 전설과 오해
다마스쿠스 강은 그 명성과 역사로 인해 소총 총열을 자르거나 칼날 위로 떨어지는 머리카락을 벨 수 있다는 등 많은 전설을 낳았다. 오늘날의 많은 종류의 강철이 고대 다마스쿠스 합금을 능가하지만, 생산 과정에서의 화학 반응으로 인해 다마스쿠스 강은 매우 유연하면서도 동시에 매우 단단하여 당시에는 특별한 칼날이 되었다.[15]베오울프 이야기 《베오울프》에서 그렌델의 어머니를 죽이는 데 사용한 칼날은 일부 현대 영어 번역본에서 "다마스쿠스식"으로 묘사되었다.[16][17]
흔한 오해는 노예의 등과 허벅지에 여섯 번 찌름으로써 강철을 경화했다는 것이다. 이것은 1894년 11월 4일자 시카고 트리뷴 28페이지에 실린 "다마스쿠스 칼날의 템퍼링"이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시작되었다. 그 기사에서는 "폰 오일렌슈피겔 교수"라는 사람이 "고대 티레의 폐허에서" 두루마리를 발견했다고 주장한다. "오일렌슈피겔"은 중세 독일의 전설적인 장난꾸러기의 이름이다.[18]
6. 2. 대중문화
조지 R. R. 마틴의 소설 ''얼음과 불의 노래''와 텔레비전 드라마 왕좌의 게임에 나오는 매우 강력한 가상의 발리리아 강철은 마법적인 요소를 더해 다마스쿠스 강철에서 영감을 얻은 것으로 보인다.[19] 발리리아 강철은 다마스쿠스/우츠 강철과 마찬가지로 고대 문명의 잃어버린 기술로 여겨진다. 하지만 다마스쿠스 강철과 달리 발리리아 강철 칼날은 유지 보수가 필요 없고, 일반적인 전투로는 손상되지 않는다.7. 한국과의 관련성
(주어진 원본 소스가 비어있으므로, 작성할 내용이 없습니다.)
참조
[1]
서적
On Damascus Steel
Atlantis Arts Press
[2]
웹사이트
The Mystery of the Damascus Sword and India's Materials Heritage - Forbes India Blogs
https://www.forbesin[...]
[3]
서적
The Sword and the Crucible
Brill
[4]
논문
The making and selling of wootz, a crucible steel of India
1986
[5]
논문
Iron and Steel Technology in Medieval Arabic Sources
1978
[6]
서적
Kitāb al-jamāhir fī maʻrifat al-jawāhir
Pakistan Hijra Council
1989
[7]
서적
The Wonder of Knifemaking
https://books.google[...]
Krause Publications
[8]
서적
The knight and the blast furnace: a history of the metallurgy of armour in the Middle Ages & the early modern period
https://books.google[...]
BRILL
[9]
서적
Technology in World Civilization: A Thousand-year History
https://books.google[...]
MIT Press
[10]
서적
Persian Steel: The Tanavoli Collec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for the Board of the Faculty of Oriental Studies, University of Oxford and the British Institute of Persian Studies
2000
[11]
논문
Persian Pulād Production: Chāhak Tradition
https://www.equinoxp[...]
2015-02-15
[12]
웹사이트
Early Islamic manufacture of crucible steel at Merv, Turkmenistan
https://www.academia[...]
2020-09-10
[13]
서적
India's Legendary Wootz Steel: An Advanced Material of the Ancient World
http://materials.iis[...]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Studies
2014-08-12
[14]
서적
The Political Economy of Craft Production: Crafting Empire in South India, c. 1350–1650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
서적
High-speed steel: the development, nature, treatment, and use of high-speed steels, together with some suggestions as to the problems involved in their use
https://archive.org/[...]
McGraw-Hill
[16]
웹사이트
'"The Wealth They Left Us": Two Women Author Themselves through Others\' Lives in Beowulf'
http://www.heroicage[...]
Department of English, [[University of California at Davis]]
2002
[17]
웹사이트
Beowulf: Lines 1399 to 1799
http://www.as.wvu.ed[...]
2021-08-16
[18]
웹사이트
On Slaves and Silk Hankies Seeking Truth in Damascus Steel
https://www.tf.uni-k[...]
2017
[19]
뉴스
There's a real-life equivalent to Valyrian Steel
https://www.telegrap[...]
2017-06-21
[20]
논문
Damascus steel, characterization of one Damascus steel sword
https://doi.org/10.1[...]
1990-06
[21]
논문
Mechanical Properties of Pattern Welded 1075-15N20 Steels*
https://www.degruyte[...]
2014-10-01
[22]
논문
Genuine Damascus steel: a type of banded microstructure in hypereutectoid steels
https://onlinelibrar[...]
2002-08
[23]
논문
Basic mechanical properties of layered steels
http://acta.mendelu.[...]
2013-04-08
[24]
서적
Crucible steel in Central Asia: production, use, and origins
University of London
2002
[25]
논문
Carbon nanotubes produced from natural cellulosic materials
[26]
서적
Islamic Swords: ch 3: Kindi on Swords commentary
https://www.academia[...]
[27]
논문
Production of Crucible Steel by Co-Fusion: Archaeometallurgical Evidence from the Ninth-Early Tenth Century at the Site of Merv, Turkmenistan
[28]
간행물
Materials: Carbon nanotubes in an ancient Damascus sabre
[29]
잡지
Legendary Swords' Sharpness, Strength From Nanotubes, Study Says
http://news.national[...]
2010-10-28
[30]
웹사이트
Antique Nanotubes
https://www.nytimes.[...]
2006-11-28
[31]
논문
Sharpest cut from nanotube sword
http://www.nature.co[...]
2006-11-15
[32]
서적
Encyclopaedia of the History of Science, Technology, and Medicine in Non-Western Cultures
2008
[33]
웹사이트
Carbon nanotubes: Saladin's secret weapon
http://www.rsc.org/c[...]
2006-11-15
[34]
논문
The key role of impurities in ancient damascus steel blades
http://www.tms.org/p[...]
2002-11-04
[35]
웹사이트
John Verhoeven: Mystery of Damascus Steel Swords Unveiled
https://www.mse.iast[...]
[36]
논문
A Sword of the Nydam Type from Ely Fields Farm, near Ely
1948
[37]
논문
Pattern-Welding and Damascening of Sword-Blades—Part 1: Pattern-Welding
1960-02
[38]
논문
Pattern-Welding and Damascening of Sword-Blades—Part 2: The Damascene Process
1960-05
[39]
서적
Gun digest book of knives
DBI
[40]
서적
Art of the Knife
Krause Publications
[41]
서적
How to Make Knives
Knife World Publications
[42]
웹사이트
ABS Testing Rules and Guidelines for the Master Smith Rating
http://www.americanb[...]
2011-03-12
[43]
특허
Method of making "Damascus" blades
[44]
논문
Damascus Steel Revisited
2018-07-01
[45]
논문
On the Bulat – Damascus Steel Revisited
[46]
논문
Nanowires in ancient Damascus steel
[47]
논문
Sharpest cut from nanotube sword
[48]
논문
High-strength Damascus steel by additive manufacturing
https://www.nature.c[...]
2020-06
[49]
서적
Shotguns & Shotgunning
https://archive.org/[...]
Krause Publications
[50]
서적
Do-It-Yourself Gun Repair
Woods N' Water
[51]
간행물
Damascus Knight .45
[52]
웹사이트
“ダマスカス鋼”の謎に迫る~人類がステンレス鋼を手に入れるまで~
http://www2.memenet.[...]
[53]
url
http://materials.iis[...]
[54]
기타
[55]
뉴스
Carbon nanotubes: Saladin’s secret weapon
http://www.rsc.org/c[...]
Natureに基づいたRSC
[56]
url
http://www.nature.co[...]
[57]
url
http://www.archaeolo[...]
[58]
url
http://www.tms.org/p[...]
[59]
논문
The Key Role of Impurities in Ancient Damascus Steel Blades.
http://www.tms.org/p[...]
[60]
간행물
The Mystery of Damascus Blades.
http://www.mines.edu[...]
20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