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단미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단미목(Schizomida)은 비교적 작고 부드러운 몸을 가진 거미류로, 전갈부치류와 유사한 특징을 보인다. 머리가슴은 세 부분으로 나뉘며, 배는 12개의 마디로 이루어져 있다. 첫 번째 다리는 감각 기관으로, 촉지는 집게 모양으로 발달했다. 단미목은 전 세계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 서식하며, 습한 환경을 선호한다. 육식성으로 작은 무척추동물을 사냥하며, 혼인 춤을 추는 독특한 배우 행동을 보인다. 분열거미목은 꼬리채찍거미목과 자매 분류군이며, 멸종된 과를 포함하여 세 과로 분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절지동물 - 대하 (생물)
    대하는 서해안과 중국에 서식하며 20~30cm까지 자라는 큰 새우로, 한국 서해안에서 가장 큰 새우 종이며, 다양한 요리법으로 즐겨 먹고, 일본에서 "다이쇼 에비"라고도 불리며, 중국에서는 개체 수 감소에 대응하여 어린 대하 방류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 절지동물 - 더듬이
    더듬이는 절지동물, 유조동물, 엽족동물, 연체동물의 머리에 위치한 감각 기관으로, 접촉, 기류, 냄새, 미각 등을 감지하며, 분류의 기준이 되기도 한다.
단미목 - [생물]에 관한 문서
분류 정보
학명Schizomida
명명자Petrunkevitch, 1945
이명Tartarides Cambridge, 1872
Colopyga Cook, 1899
Schizopeltidia Börner, 1902
속하는 상위 분류군유글리피기
목(目)야이트무시목
생물학적 분류
동물계
절지동물문
아문협각아문
거미강
강 계급 없음주폐류
아강 계급 없음사폐류
하강 계급 없음각수류
상목 계급 없음유편류
이미지
암컷 Hubbardia pentapeltis
분포
화석 범위세노마눔절 - 현재, 가장 오래된 것은 펜실베이니아기
하위 분류
하위 분류 계급과(科)
하위 분류† 케리야이트무시과 Calcitronidae Petrunkevitch, 1945b
야이트무시과 Hubbardiidae Cook, 1899
무카시야이트무시과 Protoschizomidae Rowland, 1975

2. 해부학적 구조

단미목은 몸이 부드러운 거미류로, 머리가슴(전체)과 배(후체)의 두 부분으로 나뉜다. 머리가슴은 큰 전방패판, 작고 쌍을 이루는 중간방패판 및 후방패판의 세 부분으로 덮여 있다. 이들은 각각 프로토펠티듐(protopeltidium영어), 메소펠티디아(mesopeltidia영어), 메타펠티디아(metapeltidia영어)라고 불린다. 머리가슴 중앙부가 분리되어 "분열된"이라는 의미의 학명이 붙었다.[8]

채찍벌레나 낙타거미처럼, 단미목은 6개의 다리만 사용하여 걷고, 첫 번째 두 다리는 감각 기관으로 변형되었다. 또한 감각 다리 바로 앞에 크고 잘 발달된 집게 모양의 촉지를 가지고 있다. 뒷다리는 위협을 받을 때 도망가기 위해 점프하도록 변형되었다.[10]

단미목은 실제 눈이 없지만, 몇몇 종은 빛과 어둠을 구별할 수 있는 흔적적인 눈점을 가지고 있다.

2. 1. 형태

크기는 1cm 미만의 작은 동물이다. 몸통은 세로로 길고, 분절이 있는 전체(머리가슴)와 타원형의 후체(배)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사이는 약간 잘록하다.

전체는 가늘고 길며, 배갑은 3세트의 "peltidium"이라는 외골격으로 나뉜다. 앞의 1장(전배판 propeltidium)은 협각에서 제2다리까지 덮는다. 그곳에 있는 눈은 종종 퇴화되어 있지만, 메아키야이토무시 등 유안종도 소수 알려져 있다. 나머지 2장(중배판 mesopeltidium, 후배판 metapeltidium)은 각각 제3다리와 제4다리에 대응하며, 모두 중심에서 좌우 2장으로 나뉜다. 이 특징은 "분열된 (schizos) 어깨 (omos)"를 의미하는 학명 "Schizomida"의 유래가 되기도 한다.

협각은 채찍꼬리전갈처럼 집게 모양에 가까운 아갈 모양이 된다. 촉지는 튼튼하고 수직으로 접힌 낫 모양이 되어 포획용 부속지로 사용된다. 제1다리는 가늘고 길어서 보행에는 사용하지 않고, 앞으로 뻗어 촉각처럼 사용한다. 나머지 3쌍의 다리는 보행에 사용된다.

후체는 타원형으로 12절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체와 연결되는 제1절은 약간 좁아진다(복병). 다음 제2절은 생식구개와 1쌍의 서폐를 갖는다. 채찍꼬리전갈과는 달리 제3절은 서폐를 결여하고 있으며, 이는 이차적인 퇴화에 의한 결과로 생각된다. 말단의 3절(미부)은 짧은 환상으로 가늘어지고 짧은 미절을 갖는다.

성적 이형은 미절에서 명료하게 나타난다. 암컷의 미절은 단순한 짧은 실 모양으로 3-4절로 나뉘지만, 수컷의 미절은 특수화되어 절로 나뉘어 있지 않다. 일부 종류에서는 암컷에 비해 수컷의 촉지가 뚜렷하게 길어지는 개체를 갖는다.

2. 2. 후체 (배)

후체(배)는 매끄러운 타원형이며 12개의 마디로 이루어져 있다. 첫 번째 마디는 축소되어 자루를 형성하고, 마지막 세 마디는 좁아져 미부를 형성한다. 마지막 마디에는 4개 이하의 마디로 구성된 짧은 채찍 모양의 꼬리 또는 미절이 있다.[9] 미절의 형태는 과 유사한데, 여기서 일본어 명칭이 유래했다.

성적 이형은 미절에서 뚜렷하게 나타난다. 암컷의 미절은 3~4개의 마디로 나뉜 단순한 짧은 실 모양이지만,[9] 수컷의 미절은 특수화되어 마디로 나뉘어 있지 않다.

후체 제2절에는 생식구개와 1쌍의 서폐가 있다. 채찍꼬리전갈과는 달리 제3절은 서폐가 없는데, 이는 이차적인 퇴화에 의한 결과로 여겨진다.

2. 3. 호흡 기관

분열두류는 사폐류의 다른 목에서 발견되는 세 번째 복부 분절에 있는 두 번째 쌍이 소실되고, 두 번째 복부 분절에 위치한 한 쌍의 서폐를 통해 호흡한다.[11][12] 채찍꼬리전갈과는 달리 제3절은 서폐가 없으며, 이는 이차적인 퇴화에 의한 결과로 생각된다.[20]

3. 분류

단미목은 꼬리채찍거미목과 자매군을 이루며, 이 두 분류군은 함께 Thelyphonida (넓은 의미)를 형성한다.[5] 분자 시계 연대 추정에 따르면, 두 목 모두 늦은 석탄기판게아 열대 지역에서 기원했을 가능성이 높으며, 분열거미목은 백악기부터 상당한 다양화를 겪었다.[5] 현생하는 2개의 과 (Hubbardiidae, Protoschizomidae)와 1개의 멸종된 과 (Calcitronidae)로 분류된다.[19][29] 이 그룹의 가장 오래된 화석은 미얀마의 백악기 중기 버마 호박에서 발견되었으며, Hubbardiidae과에 속한다.[6][7]

거미강에서 야이토벌레와 사소리거미는 근연 관계에 있으며, 과거에는 야이토벌레가 사소리거미와 같은 목에 포함되던 시기도 있었다.[26] 이 두 그룹은 형태와 번식 행동에서 적지 않은 공통점을 가지며,[27] 함께 채찍꼬리류(Uropygi)를 구성한다.[28]

열대 지역을 중심으로 전 세계에 널리 분포한다. 일본에서는 류큐 열도에 야이토벌레, 우데나가야이토벌레, 다이토 제도에 다이토야이토벌레, 오가사와라 제도에 사와다벌레가 서식한다. 대만에서는 다이토야이토벌레와 근연종으로 여겨지는 야마사키야이토벌레가 분포한다.[24][25]

3. 1. 하위 분류

분열거미류는 다음의 세 로 분류된다.

  • Calcitronidae † (화석; 불확실)
  • Hubbardiidae
  • Protoschizomidae (2개 속, 15종)


전 세계적으로 약 300종의 분열거미류가 보고되었으며,[4] 대부분은 Hubbardiidae과에 속한다. 분열거미목은 꼬리채찍거미목의 자매 분류군이며, 이 두 분류군은 함께 Thelyphonida (넓은 의미)를 형성한다.[5]

현생 2과와 화석종으로 이루어진 멸종 과가 알려져 있다.[19][29]

  • 칼시트론벌레과 Calcitronidae†
  • 야이토벌레과 Hubbardiidae (=Schizomidae)
  • 무카시야이토벌레과 Protoschizomidae

3. 1. 1. 한국의 단미목

에는 남서 제도와 오가사와라 제도에 단미목 3속 4종이 분포한다.[17]

하날레야이토무시속(Apozomus)
우데나가야이토무시속(Bamazomus)
오가사와라야이토무시속(Orientzomus)


4. 생태

단미목은 육식성이며, 작은 무척추동물을 사냥한다. 습도가 높고 어두운 장소를 좋아하며, 열대 우림의 낙엽이나 돌 밑, 동굴 내 등에서 서식한다.[23]

4. 1. 서식지

단미목은 일반적으로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 서식하며, 동남아시아, 인도, 오스트레일리아, 여러 태평양 제도, 중앙아메리카남아메리카, 그리고 아프리카 등지에서 전 세계적으로 분포한다.[13] 일부 개체군은 캘리포니아와 텍사스와 같은 인접한 온대 지역에서도 발견되었다.[13]

습도는 단미목이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결정하는 데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건조를 피해야 하기 때문이다.[13] 일반적으로 열대 우림의 낙엽, 특히 유기 토양의 최상층, 바위 아래, 썩은 통나무 속과 아래, 심지어 동굴에서도 서식한다.[13][15] 대부분의 종은 열대 우림에 국한되어 있지만, 인접한 목질 지역에서도 발견될 수 있다.[13]

일부 종은 곤충 둥지에서 발견되기도 하는데, ''Afrozomus machadoi''는 흰개미 둔덕에 살고, ''Stenochrus portoricensis''는 개미 군집에서 발견되었다.[15] 단미목은 또한 나무에서 서식하는 경우도 있는데, 남아메리카의 ''Surazomus arboreus''는 계절적으로 홍수가 발생하는 열대 우림에 살며, 물에 잠기는 것을 피하기 위해 나무 위로 이동한다.[15]

4. 2. 행동

단미목의 배우 행동으로는 혼인 춤을 추는 것이 알려져 있다. 암컷은 수컷의 미절에 매달려 앞뒤로 연결되어 이동하며, 수컷이 지상에 놓은 정포를 받는다. 산란 시에는 암컷은 지면에 작은 구멍을 파고 들어가 알을 배에 붙여 부화할 때까지 보호한다.

4. 3. 포식자와 방어

무시류가 단미목을 잡아먹는 것이 관찰되었다.[15] 또한, 단미목은 작은 기생 선충에 의해 기생당하는 것이 관찰되었는데, ''Stenochrus goodnightorum'' 종의 경우 후체가 거의 완전히 기생 선충으로 채워져 있었다.[15]

5. 진화

분자 시계 연구에 따르면, 단미목과 꼬리채찍거미목은 모두 석탄기 후기 판게아 열대 지역에서 기원했으며, 단미목은 백악기부터 다양화되기 시작했다.[5] 가장 오래된 화석은 미얀마의 백악기 중기 버마 호박에서 발견되었으며, Hubbardiidae과에 속한다.[6][7]

참조

[1] 웹사이트 Researchers count 13 new species of fanged arachnids in the Pilbara https://museum.wa.go[...] WAM 2020-10-28
[2] 서적 Common Names of Arachnids 2003 http://www.americana[...] American Tarantula Society
[3] 뉴스 A Legendary Scientist Sounds Off on the Trouble With STEM https://www.chronicl[...] 2021-03-27
[4] 논문 Patterns in schizomid flagellum shape from elliptical Fourier analysis
[5] 논문 First global molecular phylogeny and biogeographical analysis of two arachnid orders (Schizomida and Uropygi) supports a tropical Pangean origin and mid-Cretaceous diversification 2017
[6] 논문 The oldest short-tailed whipscorpion (Schizomida): a new genus and species from the Upper Cretaceous amber of northern Myanmar
[7] 논문 Diversity of schizomids (Arachnida: Schizomida) revealed by new fossil genera and species from mid-Cretaceous Burmese amber with implications for a Gondwanan origin of the Burma Terrane https://doi.org/10.1[...] 2022-05-24
[8] 서적 Invertebrate Zoology Holt-Saunders International
[9] 문서 Arachnida
[10] 문서 The biology of Schizomus vinei (Chelicerata: Schizomida) in the caves of Cape Range, Western Australia
[11] 논문 Geological history and phylogeny of Chelicerata http://faculty.uml.e[...] 2017-02-13
[12] 논문 Homeosis in a scorpion supports a telopodal origin of pectines and components of the book lungs
[13] 문서
[14] 논문 First record of the schizomid Stenochrus portoricensis (Schizomida: Hubbardiidae) in Poland, with DNA barcode data https://www.research[...] 2021-03-26
[15] 문서
[16] 문서
[17] 간행물 日本産ヤイトムシ目(クモガタ類)4種の和名と学名の整理(新称の提案を含む) https://doi.org/10.2[...] 日本土壌動物学会
[18] 간행물 南方諸地域に於ける脚鬚目概説 https://doi.org/10.2[...] 東亜蜘蛛学会
[19] 서적 ヤイトムシ目 裳華房
[20] 논문 Segmentation and tagmosis in Chelicerata https://www.academia[...]
[21] 논문 A New species of eyed Schizomus (Schizomida: Schizomidae) from Java https://doi.org/10.2[...]
[22] 논문 Two New Cave-Dwelling Species of the Short-Tailed Whipscorpion Genus Rowlandius (Arachnida: Schizomida: Hubbardiidae) from Northeastern Brazil, with Comments on Male Dimorphism https://journals.plo[...] 2013-05-22
[23] 웹사이트 ヤイトムシ 2020-10-17
[24] 간행물 Review of the Schizomidae (Arachnida, Schizomida) of Japan and Taiwan
[25] 서적 ダイトウヤイトムシ
[26] 간행물 日本産全蠍目及脚鬚目 https://doi.org/10.2[...] 東亜蜘蛛学会
[27] 논문 A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arachnid orders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s https://academic.oup[...] 2007-06-01
[28] 논문 Three-dimensional reconstruction and the phylogeny of extinct chelicerate orders https://peerj.com/ar[...] 2014-11-13
[29] 웹사이트 World Schizomida Catalog https://wac.nmbe.ch/[...] Natural History Museum Bern 2024-12-30
[30] 서적 Common Names of Arachnids 2003 http://www.americana[...] American Tarantula Society
[31] 논문 First global molecular phylogeny and biogeographical analysis of two arachnid orders (Schizomida and Uropygi) supports a tropical Pangean origin and mid-Cretaceous diversification 20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