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양 고수동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단양 고수동굴은 총 길이 1,300m의 석회암 동굴로, 25종의 곤충과 동물이 서식하며 다양한 종유석, 석순 등의 동굴 생성물을 관찰할 수 있다. 고수동굴은 조선 누층군의 석회암 지대에 위치하며, 막동 석회암층과 고수리 단층이 동굴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동굴 내부는 연중 15°C를 유지하며, 금속 산책로가 설치되어 관광객에게 공개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충청북도의 천연기념물 - 정이품송
충청북도 보은군에 있는 정이품송은 수령 약 600년의 거대한 소나무로, 세조의 행차 일화로 정이품 벼슬을 받았다는 전설이 있으며, 아름다운 수형과 문화적 가치로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충청북도의 천연기념물 - 영동 영국사 은행나무
영동 영국사 은행나무는 충청북도 영동군에 위치하며 천연기념물 제223호로 지정되어 국토교통부 외에서 소유하고 영동군에서 관리한다. - 충청북도의 동굴 - 단양 온달동굴
단양 온달동굴은 고생대 캄브리아기-오르도비스기에 형성된 고성층 내에 위치하며, 북서 30° 방향의 절리를 따라 용식 작용으로 생성된 석회암 동굴이다. - 충청북도의 동굴 - 단양 천동동굴
단양 천동동굴은 고생대 오르도비스기에 형성된 석회암 동굴로, 종유석, 석순, 석주와 희귀한 동굴 생성물을 포함하며 연중 일정한 기온과 습도를 유지한다. - 석회암 동굴 - 천호동굴
천호동굴은 대한민국에 위치한 동굴로, 석회 광산 개발로 훼손되어 익산시에 의해 영구 폐쇄 및 통제되고 있으며, 시민들의 알 권리 침해 논란이 있다. - 석회암 동굴 - 저우커우뎬
저우커우뎬은 베이징 교외의 고고학 유적으로, 베이징 원인 화석과 석기, 불 사용 증거 등 인류 진화 연구에 중요한 유물을 제공하여 1987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단양 고수동굴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위치 정보 | |
![]() | |
기본 정보 | |
이름 | 단양 고수동굴 |
한글 표기 | 고수동굴 |
영문 표기 | Gosu Cave |
종류 | 석회암 동굴 |
위치 | 충청북도 단양군 단양읍 고수리 산4-2번지 외 |
지정 정보 | |
지정 종류 |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
지정 번호 | 256 |
지정일 | 1976년 9월 24일 |
시대 | 고생대 |
소유자 | 유신 장학재단 수익사업체 (주) 유신 |
추가 정보 | |
구별 | 고씨동굴 |
2. 지질
단양 고수동굴은 고생대 초 조선 누층군 막동 석회암층(막골층)에 형성되었다. 1973년 동굴 내부와 입구 부근에서 뗀석기가 발견되어 선사시대 주거지로 이용되었음이 밝혀졌다.[7]
고수동굴은 남-북 방향으로 연장된 석회암 동굴이며, 동굴을 형성한 물의 공급처는 뚜렷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나, 동굴 출구 부근 공기가 빠져나가는 구멍이 물 공급 구멍 중 하나로 추정된다. 동굴 입구 부근에는 직경 5 m 정도의 원통형 구멍(포트홀)이 있고, 천장 곳곳에서 작은 원형 구멍들이 발견되었다.[6]
2. 1. 지층
고수동굴 주변의 지층은 다음과 같다.지층 | 특징 | 구성 암석 | 두께 |
---|---|---|---|
조선 누층군 막골층 | 고생대 오르도비스기 퇴적, 큰 단층 영향 없음, 청회색 괴상(塊狀) 석회암, 풍화 표면은 1 cm 미만 두께의 호층(互層), 층리 발달, 주향은 남-북 내지 북동 40°, 경사는 북서 30~40° | 석회암 | 300 m |
고성 석회암층 | 막골층을 정합으로 덮음, 두위봉층에 해당, 회색 석회암, 하부는 평력(平礫) 역암, 주향은 남-북, 경사는 북서 10° | 회색 석회암, 평력 역암 | 100 m |
평안 누층군 만항층 (홍점층) | 조선 누층군을 부정합으로 덮음, 적색 셰일, 담녹색 조립 사암, 백색 석회암층(렌즈상, 최대 1 m), 방추충 화석 산출, 주향은 북동 20°, 경사는 (북)서 40° 내외 | 적색 셰일, 담녹색 조립 사암, 백색 석회암 | 200 m |
평안 누층군 금천층 (사동층 하부) | 흑색 셰일, 암회색 사암, 암회색 석회암층(3매, 최대 2 m), 석탄기 방추충 화석 산출 | 흑색 셰일, 암회색 사암, 암회색 석회암 | 60~70 m |
평안 누층군 장성층 (사동층 상부) | 암회색 셰일, 회색 사암, 1매의 무연탄층 협재 | 암회색 셰일, 회색 사암, 무연탄 | 80 m 내외 |
평안 누층군 함백산층 (고방산층 하부) | 담회색~백색 조립 사암, 변성되어 규암으로 변화, 주향은 남-북~북동 10°, 경사는 서측 40~50° | 담회색~백색 조립 사암, 규암 | 200~250 m |
2. 2. 동굴 내부 지질
고수동굴은 대체로 남-북 방향으로 연장된 석회암 동굴이며, 막동 석회암층(막골층)의 층리와 주향이 동굴의 방향과 대체로 일치한다. 동굴 천장에는 남-북 방향의 절리가 발달해 있으며, 테라로사로 추정되는 적갈색 고화(굳어진) 진흙이 협재(사이에 낀)된 경우도 있다. 동굴 벽에는 수평으로 연장된 선반들이 형성되어 있어 과거 수면의 높이를 짐작하게 한다.2. 3. 단층
고수리 단층은 단양읍 고수리 일대에 북북동-남남서 방향으로 발달한 단층이다. 이 단층은 안고수 마을에서 남쪽으로 구고수교 동쪽을 지나 석탄 폐석이 쌓인 사면을 거쳐 남진하며, 이곳에서 측정된 단층의 경사는 서쪽으로 50°이다. 따라서 고수리 단층은 북동 10°의 주향을 가지고 서쪽으로 50° 정도 경사한 역단층이다.[6]단양 고수동굴의 입구는 고수리 단층에서 약 60 m 서쪽에 있고, 출구는 입구보다 수직 거리로 약 40 m 높은 곳에 있으며 고수리 단층과 거의 근접해 있다. 고수동굴은 고수리 단층 상반인 막동 석회암층(막골층) 속에 있다. 고수리 단층의 낙차는 1,500 m로 계산된다.[6]
고수동굴 형성의 가장 중요한 지질학적 요인은 바로 이 고수리 단층으로 추정된다. 고수리 단층은 서쪽으로 약 50° 경사하며 불용해성이며 불투수층인 견고한 사암, 규암으로 막동 석회암층을 떠받치고 있다. 단층선은 풍화, 침식 작용에 약하므로 이곳에 주위보다 깊은 와지(窪地)가 생기기 쉬우며, 단층선을 따라 돌리네나 계곡이 생겼을 가능성이 크다.[6]
3. 특징
고수동굴은 총 길이 1300m에 달하며, 25종의 곤충과 동물이 서식하고 있다. 약 120개의 다양한 종유석과 석순이 발견된다. 사자 바위, 문어 바위, 독수리 바위, 성모 마리아 바위와 같이 동물이나 사람의 형상을 닮은 석회암 지형도 있다.[4] 사자 바위는 동굴의 수호신으로 여겨진다.
주 통로 길이는 1200m이다. 이곳에는 종유석, 석순, 석주, 동굴 팝콘, 동굴 진주, 동굴 방패, 커튼, 아라고나이트 결정을 포함한 다양한 동굴 생성물이 있다. 주 굴에는 10m 길이의 웅장한 종유석 군락이 있다.[5]
4. 관광
고수동굴은 연중무휴로 일반에 공개되며, 여름철에 방문객이 가장 많다. 동굴 내부 온도는 연중 15°C로 유지되며, 겨울철에는 장갑 착용이 권장된다. 1.7km 구간에 금속 산책로가 설치되어 있으며, 일부 구간은 좁고 어둡다. 산책로의 수직 높이는 50m이다.
5. 사진
참조
[1]
웹사이트
무제 문서
http://koreabound.co[...]
[2]
웹사이트
EventsㆍFestival by Korea - Danyang Tour: Woraksan National Park & Gosu Cave & Chungju Lake Boat Cruise
http://www.koreaawar[...]
2009-08-30
[3]
웹사이트
Gosu-donggul (Gosu Cave) in Danyang - Attraction {{!}} Frommer's
https://www.frommers[...]
2018-04-28
[4]
웹사이트
Gosu Cave (고수동굴)
http://www.visitkore[...]
[5]
웹사이트
Show Caves of the South Korea: Gosudong Gul
http://www.showcaves[...]
[6]
문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
[7]
저널
고수동굴의 지질에 관한 연구
https://www.dbpia.co[...]
1993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