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달성 서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달성 서씨는 고려 시대 판도판서를 지낸 서진을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서균형은 고려 말 문과에 급제하여 우왕 살해에 연루되었으며, 서침은 조선 시대 전라도처치사를 지내 대구 지역 발전에 기여했다. 달성 서씨는 대구 서씨와 시조를 달리하며, 1702년 임오보를 통해 족보를 함께 편찬했으나 이후 분리되었다. 2015년 기준 407,431명으로, 대구 달성군, 울산 울주군 등 여러 지역에 집성촌이 분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달성 서씨 - 서동렬
    서동렬은 공군 준장으로 임관하여 공군참모총장까지 역임한 군인 출신 정치인으로, 공군 발전에 기여했으나 5·18 민주화운동 탄압 가담 등 신군부 시절 행적에 대한 비판도 있으며, 군 복무 후 한국에너지관리공단 이사장을 역임하고 정계에서도 활동했다.
  • 달성 서씨 - 서정주
    서정주는 1915년 전라북도 고창에서 태어나 2000년 사망한 대한민국의 시인으로, 시 〈벽〉으로 등단하여 시집 《화사집》 등을 발표했고, 친일 행적으로 비판받았으며, 탐미적 경향과 전라도 사투리 활용으로 민족어의 가능성을 확장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달성 서씨
달성 서씨
가문 이름달성 서씨
문장달성 서씨의 종문.svg
종류씨족
국가조선
영지대구광역시
시조서진
유명한 인물정성왕후
서정주
서종철
서병수
서청원
각주달성서씨대종회
성씨달성 서씨
관향대구광역시
인물서균형
서침
서사선
서상일
서정주
서중호
서영훈
서병두
서정화
서석재
서정돈
서석구
서상기
서상목
서규용
서병수
서승환
서강석
서범수
정성왕후
년도2015
인구407,431명
비고서씨일가연합회
달성 서씨의 종문

2. 역사

달성 서씨는 고려 시대부터 조선 시대에 이르기까지 여러 관직을 역임하며 명맥을 이어왔다. 시조 서진은 고려 때 판도판서를 지내고 달성군에 봉해졌으며, 그 후손들은 대대로 관직에 진출했다. 특히 4세 서균형(徐鈞衡)은 고려 말 문과에 급제하여 고위 관직을 역임했고, 5세 서침(徐沈)은 조선 세종 때 대구 백성들을 위한 선정을 베풀어 칭송받았다. 서침의 후손들 또한 현감을 지내는 등 관직 생활을 이어갔으며, 수양대군의 왕위 찬탈에 반발하여 서한정(徐翰廷)은 은거하기도 했다.[5]

2. 1. 시조 및 초기 역사

달성 서씨(達城 徐氏)의 시조 서진(徐晉)은 고려 때 봉익대부(奉翊大夫) 판도판서(版圖判書)를 지내고 달성군(達城君)에 봉해졌다고 한다. 출생년도는 대략 1260년에서 1280년 사이로 추정된다. 서진의 어머니는 고려 정순대부(正順大夫) 예의판서(禮儀判書)와 검교장군(檢校將軍)을 지낸 진위군(振威君) 진위 이씨(振威李氏) 이자영(李自英)의 딸이다. 부인은 초계 주씨이다. 유허비는 대구 달성공원에 있다. 2세는 도관좌랑 서기준(徐奇俊), 3세는 찬성사(贊成事) 서영(徐穎)이다.

4세 서균형(徐鈞衡, 1340년 ~ 1391년)은 1360년(공민왕 9년) 문과에 급제하여 문하평리(門下評理) 등을 거쳐 1389년(공양왕 1) 정당문학(政堂文學)으로 재직시 왕명으로 폐왕 우왕을 강릉에서 살해하였고, 1390년 예문관대제학을 거쳐 1391년 양광도도관찰사가 되었다. 시호는 정평(貞平)이다.

5세 서침(徐沈)은 조선조에 전의소감(典醫少監)을 거쳐 전라도처치사를 지냈다. 세종 때 달성을 나라의 관방으로 쓰겠다며 거두어 들이고자 하며 그 보상책을 논하자, 서침이 보상받기를 사양하고 그 대신 대구 부민들이 관청에 바치는 적모의 이자를 한 석당 닷되씩을 감해 줄것을 요청하니 조정에서 특별히 허락하여 대구 부민들이 조선말까지 그 혜택을 받았다.[3] 서침의 박시제중(博施濟衆)에 감복한 대구 사림(士林)들이 1665년에 대구에 구암서원을 건립하고 서침을 봉안하여 매년 제향하였다. 세종이 회화나무를 심어 서침의 마음을 기리게 했는데 현재 달성공원 내에 있는 서침나무가 그것으로 알려져 있다.[4]

서침은 3형제를 두었는데, 장남 서문한(徐文翰)은 승사랑으로 광흥창 부승을 거쳐 현감을 지냈고, 차남인 서문간(徐文幹)도 중시에 올라 현감을 역임했으며, 3남 서문덕(徐文德)은 이조정랑과 만경현감을 지냈다. 대사간이었던 서충(衷)의 증손인 서한정(徐翰廷)은 세종 때 진사로 태학에서 학문을 연구했으나, 수양대군(세조)이 왕위를 찬탈하자 벼슬을 버리고 소백산 기슭에 은거하였다.[5]

2. 2. 고려 말 ~ 조선 초

서진은 고려 때 봉익대부(奉翊大夫), 판도판서(版圖判書)에 오르고 달성군(達城君)에 봉해졌다고 한다. 출생년도는 대략 1260년에서 1280년 사이로 추정된다. 서진의 어머니는 고려조(高麗朝) 정순대부(正順大夫) 예의판서(禮儀判書)와 검교장군(檢校將軍)을 지낸 진위군(振威君) 진위 이씨(振威李氏) 이자영(李自英)의 딸이다. 부인은 초계 주씨이다. 유허비는 대구 달성공원에 있다. 2세는 도관좌랑 서기준(徐奇俊), 3세는 찬성사(贊成事) 서영(徐穎)이다.

4세 서균형(徐鈞衡, 1340년 ~ 1391년)은 1360년(공민왕 9년) 문과에 급제하여 문하평리(門下評理) 등을 거쳐 1389년(공양왕 1) 정당문학(政堂文學)으로 재직시 왕명으로 폐왕 우왕을 강릉에서 살해하였고, 1390년 예문관대제학을 거쳐 1391년 양광도도관찰사가 되었다. 시호는 정평(貞平)이다.

5세 서침(徐沈)은 조선조에 전의소감(典醫少監)을 거쳐 전라도처치사를 지냈다. 세종조에서 달성을 나라의 관방으로 쓰겠다며 거두어 들이고자 하며 그 보상책을 논하자 서침은 보상받기를 사양하고 그 대신 대구 부민들이 관청에 바치는 적모의 이자를 한 석당 닷되씩을 감해 줄것을 주청하니 조정에서 특별히 허락하여 대구 부민들이 조선말까지 그 혜택을 받았다.[3] 서침의 박시제중(博施濟衆)에 감복(感服)한 대구 사림(士林)들이 1665년에 대구에 구암서원을 건립하고 서침을 봉안하여 매년 제향하였다. 세종이 회화나무를 심어 서침의 마음을 기리게 했는데 현재 달성공원 내에 있는 서침나무가 그것으로 알려져 있다.[4]

서침은 3형제를 두었는데, 장남 서문한(徐文翰)은 승사랑으로 광흥창 부승을 거쳐 현감을 지냈고, 차남인 서문간(徐文幹)도 중시에 올라 현감을 역임했으며, 3남 서문덕(徐文德)은 이조정랑과 만경현감을 지냈다. 대사간이었던 서충(衷)의 증손인 서한정(徐翰廷)은 세종 때 진사로 태학에서 학문을 연구했으나, 수양대군(세조)이 왕위를 찬탈하자 벼슬을 버리고 소백산 기슭에 은거하였다.[5]

2. 3. 조선 중기 이후

서침은 조선조에 전의소감(典醫少監)을 거쳐 전라도처치사를 지냈다. 세종 때 달성을 나라의 관방으로 쓰겠다며 거두어 들이고자 하며 그 보상책을 논하자 서침은 보상받기를 사양하고, 그 대신 대구 백성들이 관청에 바치는 적모의 이자를 한 석당 닷되씩을 감해 줄 것을 요청하니 조정에서 특별히 허락하여 대구 백성들이 조선 말까지 그 혜택을 받았다.[3] 서침의 박시제중(博施濟衆)에 감복(感服)한 대구 사림(士林)들이 1665년에 대구에 구암서원을 건립하고 서침을 봉안하여 매년 제향하였다. 세종은 회화나무를 심어 서침의 마음을 기리게 했는데, 현재 달성공원 내에 있는 서침나무가 그 것으로 알려져 있다.[4]

서침은 3형제를 두었는데, 장남 서문한(徐文翰)은 승사랑으로 광흥창 부승을 거쳐 현감을 지냈고, 차남인 서문간(徐文幹)도 중시에 올라 현감을 역임했으며, 3남 서문덕(徐文德)은 이조정랑과 만경현감을 지냈다. 대사간이었던 서충(衷)의 증손인 서한정(徐翰廷)은 세종 때 진사로 태학에서 학문을 연구했으나, 수양대군이 왕위를 찬탈하자 벼슬을 버리고 소백산 기슭에 은거하였다.[5]

3. 대구 서씨와의 관계

달성 서씨와 대구 서씨는 족보상으로 시조가 다르다. 달성 서씨는 고려 판도판서(版圖判書) 서진(徐晋)을 시조로 하고 있고, 대구 서씨는 고려 군기소윤(軍器少尹) 서한(徐閈)을 시조로 한다. 달성 서씨와 대구 서씨는 근원이 같다고 추측되지만 분파된 시기와 계대를 확실히 고증할 수 없다. 진위 이씨(振威李氏) 대동보(大同譜)에는 달성 서씨 시조 서진(晉)의 부친인 서무질(徐無疾)이 고려 고종 때 정순대부(正順大夫) 예의판서(禮儀判書)와 검교장군(檢校將軍)을 지낸 진위군(振威君) 진위 이씨(振威李氏) 이자영(李自英)의 사위이며, 밀직사(密直司) 종2품을 지낸 대구인(大邱人)이고 그의 부친은 판군기감(判軍器監)이라고 기록하고 있다.[1]

달성 서씨는 판도공파 또는 향파(鄕派)라 하고, 대구 서씨는 소윤공파 또는 경파(京派)라 한다. 두 파는 1702년(숙종 28년)에 처음으로 족보를 함께 하여 임오보(壬午譜)를 만들었으나 1736년(영조 12년)에 경파만이 단독 족보를 만들어 대구 서씨로 갈라섬으로써 양파가 족보를 달리하게 되었다. 임오보에서 판도공파(달성 서씨) 계보 서두에 기록된 원문에 "같은 관향인데 세대가 멀고 보첩으로 증명할 수 없어 능히 알지 못하므로 본보에 섞어서 기록하지 못하고 별보로 하여 책 끝에 붙인다"라고 하였다. 과거에 본관을 혼용하여 사용하였기 때문에 대구 서씨인데도 호적에는 본관이 달성으로 등재되어 있기도 하고, 달성 서씨인데도 호적에는 본관이 대구로 등재되어 있기도 하다. 조선 시대 방목 등 각 문헌에 대구 서씨 인물들의 관향이 달성으로도 되어 있다.[1]

4. 서씨 분파

달성 서씨는 판도공파 또는 향파(鄕派)라고 하고, 대구 서씨는 소윤공파 또는 경파(京派)라고 한다. 두 파는 1702년(숙종 28년)에 처음으로 족보를 함께 하여 임오보(壬午譜)를 만들었으나, 1736년(영조 12년)에 경파만이 단독 족보를 만들어 대구 서씨로 갈라섬으로써 양 파가 족보를 달리하게 되었다.[1] 임오보에서 판도공파(달성 서씨) 계보 서두에 기록된 원문은 다음과 같다. "版圖公派亦系達城必是同貫而世代已遠譜牒無徵未能明知故不敢渾錄於本譜姑爲別譜以附篇末(같은 관향인데 세대가 멀고 보첩으로 증명할 수 없어 능히 알지 못하므로 본보에 섞어서 기록하지 못하고 별보로 하여 책 끝에 붙인다)"[1]

몽어(夢漁) 서문중 서상공(徐相公)은 대구 서씨 보(大丘 徐氏 譜 – 1702년간) 서문에서 서씨는 애당초 두 관적(貫籍)이 없었는데 뒤에 8파로 나뉘었으니 이천(利川), 달성(達城), 대구(大丘), 장성(長城), 연산(連山), 남평(南平), 부여(扶餘), 평당(平當), 남양(南陽), 당성(唐城)이 이것이라고 하였다.[1]

5. 인구 분포

달성 서씨는 1985년에 94,873가구, 398,363명, 2000년에 132,270가구, 429,353명, 2015년에는 407,431명으로 조사되었다.[2] 2015년 통계에 따르면, 달성 서씨는 많은 자치단체의 총인구 대비 비율이 1% 전후이며, 전국에서 총인구 대비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경상남도 함양군(624명, 총인구의 1.75%)이다.[2]

5. 1. 주요 집성촌

지역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대일동
대구광역시 동구 도동
대구광역시 북구 태전동 (이매)
울산광역시 울주군 범서읍
경상남도 고성군 영오면 오동리
경상남도 밀양시
경상남도 양산시 상북면 좌삼리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조산리
경상남도 의령군 정곡면 예둔리
경상북도 영천시 본촌동, 봉동, 작산동
경상북도 영천시 금호읍 어은리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구룡포읍 구평리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기계면 가안리[6]
경상북도 상주시 공성면 평천리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면 묵상리
경상북도 안동시 수하동
충청북도 청주시 북이면 장재리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
경상북도 청송군 파천면 지경리
전라북도 무주군 무풍면
전라남도 순천시 평촌리
전라남도 여수시 화양면
전라남도 여수시 조화리



2015년 통계에 따르면, 달성 서씨는 많은 자치단체의 총인구 대비 비율이 1% 전후이다. 전국에서 총인구 대비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경상남도 함양군(624명, 총인구의 1.75%)이다.[2]

6. 항렬자

19세20세21세22세23세24세25세26세27세28세29세30세31세32세33세34세35세36세37세38세39세40세
건(楗),


참조

[1]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20
[2] 웹사이트 본관분포 https://sgis.kostat.[...] 2023-02-24
[3] 간행물 대구부읍지 http://www.daegu.go.[...]
[4] 뉴스 대구 달성공원에서 보는 항일의 역사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5] 뉴스 김성회의 뿌리를 찾아서, 달성서씨 http://www.segye.com[...] 세계일보
[6] 문서 가천마을-의병장 서인찬(徐仁瓚) 의사와 항일의병 활동을 한 서중표(徐仲杓) 의사의 고향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