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송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청송군은 대한민국 경상북도에 위치한 군으로, 고구려 시대부터 역사가 시작되어 신라, 고려, 조선 시대를 거치며 현재에 이르렀다. 1424년 현재의 명칭으로 개칭되었으며, 1459년 도호부로 승격되기도 했다. 현재는 1읍 7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017년 기준 2만 6천여 명의 인구가 거주한다. 태백산맥의 지맥인 주왕산 등 험준한 산으로 둘러싸인 지역으로, 주왕산 국립공원, 주산지, 청송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등 수려한 자연경관과 다양한 문화 유적을 보유하고 있다. 청송사과와 청양고추 등의 특산물로도 유명하며, 서산영덕고속도로 개통으로 접근성이 향상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59년 폐지 - 파주군
파주군은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이어져 온 경기도의 군으로, 여러 행정구역 개편을 거쳐 1996년 파주시로 승격되며 소멸되었다. - 1459년 폐지 - 자성군
자성군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자강도에 위치하며 압록강을 경계로 중국과 접경하고 험준한 산악 지형과 대륙성 기후를 보이는 군으로, 조선시대에 설치와 폐지를 반복하다 1869년 재설치되어 일제강점기를 거쳐 1949년 자강도에 편입, 1952년 중강군, 화평군이 분리 신설되었고 현재 1읍, 1로동자구, 15리로 구성되었다. - 청송군 - 청송민속박물관
청송민속박물관은 1999년에 개관하여 하절기에는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동절기에는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관람 가능하며, 법정 공휴일 다음날, 1월 1일, 설날 및 추석 연휴에는 휴관한다. - 청송군 - 경상북도립청송공공도서관
경상북도립청송공공도서관은 경상북도에 있는 공공도서관이지만, 현재 도서관 관련 정보가 없어 연혁, 시설, 이용 안내는 알 수 없으며, 추후 정보가 업데이트될 예정이다.
청송군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청송군 |
현지 이름 | 청송군 |
현지 이름 (한글) | 청송군 |
현지 이름 (한자) | 靑松郡 |
로마자 표기 (Revised Romanization) | Cheongsong-gun |
로마자 표기 (McCune-Reischauer) | Ch'ŏngsong-gun |
![]() | |
![]() | |
방언 | 경상도 |
일반 정보 | |
국가 | 대한민국 |
지역 | 영남 |
면적 | 842.45 km² |
인구 | 31,313명 |
인구 밀도 | 37.2명/km² |
하위 행정 구역 | 1읍 7면 |
군목 | 소나무 |
군화 | 사과꽃 |
군조 | 꿩 |
행정 | |
상위 행정 구역 | 경상북도 |
행정 구역 분류 코드 | 37330 |
군수 | 윤경희 (국민의힘) |
국회의원 | 박형수 (국민의힘, 의성군·청송군·영덕군·울진군) |
군청 소재지 | 청송읍 군청로 51 (월막리 330) |
웹사이트 | 청송군청 홈페이지 |
2. 역사
청송군은 선사시대부터 사람이 살았던 흔적이 발견될 정도로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다.
1895년 갑오개혁으로 안동부 청송군이 되었다가, 1896년 8월 4일 13도 시행에 따라 경상북도 청송군이 되었다.[22][23]
1914년 4월 1일 일제의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진보군의 대부분(동면·북면 제외)이 청송군에 편입되어, 청송면, 현서면, 안덕면, 파천면, 진보면, 부동면, 부남면, 현동면의 8개 면을 관할하게 되었다.[24][25]
2. 1. 고대
고구려 시대에는 청기현(靑己縣)으로 불렸으며, 5세기경 고구려의 최남단 영토로서 신라와 국경을 접했다.[19] 경덕왕 16년(757년)에는 신라의 북방 진출로 복속되어 적선현(積善縣)으로 개칭되었고, 야성군(野城郡)의 영현(領縣)이 되었다.[19]2. 2. 고려 시대
고려 태조 원년(918년)에는 부이현(鳧伊縣) 또는 운봉현(雲鳳縣)으로 불렸다가, 성종 1년(982년)에 청부현(靑鳧縣)으로 개칭되어 예주 임내(任內)에 속했다.[19]2. 3. 조선 시대
- 조선 태조 3년(1394년)에 청보현(靑寶縣)이 되었다.
- 세종 즉위년(1418년) 이조판서가 소헌왕후의 친정 고향인 청보현을 군으로 승격시킬 것을 상소하여, 그해 9월 26일 조정에서 진보현과 청보현을 합쳐 청보군(靑寶郡)으로 승격시켰다. 당시 조선의 행정체계에서 군수는 종 4품의 외관직이었으나, 매우 이례적으로 정3품 당상관인 통정대부 지청보군사(通政大夫 知靑寶郡事)를 배치하기로 결정하였고, 초대 지청보군사에 유공(柳恭)이 임명되었으며 동헌도 청부고을로 옮겨졌다.[19]
- 1424년(세종 6년) 10월 27일, 조정에서는 청보군의 동헌 위치가 군의 중심지가 아니고 한쪽에 치우쳐 있어, 이전 진보현 백성들의 동헌 왕래와 행정상의 불편함이 많다는 이유로 진보현을 분리 독립시키고 송생현(松生縣)을 합쳐 청송군(靑松郡)으로 개칭하였다. 이는 청보의 '청(靑)' 자와 송생의 '송(松)' 자를 따서 만든 이름이다.
- 1459년(세조 5년), 청송군을 도호부(都護府)로 승격시켰다. 세종실록지리지에 따르면 땅이 척박하고 옛 청부(靑鳧縣)의 인구가 217명, 옛 송생(松生縣) 인구가 343명으로, 모두 합쳐 인구가 1000명도 되지 않는 청송군을 경상도에서 김해도호부, 대구도호부 등 7곳밖에 없는 도호부로 승격시키는 것은 여러모로 무리가 있었다. 그러나 세조가 수양대군 시절부터 모후에 대한 효심이 컸고, 대숙청으로 강력한 왕권을 바탕으로 도호부 승격이 이루어졌으며, 1895년 갑오개혁 때 군으로 다시 환원되기 전까지 437년 동안 도호부가 유지되었다.[20] 이는 조선 왕조 500년 동안 반복된 왕명(세종·세조)으로 속현(屬縣)에서 도호부로 승격된 유일한 사례이다.[21]
-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갑오개혁에 따라 안동부 청송군으로 개편되었다.[22]
- 1896년 8월 4일, 13도 시행에 따라 경상북도 청송군으로 개편되었다.[23]
2. 4. 일제강점기
1914년 4월 1일 일제의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진보군 일원(동면·북면 제외)이 청송군에 편입되었다.[24][25]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
청송군 부내면(府內面) | 청송면 |
청송군 현서면(縣西面) | 현서면 |
청송군 현남면(縣南面) | |
청송군 현북면(縣北面) | 안덕면 |
청송군 현내면(縣內面) | |
청송군 현동면(縣東面) | 현동면 |
청송군 부동면(府東面) | 부동면 |
청송군 부남면(府南面) | 부남면 |
청송군 부서면(府西面) | 파천면 |
진보군 남면(南面) | |
진보군 서면(西面) | 진보면 |
진보군 상리면(郡內面) | |
진보군 하리면(東村面) |
2. 5. 대한민국
- 1973년 7월 1일 현서면 복동, 덕성동, 성재동이 안덕면으로 편입되었다.[26]
- 1979년 5월 1일 청송면이 청송읍으로 승격되었다.[27]
- 1983년 2월 15일 영양군 입암면 흥구동, 방전동 일부 지역이 진보면에 편입되었다.
- 1993년 12월 30일 군청사를 현재 위치로 이전하였다.[28]
- 2019년 3월 1일 부동면을 주왕산면으로, 부동면 이전리를 주산지리로 개칭하였다.[29]
3. 지리
청송군은 태백산맥의 지맥인 주왕산, 보현산 등 높은 산으로 둘러싸여 있고, 낙동강의 지류인 용전천이 흐르는 산간 지역이다. 대한민국 최대 퇴적 분지인 경상 분지에 있으며, 주왕산, 주산지, 신성계곡 등 경승지가 있다. 군내에는 구상 유문암 (화석) 산출지, 달기약수탕이라는 온천, 신성리 공룡 발자국 화석, 백석탄 등 지질 명소가 있어 2017년에 유네스코 세계 지질공원으로 지정되었다.[6][7]
3. 1. 지형
청송군 내에는 여러 산악이 솟아있으며, 특히 동쪽은 낙동정맥, 태백산맥, 주왕산 등 험한 산악 지대로 영덕군, 포항시와 경계를 이룬다. 남쪽은 보현산맥이 영천시와 경계를 형성한다. 보현산맥의 지맥인 삼도산맥이 군의 중앙을 횡단하여 동서로 흘러 연행산을 뻗어 안동시와 경계를 이루어 지형이 남북으로 양분된다.[30] 낙동정맥은 주왕산을 지나며 낙동강 수계와 동해로 유입되는 수계를 구분하는 분수계가 된다. 용전천은 부동면과 부남면에서 흐르는 지류를 합하여 청송읍과 파천면을 경유하여 영양군에서 진보면을 지나 임하댐으로 유입되는 반변천과 합류한다. 보현산맥에서 발원한 보현천은 현서면과 안덕면을 경유하여 현동면을 관류하는 지류를 합하여 임하댐으로 흐른다.[30] 지세는 대체로 동, 서, 북쪽에서 남쪽으로 뻗어나가면서 경사를 이루고, 토양은 경질 양토로 척박한 편이다.[30]3. 2. 기후
청송군은 습윤 대륙성 기후(쾨펜: ''Dwa'')를 보이지만, 영하 3℃ 등온선을 사용하면 습윤 아열대 기후(쾨펜: ''Cwa'')의 경계로 간주할 수 있다.[1][2] 연평균 기온은 11.2°C, 연 강수량은 967.2mm이다. (2011~2020년 평년값 기준)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 |
---|---|---|---|---|---|---|---|---|---|---|---|---|---|
최고 기온 기록 (℃) | 14.1°C | 22.7°C | 25.4°C | 31.5°C | 35.8°C | 36.6°C | 38.1°C | 38.1°C | 36.4°C | 30.8°C | 24.2°C | 17.3°C | 38.1°C |
평균 최고 기온 (℃) | 3.7°C | 6.6°C | 12.9°C | 18.8°C | 25°C | 27.8°C | 29.7°C | 30.4°C | 25°C | 19.8°C | 13°C | 5.1°C | 18.2°C |
평균 기온 (℃) | -2.8°C | -0.2°C | 5.2°C | 11°C | 16.8°C | 20.6°C | 24.1°C | 24.4°C | 18.6°C | 12.2°C | 5.8°C | -1.2°C | 11.2°C |
평균 최저 기온 (℃) | -8.8°C | -6.4°C | -1.8°C | 3.5°C | 9.1°C | 14.6°C | 19.7°C | 20.1°C | 14.2°C | 6.7°C | 0.2°C | -6.8°C | 5.4°C |
최저 기온 기록 (℃) | -21.4°C | -21.5°C | -10.3°C | -5°C | 0.8°C | 6°C | 12.4°C | 11.7°C | 4.1°C | -5.4°C | -9.5°C | -17.7°C | -21.5°C |
평균 강수량 (mm) | 16.8mm | 24.1mm | 46.4mm | 81.7mm | 56.7mm | 93.7mm | 196.6mm | 174.5mm | 137.6mm | 83.8mm | 37.6mm | 17.7mm | 967.2mm |
평균 강수일수 (≥ 0.1mm) | 4.7 | 4.6 | 8.0 | 9.4 | 7.6 | 8.8 | 14.4 | 14.7 | 10.3 | 6.3 | 7.1 | 5.6 | 101.5 |
평균 상대 습도 (%) | 59.1 | 58.8 | 60.1 | 61.4 | 64.9 | 72.5 | 81.2 | 81.5 | 82.6 | 78.8 | 72.6 | 62.3 | 69.7 |
평균 일조시간 | 184.1 | 175.4 | 216.7 | 209.3 | 244.2 | 183.2 | 151.3 | 163.7 | 130.5 | 162.3 | 139.9 | 168.6 | 2129.2 |
4. 지질
대한민국 최대의 퇴적 분지인 경상 분지에 위치하며, 주왕산, 주산지, 신성계곡 등 경승지가 있다. 군내에 구상 유문암 (화석) 산출지, 달기약수탕이라는 온천, 신성리 공룡 발자국 화석, 백석탄 등 지질 명소가 있어 2017년에 유네스코 세계 지질공원으로 지정되었다.[6][7]
4. 1. [[청송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청송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은 대한민국 최대의 퇴적 분지인 경상 분지에 위치하며, 주왕산, 주산지, 신성계곡 등 경승지가 있다. 군내에 구상 유문암 (화석) 산출지, 달기약수탕이라는 온천, 신성리 공룡 발자국 화석, 백석탄 등 지질 명소가 있어 2017년에 유네스코 세계 지질공원으로 지정되었다.[6][7] 청송 송강리 습곡구조, 백석탄, 만안자암 단애, 청송 신성리 공룡발자국 화석산지 등이 청송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의 지질유산에 포함된다.
5. 정치
청송군의 군수는 더불어민주당 소속 윤경희 군수이다. 윤경희 군수는 군민과의 소통을 강조하며, 지역 경제 활성화와 군민 복지 증진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청송군은 국민의힘 지지세가 강한 경상북도 내에서도 더불어민주당 소속 군수가 재선에 성공한 지역이라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5. 1. 역대 국회의원
청송군의 국회의원 문서를 참고하라.5. 2. 역대 군수
청송군수 문서를 참고하라.6. 행정 구역
청송군의 행정 구역은 1읍 7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면적은 846.05 km²이다.[31] 2017년 12월 말 주민등록 기준으로 인구는 26,006명, 13,562 가구이다. 이 중 25.5%가 진보면에, 21%가 청송읍에 거주한다. 1967년에는 87,725명으로 정점을 이루다가 이후 인구가 급감하였다.[32]
읍면 | 한자 | 면적 (km²) | 세대 | 인구 (명) |
---|---|---|---|---|
청송읍 | 靑松邑 | 82.42 | 2,491 | 5,518 |
주왕산면 | 周王山面 | 132.99 | 1,021 | 1,975 |
부남면 | 府南面 | 122.50 | 1,321 | 2,559 |
현동면 | 縣東面 | 78.72 | 1,042 | 2,188 |
현서면 | 縣西面 | 112.58 | 1,312 | 2,670 |
안덕면 | 安德面 | 107.82 | 1,446 | 2,744 |
파천면 | 巴川面 | 99.52 | 978 | 1,882 |
진보면 | 眞寶面 | 109.47 | 3,274 | 6,687 |
청송군 | 靑松郡 | 846.05 | 13,510 | 26,225 |
7. 인구
靑松郡|청송군중국어의 인구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고령화 현상이 심각하다.[33]
연도 | 총인구 |
---|---|
1960년 | 74,153명 |
1966년 | 87,030명 |
1970년 | 81,855명 |
1975년 | 81,539명 |
1980년 | 64,520명 |
1985년 | 56,225명 |
1990년 | 43,756명 |
1995년 | 35,061명 |
2000년 | 31,302명 |
2005년 | 26,630명 |
2010년 | 24,008명 |
2013년 | 26,470명 |
2017년 | 26,223명 |
8. 문화·관광
청송군은 수려한 자연경관과 다양한 문화 유적을 보유하고 있어 관광객들에게 인기가 높다.
8. 1. [[청송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청송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에는 청송 송강리 습곡구조, 백석탄, 만안자암, 신성리 공룡발자국, 주왕산 등 다양한 지질유산이 있다.[6][7]8. 2. [[주왕산]]
주왕산은 청송군과 영덕군에 걸쳐 있는 해발 720.6m의 산으로, 1976년 3월 30일에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청송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의 일부이며, 풍화와 침식에 강한 백악기 경상 누층군 유천층군의 중성~산성 화산암류로 구성되어 있다.[4]8. 3. 문화 시설
8. 4. 천연기념물
8. 5. 특산물
; 청양고추1983년 《중앙종묘》의 유일웅 박사가 개발하였으며, 청송군과 영양군 고추 재배 농가를 대상으로 3년간 연구 및 시험 재배를 거쳐 청송군의 '청'과 영양군의 '양'을 따서 "청양고추"라고 이름 지었다.[34] 청양고추의 매운 정도는 4,000~1만2,000 스코빌에 이른다.
; 청송사과
1924년 독립운동가이자 농촌운동가, 종교인인 밀양인 박치환 장로가 현서면 덕계리에 사과 묘목을 보급하면서 청송사과가 청송군 전체에 전파되었다.[35] 경상북도 내륙에 위치한 청송은 전국 최고의 청정 공기와 맑은 물이 흐르는 지역이다. 연평균 기온은 12.6°C로 사과 재배에 적당하며, 생육 기간 중 일교차는 13.4°C로 육질의 치밀함과 색깔, 당도 향상에 유리하다. 낙동강 상류의 비가 적게 내리는 지역이라 4~11월 일조시간이 1,520시간으로 일조량이 풍부하여 고운 빛깔의 사과를 만드는 데 천혜의 자연조건을 갖추고 있다. 청송군에서 사과 재배가 차지하는 비중은 농업 생산액의 28% 정도로, 단일 작목으로는 최고 수준이다. 1994년 12월 1일 상표 등록을 하여 브랜드화를 하였다.[35] 청송군은 사과와 청송 인근의 유명한 교도소로 한국인들에게 알려져 있다. 청송 사과는 대한민국 및 서울에서 소비되는 사과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며, 원래 다양한 종류의 사과를 생산했지만 현재는 주로 한국 품종인 '선셋'을 생산한다.
9. 교통
2016년 서산영덕고속도로 (청송 나들목, 동청송영양 나들목) 개통으로 서울에서 2시간대에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1] 주왕산, 주산지를 방문하려면 청송 나들목에서 내리면 되고 진보면에 있는 신촌약수탕을 방문하려면 동청송영양 나들목에서 내리면 된다.[1]
왕복 2차선(일부 구간 4차선)의 국도 제31호선((포항) - 현동면 - 진보면 - (영양)), 국도 제34호선((안동) - 진보면 - (영덕)), 국도 제35호선((영천) - 현서면 - (안동))이 청송군을 관통한다.[1] 철도는 없으며,[1] 경북내륙선이 청송을 관통하며 청송역이 예정되어 있다.[1] 경북내륙선이 개통되면 영덕, 안동은 물론 대구광역시, 서울특별시 (김천역 경유)로의 접근도 편해진다.[1]
서울 동서울터미널에서 청송을 경유해서 주왕산까지 오는 버스가 1일 6회 운행되고 있다.[1] 운행 시간은 다음과 같다.[1]
구분 | 동서울 출발 → 청송 도착 | 청송 출발 → 동서울 도착 |
---|---|---|
1 | 06:30 | 08:20 |
2 | 08:40 | 10:30 |
3 | 10:20 | 13:00 |
4 | 12:00 | 14:08 |
5 | 15:10 | 15:40 |
6 | 16:40 | 17:05 |
10. 교육 기관
청송군에는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가 있다.
학교 종류 | 학교명 | 소재지 | 비고 |
---|---|---|---|
초등학교 | 청송초등학교 | 청송읍 중앙로 229-10 | |
이전초등학교 | 주왕산면 부동로 1011-74 | ||
부남초등학교 | 부남면 부남로 509 | ||
도평초등학교 | 현동면 청송로 2679 | ||
화목초등학교 | 현서면 구산동로 21 | ||
안덕초등학교 | 안덕면 노하길 35 | ||
파천초등학교 | 파천면 안파로 1357 | ||
진보초등학교 | 진보면 진보로 149 | ||
중학교 | 청송중학교 | 청송읍 금곡1길 13 | |
청송중학교 부동분교 | 주왕산면 부동로 1011-28 | ||
진보중학교 | 진보면 진성로 25 | ||
구천중학교 | 부남면 부남로 523 | ||
현서중학교 | 현서면 구덕길 74 | ||
안덕중학교 | 안덕면 안덕로 65-3 | ||
진성중학교 | 진보면 못안길 33 | ||
현동중학교 | 현동면 청송로 2686 | ||
청송여자중학교 | 청송읍 군청로 69 | ||
고등학교 | 청송고등학교 | 청송읍 금곡1길 13 | |
안덕고등학교 | 안덕면 안덕로 65-3 | 2016년 현서고등학교와 통합 | |
진보고등학교 | 진보면 진성로 25 | ||
청송여자고등학교 | 청송읍 군청로 69 | 사립 | |
청송자동차고등학교 | 부남면 대전로 66 | 사립 |
10. 1. 고등학교
학교명 | 소재지 | 비고 |
---|---|---|
청송고등학교 | 청송읍 금곡1길 13 | |
안덕고등학교 | 안덕면 안덕로 65-3 | 2016년 현서고등학교와 통합 |
진보고등학교 | 진보면 진성로 25 | |
청송여자고등학교 | 청송읍 군청로 69 | 사립 |
청송자동차고등학교 | 부남면 대전로 66 | 사립 |
10. 2. 중학교
학교명 | 소재지 | 비고 |
---|---|---|
청송중학교 | 청송읍 금곡1길 13 | |
청송중학교 부동분교 | 주왕산면 부동로 1011-28 | |
진보중학교 | 진보면 진성로 25 | |
구천중학교 | 부남면 부남로 523 | |
현서중학교 | 현서면 구덕길 74 | |
안덕중학교 | 안덕면 안덕로 65-3 | |
진성중학교 | 진보면 못안길 33 | |
현동중학교 | 현동면 청송로 2686 | |
청송여자중학교 | 청송읍 군청로 69 |
10. 3. 초등학교
학교명 | 소재지 |
---|---|
청송초등학교 | 청송읍 중앙로 229-10 |
이전초등학교 | 주왕산면 부동로 1011-74 |
부남초등학교 | 부남면 부남로 509 |
도평초등학교 | 현동면 청송로 2679 |
화목초등학교 | 현서면 구산동로 21 |
안덕초등학교 | 안덕면 노하길 35 |
파천초등학교 | 파천면 안파로 1357 |
진보초등학교 | 진보면 진보로 149 |
11. 시설물
12. 인물
13. 자매결연
청송군은 다음과 같은 단체들과 자매결연 관계를 맺고 있다.
국내 |
---|
변경 사항:
- 원문 소스에 템플릿이 있었으나, 이는 허용되지 않는 문법이므로 제거함.
- 하위 섹션(`=== 국내 ===`, `=== 국외 ===`) 내용은 이미 `sub-contents`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으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해 표에는 국내 단체 목록만 간략히 나열함.
13. 1. 국내
13. 2. 국외
참조
[1]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1991 ~ 2020)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6-07
[2]
웹사이트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3]
뉴스
"청양고추는 우리 것 (The Cheongyang pepper is ours)"
http://news.chosun.c[...]
Chosun Ilbo
2007-04-05
[4]
웹사이트
Simply stunning: 33 incredible Korean temples
http://www.cnngo.com[...]
CNN Go
2012-02-10
[5]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6]
웹사이트
CHEONGSONG UNESCO GLOBAL GEOPARK (Republic of Korea)
https://en.unesco.or[...]
2021-07-28
[7]
웹사이트
추천여행지 - 바람과 시간이 빚은 푸른 땅, 청송유네스코세계지질공원 {{!}} 문화체육관광부
https://www.mcst.go.[...]
2022-10-20
[8]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9]
간행물
朝鮮総督府令第111号(1913年12月29日)
[10]
간행물
道条例第2号(1914年3月16日)
[11]
간행물
大統領令第6542号
[12]
간행물
大統領令第9409号
[13]
간행물
郡条例第1377号
[14]
뉴스
http://yna.kr/AKR201[...]
[15]
웹사이트
청송군의 토지
http://www.cs.go.kr/[...]
[16]
웹사이트
청송군의 인구 추세
http://www.cs.go.kr/[...]
[17]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18]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19]
뉴스
관향(貫鄕) 청송(靑松)의 연혁(沿革)
https://web.archive.[...]
2012-08-19
[20]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21]
웹인용
437여년을 이어온 청송도호부
https://web.archive.[...]
2017-08-03
[22]
간행물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1895-05-26
[23]
간행물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08-04
[24]
간행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25]
간행물
도령 제2호
1914-03-16
[26]
간행물
대통령령 제6542호
[27]
간행물
대통령령 제9409호
[28]
간행물
군조례 제1377호
[29]
뉴스
http://yna.kr/AKR201[...]
[30]
웹인용
청송군의 위치
https://web.archive.[...]
2017-08-03
[31]
웹사이트
일반현황 > 토지
http://www.cs.go.kr/[...]
[32]
웹인용
청송군의 인구추세
https://web.archive.[...]
2017-08-03
[33]
문서
통계청, KOSIS 국가통계포털
[34]
뉴스
추품종개발 권위자 유일웅 홍초원 고추연구소 소장
https://news.naver.c[...]
파이낸셜 뉴스
2006-02-27
[35]
웹인용
청송사과 소개
https://web.archive.[...]
2017-08-03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무너지고 잠기고…대구 · 경북 피해 속출
“소멸 위기 극복·경제 효과”…‘무료 농어촌버스’ 전국 확산
경북 농민들 “미국 사과 수입? 검토도 하지 말라”
고향사랑기부 상반기 모금액 349억 원…지난해 1.7배
“장마철에 복구 공사도 못 해”…경북 산불 100일 이재민들
임시조립주택에 머무는 산불 이재민 어쩌나···경북, 폭염 대비책 강화
[현장영상] "떠 내려온 차량에서 모녀가" 반복되는 장마철 '고립 사고' 예방책은
초대형 산불 피해 경북 영덕·청송 ‘특별재생지역’ 지정
“살아남았지만 희망 없어”…경북 산불 피해 주민들이 상경한 이유
경북도, 70살 이상 어르신 대중교통 무료화
정부, 영남 산불 이재민에 의료급여 지원 시작
[D리포트] 산불 피해 복구에 지자체 '휘청'…빚내도 '될동말동'
경북 청송군 기상레이더 관측소 창고서 불…인명피해 없어
한지혜, 봉사부터 기부까지…경북 청송군 1000만원 기부 | JTBC 뉴스
5월19일 알림
4400여동 잿더미 되는 동안…‘비상소화장치’는 없었다
신성이엔지, 청송군 산불 피해 주민 돕기 위해 1000만원 기부
경북 산불 폐기물 154만t…“6월 말까지 처리”
경북 산불 피해 복구비 1조8310억원 확정…역대 최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