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달시 파켓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달시 파켓은 미국의 영화 평론가, 번역가, 배우이다. 칼레톤 대학교에서 러시아어를 전공하고 인디애나 대학교에서 응용언어학 석사 학위를 받은 그는, 1997년 고려대학교에서 영어를 가르치며 한국과 인연을 맺었다. 한국 영화 진흥 위원회 특별 고문, 웹사이트 Koreanfilm.org 개설, 씨네21 칼럼 기고 등 한국 영화 발전에 기여했으며, 2009년에는 한국 영화를 다룬 저서 《New Korean Cinema: Breaking the Waves》를 출간했다. 2019년에는 봉준호 감독의 영화 《기생충》의 영어 자막 번역을 맡았고, 영화 출연 및 드라마 출연 등 배우로도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어-영어 번역가 - 데보라 스미스
    데보라 스미스는 한강의 《채식주의자》 영어 번역으로 주목받은 한국 문학 번역가로, 배수아, 안도현, 반디 등의 작품을 번역하며 한국 문학의 세계화에 기여했다.
  • 한국어-영어 번역가 - 고원 (시인)
    고원은 일제강점기 혜화전문학교에서 문학 수업을 받고 6.25 전쟁에 참전한 후 전쟁의 비극과 인간의 고뇌를 시로 표현한 대한민국의 시인으로, 유네스코 장학생으로 유학 후 미국에서 교수 생활을 하였으며 타계 후 고원의 문학 세계를 기리는 추모 활동과 문학상 제정을 통해 그의 문학적 유산을 기리고 있다.
  • 미국의 번역가 - 호머 헐버트
    호머 헐버트는 미국의 교육자이자 선교사이자 언론인이자 역사학자이자 독립운동가로서, 육영공원 교사로 한국과 인연을 맺은 후 한글 연구 및 보급, 한국 역사와 문화 알리기, 고종의 외교 특사 활동, 헤이그 특사 파견 지원 등 대한제국의 독립을 위해 헌신했으며 대한민국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받았다.
  • 미국의 번역가 - 세일라 벤하비브
    세일라 벤하비브는 튀르키예 출신의 정치철학자이며, 문화의 순수성을 부정하고 다원주의와 세계시민주의의 양립을 주장하며, 저서로 『타자의 권리』 등이 있고 북미철학회상 등을 수상했다.
  • 미국의 영화 평론가 - 피터 보그다노비치
    피터 보그다노비치는 미국의 영화 감독, 각본가, 프로듀서, 배우, 평론가, 영화 역사가로, 《마지막 영화관》, 《왓츠 업, 독?》, 《페이퍼 문》 등의 작품으로 1970년대 뉴 할리우드 시대를 대표하는 감독 중 한 명이며, 영화 평론가로 활동하며 영화 역사에 대한 저술 활동을 하고 말년에는 배우로도 활동했다.
  • 미국의 영화 평론가 - 딘 마틴
    딘 마틴은 "쿨함의 왕"이라는 별칭으로 불리는 미국의 가수, 배우, 코미디언이자 영화 제작자로, 제리 루이스와 코미디 듀오로 활동하며 명성을 얻었고 솔로 활동으로도 성공했으며, 많은 히트곡과 TV 쇼를 통해 20세기 중반 대중적인 인기를 누렸다.
달시 파켓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달시 파켓
출생일1972년
출생지매사추세츠주, 미국
직업영화 평론가
대학교 강사
작가
학력칼턴 칼리지
인디애나 대학교
페이스북페이스북

2. 학력

학위학교전공
학사칼레톤 대학교러시아어[1]
석사인디애나 대학교응용언어학[1]


3. 경력

1997년 대학원에서 만난 한국인 친구들의 영향으로, 체코로 가려던 계획을 잠시 미루고 한국으로 와 고려대학교에서 영어를 가르치기 시작했다.[1]

1998년부터는 영화진흥위원회의 특별 고문이자 영어 편집자로 활동했다. 1999년에는 한국 영화를 해외에 소개하기 위한 웹사이트 Koreanfilm.org를 개설하여 운영하기 시작했다. 2003년부터 2011년까지는 한국의 대표적인 영화 주간지인 ''씨네21''에 정기적으로 칼럼을 기고하며 한국 영화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을 제공했다.

다양한 영화제에서도 활동했는데, 2006년에는 제10회 부천 판타스틱 영화제 심사위원을 맡았고, 2007년 9월에는 제8회 서울 국제영화제 국내경쟁부문 심사위원으로 참여했다. 2012년에는 제14회 서울국제청소년영화제 심사위원을 역임했다.

2009년에는 198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한국 영화의 흐름과 변화를 다룬 책 ''New Korean Cinema: Breaking the Waves''를 출판하여 한국 영화 연구에 기여했다.[2]

2010년 제15회 부산국제영화제 기간 중에는 한국 영화를 세계에 알린 공로를 인정받아 한국영화기자협회로부터 상을 받았다.[2][3][4][5][6]

2019년에는 세계적으로 큰 성공을 거둔 봉준호 감독의 영화 ''기생충''의 영어 자막 번역을 맡아 작품의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7] 같은 해, 한국 영화에 대한 기여와 부산과의 인연을 인정받아 부산 명예 시민으로 위촉되었다.[2]

현재 고려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며 후학을 양성하고 있다.

4. 저서


  • New Korean Cinema: Breaking the Waveseng (새로운 한국 영화: 파도를 넘다) (2009년) - 198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한국 영화의 변화를 다룬 책이다.

5. 번역 활동

2019년, 봉준호 감독의 영화 ''기생충''의 영어 자막 번역을 맡았다.[7]

6. 출연 작품

달시 파켓은 배우로서 여러 한국 영화드라마에 출연했으며, 영화 번역가로서도 활동하며 다수의 한국 영화 시나리오 번역 및 감수 작업에 참여했다.

6. 1. 영화

wikitext

연도제목배역/역할비고
2010원 나잇 스탠드로메르에피소드: "첫날밤"
2011댄스 타운카메오 출연
2012강철대오 : 구국의 철가방안드레이
돈의 맛로버트 알트만
무게전도사
2014산타바바라미국 에이전시
2017박열외신기자
2020도망친 여자외국인 관객
2021그대 너머에영문 번역
한낮의 침입자교수
승리호시나리오 번역 감수
모가디슈시나리오 번역 감수
2022복지식당번역
소설가의 영화영어 번역


6. 2. 드라마

연도제목배역방송사
2014쓰리 데이즈SBS
2021조선구마사요한 신부SBS


7. 개인사

파켓은 1998년에 부인 연현숙을 만나 3년간의 교제 끝에 결혼했다. 슬하에 두 아들을 두고 있다.[4]

참조

[1] 웹사이트 Discovering Korea through film http://www.koreahera[...] 2017-09-27
[2] 웹사이트 'Parasite' subtitle translator becomes Busan honorary citizen https://www.koreatim[...] 2022-08-12
[3] 웹사이트 American critic creates award for Korean indie films http://www.korea.net[...] 2017-09-27
[4] 웹사이트 Darcy Paquet: Advocate for Korean Indie Film https://koreana.or.k[...] 2017-09-27
[5] 웹사이트 Darcy PAQUET, Director of the Wildflower Film Awards Korea: "I want Korean independent films to be watched by more" http://koreanfilm.or[...] 2017-09-27
[6] 웹사이트 Translating subtitles is like translating poetry https://www.koreatim[...] 2017-09-27
[7] 웹사이트 Bong Joon-ho on weaving his personal memories into Parasite https://www.polygon.[...] 2020-02-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