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원 (시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원(1925–2008)은 충청북도 영동 출신의 시인으로, 동국대학교에서 국어국문학과 영문학을 전공하고 유네스코 장학생으로 런던 대학교에서 영어를 공부했다. 1964년 미국으로 건너가 아이오와 대학교에서 시 창작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뉴욕 대학교에서 비교 문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중 언어 시인으로서 캔자스시티 스타 시 문학상을 수상했고, 뉴욕 시립대학교 브루클린 칼리지에서 비교 문학을 가르쳤다. 1986년부터 2008년까지 문학 연구소인 굴마루의 소장과 문학세계의 편집인 겸 발행인으로 활동했으며, 재미 한국 문인 협회, 한국어문학회, 한국 문인 협회 등에서 문학상을 수상했다. 그는 시집, 수필집, 학술 서적, 번역 등 다양한 작품을 발표했으며, 2008년 사망 이후 추모 문학제가 열리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어-영어 번역가 - 데보라 스미스
데보라 스미스는 한강의 《채식주의자》 영어 번역으로 주목받은 한국 문학 번역가로, 배수아, 안도현, 반디 등의 작품을 번역하며 한국 문학의 세계화에 기여했다. - 한국어-영어 번역가 - 이원경 (극작가)
이원경은 1916년 출생하여 무대 미술가로 데뷔, 극작가, 연출가, 교육자로 활동하며 삼일로 창고극장을 열어 연극 발전에 기여했으며, 대한민국예술원상을 수상했다. - 영동군 출신 - 박범계
박범계는 대한민국의 법조인 출신 정치인으로, 제19·20·21·22대 국회의원(대전 서구 을)이자 제68대 법무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판사 출신으로 노무현 대통령 후보의 요청으로 정계에 입문하여 참여정부에서 청와대 비서관을 지냈고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 법제사법위원회 간사 등을 역임하며 여러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 영동군 출신 - 최순주
최순주는 일제강점기에 연희전문학교와 미국 뉴욕대학교에서 학위를 받고 연희전문학교 교수, 조선은행 총재, 재무부 장관 등을 역임했으며, 국회부의장으로서 사사오입 개헌안 가결을 선포했으나 신장병으로 사망했다. - 제주 고씨 - 고광헌
고광헌은 한겨레신문 기자, 대표이사 사장, 서울신문 사장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언론인이다. - 제주 고씨 - 고건
고건은 1961년 고등고시 합격 후 공직에 입문하여 전라남도지사, 여러 부처 장관, 서울특별시장, 국회의원, 국무총리를 역임하고 노무현 대통령 탄핵 소추 당시 대통령 권한대행을 지냈으며, 사회통합위원회 초대 위원장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공무원, 정치인이다.
고원 (시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고성원 |
필명 | 고원 |
출생일 | 1925년 12월 8일 |
출생지 | 일제강점기 조선 충청북도 영동군 |
사망일 | 2008년 1월 20일 |
국적 | 대한민국 |
직업 | 시인, 교수, 번역가, 언론인, 민주화 운동가 |
학력 정보 | |
문학 활동 | |
수상 내역 | |
가족 관계 | |
부모 | 부: 고명철, 모: 권인례 |
기타 정보 | |
영향을 받은 인물 | 김기림, 양주동, 피천득 |
2. 생애
고원은 1925년 12월 8일 충청북도 영동군에서 아버지 고명철과 어머니 권영순의 외아들로 태어났다. 동국대학교에서 국어국문학과 영문학을, 유네스코 장학생으로 런던 대학교 퀸 메리 칼리지에서 영어를 공부했다(1956년).[1]
1964년 미국으로 건너가 아이오와 대학교에서 학업을 이어갔으며, 시 창작 석사(M.F.A.) 학위를 받았다(1965년). 이중 언어 시인으로서 캔자스시티 스타 시 문학상(1966년)을 수상했다. 뉴욕 대학교에서 비교 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1974년).[2]
뉴욕 시립대학교 브루클린 칼리지에서 비교 문학을 가르쳤으며(1974–1977년), 재외 한인 저널을 통해 시집 《미루나무》 (1976년)를, 뉴욕 대학교 출판사를 통해 학술 서적 《다다에 나타난 불교적 요소(Buddhist Elements in Dada)》(1977년)를 출판했다. 로스앤젤레스로 이주한 후, 캘리포니아 대학교 리버사이드 캠퍼스(1987–1992년)와 캘리포니아 대학교 라번(1992-2006년)에서 가르쳤다.[3]
고원의 문학 활동은 브리지드 컬처 출판사에서 출판된 《시간표 없는 정거장》(1952년)으로 시작되었으며, 이후 다양한 시집, 수필집, 한국 시 번역, 학술 서적 및 에세이를 출판했다. 20세기 한국 시 선집인 《Contemporary Korean Poetry》는 141명의 한국 시인이 쓴 184편의 시를 소개했으며, 학자들과 번역가들은 이 책을 한국 시가 영어로 번역된 최초의 학술 출판물로 인정하는 경우가 많다.[4] 그의 번역에 대한 통찰력과 철학은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출판된 《Translation》(1977년)에 실린 그의 에세이 "한국 시 번역의 문제점(Problems in Translating Korean Poetry)"에 잘 나타나 있다.[5]
1986년부터 2008년까지, 고원은 문학 연구소인 《굴마루》의 소장, 《문학세계》의 편집인 겸 발행인으로 활동했다.[3] 그는 재미 한국 문인 협회로부터 재미 문학상(1993년), 한국어문학회로부터 평생 공로상(1997년), 한국 문인 협회로부터 해외 한국 문학상(2006년)을 수상했다.[1] 고원의 배우자 고영아와 그의 성장한 아들, 딸은 로스앤젤레스에 거주하고 있다.
2. 1. 유년기 및 청년기 (1925-1948)
고원은 1925년 12월 8일 충북 영동군 학산면 박계리 587번지에서 아버지 고명철, 어머니 권용순(호적명은 권인례)씨 사이에서 독자로 태어났다.[1] 본명은 고성원이었는데 사회인, 문인으로 활약하면서 가운데 글자를 빼고 고원이라는 이름을 썼다. 그가 태어난 1925년은 일제하에서 기독교 계통 학교의 학생들이 신사참배를 거부해 일본 당국과 기독교계가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을 때였다. 그는 시골의 중산층 가정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 학산에 있는 양산 보통학교에 다닐 때에는 장난끼가 심하고 명랑한 성격의 학생이었다. 동네에서나 학교에서나 친구들과 밝게 잘 어울리는 어린이었다.보통학교를 졸업한 후에는 부친의 직장을 따라 전주로 이사해서 전주 중고등학교를 졸업했다. 중학교에 다닐 때에는 당국에서 일본말만을 쓰도록 강요하는 게 싫어서 선생님의 눈을 피해 친구들과 일부러 더 한국말을 쓰곤 했었다. 어느 날엔가는 한국인 친구들을 모아놓고 학교 운동장 한구석에서 몰래 한국말을 하다가 들켜서 일주일간 정학처분을 받기도 했다. 그는 어려서부터 문학에 관심이 많았다. 혼자서 시를 쓰기도 하고 소설이나 수필을 쓰기도 했다. 책읽기를 좋아해서 문학서적이나 철학서적, 위인전 등 손에 잡히는대로 책을 읽고 감상문이나 독후감을 쓰기도 했다.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1945년 혜화전문 문학과에 입학했다. 혜화전문학교는 김기림, 양주동, 피천득 등 당대의 문인들이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었다. 고원은 이들 문인들을 찾아 혜화전문에 진학했고, 그곳에서 문학을 향한 열정을 마음껏 살릴 수 있었다. 김기림은 고원의 문학적 재능을 높이 사서 따로 개인교수를 해주었다. 시에 대한 것, 삶에 대한 것, 시인으로서 갖추어야 할 것 등을 가르치면서 고원이 한 사람의 훌륭한 문인이 되는 길로 인도해주었다. 양주동은“나는 국보급 천재다. 나를 이을 문단의 인재는 없다. 글쎄, 고원이라면 앞으로 내 뒤를 이을 수 있을지도 모르지”라고 말하곤 했고, 피천득은 “고원이야말로 청출어람이다. 나는 그의 스승이지만 도저히 고원을 따라갈 수는 없다”고 했다.
학교를 졸업하고 사회생활을 하는 중에도 고원은 김기림, 양주동, 피천득 등과 자주 만나고 어울렸다. 고원은 특히 김기림으로부터 시 개인지도를 받으면서 직계 제자로서 그가 납북된 것을 매우 안타까워했었다. 고원이 만든 첫 시집은 1946년에 발간한 <새움>이라는 시집으로, 습작시집이었다.
2. 2. 6.25 전쟁 시기 (1950-1953)
6.25가 터지자 '의용군'으로 인민군에 끌려갔던 고원은 거제도 수용소에서 2년을 보냈다. 그는 "자진신고 형식의 절차를 밟고, 또 신분이 확실해서 곧 풀려날 줄 알았는데, 인천을 거쳐 뱃길로 거제도까지 보내더라"고 회고했다. 2년 뒤 반공포로 석방으로 풀려나 부산에 온 그는, 피난 생활을 하고 있었던 문인들의 도움으로 직장을 얻었다.피난지 부산에서 장호, 이민영과 함께 3인 시집 《시간표 없는 정거장》을 간행하여 시인으로서 첫걸음을 내디뎠다. 고원은 이 시집에 실린 시들이 "서구 현대시에 성큼 다가가 나를 신 모더니스트 대열에 넣기도 했다"고 회고했다. 당시 아동잡지 '파랑새'를 간행하던 김용호 시인의 주선으로 이 잡지사에 기자로 취직하고, 그 뒤 국제신보에 들어가 신문기자로 일하다가 시인으로 정식 데뷔했다.
2. 3. 영국 유학 (1956-1957)
고원은 혜화전문과 동국대 전문부 문학과를 졸업하고 김기림 교수에게 배웠다.[1] 1956년부터 1957년까지 유네스코(UNESCO) 장학생으로 영국에 유학하여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영어를 수학하고, 옥스포드 대학교 현대영시 강습회를 수료했다.[1] 또한 런던 대학교 퀸메리대 영문학과에서 1년간 수료했다.[1]2. 4. 미국 유학 및 교수 활동 (1964-2006)
고원은 1964년 미국으로 건너가 아이오와 대학교에서 시 창작 석사(M.F.A.) 학위를 받았다(1965년).[2] 이중 언어 시인으로서 캔자스시티 스타 시 문학상을 수상했다(1966년).[2] 1974년 뉴욕 대학교에서 비교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2]뉴욕 시립대학교 브루클린 칼리지에서 비교 문학을 가르쳤으며(1974–1977년),[3] 로스앤젤레스로 이주한 후, 캘리포니아 대학교 리버사이드 캠퍼스(1987–1992년)와 캘리포니아 대학교 라번(1992-2006년)에서 가르쳤다.[3]
2. 5. 재미 한인 문단 활동 (1974-2008)
고원은 1974년부터 1984년까지 뉴욕에서 해외한민보 주필로 활동했다.[3] 같은 해 재미 김지하의 벗을 창설하고 대표를 맡았으며,[3] 1980년에는 한민련 회장을 역임했다.[3] 1986년부터 2008년까지는 로스앤젤레스에서 글마루문학원(시창작교실)을 창립하여 지도하고, 문예종합지 <<문학세계/The Literary Realm>>를 창간, 발행, 편집했다.[3]1988년부터 1990년까지 미주한국문인협회 회장 및 고문을 역임했고,[3] 1988년에는 장로교 장로 장립을 받았다.[3] 1995년에는 조국을 빛낸 해외동포상을 수상하고 서울특별시 명예시민이 되었다.[3] 2003년부터 2005년까지 세계한민족작가연합 고문을, 2004년부터 2008년까지 미주시인회의 상임고문을 지냈다.[3] 2005년에는 세계 한민족 작가연합 회장을 역임했으며, 미국 펜클럽 회원이었다.[3]
고원은 재미 한국 문인 협회로부터 재미 문학상(1993년), 한국어문학회로부터 평생 공로상(1997년), 한국 문인 협회로부터 해외 한국 문학상(2006년)을 수상했다.[1]
2. 6. 타계 (2008)
고원은 2008년 1월 20일에 타계했다.[8] 그의 타계를 슬퍼한 많은 미국인들과 재미 동포들이 여러 추모행사를 가졌다. 2009년 10월에는 뉴욕 Mid-Manhattan Library 주최로 추모 문학제가 19일부터 25일까지 일주일간 열렸으며, 2011년 7월에는 로스앤젤레스에서 미국 시인들과 한국 문인들이 함께 참여해 고원을 추모하는 문학제를 개최했다. 미주내 한인 동포사회에서도 고원기념사업회를 결성, 그가 발행하던 <문학세계>를 복간했으며 그의 이름을 딴 <고원문학상>을 제정, 우수한 문학서적을 출판한 문인들에게 매년 상금을 주고 있다.[1]3. 문학 활동
3. 1. 시 창작
고원은 1975년 '재미 시인 선집'(서울, 하서출판사)을 시작으로 다양한 시집에 참여했다. 1980년에는 재미 한국시인 7인집 '빛의 바다'(서울)에 참여했고, 1981년에는 광주 항쟁 시선 '아아, 광주여 무등산이여'(동경, 한양사)에 작품을 실었다. 1983년 재미한국 시인집 '빛이 타는 오월'(서울), 1992년 재미작가 3인 시선 (박남수, 고원, 마종기) '새소리'(서울, 삼성출판사)를 출간했다. 1994년 미주시조연구회의 '사막의 민들레'(서울, 나라), 1996년 미주 시조시인 협회의 '사막의 별'(서울, 가람출판사)에 참여했다. 1999년에는 재미 시인 6인집 '회귀선의 노을'(서울, 창작춘추사)과 세계 한민족 시인선 '2000년 시의 축제'(서울, 태학사)에 참여했다. 또한, 같은 해 세계 한민족 수필집 '새들은 하늘에 새길을 낸다'(서울, 신지성사)에도 참여했으며, 다수의 영시 사화집에도 작품을 발표했다.3. 2. 번역
3. 3. 문학 평론 및 연구
고은은 고원의 시집 《물너울》에서 "모국어에 대한 회귀적인 사랑"을 언급했다. 김규동은 고원의 시선 《나그네 젖은 눈》에서 "고원 시인의 40년"을 다루었다. 원형갑은 재미작가 3인 시선 《새노래》에서 "원기호태의 축제"를 논했다. 고명수는 《시간표 없는 정거장》의 문학사적 위치를 분석했다. 정병헌은 고원의 시조집 《새벽별》에서 "생활 속의 문학과 연륜"을 언급했다. 임창현은 고원의 《무화과 나무의 고백》에서 "컨페션, 그 진실과 심미"를 논했다.정효구는 《재미 한인 문학 연구》에서 "고원 시에 나타난 변모 과정"을 연구했다. 김경복은 "응결의 시학"을, 오윤정은 "전후 문제시인 연구—고원"에서 ‘물과 불의 이미지와 합일의 시학-고원 론’을 제시했다. S.E. Solberg는 "The Literature of Korean America"에서, Nan C.H. Yun은 "Butterflies' Pilgrimage Towards 'Some Other Time'"에서 고원의 문학을 다루었다.
4. 사회 참여 활동
고원은 여인소극장과 떼아틀 리블의 회원으로 활동하며 소극장 문동에 참가했다. 또한, 시극동인회 창립 동인으로서 시극 운동에 참여했다. 1954년에는 시지 《시작》을 창간하여 주간으로 활동하며 1956년까지 6집을 발간했다. 1961년부터 1964년까지는 국제 PEN 한국본부 사무국장을 역임했다.
1974년부터 1984년까지 뉴욕에서 해외한민보 주필을 맡았으며, 같은 해 재미 김지하의 벗을 창설하여 대표를 지냈다. 1980년에는 한민련 회장을 역임했다. 1986년부터 2008년까지 로스앤젤레스에 글마루문학원(시창작교실)을 창립하고 지도했다.
1988년부터 2008년까지 로스앤젤레스에서 문예종합지 《문학세계/The Literary Realm》를 창간, 발행, 편집인을 맡았다. 같은 해부터 1990년까지 미주한국문인협회 회장 및 고문을 역임하고, 장로교 장로로 장립되었다. 1995년에는 조국을 빛낸 해외동포상을 수상하고 서울특별시 명예시민이 되었다.
2003년부터 2005년까지 세계한민족작가연합 고문을 지냈으며, 2004년부터 2008년까지 미주시인회의 상임고문을 역임했다. 2005년에는 세계 한민족 작가연합 회장을 맡았고, 미국 펜클럽 회원이었다.
5. 수상 내역
- 캔자스시티 스타 시 부문상(Kansas City Star Poetry Award, 1966, 미국 아이오와 시인협회)[9]
- 미주문학상(1993, 미주한국문인협회)[9]
- 조국을 빛낸 해외동포상(1995)[9]
- 국어운동공로상(1997, 한글 학회)[9]
- 평생 공로상(1997, 한글 학회)[9]
- 시조 월드 시조문학상 대상(2003, 시조월드)[9]
- 해외 한국 문학상(2006, 한국 문인 협회)[9]
- 해외한국문학상(2007, 한국 문인 협회)[9]
- 한국 예술문학기금 번역상[9]
- 재미(在美) 한국 문학상, 재미 한국 문학가 협회(Korean-American Literature Association) (1993)[9]
6. 저서
- 시간표 없는 정거장, 시집(장호, 이민영 공저), 협동문화사, 1952
- 이율의 항변, 시집, 시작사, 1954
- 태양의 연가, 시집, 이문당, 1956
- 눈으로 약속한 시간에, 시집, 정신사, 1960
- <속삭이는 불의 꽃> 1964
- 오늘은 멀고, 시집, 동민문화사, 1965
- 기다림, 시집, 동창출판사, 1973
- <미루나무> 1976
- <북소리에 타는 별> 1979
- 물너울, 시집, 창작과 비평사, 1985
- 나그네 젖은 눈, 시집, 혜원출판사, 1989
- 3인시집 (박남수, 마종기와 함께) <새 노래> 1992
- <다시 만날 때> 1993
- <정> 1994
- <무화과나무의 고백> 1999
- <춤추는 노을> 2003
=== 시조집 ===
- <달 둘이 떠서> 1995, 시조집
- <새벽별> 2001, 시조집
=== 영시집 ===
- ''The Turn of Zero" 1974, 영시집
- "South Korean Poets of Resistance" (New York, Cross-Cultural Communications) 1980, 한국시 영역
- "With Birds of Paradise" 1984, 영시집
- "Some Other Time" 1990, 영시집
=== 번역 시집 ===
- D.H. 로렌스영어 <사랑의 시집>영어 1960, 번역 시집
- <영미 여류시인선>영어 1959, 번역 시집
- Contemporary Korean Poetry영어, 아이오와 대학 출판부,1970-12, (아이오와 대학 출판부를 통해 소개된 첫 한국시 영문 번역본), 한국시 영역
- "Voices in Diversity: Poets from Postwar Korea" (New York, Cross-Cultural Communications) 2001, 한국시 영역
=== 산문집 ===
=== 학술 저서 ===
- "Buddhist Elements in Dada: A Comparison of Takahashi Shinkichi, Tristan Tzara, and Their Fellow Poets" 1977, New York, New York University 출판부
- 더불어, 고원의 한국 시와 시조를 엮은 15권의 책이 대한민국 서울에서 출판되었다.
=== 전집 ===
- ''고원 전집''. 서울: 고요한 아침, 2006.[6]
6. 1. 시집
- 시간표 없는 정거장, 시집(장호, 이민영 공저), 협동문화사, 1952
- 이율의 항변, 시집, 시작사, 1954
- 태양의 연가, 시집, 이문당, 1956
- 눈으로 약속한 시간에, 시집, 정신사, 1960
- <속삭이는 불의 꽃> 1964
- 오늘은 멀고, 시집, 동민문화사, 1965
- 기다림, 시집, 동창출판사, 1973
- ''The Turn of Zero" 1974, 영시집
- <미루나무> 1976
- <북소리에 타는 별> 1979
- "South Korean Poets of Resistance" (New York, Cross-Cultural Communications) 1980, 한국시 영역
- "With Birds of Paradise" 1984, 영시집
- 물너울, 시집, 창작과 비평사, 1985
- 나그네 젖은 눈, 시집, 혜원출판사, 1989
- "Some Other Time" 1990, 영시집
- 3인시집 (박남수, 마종기와 함께) <새 노래> 1992
- <다시 만날 때> 1993
- <정> 1994
- <달 둘이 떠서> 1995, 시조집
- <무화과나무의 고백> 1999
- <새벽별> 2001, 시조집
- "Voices in Diversity: Poets from Postwar Korea" (New York, Cross-Cultural Communications) 2001, 한국시 영역
- <춤추는 노을> 2003
- ''고원 전집''. 서울: 고요한 아침, 2006.[6]
- 더불어, 고원의 한국 시와 시조를 엮은 15권의 책이 대한민국 서울에서 출판되었다.
- Contemporary Korean Poetry영어, 아이오와 대학 출판부,1970-12, (아이오와 대학 출판부를 통해 소개된 첫 한국시 영문 번역본), 한국시 영역
- D.H. 로렌스영어 <사랑의 시집>영어 1960, 번역 시집
- <영미 여류시인선>영어 1959, 번역 시집
- ''다다의 불교적 요소''. 뉴욕: 뉴욕 대학교 출판부, 1977.
- "한국 시 번역의 문제점." ''번역''. 뉴욕: 컬럼비아 대학교, 1977. 110-114.
- ''현대 한국 시''. 아이오와 시티: 아이오와 대학교 출판부. 1970.
- ''르네상스 시대의 한국 시인들''. 메릭: 크로스-컬처럴 커뮤니케이션즈. 1980.
- ''영(零)의 전환''. 메릭: 크로스-컬처럴 커뮤니케이션즈. 1974;2004.
- ''다양성의 목소리''. 메릭: 크로스-컬처럴 커뮤니케이션즈. 2001.
6. 2. 시조집
- ‘재미 시인 선집’ (서울, 하서출판사) 1975년[6]
- 재미 한국시인 7인집 ‘빛의 바다’ (서울) 1980년[6]
- 광주 항쟁 시선 ‘아아, 광주여 무등산이여’(동경, 한양사) 1981년[6]
- 재미한국 시인집 ‘빛이 타는 오월’ (서울)1983년[6]
- 재미작가 3인 시선 –박남수, 고원, 마종기 ‘새소리’(서울, 삼성출판사) 1992년[6]
- 미주시조연구회 ‘사막의 민들레’(서울, 나라) 1994년[6]
- 미주 시조시인 협회 ‘사막의 별’(서울, 가람출판사) 1996년[6]
- 재미 시인 6인집 ‘회귀선의 노을’ (서울, 창작춘추사) 1999년[6]
- 세계 한민족 시인선 ’2000년 시의 축제‘(서울, 태학사) 1999년[6]
- 세계 한민족 수필집 ‘새들은 하늘에 새길을 낸다’(서울, 신지성사) 1999년[6]
- 영시 사화집 다수[6]
- ''다다의 불교적 요소''. 뉴욕: 뉴욕 대학교 출판부, 1977.[6]
- "한국 시 번역의 문제점." ''번역''. 뉴욕: 컬럼비아 대학교, 1977. 110-114.[6]
- ''고원 전집''. 서울: 고요한 아침, 2006.[6]
- ''현대 한국 시''. 아이오와 시티: 아이오와 대학교 출판부. 1970.[6]
- ''르네상스 시대의 한국 시인들''. 메릭: 크로스-컬처럴 커뮤니케이션즈. 1980.[6]
- ''영(零)의 전환''. 메릭: 크로스-컬처럴 커뮤니케이션즈. 1974;2004.[6]
- ''다양성의 목소리''. 메릭: 크로스-컬처럴 커뮤니케이션즈. 2001.[6]
- 더불어, 고원의 한국 시와 시조를 엮은 15권의 책이 대한민국 서울에서 출판되었다.[6]
6. 3. 영시집
고원은 대한민국과 미국에서 다수의 시집을 출판하였다. 1975년 서울 하서출판사에서 '재미 시인 선집'을 출간하였고,[6] 1980년에는 재미 한국시인 7인집 '빛의 바다'를 서울에서 출간하였다.[6] 1981년에는 광주 항쟁을 다룬 시선집 '아아, 광주여 무등산이여'가 동경 한양사에서 출판되었다.[6] 1983년에는 재미한국 시인집 '빛이 타는 오월'이 서울에서 출간되었고,[6] 1992년에는 박남수, 마종기와 함께 '새소리'를 서울 삼성출판사에서 출간하였다.[6]1994년 미주시조연구회의 '사막의 민들레'가 서울 나라에서 출간되었고,[6] 1996년에는 미주 시조시인 협회의 '사막의 별'이 서울 가람출판사에서 출간되었다.[6] 1999년에는 재미 시인 6인집 '회귀선의 노을'이 서울 창작춘추사에서, 세계 한민족 시인선 '2000년 시의 축제'가 서울 태학사에서 각각 출간되었다.[6] 같은 해, 세계 한민족 수필집 '새들은 하늘에 새길을 낸다'가 서울 신지성사에서 출판되었다.[6]
고원은 영어로도 다수의 시집을 출판하였는데, ''다다의 불교적 요소''(뉴욕 대학교 출판부, 1977),[6] "한국 시 번역의 문제점."(''번역'', 컬럼비아 대학교, 1977),[6] ''현대 한국 시''(아이오와 대학교 출판부, 1970),[6] ''르네상스 시대의 한국 시인들''(크로스-컬처럴 커뮤니케이션즈, 1980),[6] ''영(零)의 전환''(크로스-컬처럴 커뮤니케이션즈, 1974, 2004),[6] ''다양성의 목소리''(크로스-컬처럴 커뮤니케이션즈, 2001) 등이 있다.[6]
2006년에는 '고원 전집'이 서울 고요한 아침에서 출간되었다.[6] 이 외에도 고원의 한국 시와 시조를 엮은 15권의 책이 대한민국 서울에서 출판되었다.[6]
6. 4. 번역 시집
고원은 대한민국 서울에서 한국 시와 시조를 엮은 15권의 책을 출판하였다.[6] ''현대 한국 시''(아이오와 대학교 출판부, 1970), ''르네상스 시대의 한국 시인들''(크로스-컬처럴 커뮤니케이션즈, 1980), ''영(零)의 전환''(크로스-컬처럴 커뮤니케이션즈, 1974, 2004), ''다양성의 목소리''(크로스-컬처럴 커뮤니케이션즈, 2001) 등이 출판되었다.6. 5. 산문집
6. 6. 학술 저서
- "Buddhist Elements in Dada: A Comparison of Takahashi Shinkichi, Tristan Tzara, and Their Fellow Poets" 1977, New York, New York University 출판부[6]
- ''다다의 불교적 요소''. 뉴욕: 뉴욕 대학교 출판부, 1977.[6]
- "한국 시 번역의 문제점." ''번역''. 뉴욕: 컬럼비아 대학교, 1977. 110-114.[6]
- ''현대 한국 시''. 아이오와 시티: 아이오와 대학교 출판부. 1970.[6]
- ''르네상스 시대의 한국 시인들''. 메릭: 크로스-컬처럴 커뮤니케이션즈. 1980.[6]
- ''영(零)의 전환''. 메릭: 크로스-컬처럴 커뮤니케이션즈. 1974;2004.[6]
- ''다양성의 목소리''. 메릭: 크로스-컬처럴 커뮤니케이션즈. 2001.[6]
고원은 한국 시와 시조를 엮은 15권의 책을 대한민국 서울에서 출판했다.[6] 그 외에도 책으로 엮지 않은 기행문(신문 연재), 수필, 문학평론, 문명 비평, 서평, 번역시 등을 한국과 필리핀, 일본, 미국에서 발표했다.[6]
6. 7. 전집
- Ko Won영어: ''Collected Works''. 5 vols. Seoul: Morning Calm, 2006.[6]
- Ko Won영어: ''Selected Poems''. Edited by Lee Seok. Seoul: Jisik-eul Mandeuneun Jisik, 2014.
- "Buddhist Elements in Dada." New York: New York University Press, 1977.
- "Problems in Translating Korean Poetry." ''Translation''.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1977. 110-114.
- ''Contemporary Korean Poems''. Iowa City: University of Iowa Press. 1970.
- ''Korean Poets of the Renaissance''. Merrick: Cross-Cultural Communications. 1980.
- ''The Turn of Zero''. Merrick: Cross-Cultural Communications. 1974;2004.
- ''Voices of Diversity''. Merrick: Cross-Cultural Communications. 2001.
- 대한민국 서울에서 고원의 한국 시와 시조를 엮은 15권의 책이 출판되었다.
7. 참고 문헌
참조
[1]
서적
고요아침
2006
[2]
서적
Contemporary Korean Poetry
The University of Iowa Press
1970
[3]
서적
Voices in diversity: poets from postwar Korea
Cross-Cultural Communications
2001
[4]
웹사이트
https://m.cafe.daum.[...]
2004-11-10
[5]
문서
Translation
Columbia University
1977
[6]
웹사이트
http://www.koreatime[...]
[7]
웹사이트
https://koreanlit.or[...]
[8]
뉴스
"[부고] 재미동포 고원 시인 별세"
http://www.seoul.co.[...]
2008-01-23
[9]
웹인용
해외한국문학상
http://www.ikwa.org/[...]
한국문인협회
2018-01-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