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타냥의 모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달타냥의 모험은 NHK 엔터프라이즈가 제작하고 각켄 홀딩스와 코래드가 공동으로 제작한 한일 합작 애니메이션이다. 알렉상드르 뒤마 페르의 소설 달타냥 이야기를 원작으로 하며, 유야마 쿠니히코가 감독을 맡았다. 프랑스를 배경으로 총사대에 들어가기 위해 파리로 상경한 달타냥과 아토스, 아라미스, 포르토스 삼총사의 모험을 그린다. 1987년에 일본에서 방영되었으며, 한국에서는 1989년에 방영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삼총사를 바탕으로 한 작품 - 삼총사 (2014년 영국 드라마)
알렉상드르 뒤마의 소설 《삼총사》를 원작으로 17세기 프랑스를 배경으로 루이 13세를 섬기는 삼총사 아토스, 아라미스, 포르토스와 정의로운 청년 달타냥이 왕과 국가를 지키기 위해 펼치는 모험과 우정을 그린 BBC의 액션 시대극 드라마이다. - 삼총사를 바탕으로 한 작품 - 삼총사 (뮤지컬)
알렉상드르 뒤마의 소설 《삼총사》를 원작으로 하는 뮤지컬 《삼총사》는 1928년 브로드웨이에서 초연된 이후 여러 차례 리바이벌되었고, 대한민국에서는 2009년 초연 이후 한국 정서에 맞게 각색되어 꾸준히 공연되고 있다. - 1980년대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 달려라 하니
1988년 KBS 2TV에서 방영된 이진주 작가의 만화 원작 애니메이션 《달려라 하니》는 어머니를 잃은 13세 소녀 하니가 육상선수로 성장하는 이야기와 주변 인물들과의 관계를 그리며, 이선희가 부른 주제가와 주민등록증 발급 등의 사회문화적 현상으로도 인기를 얻었다. - 1980년대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 아기공룡 둘리
김수정 작가의 만화에서 시작된 아기공룡 둘리는 고길동의 집에서 둘리와 친구들이 함께 살며 초능력과 타임머신을 통해 시공간을 넘나드는 이야기를 그린 작품으로,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되어 큰 인기를 얻었으며 사회적 논쟁에도 불구하고 한국 문화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 1987년 시작한 일본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 천계왕자 칭칭
천계왕자 칭칭은 롯데에서 1977년 출시한 초콜릿과 땅콩 웨이퍼 과자로, 동봉된 스티커로 인기를 끌었으며, 다양한 미디어 믹스와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지속적인 인기를 얻고 있다. - 1987년 시작한 일본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 작은 아씨들 (1987년 애니메이션)
루이자 메이 올컷의 소설 《작은 아씨들》을 원작으로 한 1987년 일본 TV 애니메이션 시리즈 《작은 아씨들》은 남북 전쟁 시대를 배경으로 마치 가의 네 자매와 가족, 이웃들의 이야기를 그리고 있으며, 원작을 각색하여 새로운 내용과 등장인물을 추가했다.
달타냥의 모험 - [영화]에 관한 문서 | |
---|---|
제목 | |
원어 제목 | 일본어: アニメ三銃士 로마자 표기: Anime San Jūshi 한국어: 애니메이션 삼총사 |
영어 제목 | The Three Musketeers |
기본 정보 | |
장르 | 모험 역사 연애 |
원작 | 알렉상드르 뒤마의 《삼총사》 |
애니메이션 정보 | |
종류 | TV 시리즈 |
감독 | 유야마 쿠니히로 |
각본 | 마유즈키 요시로 후지카와 케이스케 야마자키 하루야 시마타케 히로아키 히라노 야스시 후지모토 노리코 |
음악 | 고바야시 아키라 나카무라 노부요시 |
제작사 | 스튜디오 갸롯푸(일본) 세영동화(대한민국) |
방송사 | NHK 종합 텔레비전(일본) KBS 2TV(대한민국) |
방영 기간 | 1987년 10월 9일 ~ 1989년 2월 17일 (일본) 1989년 11월 27일 ~ 1990년 7월 2일 (대한민국) |
화수 | 52화 |
라이선스 제공 | 미국: RetroCrush |
관련 작품 | 영화: 《아라미스의 모험》 |
영화 정보 | |
제목 | 《애니메이션 삼총사 아라미스의 모험》 |
감독 | 유야마 쿠니히로 |
제작사 | 스튜디오 갸롯푸 |
개봉일 | 1989년 3월 11일 |
상영 시간 | 46분 |
라이선스 제공 | 미국: RetroCrush |
2. 제작
NHK 엔터프라이즈가 제작을 주도하고, 일본의 각켄 홀딩스(学研ホールディングス)와 한국의 광고 대행사 코래드(KORAD)가 공동으로 애니메이션 제작을 맡았다. 실제 애니메이션 제작은 일본의 스튜디오 갸롭(スタジオぎゃろっぷ)과 한국의 세영동화가 담당했다. 이 작품은 한일 합작 애니메이션으로, 방영 전부터 국회 질의 및 주간지 기사를 통해 화제를 모았다.
2. 1. 제작진
- 원안 - 알렉상드르 뒤마 페르 작 『달타냥 이야기』
- 감독 - 유야마 쿠니히코
- 캐릭터 디자인 - 오자키 신고
- 서브 캐릭터 디자인 - 츠지 하츠키
- 각색 - 몽키 펀치
- 미술 - 나카무라 코키、키노시타 카즈히로
- 녹음 - 시바 시게하루
- 음악 - 타나카 코헤이
-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 카네코 야스오
- 애니메이션 - KORAD(대한민국)、학연
- 애니메이션 협력 - 스튜디오 갸롭、세영 동화]]
- 제작:NHK 엔터프라이즈 (당시)
- 기획・제작:NHK
3. 등장인물
- '''달타냥''': 마츠다 타츠야가 성우를 맡았다. 프랑스 가스코뉴 출신의 귀족 청년으로, 총사대에 입대하기 위해 파리로 상경한다. 검술과 승마, 격투술에 능하며, 지혜와 기지도 뛰어나 삼총사와 함께 행동할 때 지휘를 맡기도 한다. 밀레디는 달타냥을 "아군으로 만들면 쓸모 있고, 적으로 돌리면 약간 까다로운 남자", "나이에 맞지 않게 지혜와 용기가 있는 자"라고 평가했다. 최종화에서는 철가면 사건의 포상으로 국왕에게서 코끼리와 상금, 휴가를 받고 고향에 금의환향한다.
- '''콘스탄스 보나시외''': 히다카 노리코가 성우를 맡았다. 파리의 재봉사 보나시외의 외동딸이자 안 왕비의 시녀이다. 달타냥에게 첫눈에 반해 그를 돕는다. 원작에서는 보나시외의 아내로 나오지만, 애니메이션에서는 미혼인 16세 소녀로 설정되었다.
- '''맨발의 장''': 타나카 마유미가 성우를 맡은 파리의 소년. 달타냥과 친형제처럼 지내며, 그의 위기를 여러 번 구한다. 위그노였던 어머니를 찾기 위해 파리에 왔으며, 보나시외의 제자가 되어 그를 "스승님"이라 부른다. 애니메이션에서는 어머니를 찾지 못하고 여행을 떠나지만, 영화판에서 재회한다.
- '''아토스''': 카미야 아키라가 성우를 맡았다.
- '''아라미스''': 야마다 에이코가 성우를 맡았다.
- '''포르토스''': 사토 마사미치(Masamichi Satoh)가 성우를 맡았다.
- '''루이 13세''': 타나카 히데유키가 성우를 맡았다.
- '''안 도트리슈''': 오카모토 마리가 성우를 맡았다.
- '''리슐리외 추기경''': 타나카 노부오가 성우를 맡았다.
- '''트레빌''': 겐다 텟쇼가 성우를 맡았다.
- '''로슈포르 백작''': 치바 시게루가 성우를 맡았다.
- '''자크''': 니시무라 토모미치가 성우를 맡았다.
- '''밀라디 드 윈터''': 히라노 후미가 성우를 맡았다.
- '''코비''': 타츠타 나오키가 성우를 맡았다.
- '''나레이션''': 사와다 토시코가 맡았다.
; 보나슈
: 성우 - 미네 메구미
: 파리 최고의 재봉사로 국왕의 옷도 만들며, 콘스탄스의 아버지. 상대의 몸에 닿지 않고도 치수를 잴 수 있지만, 이 점을 망송이 이용하기도 했다. 이 사건은 아라미스에게 복수의 수수께끼에 다가갈 계기를 제공한다.
: 원작의 인물상과는 대조적으로 선인으로 그려지지만, 여러 사건에 휘말리는 빈도가 많아 밀라디에게 최면술에 걸리거나, 딸에 대한 혐의로 친위대에 체포되거나, 손님인 여배우에게서 맡은 보석을 철가면에 도둑맞아 파산하거나, 유괴되어 쇠약해지는 등 험한 꼴을 당한다.
; 마르토
: 성우 - 미네 아츠코
: 보나슈 가문에서 오래 일한 가정부로, 일찍 어머니를 여읜 콘스탄스에게는 어머니와 같은 사람. 식객 신분인 달타냥과 장에게도 친절하며, 믿음직한 여성이다.
: 포르토스 왈, "마르토의 스튜는 최고!!"
: 보나슈가 여배우에게서 맡은 보석을 철가면에 도둑맞아, 그것을 되찾을 때까지 별거를 해야 했고, 일시적으로 갈라서게 된다.
; 로시난테
: 성우 - 타츠타 나오키
: 달타냥이 고향에서 데려온 애마. 당나귀와 같은 외모지만, 삼총사와 친위대의 말에 뒤지지 않는 튼튼한 다리를 자랑한다. 또한 적을 걷어차 쓰러뜨리는 다리 힘과 경찰견에 버금가는 후각을 가지고 있으며, 달타냥의 위기를 여러 번 구하는 등 대활약을 펼친다.
: 원작은 『돈 키호테』에 등장하는 주인공 돈 키호테의 애마다. 원작에서는 궁핍한 달타냥에 의해 일찍 팔려나가지만, 이 애니메이션에서는 마지막까지 행동을 함께 한다.
; 카피
: 성우 - 타츠타 나오키
: 리슐리외가 선물했고, 안 왕비가 자택에서 키우던 앵무새. 흉내 내는 솜씨가 뛰어나고 기억력도 좋아서, 처음에는 스파이로서 밀라디에게 이용당했지만, 나중에는 장의 애완동물이 되어, 로시난테와 마찬가지로 달타냥의 활약에 한몫한다.
: 암컷이며, 달타냥이 도버 해협에서 폭풍을 만났을 때, 선원들에 의해 바다의 신에게 산 제물로 바쳐질 뻔했다.
; 버킹엄(George Villiers, 1st Duke of Buckingham)
: 성우 - 이노우에 카즈히코
: 잉글랜드 왕국의 재상이며, 안 왕비의 옛 연인이다. 공작. 그녀를 잊지 못하고, 종종 몰래 파리로 찾아온다. 그 때문에, 왕비의 실각을 꾀하는 리슐리외의 음모에 이용된다.
: 모국에서는 세공인 오레일리(성우 - 야나다 키요유키)와 면식이 있으며, 그에게 일을 의뢰하기도 한다.
: 후에 안 왕비의 사신으로 위장한 밀라디에게 암살된다.
; 프랑수아
: 성우 - 코야스 타케히토
: 루이 13세의 동생 필립의 가정교사였으며, 아라미스(당시 르네)의 연인이기도 했다. 작중에서는 이미 고인.
: 아버지 다니엘 후작(성우 - 이케다 마사루)은 스위스에 거성을 둔 신교도로, 그는 생존해 있다.
: 6년 전, 철가면 일당의 습격을 받아 필립의 유모가 살해당했을 때, 맞서 싸우다 '낙타'라는 이명을 가진 적(맨슨)에게 살해당한다. 그의 소지품이었으며, 이때 빼앗긴 펜던트가 살해자를 특정하는 결정적인 단서가 되었다.
; 필립
: 성우 - 다나카 히데유키
: 철가면 아지트에서 가면을 쓰고 감금되어 있던 청년. 맨 얼굴은 국왕 루이 13세와 똑같이 생겼다.
: 그의 정체는 국왕의 쌍둥이 동생이며, 쌍둥이로 인한 후계자 문제가 일어나는 것을 두려워하여 변방으로 보내졌다. 그러나 6년 전에 철가면 일당에게 납치된다.
: 철가면의 계략으로 국왕이 된 후에는 밀라디의 꾐에 빠져 왕비와 리슐리외를 궁궐에서 쫓아낸다.
: 가혹한 반생을 보냈음에도 불구하고, 친형이자 철가면으로 투옥된 국왕을 처형하는 것은 밀라디에게 최면술을 걸려도 거절했으며, 음모가 발각되었을 때는 깨끗하게 죄를 갚으려고 했다. 처음에는 필립 처형을 목청껏 외치던 루이 13세였지만, 몰래 거절하는 모습을 목격한 아라미스의 증언을 듣고 생각을 바꿔 화해에 이른다.
; 내레이션
: 성우 - 사와다 토시코
: 달타냥의 할머니 배역도 겸하고 있다.
: 상황이나 장면 전개, 등장인물의 심리 등을 설명하는 외에, 제2화 이후의 시작 부분에서는 지난 회의 줄거리도 설명하고 있다.
3. 1. 주요 인물
- '''달타냥''': 마츠다 타츠야가 성우를 맡았다. 프랑스 가스코뉴 출신의 귀족 청년으로, 총사대에 입대하기 위해 파리로 상경한다. 검술과 승마, 격투술에 능하며, 지혜와 기지도 뛰어나 삼총사와 함께 행동할 때 지휘를 맡기도 한다. 밀레디는 달타냥을 "아군으로 만들면 쓸모 있고, 적으로 돌리면 약간 까다로운 남자", "나이에 맞지 않게 지혜와 용기가 있는 자"라고 평가했다. 최종화에서는 철가면 사건의 포상으로 국왕에게서 코끼리와 상금, 휴가를 받고 고향에 금의환향한다.
- '''콘스탄스 보나시외''': 히다카 노리코가 성우를 맡았다. 파리의 재봉사 보나시외의 외동딸이자 안 왕비의 시녀이다. 달타냥에게 첫눈에 반해 그를 돕는다. 원작에서는 보나시외의 아내로 나오지만, 애니메이션에서는 미혼인 16세 소녀로 설정되었다.
- '''맨발의 장''': 타나카 마유미가 성우를 맡은 파리의 소년. 달타냥과 친형제처럼 지내며, 그의 위기를 여러 번 구한다. 위그노였던 어머니를 찾기 위해 파리에 왔으며, 보나시외의 제자가 되어 그를 "스승님"이라 부른다. 애니메이션에서는 어머니를 찾지 못하고 여행을 떠나지만, 영화판에서 재회한다.
- '''아토스''': 카미야 아키라가 성우를 맡았다.
- '''아라미스''': 야마다 에이코가 성우를 맡았다.
- '''포르토스''': 사토 마사미치(Masamichi Satoh)가 성우를 맡았다.
- '''루이 13세''': 타나카 히데유키가 성우를 맡았다.
- '''안 도트리슈''': 오카모토 마리가 성우를 맡았다.
- '''리슐리외 추기경''': 타나카 노부오가 성우를 맡았다.
- '''트레빌''': 겐다 텟쇼가 성우를 맡았다.
- '''로슈포르 백작''': 치바 시게루가 성우를 맡았다.
- '''자크''': 니시무라 토모미치가 성우를 맡았다.
- '''밀라디 드 윈터''': 히라노 후미가 성우를 맡았다.
- '''코비''': 타츠타 나오키가 성우를 맡았다.
- '''나레이션''': 사와다 토시코가 맡았다.
3. 2. 삼총사
달타냥은 마츠다 타츠야, 콘스탄스 보나시외는 히다카 노리코, 장은 타나카 마유미가 목소리 연기를 담당했다. 아토스는 카미야 아키라, 아라미스는 야마다 에이코, 포르토스는 사토 마사미치가 담당했다. 루이 13세는 타나카 히데유키, 안 도트리슈는 오카모토 마리, 리슐리외 추기경은 타나카 노부오, 트레빌은 겐다 텟쇼, 로슈포르 백작은 치바 시게루, 자크는 니시무라 토모미치, 밀라디 드 윈터는 히라노 후미, 코비는 타츠타 나오키, 나레이션은 사와다 토시코가 담당했다.아토스는 총사대의 리더 격으로, 지혜롭고 인망이 두터운 인물이다. 달타냥 일행을 타이르거나 트레빌, 루이 13세 등 윗사람에게 진언하는 장면이 많다. 달타냥이 밀라디를 실제로는 처형하지 않았다는 것과 아라미스가 일시적으로 배신한 것이 본심이 아니라는 것을 가장 먼저 간파했다. 트레빌이 총사대 대장직을 사임했을 때, 후임 후보로 밀라디가 아토스의 이름을 가장 먼저 언급했을 정도이다. 로슈포르는 아토스를 "삼총사의 요"라고 평했으며, 그 때문에 "저 녀석을 쓰러뜨리면 삼총사는 뿔뿔이 흩어진다"는 계략으로 암살당할 뻔한 적도 있다. 철가면 사건에서는 혐의 조작으로 체포되지만, 음모 저지 시에 탈출하여 국왕 구출 후 왕궁에 복귀했을 때 멋진 말투로 리슐리외와의 화해에 응한다. 원작에서는 밀라디와 전 부부 관계이다.
아라미스는 총사대 중 한 명으로, 출신지는 노와지르 르 섹 마을이다. 금발을 허리까지 길게 늘어뜨린 미남이지만 사실은 남장을 한 여성이며, 본명은 "르네"이다. 그 사실을 알고 있는 것은 트레빌 대장 외에, 달타냥(벨 일 요새에서의 최종 결전 전까지는 몰랐음)과 장(초기에 우연히 목욕하는 것을 보았다. 남장을 한 이유에 대해서는 모름), 그리고 영화판에서 알현한 마리 드 메디시스 (루이 13세의 어머니. 성우 - 쇼지 미요코)뿐이다. 남장을 한 이유는 누군가에게 암살당한 연인 프랑수아의 죽음의 진상을 알기 위해서였지만, 사실은 철가면 사건과 크게 관련되어 있었다.
포르토스는 총사대 중 한 명으로, 대식가이며 먹는 것에 관한 언행이 많다. 옷차림에도 민감하며, 보나슈의 단골이기도 하다. 거한이며, 보나슈 가문의 2층 바닥을 맨손으로 뜯어내거나, 무기 대신 굵은 나무를 뽑아 휘두르는 등 괴력의 소유자이다.
3. 3. 프랑스 왕국
프랑스 왕국(프랑스 왕국)의 국왕 루이 13세(루이 13세 (프랑스 왕))는 부르봉 왕가(부르봉 왕조) 출신으로, 약간 질투심이 많은 면이 있다. 철가면 편에서는 쌍둥이 동생 필립이 존재한다는 것이 밝혀지며, 필립은 철가면을 쓰고 샤틀레 감옥에 수감되어 처형될 뻔하지만 달타냥, 포르토스, 아라미스 등의 활약으로 구출된다. 최종화 근처에서 필립과 형제로서 화해한다.안 도트리슈(안 도트리슈)는 스페인 왕국(스페인 왕국)의 스페인 합스부르크 왕가(스페인-합스부르크 왕조) 출신 전 왕녀로, 루이 13세의 왕비이다. 과거 연인인 버킹엄에게 국왕에게서 받은 목걸이를 넘겨준 탓에 달타냥이 영국으로 건너가게 되지만, 이 사건으로 달타냥의 총사대 입대가 허락된다. 철가면 사건 때에는 수녀원에 유폐되었다가 샤틀레 감옥에 수감되지만, 국왕 구출로 풀려난다.
리슐리외(리슐리외)는 프랑스 재상이자 추기경(추기경)으로, 프랑스와 적대하는 잉글랜드나 스페인을 경계하여 안 왕비를 냉대하고 루이 13세와의 사이를 이간질하려 한다. 하지만 이는 프랑스를 위한 것이었고,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는 도량도 가지고 있다. 밀라디의 폭주와 배신으로 관계를 끊으려 했으나, 달타냥에게 밀라디가 처형되었다는 말을 듣고 분노하는 등, 밀라디는 그에게 믿음직한 부하였다. 철가면 편에서는 밀라디의 배신으로 국왕의 자금을 횡령한 혐의로 아토스, 로슈포르와 함께 샤틀레 감옥에 수감되지만, 탈옥하여 왕궁으로 돌아온다.
트레빌은 총사대 대장이자 달타냥의 아버지와 총사 동료였으며, 달타냥과 같은 가스코뉴 출신이다. 엄격한 성격으로 달타냥을 엄하게 꾸짖었지만, 목걸이 사건 때 달타냥에게 삼총사를 동행시키고 파리로 돌아올 때도 배려하는 등 너그러운 면도 보였다. 철가면 편에서는 가짜 국왕 필립에게 항의하여 대장직을 사임하지만, 국왕 구출 후 복귀한다. 아라미스가 여성이라는 것을 알고 있는 유일한 인물이다.
로슈포르는 리슐리외(리슐리외)의 측근인 백작(백작)으로, 임무에 실패하는 경우가 많지만 리슐리외에게 절대적인 충성심을 가지고 있다. 리슐리외가 수감되었을 때 구출하려다 자신도 갇히게 되지만, 리슐리외는 그를 신뢰하여 감쌌다. 달타냥이 죽었다고 생각했을 때 눈물을 글썽였고, 프로그램 후반에는 달타냥 일행과 화해하여 벨-일 요새 전투에 함께 참전한다.
쥐사크는 로슈포르의 부하이며 호위대 검사 대장으로, 로슈포르와 함께 엉망진창인 일을 자주 겪는다. 철가면 사건 때에는 리슐리외를 버리고 적 측에 붙었지만, 진실이 폭로된 후에는 원래대로 돌아온다.
3. 4. 악역
리슐리외 추기경은 타나카 노부오가 성우를 맡았으며, 밀라디 드 윈터는 히라노 후미가 연기하였다. 밀레디는 수수께끼의 여성으로, 피리 등으로 동물을 조종하고 최면술을 사용하여 달타냥 일행을 여러 번 곤경에 빠뜨렸다. 총과 칼을 다루고 변장에도 능하며, 화약과 독약도 자유자재로 사용한다. 처음에는 리슐리외의 부하였으나, 달타냥에 의해 한 번 "살해"된 후 철가면과 함께 다시 나타나 "프랑스 국왕 바꿔치기"라는 음모를 꾸미고, 리슐리외를 배신한다. 달타냥의 자질을 높이 평가했으며, 적대 관계가 된 후에도 그의 실력을 인정하는 모습을 보였다. 사실 잉글랜드 출신 영국인으로, 과거의 일로 귀족과 왕족을 증오하게 되었고, 다양한 음모에 연루된다.밀레디는 페페라는 원숭이를 데리고 다녔는데, 페페는 빨간 프린지가 달린 금색 투구를 쓰고 있으며, 밀레디의 심부름을 하거나 최면술로 사람들을 미혹시키는 등 그녀의 음모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맨슨은 무라마츠 야스오가 성우를 맡았으며, 철가면의 암약으로 인한 파리의 소금 부족을 해결한 상인으로 위장했지만, 실제로는 "낙타"라는 이명을 가진 도둑이었다. 뱀처럼 분할 가능한 숨겨진 검을 다루며, 국왕 바꿔치기를 실행한 후에는 가짜 국왕 필립의 측근으로서 루브르 궁전을 장악한다. 프랑수아의 원수이기도 하며, 벨・일 요새 전투에서 아라미스에게 죽는다.
철가면은 사사오카 시게조가 연기한 프랑스 왕실 전복을 노리는 정체불명의 괴인이다. 냉철하고 계산적이며, 검술, 승마술, 격투술에 능하고 괴력을 지녔다. 유럽 각지의 귀족을 습격하여 금품을 강탈했으며, 아라미스의 약혼자도 그 습격으로 살해되었다. 밀레디와는 유대감으로 맺어져 있으며, 최종화에서 요새 폭발에 휘말려 생사가 불명확해졌다.
4. 줄거리
달타냥은 국왕의 머스킷 기병대 또는 추기경의 친위대에 들어가기 위해 가스코뉴 지방의 고향을 떠나 파리로 향한다. 도착하자마자 그는 아토스, 포르토스, 아라미스와 시비가 붙어 결투를 신청한다. 결투 중 국왕의 결투 금지령을 집행하러 온 추기경의 친위대에 의해 방해를 받는다. 그 후, 달타냥과 다른 기사들은 친구가 되어 "하나를 위한 모두, 모두를 위한 하나"라는 모토를 받아들인다.
1987년 5월 5일에 종합 텔레비전에서 방송된 25분 분량의 파일럿판. 달타냥 역은 후루카와 토시오가 맡았지만, 작중에서 히라노 후미가 연기한 밀라디와 직접 대면하는 장면은 없었다.
연속 방송판과는 다음과 같은 설정상의 차이점이 있다.
- 파일럿판 시점에서는 "아라미스는 남장을 하고 있다"는 설정이 없으므로, 아라미스는 (원작대로) 남성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 파일럿판에서도 아라미스 역은 야마다 에이코가 연기했다. 또한 아라미스에게는 술집에서 일하는 여자친구(샤르메인)가 있으며, 순찰 중에 그녀를 유혹하는 장면도 있다.
- 장과는 달타냥이 수색 중에 실수로 그의 집에 들어간 것이 계기가 되어 만난다. 부모는 모두 "전쟁에 휘말려 죽었다"고 말한다. 또한, 달타냥 일행을 "씨"를 붙여 부른다 (연속 방송판에서는 반말).
- 철가면의 맨얼굴은 루이 13세와 똑같고(성우도 같음), 쌍둥이 형이라고 칭하며 바뀐다. 하지만 아토스의 기지로 스스로 가짜임을 밝힌다.
1989년 3월 11일에 쇼치쿠 계열에서 공개되었다. 동시 상영은 야스히코 요시카즈 원작, 감독의 「비너스 전기」였다. TV판 방송 당시부터 인기 No.1 캐릭터인 아라미스를 주역으로, TV판에서는 깊이 다루지 않았던 그녀의 과거와 새로운 음모와의 싸움을 그린다. TV판에서 다 하지 못했던 에피소드도 포함하여, 시리즈 완결판의 의미도 있지만, 제작 기간 등의 관계상 상영 시간이 짧은 46분이다.
; 출연진
; 스태프
- 감독 - 유야마 쿠니히코
- 각본 - 타나미 야스오
- 원작 - 알렉상드르 뒤마
- 번안 - 몽키 펀치
- 제작 - 후루오카 히로시, 코이케 테이조
- 프로듀서 - 쿠보타 히로시, 카네코 야스오
- 애니메이션 제작 - 스튜디오 갤럽
- 캐릭터 디자인 - 오자키 신고
- 작화 감독 - 츠지 하츠키
- 미술 감독 - 나카무라 미츠키
- 음악 감독 - 타나카 코헤이
- 주제가 - 사카이 노리코
- 크리에이터 - 츠지 하츠키
4. 1. 초반 줄거리
달타냥은 국왕의 머스킷 기병대 또는 추기경의 친위대에 들어가기 위해 가스코뉴 지방의 고향을 떠나 파리로 향한다. 도착하자마자 그는 아토스, 포르토스, 아라미스와 시비가 붙어 결투를 신청한다. 결투 중 국왕의 결투 금지령을 집행하러 온 추기경의 친위대에 의해 방해를 받는다. 그 후, 달타냥과 다른 기사들은 친구가 되어 "하나를 위한 모두, 모두를 위한 하나"라는 모토를 받아들인다.4. 2. 중후반 줄거리
달타냥은 국왕의 머스킷 기병대 또는 추기경의 친위대에 들어가기 위해 가스코뉴 지방의 고향을 떠나 파리로 향한다. 도착하자마자 그는 아토스, 포르토스, 아라미스와 시비가 붙어 결투를 신청한다. 결투 중 국왕의 결투 금지령을 집행하러 온 추기경의 친위대에 의해 방해를 받는다. 그 후, 달타냥과 다른 기사들은 친구가 되어 "하나를 위한 모두, 모두를 위한 하나"라는 모토를 받아들인다.4. 3. 극장판: 아라미스의 모험
1989년 3월 11일에 쇼치쿠 계열에서 공개되었다. 동시 상영은 야스히코 요시카즈 원작, 감독의 「비너스 전기」였다. TV판 방송 당시부터 인기 No.1 캐릭터인 아라미스를 주역으로, TV판에서는 깊이 다루지 않았던 그녀의 과거와 새로운 음모와의 싸움을 그린다. TV판에서 다 하지 못했던 에피소드도 포함하여, 시리즈 완결판의 의미도 있지만, 제작 기간 등의 관계상 상영 시간이 짧은 46분이다.; 출연진
; 스태프
5. 방영 목록
wikitext
회차 | 부제 | 방영일 | 방영일 | 「삼총사 기행 코너(三銃士紀行コーナー)」의 BGM |
---|---|---|---|---|
1화 | 象のいるパリ(코끼리가 있는 파리) | 1987년 10월 9일 | 1989년 11월 27일 | 「별에 소원을(星に願いを)」 (노래: 나가야마 요코(長山洋子)) |
2화 | ロンドンからの手紙(런던으로부터의 편지) | 1987년 10월 16일 | 1989년 11월 28일 | |
3화 | パリの三銃士(파리의 삼총사) | 1987년 10월 23일 | 1989년 12월 4일 | |
4화 | ダルタニャンのお風呂屋さん(달타냥의 목욕탕) | 1987년 10월 30일 | 1989년 12월 5일 | |
5화 | ラブレターの罠(러브레터의 함정) | 1987년 11월 6일 | 1989년 12월 11일 | |
6화 | パリの大逃走(파리의 대도주) | 1987년 11월 13일 | 1989년 12월 12일 | |
7화 | ダルタニャンの引っ越し(달타냥의 이사) | 1987년 11월 20일 | 1989년 12월 18일 | |
8화 | アラミス救出作戦(아라미스 구출 작전) | 1987년 12월 4일 | 1989년 12월 19일 | 「하늘색 피어스(空色のピアス)」 (노래: 와타나베 노리코(渡辺典子)) |
9화 | はだしのジャンのお母さん(맨발의 장의 어머니) | 1987년 12월 11일 | 1989년 12월 25일 | |
10화 | 狩りはベルサイユで(사냥은 베르사유에서) | 1987년 12월 18일 | 1989년 12월 26일 | |
11화 | 折れた剣(부러진 검) | 1988년 1월 8일 | 1990년 1월 1일 | |
12화 | あこがれの銃士(동경하는 총사) | 1988년 1월 22일 | 1990년 1월 2일 | |
13화 | スパイは誰だ(스파이는 누구인가) | 1988년 1월 29일 | 1990년 1월 8일 | |
14화 | パリ脱出(파리 탈출) | 1988년 2월 5일 | 1990년 1월 9일 | |
15화 | 危険な旅(위험한 여행) | 1988년 2월 12일 | 1990년 1월 15일 | 「별들의 이노센스(星屑のイノセンス)」 (노래: 이토 카즈에(伊藤かずえ)) |
16화 | 急げ!ダルタニャン(서둘러! 달타냥) | 1988년 3월 4일 | 1990년 1월 16일 | |
17화 | 一人はみんなのために(한 사람은 모두를 위해) | 1988년 3월 11일 | 1990년 1월 22일 | |
18화 | ダルタニャンのお葬式(달타냥의 장례식) | 1988년 3월 18일 | 1990년 1월 23일 | |
19화 | 港のすれ違い(항구의 엇갈림) | 1988년 3월 25일 | 1990년 1월 29일 | |
20화 | ダルタニャン海を渡る(달타냥, 바다를 건너다) | 1988년 4월 8일 | 1990년 1월 30일 | |
21화 | 王妃のダイヤモンド(왕비의 다이아몬드) | 1988년 4월 15일 | 1990년 2월 5일 | |
22화 | ロンドン塔の大烏(런던 타워의 큰 까마귀) | 1988년 4월 22일 | 1990년 2월 6일 | 「KNOCK YOUR CHANCE」 (노래: BEE PUBLIC) |
23화 | ロンドン塔脱獄(런던 타워 탈옥) | 1988년 5월 6일 | 1990년 2월 12일 | |
24화 | ミレディーの逆襲(밀라디의 역습) | 1988년 5월 13일 | 1990년 2월 13일 | |
25화 | ドーバーの嵐(도버의 폭풍) | 1988년 5월 20일 | 1990년 2월 19일 | |
26화 | ルーブルの大舞踏会(루브르의 대무도회) | 1988년 5월 27일 | 1990년 2월 20일 | |
27화 | はじめてのデート(처음 데이트) | 1988년 6월 3일 | 1990년 2월 26일 | |
28화 | ミレディーの復讐(밀라디의 복수) | 1988년 6월 17일 | 1990년 2월 27일 | |
29화 | ノートルダムの大鐘(노트르담의 종) | 1988년 6월 24일 | 1990년 3월 5일 | 「바라보고 싶어(見つめてほしい)」 (노래: EDEN) |
30화 | バッキンガム暗殺(버킹엄 암살) | 1988년 7월 1일 | 1990년 3월 6일 | |
31화 | ミレディーの処刑(밀라디의 처형) | 1988년 7월 8일 | 1990년 3월 12일 | |
32화 | 謎の鉄仮面(수수께끼의 철가면) | 1988년 7월 22일 | 1990년 3월 13일 | |
33화 | 女優ナナの宝石(여배우 나나의 보석) | 1988년 8월 19일 | 1990년 3월 19일 | |
34화 | 鉄仮面を逮捕せよ(철가면을 체포하라) | 1988년 8월 26일 | 1990년 3월 20일 | |
35화 | ダルタニャンの失敗(달타냥의 실패) | 1988년 9월 2일 | 1990년 3월 26일 | |
36화 | 鉄仮面の挑戦(철가면의 도전) | 1988년 9월 9일 | 1990년 3월 27일 | 「마법(魔法)」 (노래: 아사다 하나코(麻田華子)) |
37화 | 名探偵ダルタニャン(명탐정 달타냥) | 1988년 9월 30일 | 1990년 4월 2일 | |
38화 | 消えた仕立て屋の謎(사라진 재봉사의 수수께끼) | 1988년 10월 7일 | 1990년 4월 3일 | |
39화 | 二人の鉄仮面(두 명의 철가면) | 1988년 10월 14일 | 1990년 4월 9일 | |
40화 | すりかえられた国王(바뀐 국왕) | 1988년 10월 21일 | 1990년 4월 10일 | |
41화 | ミレディーの陰謀(밀라디의 음모) | 1988년 10월 28일 | 1990년 5월 22일 | |
42화 | アラミスの裏切り(아라미스의 배신) | 1988년 11월 11일 | 1990년 5월 28일 | |
43화 | アトス逮捕さる(아토스 체포되다) | 1988년 11월 18일 | 1990년 5월 29일 | 「HURRY UP!」 (노래: 오다 타카코(太田貴子)) |
44화 | 鉄仮面は誰だ(철가면은 누구인가) | 1988년 12월 2일 | 1990년 6월 4일 | |
45화 | アラミスの秘密(아라미스의 비밀) | 1988년 12월 9일 | 1990년 6월 5일 | |
46화 | 鉄仮面を救出せよ(철가면을 구출하라) | 1989년 1월 6일[8] | 1990년 6월 11일 | |
47화 | 炎の中のジャン(불길 속의 장) | 1989년 1월 13일 | 1990년 6월 12일 | |
48화 | 海上の大要塞(해상의 대요새) | 1989년 1월 20일 | 1990년 6월 18일 | |
49화 | とらわれの銃士たち(사로잡힌 총사들) | 1989년 1월 27일 | 1990년 6월 19일 | |
50화 | 象 海を渡る(코끼리, 바다를 건너다) | 1989년 2월 3일 | 1990년 6월 25일 | 「별에 소원을(星に願いを)」 (노래: 나가야마 요코(長山洋子)) |
51화 | アラミス断崖の決闘(아라미스 절벽의 결투) | 1989년 2월 10일 | 1990년 6월 26일 | 「플레지 하트(プレッジハート)」 (1화 ~ 19화의 엔딩곡) (노래: PumpKin) |
52화 | さようなら!ダルタニャン(안녕! 달타냥) | 1989년 2월 17일 | 1990년 7월 2일 | 「꿈 모험(夢冒険)」 (오프닝곡) (노래: 사카이 노리코(酒井法子)) |
'''방송 중단'''
- 1987년 11월 27일: 1987년 NHK배 국제 피겨 스케이팅 경기 대회 (제1일)
- 1987년 12월 25일: 일본 동물기 "세계 최대의 양서류·장수 도롱뇽"
- 1988년 1월 1일: 역사 버라이어티 "다케다 신겐의 시대"
- 1988년 1월 15일: 세계의 마술 쇼 ~'87 뉴욕 매직 심포지엄에서~
- 1988년 2월 19일: 1988년 캘거리 동계 올림픽 (제6일)
- 1988년 2월 26일: 1988년 캘거리 동계 올림픽 (제13일)
- 1988년 4월 1일: NHK 스페셜 "종소리" ~프라하에서 히로시마로~
- 1988년 4월 29일: 음악·꿈의 컬렉션
- 1988년 6월 10일: NHK배 국제 배구 "전일본" 대 "한국"
- 1988년 7월 15일: 프로 야구 "한신" 대 "주니치"
- 1988년 7월 29일: 고향 등장 "남쪽 섬의 버스 일지" ~오키나와·이리오모테 섬~
- 1988년 8월 5일: 대 아마존 기행 "사라져가는 낙원"
- 1988년 8월 12일: NHK 스페셜 월드 TV 스페셜 "영광의 대가 ~병사가 말하는 포클랜드 전쟁"
- 1988년 9월 16일: 올림픽 스페셜 "서울 발·열투 전야"
- 1988년 9월 23일: 1988년 서울 올림픽 "수영·결승", "여자 배구·예선"
- 1988년 11월 4일: 코미디·멋진 매일 "비전·다시의 맛"
- 1988년 11월 25일: 1988년 NHK배 국제 피겨 스케이팅 경기 대회 (제1일)
- 1988년 12월 16일: NHK 스페셜 월드 TV 스페셜 "마피아 대 재판"
- 1988년 12월 23일: 폴 대니얼스 마술 쇼 크리스마스 스페셜
- 1988년 12월 30일: '88 뉴스 하이라이트
6. 평가 및 영향
방영 후 중고등학생 팬들의 지지에 힘입어 많은 인기를 모았다. 이 작품의 성공에 힘입어 NHK종합방송은 금요일 19:30부터 20:00의 시간대에 나디아 등 후속 작품들을 제작, 방영하였다.
원작과 다른 애니메이션 고유의 설정이 몇 가지 있다. 삼총사 중 한 명인 아라미스를 남장 여자로 묘사한 것이 대표적으로, 작품의 인기도에 많은 공헌을 했으며, 원작을 읽지 않은 사람 중에는 아직도 아라미스를 여자로 잘못 알고 있는 사람이 있을 정도이다. 또한 달타냥의 애인으로 나오는 콘스탄틴은 이 작품에서는 달타냥과 건전한 연인 사이로 묘사되나, 원작에서는 유부녀로 달타냥과의 만남은 불륜이 된다. 원작과 달리 애니메이션에서는 달타냥이 풋내기 청년 정도로 나오며(시리즈 초반에 16세라는 설정) 삼총사는 20대 중반 정도로 보이나, 원작에서는 모두 원숙한 성인들이다.
7. 주제가
; 오프닝 테마 「꿈 모험」
: 작사 - 모리 히로미 / 작곡 - 니시키 에이지 / 편곡 - 나카무라 노부유키 / 노래 - 사카이 노리코
:: 오프닝에 사용된 TV 사이즈 버전은 CD나 배포 음원 등으로 시판되는 풀 코러스 버전과 별개의 테이크로, 노래 방식이 약간 다르고 백 코러스가 없다.
; 엔딩 테마
:; 「프레지 하트(서약)」 (제1 - 19화)
:: 작사 - 오제키 마사야 / 작곡 - 미우라 카즈토시 / 편곡 - 카와카미 아키라 / 노래 - PumpKin
:; 「태양의 할레이션」 (제20 - 52화)
:: 작사 - 오제키 마사야 / 작곡 - 바바 타카유키 / 편곡 - 카와카미 아키라 / 노래 - PumpKin
7. 1. 오프닝 테마
오프닝 테마는 사카이 노리코가 부른 「꿈 모험」이다. 작사는 모리 히로미, 작곡은 니시키 에이지, 편곡은 나카무라 노부유키가 담당했다. 오프닝에 사용된 TV 사이즈 버전은 CD나 배포 음원 등으로 시판되는 풀 코러스 버전과 별개의 테이크로, 노래 방식이 약간 다르고 백 코러스가 없다.7. 2. 엔딩 테마
「프레지 하트(서약)」 (제1 - 19화): 작사 - 오제키 마사야 / 작곡 - 미우라 카즈토시 / 편곡 - 카와카미 아키라 / 노래 - PumpKin
「태양의 할레이션」 (제20 - 52화)
: 작사 - 오제키 마사야 / 작곡 - 바바 타카유키 / 편곡 - 카와카미 아키라 / 노래 - PumpKin
7. 3. 이미지 송
- 〈별에게 소원을〉(제1~7화, 제50화): 작사 - 타케하나 이치코, 작곡 - 하바 히토시, 편곡 - 야마카와 에츠코, 노래 - 나가야마 요코
- 〈하늘색 피어스〉(제8~14화): 작사 - 카와무라 마스미, 작곡 - 타케카와 유키히데, 편곡 - 세오 카즈미, 노래 - 와타나베 노리코
- 〈별똥별의 이노센스〉(제15~21화): 작사 - 아소 케이코, 작곡 - 코무로 테츠야, 편곡 - 시미즈 노부유키, 노래 - 이토 카즈에
- 〈KNOCK YOUR CHANCE〉(제22~28화): 작사 - 류노스케, 작곡 - 마루야마 마사타카, 편곡 - HOPPY 카미야마, 노래 - BEE PUBLIC
- 〈바라봐주길〉(제29~35화): 작사 - 타카다 츠카사, 작곡 - 야마구치 아키오, 편곡 - 야마구치 아키오, 노래 - EDEN
- 〈마법〉(제36~42화): 작사 - 칸자와 레이에, 작곡 - 토시미 타카시, 편곡 - 마츠모토 아키히코, 노래 - 아사다 하나코
- 〈HURRY UP!〉(제43~49화): 작사 - 사카타 카즈코, 작곡 - 오타구로 유지, 편곡 - 코바야시 신고, 노래 - 오오타 타카코
- 〈SAIL OVER〉: 작사 - 유야마 쿠니히코, 작곡 - 타나카 코헤이, 편곡 - 타나카 코헤이, 노래 - 타나카 마유미
- 〈사랑의 태피스트리〉: 작사 - 유야마 쿠니히코, 작곡 - 타나카 코헤이, 편곡 - 타나카 코헤이, 노래 - 타나카 마유미
제51화에서는 초대 엔딩 테마인 〈Pledge Heart〉가, 제52화에서는 오프닝 테마인 〈꿈 모험〉이 흘러나왔다. 제49화까지의 배경 영상은 〈삼총사 기행〉이라는 제목으로 작품 무대, 주로 파리의 지리와 역사를 실사와 함께 소개하는 내용이었다. 또한, 다음 예고는 엔딩 테마 사이에 삽입되었으며, 주요 등장인물 중 누군가가 단독 또는 여러 명이 주고받으며 얼굴을 공개하지 않고 진행하는 형식을 취했다.
8. 기타
2003년 8월 28일에 DVD-BOX 1이 발매되었고, DVD-BOX 2는 2003년 10월 23일에 발매되었다. 내용은 TV에서 방송된 모든 에피소드와 오프닝, 엔딩은 물론이고, 파일럿 에피소드와 극장판, 더 나아가 다음 에피소드 예고와 일러스트 소개뿐만 아니라 삼총사 기행과 이미지송까지 수록되어 있다.
홍콩의 TVB에서는, 『'''반투 삼보'''』라는 제목으로 광둥어 더빙판이 어린이 프로그램 「430 셔틀」의 프로그램 내에서 1989년에 방송되었다. 오프닝 테마는 곡조가 오리지널과는 다소 다른 독자적인 주제가를 제작. 작사: 정국강, 작곡: 육요, 노래: 엽기미 (「430 셔틀」의 프로그램 사회자로서도 출연).
참조
[1]
웹사이트
アニメ三銃士|NHKアニメワールド
http://www6.nhk.or.j[...]
2019-03-09
[2]
웹사이트
RetroCrush | the Three Musketeers
https://www.retrocru[...]
[3]
웹사이트
x.com
https://twitter.com/[...]
[4]
웹사이트
x.com
https://twitter.com/[...]
[5]
웹사이트
x.com
https://twitter.com/[...]
[6]
웹사이트
x.com
https://twitter.com/[...]
[7]
문서
[8]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