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리 드 메디시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리 드 메디시스는 토스카나 대공 프란체스코 1세 데 메디치와 오스트리아의 지오바나의 딸로, 1600년 프랑스 왕 앙리 4세와 정략 결혼했다. 앙리 4세의 막대한 지참금을 노린 결혼이었지만, 마리는 잦은 남편의 부재와 프랑스어의 어려움으로 고독한 궁정 생활을 보냈다. 1601년 루이 13세를 낳은 후 궁정 내 입지가 강화되었으나, 1610년 앙리 4세가 암살되면서 섭정으로서 프랑스 정치를 담당하게 되었다. 콘치노 콘치니를 중용하며 앙리 4세의 정책을 뒤집고, 합스부르크 가문과의 혼인 정책을 추진하면서 아들 루이 13세와 갈등을 겪었다. 리슐리외 추기경이 정계에 등장하면서 정치적 입지가 좁아졌고, 1631년 프랑스에서 추방되어 브뤼셀로 망명, 1642년 쾰른에서 사망했다. 그녀는 루벤스에게 자신의 일대기를 그린 24점의 연작을 의뢰하는 등 예술 후원에도 힘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루이 13세 - 안 도트리슈
    안 도트리슈는 스페인 펠리페 3세의 딸로, 프랑스 왕 루이 13세와 결혼하여 프랑스 궁정 생활을 시작했으며, 루이 14세를 낳고 남편 사망 후 섭정으로 프랑스를 통치하다가 유방암으로 사망했다.
  • 루이 13세 - 가스통 도를레앙 공작
    가스통 도를레앙 공작은 프랑스 왕족으로, 형 루이 13세 치세에 반란과 음모를 일으키며 불안정한 행보를 보였고, 루이 13세 사후에는 프롱드의 난에 가담했으며, 두 번의 결혼으로 자녀를 두었고 조카 루이 14세 치세에는 '르 그랑 몽시외'로 불렸다.
  • 헝가리계 이탈리아인 - 프란체스코 일리
    프란체스코 일리는 이탈리아의 기업가이자 발명가로, 증기 대신 가압수를 사용한 최초의 자동 커피 머신 '일레타'를 발명하고 일리 카페를 설립하여 현대 에스프레소 머신 발전에 기여했다.
  • 헝가리계 이탈리아인 - 비올러 요셰프
    비올러 요셰프는 유벤투스에서 활약하며 1925-26 시즌 이탈리아 세리에 A 우승을 차지한 축구 선수이다.
마리 드 메디시스 - [인물]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마리 드 메디시스
프랑스어 이름Marie de Médicis
이탈리아어 이름Maria de' Medici
출생일1575년 4월 26일
출생지피렌체, 토스카나 대공국, 팔라초 피티
사망일1642년 7월 3일
사망지쾰른 대주교령, 쾰른
매장일1643년 3월 8일
매장지파리, 생드니 대성당
종교로마 가톨릭교회
서명
통치 정보
작위프랑스의 왕비 및 나바라의 왕비
재위 기간1600년 12월 17일 ~ 1610년 5월 14일
대관식1610년 5월 13일
섭정프랑스와 나바라의 섭정
섭정 기간1610년 5월 14일 ~ 1617년 4월 24일
섭정 대상루이 13세
가문 정보
가문메디치 가문
아버지프란체스코 1세 데 메디치, 토스카나 대공
어머니조안나 오스트리아, 토스카나 대공비
배우자앙리 4세
결혼1600년 12월 17일
자녀루이 13세, 프랑스의 왕
엘리자베트, 스페인과 포르투갈의 왕비
크리스틴, 사보이 공작부인
니콜라스 앙리, 오를레앙 공작
가스통, 오를레앙 공작
헨리에타 마리아,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아일랜드의 왕비
이미지
프란스 푸르부스 2세의 초상화

2. 생애

이탈리아 피렌체의 유력 가문인 메디치가 출신으로, 토스카나 대공 프란체스코 1세 데 메디치와 오스트리아의 요하나 사이에서 태어났다. 이탈리아어 이름은 Maria de' Mediciit이다.

1600년, 당시 27세였던 마리는 전처 마르그리트 드 발루아와 이혼한 프랑스의 앙리 4세와 정략결혼을 통해 프랑스 왕비가 되었다. 이 결혼으로 앙리 4세는 막대한 지참금을 얻었으나, 여색을 밝히는 남편의 잦은 부재와 초기 프랑스어 구사 능력 부족으로 마리는 궁정 생활에서 고독을 느꼈다. 이를 해소하려 값비싼 보석 등을 사들이는 낭비벽을 보이기도 했다.

1601년 왕위 계승자인 루이 13세를 낳았고, 이후 여러 자녀를 더 출산하며 궁정 내 입지를 강화했다. 앙리 4세는 마리에게 국정 일부를 맡기고 부재 시 국정 전권을 위임하기도 했다.

루벤스 작, 마리 드 메디시스의 대관식


1610년 앙리 4세가 광신적인 가톨릭교회 신자에게 암살당하자, 어린 아들 루이 13세의 섭정으로서 프랑스를 통치하게 되었다. 섭정 기간 동안 이탈리아 출신 콘치노 콘치니를 중용하고, 로마 가톨릭을 강력히 옹호하며 프로테스탄트와의 갈등을 심화시켰다. 또한 프랑스의 전통적인 외교 노선과 달리 합스부르크 가와의 혼인 정책을 추진하는 등, 남편 앙리 4세의 정책 방향을 뒤집었다. 이는 성장한 루이 13세 및 귀족들과의 갈등을 야기했다.

1617년 루이 13세가 친정을 선언하며 콘치니를 제거하고 마리를 블루아 성에 유폐시켰다. 마리는 1619년 성을 탈출하여 아들 오를레앙 공 가스통과 함께 반란을 일으켰으나 실패했다. 이후 리슐리외 추기경의 중재로 아들과 잠시 화해하고 정치에 복귀하기도 했지만, 리슐리외와의 권력 다툼에서 밀려났다. 결국 1631년 프랑스에서 추방되어 브뤼셀망명했으며, 1642년 쾰른에서 사망했다.[21]

2. 1. 초기 생애

어린 시절의 마리아 드 메디치. 현재 피티 궁전, 피렌체에 소장되어 있음.


젊은 시절의 마리아 드 메디치, 산티 디 티토(Santi di Tito) 작, 1590년경


1575년 4월 26일 이탈리아 피렌체의 피티 궁전에서 태어났다.[2] 마리아는 토스카나 대공 프란체스코 1세 드 메디치와 토스카나 대공비 오스트리아 대공녀 조안나의 여섯 번째 딸이었다. 그녀는 '차남' 계열로 불리는 메디치가의 한 분파인 로렌초 장로의 후손이었으며, 어머니를 통해 카스티야의 요안나와 카스티야의 필리프 1세의 직계 후손인 합스부르크가의 후손이기도 했다.

마리아에게는 다섯 명의 언니가 있었으나, 맏언니 엘레오노라(1567년 출생)와 세 번째 언니 안나(1569년 출생)만이 유아기를 넘겼다. 유일한 남동생 필리포 드 메디치는 1577년에 태어났다. 1578년, 여덟 번째 아이를 임신 중이던 어머니 조안나 대공비는 피렌체 대공궁 계단에서 굴러 떨어지는 사고로 사산하고 다음 날 사망했다. 몇 달 후 아버지 프란체스코 1세 대공은 오랫동안 정부였던 비앙카 카펠로와 재혼했고, 이 결혼은 1579년에 공식적으로 발표되었다. 이후 마리아는 남동생 필리포(1582년 사망)와 언니 안나(1584년 사망)를 차례로 잃었다.

마리아는 유일하게 살아남은 언니 엘레오노라와 매우 가까운 관계를 유지하며 피렌체의 피티 궁전에서 유모의 보살핌 아래 성장했다. 그녀의 외삼촌인 비르지니오 오르시니(이사벨라 드 메디치의 아들)도 함께 지냈다. 1584년 언니 엘레오노라가 만토바 공국의 상속자인 만토바 공작 빈첸초 곤자가와 결혼하여 떠난 후, 마리아의 유일한 놀이 친구는 사촌 비르지니오 오르시니였다. 또한 계모 비앙카 카펠로는 마리아를 위해 디아노라 도리라는 젊은 여성을 피티 궁전에 데려왔는데, 그녀는 이름을 레오노라로 바꾸었다. 마리아보다 몇 살 위였던 레오노라는 곧 마리아에게 큰 영향력을 행사하게 되었고, 마리아는 중요한 결정을 내릴 때 항상 레오노라와 상의했다.

1587년 10월, 포조 아 카이아노의 메디치 빌라에서 아버지 프란체스코 1세와 계모 비앙카 카펠로가 연이어 사망했다. 독살설도 제기되었으나, 일부 역사가들은 말라리아로 사망했다고 추정한다. 부모를 모두 잃은 마리아는 유럽에서 가장 부유한 상속녀 중 한 명이 되었다.

마리아의 삼촌인 페르디난도 1세가 새로운 토스카나 대공이 되었고, 고아가 된 조카딸에게 좋은 교육을 제공했다. 마리아는 과학에 대한 관심을 보였으며, 수학, 철학, 천문학뿐만 아니라 예술 분야를 배우는 것을 즐겼다. 그녀는 특히 보석과 귀금속을 좋아했으며, 매우 독실한 신앙심을 가졌지만 열린 마음을 유지하고 주변 사람들에게 의지하는 성격으로 알려졌다.

고향 피렌체의 예술가들과 가까웠던 마리아는 화가 야코포 리고치에게 그림을 배웠고 상당한 재능을 보였다. 또한 음악에도 소질이 있어 노래를 부르고 기타류트를 연주했으며, 연극, 무용, 코미디를 즐겼다.

메디치 가문의 막대한 부는 많은 구혼자들을 끌어들였는데, 대표적으로 그녀의 숙모인 대공비 크리스티나의 남동생이자 로렌 공국의 상속인인 프랑수아 드 보드몽 백작이 있었다. 그러나 곧 프랑스 국왕 프랑스의 앙리 4세라는 더욱 명망 높은 구혼자가 나타나게 된다.

2. 2. 프랑스 왕비

피에트로 파케티가 그린 마리 드 메디시스 초상화(약 1595년), 팔라초 데 토레스-란첼로티, 로마


1600년 10월, 앙리 4세는 전처 마르그리트 드 발루아와 1599년 12월에 이혼한 직후, 당시 27세였던 마리 드 메디시스와 재혼했다.[3] 이 결혼은 프랑스의 재정난 해결과 왕가의 정통성 강화를 위한 정략결혼이었다. 앙리 4세는 토스카나 대공 프란체스코 1세에게 진 막대한 전쟁 빚을 탕감받고, 메디치 가문으로부터 (약 100만 리브르)에 달하는 막대한 지참금을 얻었다. 이 때문에 마리는 앙리 4세의 애첩 카트린 앙리에트 드 발자크 댕트라그로부터 "거액의 은행가"(la grosse banquièrefra)라는 조롱 섞인 별명을 얻기도 했다. 또한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페르디난트 1세의 외손녀로서, 마리는 부르봉 왕가의 정통성을 강화하는 역할도 했다.

결혼 계약은 1600년 3월 파리에서 체결되었고, 10월 5일 피렌체 대성당에서 대리 결혼식이 거행되었다. 마리는 11월 3일 마르세유에 도착하여 프랑스 땅을 밟았고, 12월 9일 리옹에서 앙리 4세와 처음 만났다. 12월 17일, 교황 특사의 축복 아래 리옹 대성당에서 정식으로 종교 결혼식이 거행되었다.[3]

샤를 마르탱이 그린 마리 드 메디치와 그녀의 아들 루이 13세, 1603년. 블루아 미술관.


결혼 생활은 순탄치 않았다. 앙리 4세는 여색을 밝혀[4] 여러 애첩을 두었고, 마리는 남편의 잦은 부재와 프랑스어 미숙으로 궁정 생활에서 고독감을 느꼈다. 특히 남편이 애첩 카트린 앙리에트 드 발자크 댕트라그와의 관계를 강요하자 심한 질투심을 느끼며 자주 다투었다. 또한 왕비로서의 생활 유지비를 충분히 받지 못하는 것에 불만을 품고, 외로움을 달래기 위해 값비싼 보석 등을 사들이는 낭비벽을 보이기도 했다.

1601년 9월 27일, 마리는 퐁텐블로 궁전에서 첫 아들이자 왕위 계승자인 루이 13세를 낳았다. 이는 40년 이상 왕세자를 기다려온 프랑스 왕실에 큰 기쁨이었으며, 마리의 궁정 내 입지를 크게 향상시켰다. 이후 8년 동안 다섯 명의 자녀(딸 셋, 아들 둘)를 더 낳았다. 성장한 자녀로는 스페인 왕 필리페 4세의 왕비 엘리자베트, 사보이아 공 비토리오 아메데오 1세의 왕비 크리스틴, 오를레앙 공 가스통, 잉글랜드 왕 찰스 1세의 왕비 앙리에트 마리가 있다. 자녀 출산 이후 앙리 4세는 마리에게 국정 일부를 맡기고, 자신이 부재할 경우 국정 전권을 위임하기도 했다.

마리는 오랫동안 프랑스 왕비로서 공식적인 대관식을 원했으나, 앙리 4세는 정치적인 이유로 미루었다. 마침내 1610년 5월 13일, 앙리 4세가 율리히 계승 전쟁 참전을 위해 떠나기 직전 생드니 대성당에서 대관식이 거행되었다. 이는 국왕 부재 시 마리가 섭정으로서 통치할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였다.[5] 그러나 바로 다음 날인 5월 14일, 앙리 4세는 광신적인 가톨릭 신자 프랑수아 라바야크에게 암살당했다.[6] (일각에서는 마리가 암살에 연루되었다는 의혹도 있다.)

남편의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마리의 삶은 큰 전환점을 맞았다. 앙리 4세가 사망한 지 몇 시간 만에, 파리 의회는 마리를 여덟 살 된 아들 루이 13세의 섭정으로 공식 임명했다.[7] 이로써 마리는 프랑스의 실질적인 통치자로서 막중한 책임을 지게 되었다.

2. 3. 섭정

1610년 남편 앙리 4세가 광신적인 가톨릭 신자에게 암살당하자[21], 어린 아들 루이 13세가 왕위를 계승했고 마리는 아들의 섭정으로서 프랑스를 통치하게 되었다.

섭정이 된 마리는 앙리 4세 시대의 신료들을 해임하고, 이탈리아 출신인 콘치노 콘치니와 그의 아내 레오노라 도리 갈리가이를 보좌관으로 중용했다. 이들의 영향 아래, 마리는 현명한 군주로 평가받던 앙리 4세의 정치 방침을 모두 파기하였다. 특히 로마 가톨릭을 강력히 옹호하며 국내 가톨릭과 프로테스탄트(위그노) 간의 화합 대신 갈등을 부추겼으며[21], 전통적인 적대 관계였던 합스부르크 가와 정략결혼을 추진하는 등 기존의 외교 정책을 뒤집었다. 이러한 정책들은 점차 정치에 눈을 뜨기 시작한 아들 루이 13세와 유력 귀족들의 큰 불만을 샀다. 그들은 마리에게 삼부회 개최를 요구하는 등 정치 개혁을 주장했다.[21] 1614년 루이 13세가 법적 성년에 도달하여 섭정은 공식적으로 종료되었으나, 마리는 국왕참사회(Conseil du Roi)의 수장으로서 여전히 강력한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했다.

정치적으로 입지가 좁아지던 시기, 유능한 정치가인 리슐리외 추기경이 정계에 등장했다. 마리는 리슐리외를 자신의 지지자로 만들려 했으나, 루이 13세가 먼저 그를 자신의 측근으로 삼았다. 1617년, 루이 13세는 친정을 선언하며 콘치니 암살을 명령하고 어머니 마리를 블루아 성에 유폐시켰다.[21]

1619년 2월, 마리는 블루아 성을 탈출하여 둘째 아들인 오를레앙 공 가스통과 함께 반란군을 일으켰는데, 이는 소위 '모자 간의 전쟁'(guerre de la mère et du fils프랑스어)의 시작이었다. 첫 번째 충돌은 리슐리외가 중재한 앙굴렘 조약으로 잠시 봉합되었다. 하지만 마리는 이에 만족하지 않고 다시 귀족들을 규합하여 두 번째 반란을 일으켰다. 이 귀족 연합군은 1620년 8월 퐁드세 전투에서 루이 13세의 군대에 의해 신속히 진압되었다. 리슐리외 추기경의 중재 덕분에 마리는 루이 13세와 다시 화해하였으며, 1621년까지 국왕참사회의 일원으로 정치에 참여할 수 있었다.[21] 이후 파리로 돌아와 룩셈부르크 궁전 건설에 착수했다.

2. 4. 루이 13세와의 갈등 및 망명

1617년, 루이 13세는 콘치니를 처형(또는 암살)시키고 어머니 마리를 블루아 성에 유폐시켰다. 1619년 블루아 성을 탈출한 마리는 둘째 아들 오를레앙 공 가스통과 함께 반란군을 일으켰지만, 곧 왕군에 진압되었다. 리슐리외 추기경의 중재로 마리는 루이 13세와 화해하고 1621년까지 왕립 의회 의원으로 정치에 참여했다.

리슐리외가 루이 13세의 재상이 되어 정권을 장악하자, 마리는 리슐리외의 실각을 모색하지만 실패하였다. 결국 1631년 마리는 프랑스에서 추방되어 브뤼셀망명했고, 1642년 쾰른에서 사망했다.[21] 그녀의 망명과 죽음은 권력 투쟁의 냉혹함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받는다.

루벤스(Peter Paul Rubens) 작, 어머니와 아들의 화해, 1622-1625년. 루브르 박물관.


마리 드 메디시스의 기도서, 레이스 조각으로 장식된 양피지 페이지와 미니어처 그림

3. 페테르 파울 루벤스와의 관계

루벤스는 17세기 유럽에서 활동한 유명 화가였으며, 마리 드 메디시스는 그의 주요 후원자 중 한 명이었다.

1621년, 마리는 아들 루이 13세와의 화해 이후 뤽상부르 궁전을 개축하면서 루벤스에게 궁전 갤러리를 장식할 그림을 의뢰했다. 루벤스는 1622년부터 1625년 사이에 마리의 생애와 통치를 기념하는 21점의 회화 연작과 마리 및 그 가족의 초상화 3점을 포함하여 총 24점의 작품을 제작했다. 이 그림들은 마리의 탄생부터 결혼, 왕실 생활 등 그녀의 삶에서 중요한 사건들을 주제로 다루고 있으며, 앙리 4세와 마리를 주피터주노 같은 신화 속 신들에 비유하고 프랑스를 여성 전사로 묘사하는 등의 상징적인 표현을 사용하였다.

이 연작은 흔히 '마리 드 메디시스의 생애'로 불리며, 현재 루브르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마리 드 메디시스, 페터 파울 루벤스 작, 1622년. 프라도 미술관.


4. 자녀

(2) 마르게리트 드 로렌과 결혼. 딸 셋이 성인이 됨.오를레앙 공작앙리에타 마리1609년 11월 25일1669년 9월 10일잉글랜드찰스 1세와 결혼. 아들 셋과 딸 둘이 성인이 됨.잉글랜드의 왕비



마리 드 메디시스와 그녀의 가족 (1607년; 프랑스 푸르부스 2세 작품)

참조

[1] 서적 Women and Art in Early Modern Europe: Patrons, Collectors, and Connoisseurs Pennsylvania State Univ Pr
[2] 문서 The History of the Grand Duchy of Tuscany
[3] 서적 Marie de Médicis https://books.google[...] Pygmalion/G. Watelet 1998
[4] 서적 THE AMERICAN CYCLOPEADIA https://books.google[...] 2011-02-21
[5] 웹사이트 Fanny Cosandey: The Queen of France in modern times https://academiescie[...] academiesciencesmoralesetpolitiques.fr 2003-07-07
[6] 서적 Les secrets du Louvre https://books.google[...] La Librairie Vuibert 2013
[7] 웹사이트 MARIE DE MÉDICIS (1573-1642) queen of France https://www.universa[...] universalis.fr 2019-10-30
[8] 서적 Sex with Kings: 500 Years of Adultery, Power, Rivalry, and Revenge https://books.google[...] Harper Collins
[9] 서적 Champlain's dream Simon & Schuster 2008
[10] 웹사이트 Concino Concini, marquis d'Ancre Italian diplomat https://www.britanni[...] 2020-01-04
[11] 간행물 The blows of majesty of the kings of France, 1588, 1617, 1661 https://www.persee.f[...] École Française de Rome 1993-09-30
[12] 웹사이트 Walters Ms. W.494, Lace Book of Marie de' Medici https://www.thedigit[...] 2023-01-21
[13] 서적 Cardinal Richelieu: Power and the Pursuit of Wealth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1990-03-01
[14] 문서 Sur Catherine de Médicis Furne ed.
[15] 웹사이트 The Medici Granducal Archive and the Medici Archive Project http://www.medici.or[...]
[16] 백과사전
[17] 서적 Medici https://archive.org/[...] La Mandragora
[18] 백과사전
[19] 서적 Dracula Brill
[20] 웹사이트 Marie de Médicis queen of France https://www.britanni[...]
[21] 서적 名画で読み解く ブルボン王朝 12の物語 光文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