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나귀젖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당나귀젖은 고대 이집트 시대부터 식용 및 화장품 용도로 사용되었으며, 다양한 질병 치료에 활용되었다. 히포크라테스는 당나귀젖의 약용 효과를 기록했고, 로마 시대에는 널리 사용되었다. 클레오파트라와 포파이아 사비나 등 역사적 인물들이 피부 미용을 위해 사용했으며, 르네상스 시대 이후 과학적 연구가 시작되었다. 19세기에는 고아와 환자에게 먹였으며, 21세기에는 비누와 보습제 제조에 사용되고, 소젖 단백질 알레르기가 있는 유아를 위한 천연 분유로서의 가능성이 연구되고 있다. 당나귀젖은 소량 생산되며, 모유와 유사한 성분으로 인해 영양학적 가치가 높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당나귀 - 예루살렘 입성
예루살렘 입성은 예수의 생애에서 중요한 사건으로, 복음서에 따르면 예수가 나귀를 타고 예루살렘에 입성했을 때 군중들이 환호하며 맞이했으며, 메시아로서의 예수의 역할을 드러내는 것으로 해석되고 역사적 사실 여부 등에 대해 학자들 사이에서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 젖 - 탈지유
탈지유는 지방 함량이 매우 낮은 우유로, 국가별 분류 기준과 생산 방식에 차이가 있으며, 저칼로리 고단백 식품으로 활용되지만 지용성 비타민 흡수 저하 등의 영향도 고려해야 하고, 유제품 생산에 사용되며 소비가 증가 추세지만 맛과 향에 대한 선호도 차이 등 시장 확대 과제가 있다. - 젖 - 조제분유
조제분유는 모유 수유가 어려운 영아에게 영양을 공급하는 대체 식품으로, 낮은 모유 수유율로 인해 널리 사용되지만 질병 위험 증가 및 안전성 문제, 마케팅 윤리 논란 등으로 국제적인 규제를 받고 있다.
당나귀젖 | |
---|---|
일반 정보 | |
![]() | |
다른 이름 | 나귀젖 |
생산 | |
생산 동물 | 당나귀 |
생산량 | 암컷 당나귀 한 마리당 하루 평균 0.5 ~ 1.5리터 젖을 짜는 기간은 약 6 ~ 8개월 |
주요 생산 지역 | 이탈리아, 프랑스, 스페인, 포르투갈, 루마니아, 스위스, 네덜란드, 벨기에, 독일, 발칸 반도 국가 |
특징 | |
외관 | 흰색 또는 약간 푸르스름한 흰색 |
맛 | 달콤하고 부드러움 |
성분 | 유당 함량이 높고 지방 함량이 낮음 사람의 모유와 유사한 구성 |
용도 | |
식용 | 신선하게 마시거나 치즈, 요구르트, 아이스크림 등으로 가공 유아식, 노인식, 환자식으로 사용 |
의약품 | 고대 로마 시대부터 약용으로 사용 피부 질환, 호흡기 질환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짐 |
화장품 | 클레오파트라가 당나귀 젖으로 목욕했다는 이야기가 있음 피부 보습, 미백 효과가 있어 화장품 원료로 사용 |
기타 정보 | |
보존 방법 | 냉장 보관 |
2. 역사
당나귀젖은 오랜 역사를 통해 식용, 미용, 치료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어 왔다. 고대 이집트 시대부터 사용 기록이 있으며, 히포크라테스나 대 플리니우스와 같은 고대 인물들은 당나귀젖의 의학적 효능을 기록하고 여러 질병 치료에 사용했다.[1][2][3][4][5] 르네상스 시대를 거쳐 근대에 이르러서도 뷔퐁과 같은 학자들이 효능을 언급했으며,[6] 폴린 보나파르트와 같은 인물은 미용 목적으로 사용했다고 전해진다.[7] 19세기와 20세기에는 특히 유아나 허약한 이들을 위한 영양 공급원으로 활용되었고, 유럽 여러 지역에서 당나귀 농장이 운영되었다.[7] 현대에는 주로 비누나 보습제와 같은 화장품 원료로 사용되며, 우유 알레르기가 있는 유아를 위한 대체 식품으로서의 가능성도 연구되고 있다.[2]
2. 1. 고대
이집트 고대 시대부터 식용 및 화장품 용도로 사용되어 왔다.[1] 당시 의사들은 당나귀젖이 치유력과 미용 효과가 있다고 여겨 여러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 권장했다.[2]히포크라테스(기원전 460–370년)는 당나귀젖의 약용 가치에 대해 처음으로 기록한 인물로 알려져 있다. 그는 중독, 발열, 전염병, 부종, 상처, 코피, 간 질환 등 다양한 질병 치료에 당나귀젖을 처방했다.[3][4]
로마 시대에 이르러 당나귀젖은 널리 알려진 치료법으로 자리 잡았다. 대 플리니우스(서기 23–79년)는 그의 백과사전적 저서인 ''박물지(Naturalis Historia)''에서 당나귀젖의 다양한 건강 효능을 상세히 기록했다. 여기에는 열병, 피로 해소, 눈의 피로 완화, 약해진 치아 강화, 얼굴 주름 개선, 중독 해독, 궤양 치료, 천식 완화, 특정 부인과 질환 치료 등이 포함된다.[5]
2. 2. 중세 및 르네상스 시대
당나귀젖에 대한 최초의 실질적인 과학적 고찰은 르네상스 시대에 이루어졌다. 조르주루이 르클레르크 드 뷔퐁 백작(1707–1788)은 그의 저서 박물지(2. 3. 근대
당나귀젖에 대한 최초의 실질적인 과학적 고찰은 르네상스 시대에 이루어졌다. 조르주 루이 르클레르크 백작 드 뷔퐁(1707–1788)은 그의 저서 ''박물지''(Histoire naturelle|이스트와르 나튀렐프랑스어)에서 당나귀젖의 효능을 언급했다.[6] 나폴레옹의 여동생인 폴린 보나파르트(1780–1825)는 피부 관리를 위해 당나귀젖을 사용했다고 전해진다.[7]19세기 프랑스에서는 파리의 Hôpital des Enfants Assistés|오피탈 데 장팡 아시스테프랑스어 소속 파로(Parrot) 박사가 젖어미를 구할 수 없는 아기들을 어미 당나귀의 젖꼭지에 직접 물리도록 하는 방법을 널리 퍼뜨렸으며, 이는 1882년 프랑스 의학 아카데미 회보에도 기록되었다.[7] 당나귀젖은 20세기까지 고아로 자라는 유아에게 먹이거나, 몸이 허약한 아이, 환자, 노인을 치료하기 위한 목적으로 판매되었다. 이러한 수요 때문에 이탈리아, 벨기에, 독일, 스위스 등 유럽 여러 지역에 당나귀 농장이 많이 생겨났다.[7]
2. 4. 현대
21세기 들어 당나귀젖은 주로 비누와 보습제 제조에 사용되고 있다. 또한, 우유 알레르기가 있는 유아와 어린이를 위한 천연 대체 분유로서의 의학적 활용 가능성도 연구되고 있다.[2]3. 생산
당나귀는 계절성 다발정 동물로 간주되지만, 농장의 위도 위치가 번식 주기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암컷 당나귀의 임신 기간은 일반적으로 약 12개월이다.[8]
당나귀젖 생산은 일반적인 젖소와 비교했을 때 젖 공급량이 훨씬 제한적이라는 점에서 크게 다르다. 말과에 속하는 동물의 유선은 용량이 2.5L 이하로 작으며, 생산된 젖의 일부는 새끼를 위해 남겨두어야 한다. 어미 당나귀는 새끼와 분리된 후 2~3시간이 지나면 젖을 짤 수 있다.[9] 분만 후 20일에서 90일 사이에는 하루에 세 번 젖을 짜야 한다.[10] 암컷 당나귀는 약 6~7개월 동안 하루에 약 0.5L에서 1.3L의 젖을 생산한다. 당나귀젖 생산량은 개체별 젖 짜는 능력, 영양 상태, 유전적 요인, 번식 관리, 젖 짜기 관리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11]
젖 생산을 위한 당나귀 농장은 일반적으로 규모가 작아서 사육 두수가 10마리를 넘는 경우가 드물다. 유럽에서 가장 큰 당나귀 농장은 이탈리아 북부에 위치한다. 이탈리아 에밀리아로마냐주 콰트로 카스텔라에 있는 몬테바두코 당나귀 농장은 800마리의 당나귀를 보유하고 있다.[12]
4. 성분
당나귀젖의 성분은 모유와 여러 면에서 유사한 특징을 보인다. 특히 유당, 단백질, 회분 함량이 모유와 비슷하며, 젖소젖이나 양젖, 염소젖과는 차이가 있다.[11] 다만, 유당 함량은 높지만 평균 지방 함량은 낮은 편이다.[13][14] 단백질 구성에서도 카제인 대비 유청 단백질 비율이 젖소젖보다 낮고 모유와 유사한 경향을 보인다.[14]
또한, 항균 작용을 하는 리소자임이나 락토페린과 같은 기능성 단백질과 성장 인자, 호르몬 등 다양한 생리 활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영양학적 가치가 주목받고 있다.[11][15][16]
4. 1. 일반 성분
당나귀젖의 총 조성에 관한 발표된 자료는 젖소, 양젖, 염소젖과 비교했을 때 유당, 단백질 및 회분 수준이 모유와 매우 유사함을 확인해 준다.[11] 당나귀젖의 유당 함량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평균 지방 함량은 더 낮다. 유아 영양에 사용될 때 당나귀젖은 일반적으로 모유의 에너지에 맞추기 위해 식물성 오일(우유 100ml당 4ml)로 보충된다.[13]조성 | 당나귀 | 암말 | 인간 | 젖소 |
---|---|---|---|---|
pH | 7.0–7.2 | 7.18 | 7.0–7.5 | 6.6–6.8 |
단백질 g/100g | 1.5–1.8 | 1.5–2.8 | 0.9–1.7 | 3.1–3.8 |
지방 g/100g | 0.3–1.8 | 0.5–2.0 | 3.5–4.0 | 3.5–3.9 |
유당 g/100g | 5.8–7.4 | 5.8–7.0 | 6.3–7.0 | 4.4–4.9 |
총 고형분(TS) g/100 g | 8.8–11.7 | 9.3–11.6 | 11.7–12.9 | 12.5–13.0 |
카제인 질소(CN) g/100 g | 0.64–1.03 | 0.94–1.2 | 0.32–0.42 | 2.46–2.80 |
유청 단백질 g/100 g | 0.49–0.80 | 0.74–0.91 | 0.68–0.83 | 0.55–0.70 |
NPN g/100 g | 0.18–0.41 | 0.17–0.35 | 0.26–0.32 | 0.1–0.19 |
카제인 질소(CN) % | 47.28 | 50 | 26.06 | 77.23 |
유청 단백질 % | 36.96 | 38.79 | 53.52 | 17.54 |
NPN % | 15.76 | 11.21 | 20.42 | 5.23 |
당나귀젖의 카제인 대 유청 단백질 비율은 젖소의 값에 비해 낮았다.
비단백태 질소(NPN)는 당나귀젖 총 질소의 평균 16%를 차지하며, 이는 모유(20%)에 보고된 값과 비슷하지만 가축 반추동물(5%)의 값보다 높다.
당나귀젖 단백질의 아미노산 프로파일은 필수 아미노산의 비율이 인간 모유 단백질(100g 단백질당 40.7g 아미노산)보다 매우 유사한 36.7~38.2g 아미노산/100g 단백질을 나타낸다.[14]
4. 2. 기능성 성분
당나귀젖에서 발견되는 주요 기능성 단백질로는 리소자임과 락토페린이 있으며, 이들은 항균 방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당나귀젖의 락토페린 함량은 소젖보다는 높고 모유보다는 낮은 중간 정도 수준이다. 락토페린은 위장관에서 철분에 의존하는 세균의 성장을 억제하는 기능을 한다. 예를 들어, 철분을 필요로 하는 대장균이나 효모와 같은 특정 미생물의 증식을 막는다. 당나귀젖에는 리소자임이 풍부하게 들어 있는데, 분석 방법에 따라 1.0 mg/mL에서 4.0 mg/mL까지 검출된다.[11] 이는 사람(0.12 mg/mL)에게도 존재하는 효소이지만, 소젖이나 염소젖에는 아주 적은 양만 들어있다.[15] 당나귀젖의 리소자임은 열에 안정적이고 산과 단백질 분해 효소(프로테아제)에도 강한 특성을 보여, 장 내 면역 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16]또한, 당나귀 유선 분비물에서는 지방 제거 여부와 관계없이 성장 인자와 호르몬도 확인되었다. 특히, 당나귀 유선 분비물에는 모유와 비슷한 수준의 렙틴(3.35~5.32 ng/mL 우유)이 함유되어 있다.[11] 냉동된 당나귀젖에서도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1, 그렐린, 삼요오드티로닌과 같은 생리 활성 펩타이드가 발견되었다. 이러한 분자들은 모유에 존재하는 다른 여러 성분들과 함께 음식 섭취 조절, 신진대사, 유아의 신체 상태 조절 등에 직접적인 역할을 할 가능성이 있어 영양 보조 식품 관점에서 주목받고 있다.[11]
5. 영양학적 이용
당나귀젖은 영양학적으로 다양한 가치를 지니고 있어 여러 방식으로 이용된다. 특히 소젖 단백질 알레르기(CMPA)가 있는 영아에게는 천연 저자극성 우유로 사용될 수 있으며,[17][11] 실제 음식 알레르기가 있는 영아의 약 90%가 당나귀젖을 잘 소화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만, 의학적 감독 하에 알레르기 검사를 거치는 것이 안전하다.
영양 성분 면에서는 유당, 단백질, 미네랄, 아미노산 함량이 사람의 모유와 유사하지만, 지방 함량은 상대적으로 낮아 영아에게 급여할 때는 필수 지방산 등 지방 성분을 보충해야 할 필요가 있다.[13][18] 또한, 라이소자임이나 락토페린과 같은 면역 강화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어 질병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맛과 외관이 어린이에게 비교적 친숙하다는 장점도 있다.[11]
위생적으로 안전하게 섭취하기 위해서는 다른 모든 우유와 마찬가지로 살균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 외에도 위산 중화, 장내 세균총 증식 촉진, 기침 및 백일해 진정 효과 등이 보고되어 면역 관련 질환 치료나 식이 보충 목적으로도 활용이 고려된다.[19]
5. 1. 소젖 단백질 알레르기(CMPA) 영아를 위한 천연 저자극성 우유
살균된 당나귀젖은 천연 저자극성 우유로 사용될 수 있다.[17] 음식 알레르기가 있는 영아의 약 90%가 당나귀젖을 문제없이 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소젖 단백질 알레르기(CMPA)는 생후 3년 동안 약 3%의 유병률을 보이는 흔한 소아 알레르기인데,[11] 이러한 경우 당나귀젖이 대안이 될 수 있다.그러나 영아가 당나귀젖을 잘 소화할 수 있는지는 반드시 의학적 감독 아래 특정 알레르기 검사를 거친 후에 판단해야 한다. 당나귀젖은 콩이나 단백질 가수분해물로 만든 분유보다 맛이 더 좋다는 장점이 있으며, 콩 단백질이나 단백질 가수분해물에 알레르기 반응을 보이는 영아에게도 알레르기를 일으키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5. 2. 천연 영아용 조제 분유

당나귀젖은 유당, 단백질, 미네랄, 아미노산 함량 면에서 사람의 모유와 유사하다.
에너지 측면에서 당나귀젖은 유당 함량이 높지만 평균 지방 함량은 낮다. 따라서 이유기 전 유아의 영양 공급원으로 사용하려면 지방 성분을 보충해야 한다.[13] 특히 필수 지방산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데,[18] 오메가-3 및 오메가-6 지방산, 특히 도코사헥사엔산(DHA)은 뇌와 망막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임신 중과 생애 초기의 지방 섭취는 이후 아동기의 성장과 인지 능력에 영향을 미치므로, 이 시기에 지방, 필수 지방산, DHA를 충분히 섭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영양소의 적절한 섭취를 보장하기 위해 비용 효율적인 공급원이 필요하다.[18] 지방 보충은 필수 지방산(오메가-3, 오메가-6)과 유아용으로 인증된 식물성 기름을 첨가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처음 4개월 동안은 위 점막을 통과할 수 있는 포자를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 소젖이나 염소젖에 알레르기가 없는 어린이라면, 소 또는 염소 버터를 1~2% 추가하여 지방의 일부를 자연적으로 보충할 수도 있다. 또는 유아용 인공 조제 분유와 당나귀젖을 혼합하여 지방 및 필수 지방을 보충할 수도 있다.
위생 측면에서는 모든 우유와 마찬가지로 당나귀젖과 그 성분도 섭취 전에 살균 처리해야 한다. 살균 과정은 세균 및 바이러스 오염 물질을 비활성화시킨다.
또한 당나귀젖에는 라이소자임과 락토페린과 같이 면역력을 강화하는 화합물이 함유되어 있어 유아를 질병으로부터 보호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당나귀젖의 맛과 외관은 어린이에게 매력적이라는 장점도 있다.[11]
5. 3. 식이 보충제
당나귀젖은 위산을 중화하고, 장내 세균총의 증식을 촉진하며, 기침과 백일해를 진정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면역 매개 질환의 치료에도 사용이 권장되기도 한다.[19]6. 상업적 형태
당나귀젖은 상업적으로 유통되기 위해 수집 후 일반적으로 냉각 및 살균 과정을 거친다. 유럽 법규에 따르면 모든 동물 유래 우유처럼 사용 전 살균이 필수적이다.
시중에서는 주로 생젖 형태, 저온살균 처리된 액상 형태, 또는 장기 보존 및 사용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동결 건조된 분말 형태로 찾아볼 수 있다. 동결 건조 방식은 당나귀젖의 생물학적 품질과 영양적, 기능적 특성을 잘 보존하는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20] 각 형태는 보존 방법, 유통 기한, 영양 성분 유지 등에서 차이가 있어 소비 목적에 따라 선택된다.
이탈리아는 상업적인 당나귀젖 제품이 처음 시장에 출시된 곳 중 하나로, 다양한 형태의 제품을 비교적 쉽게 구할 수 있다.
6. 1. 생 당나귀젖
수집된 당나귀젖은 먼저 냉장 온도까지 냉각시킨다. 유럽 법규에 따르면, 다른 동물 유래 우유와 마찬가지로 사용하기 전에 반드시 살균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는 최소 2분 동안 약 90°C까지 가열하는 것을 의미한다.생 당나귀젖은 착유일로부터 3일 동안 냉장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보존 기간을 더 늘리고 싶다면, 최대 2~3개월까지 냉동 보관이 가능하다. 냉동 보관한 당나귀젖은 사용하기 전에 냉장고에서 해동한 후 반드시 살균해야 한다.
6. 2. 저온 살균 당나귀젖
당나귀젖은 저온살균 처리 시, 폐쇄 회로 시스템 내에서 최소 72°C 온도에서 15초 동안 가열하거나 이와 동등한 효과를 내는 시간 및 온도 조건으로 처리된다. 이후 무균 상태로 병에 담는 과정을 거친다. 만약 불연속 시스템을 사용하여 저온살균을 진행할 경우, 적용된 구체적인 방법, 생산 공장의 종류, 그리고 최종 유통 목적지 등에 따라 더 높은 온도로 처리해야 할 수도 있다.6. 3. 동결 건조 (동결 건조)
당나귀젖은 우유의 생물학적 품질을 보존하고 영양적, 기능적, 미용적 특성을 유지하기 위해 동결 건조될 수 있다. 이는 동결 건조 과정에서 우유를 냉동시키고 저온 진공 상태로 만들기 때문에 가능하다. 이 과정에서 물은 승화를 통해 제거된다. 그 결과, 약 10%의 건조 물질이 남는데, 이를 동결 건조(또는 동결 건조된) 당나귀젖이라고 한다. 이 분말은 재구성하기 쉽다. 동결 건조된 제품은 산소가 없는 상태로 포장해야 한다. 유통 기한은 2년이다. 일반적으로 살균된 당나귀젖으로 생산되므로 즉시 사용할 수 있다.동결 건조된 당나귀젖의 분석 결과, 신선한 당나귀젖의 자연적인 색상, 풍미, 영양소 및 생체 활성 물질이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20] 제품을 건조시키는 또 다른 방법인 분무 건조는 이 과정에서 우유가 가열되어 비타민 및 기타 중요한 생체 활성 물질이 손실될 수 있다. 반면, 동결 건조는 화학적 방부제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직접 섭취하거나 쉽게 재수화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비용이 많이 들고, 소수의 회사에서만 사용한다.
이 제품은 이탈리아에서 쉽게 구할 수 있으며, 이곳에서 처음으로 시장에 출시되었다.
7. 화장품 용도
당나귀젖은 역사적으로 피부 미용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고대 이집트의 여왕 클레오파트라는 피부의 아름다움과 젊음을 유지하기 위해 당나귀젖으로 목욕을 했다고 전해진다. 전설에 따르면 매일 목욕에 필요한 젖을 공급하기 위해 최소 700마리의 당나귀가 동원되었다고 한다.[3][4][24][25]
로마 시대에도 당나귀젖은 귀한 미용 재료로 여겨졌다. 로마 황제 네로의 두 번째 아내였던 포파이아 사비나(서기 30–65년)는 당나귀젖으로 목욕하고 얼굴을 관리했으며, 그녀의 여행에는 항상 당나귀 떼가 동행했다고 플리니우스는 기록했다. 플리니우스는 당나귀젖이 주름을 펴고 피부를 부드럽고 희게 유지하는 데 효과가 있다고 언급했다.[5][26] 로마의 시인 오비디우스(기원전 43년–서기 18년) 역시 그의 시에서 당나귀젖을 이용한 미용법을 소개하기도 했다.
근대에 들어서도 나폴레옹의 여동생 폴린 보나파르트(1780–1825년)가 피부 관리를 위해 당나귀젖을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3][26] 이러한 역사적 배경을 바탕으로 현대에도 당나귀젖은 비누나 크림 등 화장품 원료로 사용되고 있다.[23]
7. 1. 당나귀젖을 함유한 화장품
최근 몇 년 동안, 화장품 산업은 지속 가능한 소비를 지향하며 천연 성분으로 만들어진 제품에 주목하고 있다. 우유 성분은 천연 유래라는 점에서 화장품 산업의 요구에 여러모로 부합한다.[21]당나귀젖을 동결 건조하여 만든 크림에 대한 최근 과학 연구에 따르면, 이 크림은 피부에 다양한 긍정적 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당나귀젖에 함유된 단백질, 미네랄, 비타민, 필수 지방산, 생체 활성 효소 및 조효소 덕분으로, 피부에 균형 잡힌 영양을 공급하고 적절한 수분을 유지하도록 돕는다. 특히 당나귀젖의 비타민 C 함량은 일반 우유보다 거의 4배나 높다. 또한, 당나귀젖에는 우유보다 많은 락토페린과 상당량의 라이소자임이 함유되어 있어, 적절히 배합될 경우 습진, 여드름, 건선, 헤르페스와 같은 피부 문제로 인한 자극 증상을 완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21]
일부 연구에서는 당나귀젖으로 만든 페이스 크림의 사용이 감각적인 측면에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했다. 그 결과, 건성 피부를 가진 소비자들은 해당 크림의 발림성, 전체적인 외관, 부드러움, 보습력, 그리고 전반적인 효과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종합적인 평가에서도 당나귀젖으로 만든 페이스 크림이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21][22]
당나귀젖은 비누와 크림 제조에 사용된다.[23]
역사적으로도 당나귀젖은 미용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고대 이집트의 여왕 클레오파트라는 피부의 아름다움과 젊음을 유지하기 위해 당나귀젖으로 목욕했다고 전해진다. 전설에 따르면, 매일 목욕에 필요한 젖을 얻기 위해 최소 700마리의 당나귀가 필요했다고 한다.[3][4][24][25]
로마 황제 네로의 두 번째 아내였던 포파이아 사비나(서기 30–65년) 역시 당나귀젖을 애용했다. 플리니우스는 그의 저서에서 당나귀젖의 피부 효능에 대해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Asinarum lac profligare rugas in facie credunt, teneritatemque cutis et candorem conseruare. constatque quasdam septingenties eo die perluere sese, obseruantes numerum praeceptumque. quae res primum experimentum in Poppaea Neronis principis coniuge habuit, balnearum quoque solia componens e lacte, ob id tota comitante gregum asinarum.|"일반적으로 당나귀젖은 얼굴의 주름을 없애고, 피부를 더 섬세하게 만들며, 희게 유지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어떤 여성들은 하루에 일곱 번씩 이 젖으로 얼굴을 씻는 습관이 있으며, 이 횟수를 엄격히 지킨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네로 황제의 아내인 포파이아가 이를 처음으로 실천했는데, 그녀는 당나귀젖으로만 준비된 좌욕을 했으며, 이를 위해 수많은 암컷 당나귀들이 그녀의 여행에 동행했다."la[5][26]
로마의 시인 오비디우스(기원전 43년–서기 18년)는 그의 시 ''Medicamina Faciei Femineae|여성 화장품la''에서 당나귀젖으로 만든 미용 팩을 제안하기도 했다.
나폴레옹의 여동생인 폴린 보나파르트(1780–1825년) 역시 피부 관리를 위해 당나귀젖을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3][26]
8. 전통 의학
당나귀젖은 고대 이집트 시대부터 식용 및 화장품 용도로 사용되어 왔다.[1] 고대 의사들은 당나귀젖이 치유력과 미용 효과가 있다고 여겨 여러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 권장했다.[2]
히포크라테스(기원전 460–370년)는 당나귀젖의 약용 가치에 대해 처음으로 기록한 인물 중 하나로, 중독, 발열, 전염병, 부종, 상처 치유, 코피, 간 질환 등 다양한 질병 치료에 이를 처방했다.[3][4] 로마 시대에도 당나귀젖은 널리 알려진 치료법이었다. 대 플리니우스(서기 23–79년)는 그의 백과사전적 저서인 ''박물지''(Naturalis Historia|나투랄리스 히스토리아la)에서 당나귀젖의 다양한 건강상 이점을 상세히 기록했다. 그는 열병, 피로, 눈의 피로, 약해진 치아, 얼굴 주름 개선, 중독 해독, 궤양 치료, 천식 완화 및 특정 부인과 문제 해결 등에 당나귀젖이 효과가 있다고 설명했다.[5] 그는 당나귀젖이 약효 면에서 가장 뛰어나며, 그 다음이 소젖과 염소젖이라고 평가했다.
르네상스 시대에 이르러 당나귀젖에 대한 최초의 실질적인 과학적 관심이 나타났다. 프랑스의 프랑수아 1세 국왕은 의사의 조언에 따라 당나귀젖을 마시고 오랫동안 앓던 병에서 회복했다고 전해진다. 프랑스의 저명한 박물학자 조르주루이 르클레르 드 뷔퐁 백작(1707–1788) 역시 그의 저서 ''자연사''(Histoire naturelle|이스트와르 나튀렐프랑스어)에서 당나귀젖의 효능을 언급하며 그 가치를 강조했다.[6] 나폴레옹의 여동생인 폴린 보나파르트(1780–1825)도 피부 관리를 위해 당나귀젖을 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세기 프랑스에서는 파리의 데 장팡 아시스테 병원(Hôpital des Enfants Assistés프랑스어) 소속 파로(Parrot) 박사가 젖어미를 구할 수 없는 아기들에게 당나귀의 젖을 직접 물리도록 하는 방법을 널리 알렸다. 이러한 관행은 1882년 프랑스 의학 아카데미 회보에도 기록되었다. 당나귀젖은 20세기까지도 고아나 허약한 아이들, 병자, 노인들의 영양 보충 및 치료 목적으로 판매되었으며, 이로 인해 이탈리아, 벨기에, 독일, 스위스 등 유럽 여러 지역에 당나귀 농장이 운영되었다.[7]
이처럼 당나귀젖과 같은 말과 동물의 젖을 약용으로 사용하는 것은 오랜 전통에 기반하고 있다. 특정 질병에 대한 효능은 주로 경험적 지식과 민간요법에 근거하며, 현대적인 과학적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편이다. 당나귀젖과 암말젖은 성분이 매우 유사하여 비슷한 특성을 지닌 것으로 여겨진다.
참조
[1]
논문
Studies on equine milk and comparative studies on equine and bovine milk systems
University College Cork
2011
[2]
웹사이트
Ass's milk in allergy to Cow's milk protein: a review
https://iris.unipa.i[...]
2012
[3]
웹사이트
Ass's milk in allergy to Cow's milk protein: a review
http://journalfoodal[...]
[4]
서적
The Genuine Work of Hippocrates
Sydenham Society
1843
[5]
서적
The Natural History. Book XXVIII "Remedies derived from living creatures"
John Bostock
1855
[6]
간행물
L’Histoire naturelle, générale et particulière, avec la description du Cabinet du Roy
P. Duménil
1835
[7]
웹사이트
Characterization of donkey milk proteins by a proteomic approach
http://www.fedoa.uni[...]
Università di Napoli "Federico II"
2013
[8]
웹사이트
Foaling out the Donkey Jennet
2008-03-04
[9]
간행물
Le lait de jument
1991
[10]
간행물
Animals that produce dairy foods – horse
Academic Press
2011
[11]
논문
Equid milk for human consumption
2012
[12]
웹사이트
Giuseppe Borghi
https://www.rural.it[...]
2019-03-20
[13]
논문
Use of ass' milk in multiple food allergy
1992
[14]
논문
Composition, Physiochemical Properties, Nitrogen Fraction Distribution, and Amino Acid Profile of Donkey Milk
2007
[15]
웹사이트
Nutritional qualities of donkey milk
https://www.soas.ac.[...]
[16]
논문
Antimicrobial effect of donkeys' milk digested in vitro with human gastrointestinal enzymes
2011
[17]
논문
World Allergy Organization (WAO) Diagnosis and Rationale for Action against Cowʼs Milk Allergy (DRACMA) Guidelines
[18]
논문
Essential fats: how do they affect growth and development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in developing countries? A literature review
2011
[19]
웹사이트
L'asino e la sua storia
https://www.georgofi[...]
[20]
웹사이트
Effects of Lyophilization and Use of Probiotics on Donkey's Milk Nutritional Characteristics
http://agris.fao.org[...]
2016-02-13
[21]
서적
The Sustainability of Agro-Food and Natural Resource Systems in the Mediterranean Basin
[22]
논문
Market sustainability analysis of jenny milk cosmetics
[23]
웹사이트
DonkeyMilkSoap.com
http://donkeymilksoa[...]
[24]
서적
L'âne: histoire, mythe et réalité : tiré de Bougres d'ânes
https://books.google[...]
Editions Cabedita
[25]
웹사이트
» Why did Cleopatra supposedly bathe in sour donkey milk? Office for Science and Society
https://www.mcgill.c[...]
2017-09-01
[26]
웹사이트
L'âne le meilleur ami de l'homme
http://www.lextensio[...]
L'Extension.com
2008-07-15
[27]
논문
The Donkey Milk in Infant Nutrition
2022-01-18
[28]
웹사이트
Stutenmilch. – das unbekannte Lebenselixier. (Herausgeber) – PDF Kostenfreier Download
https://docplayer.or[...]
[29]
웹사이트
ZUR VERWENDBARKEIT VON STUTENMILCH, KUMYB UND ESELMILCH ALS DIÄTETIKA UND HEILMITTEL unter besonderer Berücksichtigung der Bedürfnisse des Säuglings und des Frühgeborenen (USE OF MARE'S MILK, KUMYS AND DONKEY'S MILK AS DIETETIC AND MEDICINAL PRODUCTS, WITH SPECIAL NOTE TO THE NEEDS OF THE INFANT AND THE PREMATURE BABY)
http://avtorskie.by/[...]
[30]
웹인용
Montebaducco, la capitale degli asini. "Ho realizzato il sogno della vita" - il Resto del Carlino – Reggio Emilia
http://www.ilrestode[...]
2016-03-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