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는 대구광역시 달서구에서 동구를 연결하는 고속국도 제700호선으로, 2013년 11월 5일 지정되어 2022년 3월 31일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주요 나들목으로는 달서, 다사, 칠곡 분기점, 동명동호 분기점, 서변, 파군재, 둔산, 상매 분기점 등이 있으며, 대구광역시 달서구, 달성군, 경상북도 칠곡군, 대구광역시 북구, 동구를 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 - 동명동호 분기점
동명동호 분기점은 2022년 3월 31일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 개통과 함께 개장한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봉암리와 대구광역시 북구 읍내동에 걸쳐 있는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의 분기점으로, 트럼펫형 및 직결형 복합 입체 교차로 형태로 중앙고속도로와 연결되어 대구 시내 및 주변 지역으로의 접근성을 높인다. -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 - 칠곡 분기점
칠곡 분기점은 경상북도 칠곡군에 위치하며 경부고속도로와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가 만나는 지점으로, 경부고속도로를 통해 왜관, 김천 방면,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를 통해 달서, 율암 방면으로 연결된다. - 칠곡군의 도로 - 경부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는 부산에서 서울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고속도로이며, 1970년에 전 구간이 완공되었고, 총 연장 416.1km로 부산, 대구, 대전 등 주요 도시를 통과하며 버스 전용 차로가 운영된다. - 칠곡군의 도로 - 중앙고속도로
중앙고속도로는 부산광역시 사상구에서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를 잇는 총 길이 388.1km의 고속도로로, 대부분 왕복 4차로이며 일부 구간은 신대구부산고속도로㈜에서 관리하고 최고 제한 속도가 다르다. - 달성군의 교통 - 경부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는 부산에서 서울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고속도로이며, 1970년에 전 구간이 완공되었고, 총 연장 416.1km로 부산, 대구, 대전 등 주요 도시를 통과하며 버스 전용 차로가 운영된다. - 달성군의 교통 - 국도 제26호선
국도 제26호선은 군산에서 대구 서구까지 연결되는 일반 국도로, 1971년에 지정되었으며 전라북도, 경상남도, 경상북도를 거쳐 대구광역시를 지난다. 
|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 | |
|---|---|
| 개요 | |
| 노선 번호 | 400호선 | 
| 관리 | 대한민국 국토교통부 | 
| 운영 | 한국도로공사 | 
| 총 연장 | 32.54km | 
| 제한 속도 | 100km/h (최저 50km/h) | 
| 차로수 | 4차로 (왕복) | 
| 통행료 | 폐쇄식 (최저 900원 ~ 최고 2,900원) | 
| 역사 | |
| 개통 | 2023년 2월 8일 | 
| 노선 정보 | |
| 기점 |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금호 분기점 | 
| 종점 | 경상북도 경산시 진량읍 대구대 분기점 | 
| 경유지 | 대구광역시 경상북도 경산시 경상북도 칠곡군 경상북도 영천시  | 
| 주요 통과 지역 | |
| 대구광역시 | 동구 북구 달성군  | 
| 경상북도 | 경산시 칠곡군 영천시  | 
2. 역사
2013년 11월 5일 : 대구광역시 달서구 ~ 대구광역시 동구 구간을 고속국도 제700호선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대구외곽순환선)로 지정하였다.[1] 2014년 3월 10일 전 구간 착공[2]후, 2014년 6월 3일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오산리 ~ 대구광역시 동구 상매동 21.65 km 구간 도로구역이 결정되었다.[3] 같은 해 9월 12일 대구광역시 달서구 대천동 ~ 달성군 다사읍 매곡리 5.1 km 구간[4], 12월 26일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매곡리 ~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오산리 5.65 km 구간[5]의 도로구역이 결정되었다. 2015년 3월 27일, 국토교통부고시로 기점을 '대구광역시 달서구 대천동', 종점을 '대구광역시 동구 상매동'으로 명시하였다.[6]
2016년 1월 14일에는 2020년까지 스마트톨링 도입으로 인해 본선요금소 설치 제외를 위해 대구광역시 달서구 대천동 ~ 달성군 다사읍 매곡리 5.1 km 구간[7],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오산리 ~ 대구광역시 동구 부동 21.65 km 구간 도로구역이 변경되었다.[8] 2016년 8월 31일에는 2020년 12월까지 1~7공구 스마트톨링 도입 및 파군재교량 재설계를 위해 대구광역시 달서구 대천동 ~ 동구 신평동 32.42 km 구간 도로구역이 변경되었다.[9] 2017년 9월 12일, 2020년 12월까지 6공구 측백수림 통과 구간 노선 변경을 위해 대구광역시 달서구 대천동 ~ 동구 부동 32.42 km 구간을 32.52 km로 도로구역을 변경했다.[10]2019년 5월 24일에는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 사업 시행기간을 2014년 3월부터 2021년 12월까지로 명기하였다.[11] 2022년 3월 31일,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12][13]
2. 1. 건설 과정
2013년 11월 5일 : 대구광역시 달서구 ~ 대구광역시 동구 구간을 고속국도 제700호선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대구외곽순환선)로 지정하였다.[1] 2014년 3월 10일 전 구간 착공[2]후, 2014년 6월 3일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오산리 ~ 대구광역시 동구 상매동 21.65 km 구간 도로구역이 결정되었다.[3] 같은 해 9월 12일 대구광역시 달서구 대천동 ~ 달성군 다사읍 매곡리 5.1 km 구간[4], 12월 26일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매곡리 ~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오산리 5.65 km 구간[5]의 도로구역이 결정되었다. 2015년 3월 27일, 국토교통부고시로 기점을 '대구광역시 달서구 대천동', 종점을 '대구광역시 동구 상매동'으로 명시하였다.[6]2016년 1월 14일에는 2020년까지 스마트톨링 도입으로 인해 본선요금소 설치 제외를 위해 대구광역시 달서구 대천동 ~ 달성군 다사읍 매곡리 5.1 km 구간[7],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오산리 ~ 대구광역시 동구 부동 21.65 km 구간 도로구역이 변경되었다.[8] 2016년 8월 31일에는 2020년 12월까지 1~7공구 스마트톨링 도입 및 파군재교량 재설계를 위해 대구광역시 달서구 대천동 ~ 동구 신평동 32.42 km 구간 도로구역이 변경되었다.[9] 2017년 9월 12일, 2020년 12월까지 6공구 측백수림 통과 구간 노선 변경을 위해 대구광역시 달서구 대천동 ~ 동구 부동 32.42 km 구간을 32.52 km로 도로구역을 변경했다.[10]2019년 5월 24일에는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 사업 시행기간을 2014년 3월부터 2021년 12월까지로 명기하였다.[11] 2022년 3월 31일,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12][13]
3. 구성
3. 1. 나들목 및 분기점
거리거리
대구광역시도 제10호선 (호국로)
국도 제5호선 (경북대로)
나들목 기능 병행
55호선 중앙고속도로
양방향 모두 경부고속도로(서울방향), 중앙고속도로(춘천방향) 진출 불가능
종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