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니얼 칼턴 가이듀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니얼 칼턴 가이듀섹은 슬로바키아계 이민자 출신으로, 미국의 바이러스학자이자 의사이다. 로체스터 대학교에서 학사 학위를, 하버드 대학교에서 의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국립 보건원(NIH)에서 바이러스학 및 신경학 부문장을 역임했다. 파푸아뉴기니의 포레족에게서 발생한 쿠루병 연구를 통해 1976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지만, 아동 성추행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아 논란이 되었다. 말년에는 노르웨이에서 거주하다 2008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르웨이에 거주한 미국인 - 이선 호바스
이선 호바스는 미국의 축구 선수로, 유럽 클럽에서 활약하며 벨기에 퍼스트 디비전 A 우승 3회, EFL 챔피언십 플레이오프 우승 2회를 기록했고, 미국 국가대표팀으로 CONCACAF 네이션스 리그 우승을 경험했으며 2022년 FIFA 월드컵 미국 대표팀 명단에 포함된 골키퍼이다. - 노르웨이에 거주한 미국인 - 미켈 디스케루트
미켈 디스케루트는 노르웨이 출신의 축구 선수로, 여러 클럽을 거쳐 미드필더로 활약했으며, 미국 국가대표팀으로 38경기 출전하여 6골을 기록했다. - 네덜란드에 거주한 미국인 - 세스 마이어스
세스 마이어스는 미국의 코미디언, 배우, 작가, 텔레비전 진행자로서 《세스 마이어스의 레이트 나이트》 진행, 《새터데이 나이트 라이브》 수석 작가 및 《위켄드 업데이트》 공동 진행 등으로 활동하며 사회 풍자와 날카로운 유머를 결합한 코미디 스타일로 알려져 있다. - 네덜란드에 거주한 미국인 - 벤 웹스터
벤 웹스터는 1930년대부터 활동한 미국의 재즈 테너 색소폰 연주자로, 듀크 엘링턴 오케스트라의 주요 솔리스트이자 오스카 피터슨, 제리 멀리건 등과 협연하며 독자적인 음악 세계를 구축했고, 1964년 이후 유럽으로 이주하여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생을 마감했으며, 그의 음악적 유산을 기리는 벤 웹스터 재단이 설립되었다. - 미국의 과학자 - 앨런 펄리스
앨런 펄리스는 고급 프로그래밍 기술과 컴파일러 구축에 기여한 미국의 컴퓨터 과학자로, 튜링상 수상, 알골 프로그래밍 언어 개발 참여, 최초의 성공적인 컴파일러 개발, "프로그래밍 에피그램" 저술 등의 업적을 남겼다. - 미국의 과학자 - 메이 제미슨
메이 제미슨은 미국의 의사이자 NASA 우주 비행사로, 1992년 엔데버 우주왕복선 STS-47 미션에 참여하여 우주를 비행한 최초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여성이며, NASA 퇴사 후에는 컨설팅 회사 설립 및 과학 교육 옹호, 저술 활동을 하고 있다.
대니얼 칼턴 가이듀섹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다니엘 칼턴 가이듀섹 |
원어 이름 | Daniel Carleton Gajdusek |
출생 | 1923년 9월 9일, 미국뉴욕주용커스 |
사망 | 2008년 12월 12일, 노르웨이트롬쇠 |
![]() | |
학력 | |
모교 | 로체스터 대학교, 하버드 대학교 의과대학 |
경력 | |
직업 | 의학 연구원 |
업적 | |
주요 업적 | 프리온 질병의 초기 발견 |
수상 | E. 미드 존슨 상(1963), 노벨 생리학·의학상(1976) |
2. 생애
대니얼 칼턴 가이듀섹은 1923년 뉴욕주 용커스에서 슬로바키아계 아버지와 헝가리계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5] 로체스터 대학교를 졸업(1943년)하고 하버드 대학교에서 의학 박사 학위(1946년)를 받았다.[5] 이후 미국 국립 보건원(NIH)에서 바이러스학 및 신경학 연구 부문장(1958년)을 맡았으며,[6] 쿠루병 연구의 공로를 인정받아 1976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 1974년에는 미국 과학 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출되었다.[6] 말년에는 노르웨이에서 거주하다가 2008년 12월 12일 트롬쇠에서 향년 85세로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1923년 뉴욕주 용커스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당시 헝가리 왕국령이었던 Büdöskö (현재 슬로바키아의 Smrdáky) 출신의 슬로바키아계 이민자 카롤 가이두셰크(Karol Gajdušek)로, 정육점 주인이었다. 어머니 오틸리아 도브로츠키는 헝가리 데브레첸에서 이민 온 헝가리계였으며, 칼뱅주의 신자였다.가이듀섹은 1943년 로체스터 대학교에서 물리학, 생물학, 화학, 수학을 전공하고 졸업했다. 이후 1946년 하버드 대학교에서 의학박사(M.D.) 학위를 취득했으며, 컬럼비아 대학교,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 하버드 대학교에서 박사후 연구 과정을 거쳤다.[5]
2. 2. 군 복무 및 연구 경력
하버드 대학교에서 의학 박사 학위를 받은 후, 컬럼비아 대학교,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 하버드 대학교에서 박사후 연구를 수행했다. 이후 바이러스학자로서 군에 징집되었다.1952년부터 1953년까지 이란 테헤란의 파스퇴르 연구소에서 근무했으며, 1954년에는 오스트레일리아 멜버른에 있는 월터 앤 엘리자 홀 의학연구소에서 방문 연구원으로 일했다. 멜버른 연구소에서 그는 훗날 노벨상 수상으로 이어지는 쿠루병 연구를 시작했다.
1958년 미국 국립 보건원(NIH) 산하 국립 신경 질환 및 뇌졸중 연구소(NINDS)의 바이러스학 및 신경학 부문장으로 임명되었다. 1970년부터 1996년까지는 NINDS 중앙 신경계 연구소의 소장을 역임했다.[6]
학술 활동으로는 1974년 미국 과학 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출되었고, 1978년에는 미국 철학 학회 회원으로 선출되었다.[7]
2. 3. 쿠루병 연구
가이듀섹의 대표적인 업적은 쿠루병 연구이다. 이 병은 1950년대와 1960년대에 파푸아뉴기니의 포레족(특히 남부 포레족) 사이에서 유행했다.가이듀섹은 파푸아뉴기니 포레족 지역의 의료 책임자였던 빈센트 지가스를 통해 쿠루병에 대해 처음 알게 되었다. 그는 이 독특한 신경학적 장애에 대해 처음으로 의학적인 설명을 제공했으며, 일부 환자가 경련성 웃음과 유사한 증상을 보여 대중 매체에서는 "웃는 병"으로 잘못 알려지기도 했다.
파푸아뉴기니를 방문한 가이듀섹은 포레족과 함께 생활하며 그들의 언어와 문화를 연구했고, 쿠루병 희생자의 부검을 수행했다. 그는 연구를 통해 쿠루병이 포레족의 장례식 식인 풍습, 특히 죽은 친족의 뇌를 의례적으로 섭취하는 행위와 관련이 깊다고 결론지었다.
이 가설을 증명하기 위해, 가이듀섹은 침팬지에게 쿠루병에 걸린 사람의 뇌 조직을 주입하는 실험을 진행했다. 그는 침팬지의 머리에 구멍을 뚫고 으깬 뇌 물질을 소뇌에 주입했다.[9][10] 실험 결과, 침팬지에게 쿠루병을 성공적으로 전파시켰으며, 이 질병이 몇 년에 달하는 비정상적으로 긴 잠복기를 가진다는 사실을 입증했다.[8] 이는 인간에게서 비염증성 퇴행성 질환의 감염성 전파를 처음으로 증명한 사례였다.
쿠루병은 양과 염소에게 발생하는 스크래피와 놀라운 유사성을 보였다. 가이듀섹은 쿠루병, 스크래피, 크로이츠펠트-야코프병 등이 아직 확인되지 않은 새로운 유형의 감염성 병원체에 의해 발생한다고 생각했다.[2] 1977년 논문 "특이 바이러스와 쿠루병의 기원 및 소멸"에서 그는 이 병원체를 "특이 바이러스"라고 명명했다. 이 바이러스는 일반적인 바이러스와 달리 긴 잠복기를 가지며 숙주에게서 면역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특징이 있었다. 가이듀섹은 이 바이러스에 입증 가능한 핵산이 없다는 점을 언급하면서도, 낮은 수준의 RNA를 포함할 가능성은 배제하지 않았다.[11]
비록 가이듀섹이 병원체를 직접 밝혀내지는 못했지만, 그의 연구는 후속 연구의 중요한 발판이 되었다. 이후 스탠리 프루시너 등은 추가 연구를 통해 이 감염원의 정체가 프리온이라는 변형된 단백질임을 규명했다.
포레족 사이에서 식인 풍습이 사라지면서 쿠루병은 한 세대 안에 거의 사라졌다. 가이듀섹은 쿠루병 연구의 공로를 인정받아 1976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
3. 논란
그러나 연구 업적으로 명성을 얻은 지 약 20년 뒤, 그는 불명예스러운 사건에 연루된다. 남태평양 지역 연구 중 현지 아이들에게 더 나은 교육 기회를 제공하고자 미국으로 데려와 함께 생활했는데, 이들 중 한 명이 성인이 된 후 가이듀섹으로부터 아동 성추행을 당했다고 고소했다. 이로 인해 그는 1996년 기소되었으며, 피해자의 증언과 가이듀섹 자신의 자백에 따라 1997년 징역 12개월을 선고받았다. 1998년 석방된 후에는 5년간의 보호관찰 기간을 유럽에서 보냈다. 이 사건은 그의 인생에 큰 오점을 남겼다.
3. 1. 아동 성추행 혐의 및 유죄 판결
대니얼 칼턴 가이듀섹은 남아시아 태평양 지역으로 연구 여행을 다니면서 56명의 아이들(대부분 남자아이)을 미국으로 데려와 고등학교와 대학교 교육 기회를 제공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심각한 문제가 발생했다. 가이듀섹이 데려온 소년 중 한 명이 성인이 된 후, 어린 시절 가이듀섹으로부터 아동 성추행을 당했다고 고발했다.1996년 4월, 가이듀섹은 아동 성추행 혐의로 기소되었다. 기소 근거는 그가 출판한 저널, 개인 일기, 피해자의 진술 등이었다. 특히 국립 보건원(NIH)에서 출판하고 배포한 저널에는 가이듀섹 자신이 뉴기니, 미크로네시아 및 기타 폴리네시아 섬에서 남성과 소년 간의 성행위, 그리고 연구 여행 중 소년들과 가졌던 자신의 성적 경험에 대해 기술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다.[12]
1997년, 가이듀섹은 플리바겐(사법 거래)을 통해 유죄를 인정했고, 징역 12개월을 선고받았다. 1998년 석방된 후에는 미국으로 돌아가지 않고 5년간의 보호관찰 기간을 유럽에서 보내도록 허가받았다. 그는 주로 암스테르담에서 살았으며, 겨울에는 노르웨이 트롬쇠에서 지냈다.[13] 그는 동지 무렵의 극야가 연구 작업에 더 집중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언급하기도 했다.[1]
가이듀섹의 사건 처리에 대해 논란도 있었다. 1996년 10월, 당시 에든버러 대학교 심리학자였던 크리스 브랜드는 가이듀섹에 대한 처우가 반엘리트주의적이며 지나치게 가혹하다고 비판했다.[14] 그러나 브랜드는 이후 대학의 명예를 훼손했다는 이유로 대학에서 해고되었다.
한편, 2009년 BBC Four에서 방영된 보세 린드퀴스트의 다큐멘터리 《천재와 소년들》에서는 추가적인 증언들이 공개되었다. 다큐멘터리에 따르면, 7명의 남성이 어린 시절 가이듀섹과 성관계를 가졌다고 비밀리에 증언했으며, 이 중 4명은 문제가 없었다고 말했지만 3명은 수치스럽고 학대적이며 침해적인 경험이었다고 밝혔다. 또한, 가이듀섹 자신이 소년들을 성추행한 사실과 근친상간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공공연히 인정한 내용도 포함되었다.[15] 이 다큐멘터리는 가이듀섹의 성적 행동을 분석하며 그의 과학, 탐험, 삶에 대한 동기를 이해하려는 시도를 담고 있다.
4. 말년 및 사망
말년에는 노르웨이에서 거주했다. 2008년 12월 12일, 노르웨이 트롬쇠에서 85세를 일기로 사망했다. 사망 당시 그는 트롬쇠에서 연구 활동을 하고 동료들을 방문 중이었다.[16]
5. 기타
한야 야나기하라의 2013년 소설 ''나무 속의 사람들''은 가이듀섹의 생애, 연구, 아동 성추행 유죄 판결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17] 이 소설은 가이듀섹에게서 영감을 받은 A. 노턴 페리나라는 인물을 중심으로, 미크로네시아에서 신성한 거북 고기의 수명 연장 효과를 연구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18]
참조
[1]
뉴스
D. Carleton Gajdusek; Controversial Scientist
The Washington Post
2008-12-16
[2]
웹사이트
Physiology or Medicine 1976 – Press Release
https://www.nobelpri[...]
Nobelprize.org
2018-07-21
[3]
웹사이트
D. Carleton Gajdusek Papers 1918–2000
http://oculus.nlm.ni[...]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4]
웹사이트
D. Carleton (Daniel Carleton) Gajdusek correspondence, 1934-1988
https://search.amphi[...]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5]
뉴스
D. Carleton Gajdusek dies at 85; Nobel Prize winner identified exotic disease, was unrepentant pedophile
http://www.latimes.c[...]
2012-05-12
[6]
뉴스
NIH SCIENTIST CHARGED WITH ABUSING TEEN
https://www.washingt[...]
2022-11-26
[7]
웹사이트
APS Member History
https://search.amphi[...]
2021-05-19
[8]
간행물
Transmission and passage of experimental 'kuru' to chimpanzees
https://www.science.[...]
1967-01-13
[9]
서적
Brain Trust: The Hidden Connection Between Mad Cow and Misdiagnosed Alzheimer's Disease
https://books.google[...]
Simon & Schuster
[10]
웹사이트
Fatal Infections
http://www.releasech[...]
New England Anti-Vivisection
2013-07-23
[11]
간행물
Unconventional Viruses and the Origin and Disappearance of Kuru
[12]
뉴스
Nobel Scientist Pleads Guilty to Abusing Boy
https://www.nytimes.[...]
2022-11-26
[13]
웹사이트
Carleton Gajdusek
https://www.theguard[...]
2019-05-09
[14]
뉴스
'Racist' Brand loses dismissal appeal
http://www.timeshigh[...]
2012-05-12
[15]
웹사이트
The Genius and the Boys
http://www.bbc.co.uk[...]
BBC Four
2012-05-12
[16]
뉴스
D. Carleton Gajdusek, Who Won Nobel for Work on Brain Disease, Is Dead at 85
https://www.nytimes.[...]
2012-05-12
[17]
뉴스
Bitter Fruit: 'The People in the Trees,' by Hanya Yanagihara
https://www.nytimes.[...]
2015-03-12
[18]
서적
The People in the Trees
Doubleday
2013-08-13
[19]
웹사이트
D. Carleton Gajdusek Papers
http://pdf.oac.cdlib[...]
Special Collections & Archives, UC San Diego
2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