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량응징보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량응징보복은 적의 공격을 억제하기 위해 대규모 보복을 위협하는 군사 전략이다. 1953년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대통령은 NSC 162/2를 승인하며 이 개념을 미국의 정책으로 확립했고, 존 포스터 덜레스 국무장관의 연설을 통해 대중에게 알려졌다. 이 전략은 핵무기 사용을 포함한 대규모 보복 공격을 통해 적의 추가 공격을 예방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그러나 핵전쟁의 가능성에 대한 두려움과 지나치게 공격적이라는 비판에 직면했고, 이후 유연한 대응 전략으로 대체되었다. 대한민국은 2016년 북한의 핵실험 이후 KMPR(대량응징보복) 계획을 공개하고, 킬 체인, KAMD와 함께 3축 체계를 구축하여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응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군사 계획 - 국방개혁 2020
    국방개혁 2020은 대한민국 국방부가 국방운영체계 선진화, 군 구조 및 전력체계 발전, 3군 균형 발전, 병영문화 발전 및 문민화 등을 목표로 추진한 개혁으로, 프랑스식 국방개혁을 벤치마킹하여 법제화되었고, 자주국방 강조에 대한 평가에 따라 한미 연합전력 활용 방향으로 수정되어 상비병력 및 예비군 감축 규모 조정, 카투사 유지 등의 내용이 변경되었다.
  • 대한민국의 군사 계획 - 국방개혁 307계획
    국방개혁 307계획은 북한의 국지도발과 비대칭 위협에 우선적으로 대비하기 위해 수립된 국방개혁 계획으로, 신규 전력 확보, 장사정포 대응 능력 구비, 대량살상무기 대응체계 구축, 차세대 전투기 및 글로벌호크 조기 확보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대량응징보복
개념
유형군사 전략, 핵 억지력
정의적의 공격에 대해 비례적인 대응을 넘어서는 막대한 규모의 보복 공격을 가함으로써 공격을 억제하는 핵 전략
관련 용어상호확증파괴
억지력
선제공격
2차 공격 능력
역사적 배경
개발 주도존 포스터 덜레스 (아이젠하워 행정부의 국무장관)
채택 시기1950년대
주요 목표소련의 공격 억제 및 냉전 시대 미국의 안보 유지
전략적 전환1960년대 초, 유연한 대응 전략으로 대체됨
전략적 함의
억지력 강화잠재적 적국에 대한 강력한 억지력 확보
대규모 파괴 위험핵전쟁 발발 시 상호확증파괴의 가능성 증대
제한적 충돌 억제국지전 또는 제한적인 공격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 불가능
신뢰성 문제실제 공격 발생 시 대규모 보복 감행의 현실성 및 신뢰성에 대한 의문
비판 및 논쟁
도덕적 문제대량 살상 및 민간인 피해에 대한 윤리적 문제
실용성 문제실제 핵 공격 상황에서의 전략적 유효성에 대한 의문
군비 경쟁 심화핵무기 개발 및 확산 경쟁을 유발할 가능성
오판 위험오판 또는 기술적 오류로 인한 핵전쟁 발발 가능성
관련 인물
주요 인물존 포스터 덜레스
참고
관련 문서핵 억지력
상호확증파괴
선제공격
2차 공격 능력

2. 역사

북한 5차 핵실험 직후인 2016년 9월 9일, 한국군은 대량응징보복(KMPR) 계획을 공개했다. KMPR은 핵무기 사용 징후 등이 감지되면 평양을 몇몇 구역으로 나누어 전쟁지휘부가 숨을 만한 장소를 제거하는 것을 핵심으로 한다.[10] 2016년 10월 18일, 국방부는 킬 체인, 한국형미사일방어체계(KAMD), KMPR로 구성된 한국군의 '3축 체계' 구축 시기를 2020년대 중반에서 2~3년 앞당기기로 했다.[11]

대량 응징 보복 개념은 1953년 10월 아이젠하워 대통령이 NSC 162/2를 승인하면서 미국의 정책이 되었다. 이 정책은 소련의 침략에 대항하기 위해 미국은 "공격적인 타격력으로 대량 응징 피해를 입힐 수 있는 능력을 강조하는 강력한 군사적 태세"를 갖출 필요가 있다고 명시했다.[1]

2. 1. 미국의 대량응징보복 전략

존 포스터 덜레스 국무장관은 1954년 1월 12일 연설에서 대량응징보복 개념을 공개적으로 천명했다.[2] 덜레스는 "지역 방어는 대량 응징력이라는 추가적인 억지력으로 강화되어야 한다"고 언급하며, 재래식 공격에 대해서도 핵무기를 포함하는 가능한 대규모 보복 공격으로 대응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2] Massive Retaliation영어이라는 용어를 명시적으로 사용하지는 않았지만, 이 개념은 그의 발언에 명확히 드러났다.[2]

이는 1953년 10월 아이젠하워의 NSC 162/2 승인에 따른 것으로, 소련의 침략에 대항하기 위해 미국은 "공격적인 타격력으로 대량 응징 피해를 입힐 수 있는 능력을 강조하는 강력한 군사적 태세"를 갖출 필요가 있다는 내용이었다.[1] 즉, 핵 억지력을 통해 소련의 팽창을 억제하려는 목적이었다.

덜레스의 연설은 대량 응징 보복이라는 문구와 개념을 낳았지만, 이 용어는 공격적인 어조로 인해 많은 부정적인 반응을 불러일으켰다.[2] "대량 응징 보복"의 핵심은 보복의 정도가 공격 규모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적에게 알려 공포를 심어 추가 공격을 예방하는 것이었다.[3]

덜레스와 아이젠하워 등 정부 관계자들은 대량 응징 보복 전술을 통해 평화를 유지하고 공산주의에 맞서 승리할 수 있는 군사 전술을 제공하고자 했다.[3]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지 얼마 되지 않아 핵전쟁의 가능성에 대한 두려움이 컸던 미국인들은 이러한 전술에 대해 분노와 회의감을 느꼈다.[3]

2. 2. 대한민국 KMPR 수립

북한 5차 핵실험 직후인 2016년 9월 9일, 한국군은 대량응징보복(KMPR) 계획을 공개했다. KMPR 작전 개념은 핵무기 사용 징후 등이 감지되면 평양을 몇몇 구역으로 나누어 전쟁지휘부가 숨을 만한 장소를 제거하는 것을 핵심으로 한다.[10]

2016년 10월 18일, 국방부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비하기 위해 킬 체인, 한국형미사일방어체계(KAMD), KMPR로 구성된 3축 체계 구축 시기를 기존 2020년대 중반에서 2~3년 앞당겨 전력화할 방침이라고 밝혔다.[11]

3. 전략 및 구성

대한민국은 오산공군기지에 전략사령부를 창설하여 대량응징보복 작전을 지휘할 예정이다. 또한, 작전계획 5015에 따라 북한 수뇌부를 제거하는 참수작전을 위해 특수부대와 특수작전헬기부대를 창설할 계획이다.

3. 1. 미국의 전략

대량응징보복은 다른 국가가 먼저 공격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전략이 효과를 발휘하려면 가능한 모든 침략자에게 공개적으로 알려져야 한다. 침략자는 정책을 발표하는 국가가 공격을 받을 경우 보복 능력을 유지할 수 있다고 믿어야 한다. 또한 침략자는 방어 국가가 억지 위협을 실행할 의지가 있다고 믿어야 하며, 여기에는 대규모 핵무기 사용이 포함될 가능성이 높다.

대량응징보복은 상호확증파괴(MAD)와 동일한 원리로 작동하지만, 핵 보유국에 대한 경미한 재래식 공격조차도 전면적인 핵 보복을 초래할 수 있다는 중요한 전제가 있다. 그러나 대량응징보복이 정책이 되었을 당시에는 소련이 1950년대 내내 보복 능력을 갖추지 못했기 때문에 MAD는 존재하지 않았다.

3. 2. 대한민국의 구성

대량응징보복 작전을 지휘할 전략사령부가 오산공군기지에 창설될 예정이다. 북한 수뇌부 참수작전을 실행하기 위해 특수부대와 특수작전헬기부대도 창설될 계획이다. 작전계획 5015를 참고하면 된다.

4. 비판 및 논란

군사 전문가들은 북한의 핵 공격에 대응해 우리 군이 재래식 무기를 동원해 북한 수뇌부를 제거한다는 ‘대량응징보복’이 북한을 ‘유즈 오어 루즈’(Use Or Lose영어, 지금 쓰지 않으면 잃어버린다) 딜레마에 빠뜨릴 수 있다고 지적한다. 군의 한 전문가는 "핵을 억제하기 위해 재래식으로 위협한다는 것은 상대가 진짜 핵을 쓰게 만들 수 있다는 점에서 상당히 위험하다"고 말했다.[12]

4. 1. 미국 대량응징보복에 대한 비판

랜드 연구소의 허먼 칸 등 군사 전문가들은 대량응징보복 독트린이 지나치게 공격적이며 선제공격과 다를 바 없다고 비판했다.[4]

버나드 브로디는 덜레스 독트린이 한국 전쟁과 같은 상황에서 북한군뿐만 아니라 중국, 심지어 소련에 대한 전면적인 핵 공격까지도 감행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이는 중요하지 않은 지역에 대한 자제를 거부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5] 브로디는 덜레스 독트린이 "예방 전쟁이지만, 핑계와 도발을 기다렸을 뿐"이라고 결론 내렸다.[6]

4. 2. 대한민국 KMPR에 대한 비판

군사 전문가들은 북한의 핵 공격에 대응해 우리 군이 재래식 무기를 동원해 북한 수뇌부를 제거한다는 ‘대량응징보복’이 북한을 ‘유즈 오어 루즈’(Use Or Lose영어, 지금 쓰지 않으면 잃어버린다) 딜레마에 빠뜨릴 수 있다고 지적한다. 군의 한 전문가는 "핵을 억제하기 위해 재래식으로 위협한다는 것은 상대가 진짜 핵을 쓰게 만들 수 있다는 점에서 상당히 위험하다"고 말했다.[12]

5. 영향 및 정책 변화

대량응징보복(KMPR)은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한 강력한 억지 수단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러나 북한의 핵 사용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이론적으로 대량응징보복 정책은 상대방의 핵 공격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상호확증파괴 원리에 기반한 핵 전략은 상대방이 대규모 선제 핵 공격을 감행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는 방어하는 국가의 보복 능력을 무력화시켜 대량응징보복 전략 자체를 무의미하게 만들 수 있다.

분쟁 당사국 모두가 대량응징보복 전략을 채택할 경우, 무제한적인 분쟁 확대로 이어질 수 있다는 위험성도 존재한다. 각 측은 상대방이 첫 번째 보복 공격 이후 물러설 것이라고 예상하지만, 실제로는 핵전쟁으로 비화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는 대량응징보복 전략뿐만 아니라 핵 억지력 전체에 내재된 문제점으로 지적된다.[9]

5. 1. 미국의 정책 변화

존 F. 케네디 대통령은 쿠바 미사일 위기를 겪으면서 대량응징보복 정책을 포기하고 유연한 대응을 선호했다. 쿠바에 배치된 소련 핵 MRBM은 미국 목표물까지의 비행 시간이 매우 짧아, 미군 항공기가 대규모 보복을 위해 이륙하기 전에 SAC 폭격기 기지를 무력화시킬 수 있었다. 케네디 행정부는 소련이 미국의 요구에 협조하지 않을 경우 핵전쟁을 피하기 위해 더 유연한 정책을 채택했다.[9]

만약 미국이 소련의 침공에 대한 군사적 반응이 대규모 핵 공격뿐이라고 발표하고 이를 실행하지 않는다면, 소련은 미국이 결코 공격하지 않을 것이라고 추측했을 것이다. 이는 소련이 미국의 동맹국에 대한 군사적 모험에 더 대담해지게 만들 수 있었고, 전면적인 핵전쟁을 초래할 수 있었다. 토마스 셸링의 억지 이론에 따르면, "신호"는 적의 공격을 억제하거나 요구를 하기 위한 위협의 사용이다. 만약 신호가 소련에 의해 제대로 처리되지 않거나, 위협이 소련을 위협하거나 쿠바에서 미사일을 제거하도록 강요하지 못했다면, 소련은 미국의 대량응징보복 정책이 효력이 있다고 믿지 않았을 것이다. 공격적인 소련의 행동에 대처하기 위해 다른, 더 유연한 정책을 가짐으로써 미국은 핵 공격을 선택하지 않고, 국제 사회에서 체면을 잃지 않으면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덜 파괴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었다.[9]

또 다른 이유는 사일로 기반 ICBM과 SLBM 형태의 소련의 2차 보복 능력 개발이었다.[9]

5. 2. 대한민국에 대한 영향

KMPR은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한 강력한 억지 수단으로 평가받고 있다. 하지만, 동시에 북한의 핵 사용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이론적으로는, 대량 응징 보복 정책은 상대방의 핵 공격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상호확증파괴의 원리에 기반한 핵 전략은 상대방이 대규모의 선제 핵 공격을 감행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는 방어하는 국가의 보복 능력을 무력화시켜 대량 응징 보복 전략 자체를 무의미하게 만들 수 있다.

분쟁 당사국 모두가 대량 응징 보복 전략을 채택할 경우, 무제한적인 분쟁 확대로 이어질 수 있다는 위험성도 존재한다. 각 측은 상대방이 첫 번째 보복 공격 이후 물러설 것이라고 예상하지만, 실제로는 핵전쟁으로 비화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는 대량 응징 보복 전략뿐만 아니라 핵 억지력 전체에 내재된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참조

[1]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the Cold Wa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2] 간행물 Massive Retaliation https://apps.dtic.mi[...] 1972-03-08
[3] 간행물 The Origins of Massive Retaliation https://www.jstor.or[...] 1981
[4] 서적 On Thermonuclear War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0
[5] 서적 Strategy in the Missile Age Oxford University Press 1959
[6] 서적 Strategy in the Missile Age
[7] 뉴스 Challenge and Response in US Foreign Policy Foreign Affairs 1957-10
[8] 서적 A Constructed Peace: The Making of the European Settlement, 1945-1963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9
[9] 서적 A Constructed Peace
[10] 뉴스 군 ‘대량응징작전(KMPR)’ 개념은? 세계일보 2016-09-11
[11] 뉴스 국방부 "북핵·미사일 대응 '킬체인·KAMD·KMPR' 조기 구축" 뉴스핌 2016-10-18
[12] 뉴스 '[단독] ''킬 체인'' ''대량응징보복'' 과격한 용어 사라진다' 한겨레 2018-12-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