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량 고객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량 고객화는 대량 생산의 효율성을 유지하면서 개별 고객의 요구를 충족하는 제품 및 서비스 생산 방식을 의미한다. 이는 스탠 데이비스의 저서에서 처음 소개되었으며, 제품 구성기, 지연 차별화, 모듈식 설계 등의 전략을 통해 구현된다. 대량 고객화는 협력적, 적응형, 투명한, 외형적 고객화의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며, 서비스업에서도 콜센터 등을 중심으로 활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케팅 전략 - 시장 점유율
    시장 점유율은 특정 기업이나 브랜드가 특정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매출액이나 판매량을 기준으로 측정되며 기업의 경쟁력과 시장 내 위치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마케팅 전략 - 경쟁 우위
    경쟁 우위는 기업이 경쟁사보다 뛰어난 가치를 고객에게 제공하는 능력으로, 원가 우위나 제품 차별화 우위를 통해 확보되며, 기업 아이덴티티, 핵심 역량, 외부 환경 변화, 그리고 공정한 경쟁 환경 또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 생산 및 제조 - 대량생산
    대량생산은 표준화된 부품과 조립 라인, 자동화 설비를 통해 제품을 대량으로 제조하는 방식으로, 생산 속도 향상, 비용 절감, 품질 개선에 기여하며 소비자 문화 진화에 영향을 미쳤지만 자원 고갈, 환경 오염 등의 문제점도 야기한다.
  • 생산 및 제조 - 육골분
    육골분은 육상 동물의 부산물을 가공하여 얻은 동물성 단백질로, 사료, 비료, 연료 등으로 사용되지만, 질병 확산 우려와 윤리적 문제로 사용 규제가 시행되고 있다.
  • 전략적 경영 - 경쟁 우위
    경쟁 우위는 기업이 경쟁사보다 뛰어난 가치를 고객에게 제공하는 능력으로, 원가 우위나 제품 차별화 우위를 통해 확보되며, 기업 아이덴티티, 핵심 역량, 외부 환경 변화, 그리고 공정한 경쟁 환경 또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 전략적 경영 -
    팀은 공동의 목표 달성을 위해 상호 의존적인 구성원들로 이루어진 집단이며, 팀워크를 통해 집단적 성과를 내고, 목적, 활동, 상호 의존성 등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된다.
대량 고객화
개요
유형경영 전략
정의고객의 개별적인 요구에 맞춰 제품, 서비스, 커뮤니케이션을 설계하고 생산하는 방법
고객의 요구를 이해하고 이를 충족시키기 위해 제품, 서비스, 커뮤니케이션을 조정하는 프로세스
목표대량 생산의 효율성과 개별 고객의 요구 충족을 동시에 달성
고객 만족도 향상
관련 용어주문형 생산 (build-to-order)
맞춤형 생산 (made-to-order)
개인화 (personalization)
모듈화 (modularization)
역사
기원1987년 스탠 데이비스의 "미래 완벽 (Future Perfect)"에서 처음 언급
1993년 B. 조지프 파인 2세의 "대량 고객화: 새로운 사업 건설의 새로운 프론티어 (Mass Customization: The New Frontier in Business Competition)"에서 개념 발전
특징
핵심 요소제품 및 서비스의 모듈화
유연한 생산 시스템
고객과의 긴밀한 관계
정보 기술 활용
장점고객 만족도 증가
시장 점유율 확대
브랜드 충성도 강화
재고 감소
수익성 향상
단점초기 투자 비용 증가
복잡한 생산 관리 시스템 필요
고객 참여의 어려움
과도한 맞춤화로 인한 비효율성 발생 가능성
구현 방법
협력적 고객화 (collaborative customization)고객이 제품 설계에 직접 참여
적응적 고객화 (adaptive customization)제품 자체가 고객의 요구에 맞춰 자동적으로 변경
화장품적 고객화 (cosmetic customization)표준 제품에 고객의 선호에 맞는 포장이나 디자인 적용
투명적 고객화 (transparent customization)고객은 맞춤화 과정을 인지하지 못하지만, 제품은 고객의 요구에 맞춰 조정
응용 분야
산업의류
자동차
컴퓨터
식품
화장품
서비스금융
교육
의료
정보 시스템
역할고객 데이터 수집 및 분석
제품 설계 및 생산 지원
주문 관리
고객 관계 관리
참고 문헌
서적B. 조지프 파인 2세, "대량 고객화: 새로운 사업 건설의 새로운 프론티어 (Mass Customization: The New Frontier in Business Competition)", 1993년
케네스 C. 로던, 제인 P. 로던, "경영 정보 시스템 12/E: 디지털 기업 관리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12/E: Managing the Digital Firm)", 피어슨 교육 아시아
논문M.M. 쳉, J. 지아오, "대량 고객화 (Mass Customization)", 산업 공학 핸드북, 기술 및 운영 관리, 3판, 와일리, 뉴욕, 2001년
A.M. 카플란, M. 하엔레인, "전통적 및 전자적 대량 고객화에 대한 간결한 정의를 향하여 (Toward a parsimonious definition of traditional and electronic mass customization)", 제품 혁신 관리 저널, 23(2)
외부 링크
관련 웹사이트대량 고객화 개요

2. 역사

대량 고객화 개념은 스탠 데이비스의 저서 《미래 완벽》에서 비롯되었다.[4] 쳉과 지아오(Tseng and Jiao)는 2001년 저서에서 "대량 생산 효율에 가깝게 개별 고객의 요구를 충족하는 상품 및 서비스 생산"으로 정의하였다. 카플란과 해늘라인(Kaplan and Haenlein)은 2006년 저서에서 "생산 수준에서 회사의 형태와 고객의 상호 작용을 통해 가치를 창출하여 대량 생산 제품과 유사한 생산 비용과 가격으로 맞춤형 제품을 만드는 전략"이라고 칭하며 이에 동의했다. 맥카시(McCarthy)는 2004년 저서에서 대량 고객화를 "맞춤화를 요구하는 비교적 큰 시장(또는 틈새 시장 집합)을 위해 비용, 납품 및 품질의 상충 없이 비교적 많은 양의 제품 옵션을 제조할 수 있는 능력"으로 정의하여 운영상의 동인을 균형 있게 유지하는 것을 강조했다.

3. 구현

소프트웨어 기반 제품 구성기를 통해 핵심 제품의 기능을 추가/변경하거나, 처음부터 완전히 맞춤형 인클로저를 구축할 수 있게 하는 등, 오늘날 대량 고객화의 많은 구현이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준의 대량 고객화는 제한적인 채택만을 보였다.[5] 기업 마케팅 부서가 개별 제품(원자 시장 분열)을 제공하더라도, 제품이 개별적으로 생산되는 경우는 드물며, 오히려 동일한 대량 생산 품목의 유사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패션 분야에서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기반으로 의류 사이즈를 예측하는 기존 기술은 대량 고객화 목적에 아직 충분한 적합성을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5]

대량 고객화 비즈니스 모델로 성공한 기업들은 순수하게 전자 제품을 공급하는 경향이 있다.[6] 그러나 이들은 물질적 상품의 대량 생산에 대한 대안을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원래 의미의 진정한 "대량 고객화" 업체는 아니다.

서비스업에서도 대량 고객화의 위력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콜센터에서는 고객의 문의를 처리하기 위해 사전에 프로그래밍되고 미리 녹음된 콜 플로우를 구축하기 위해 에이전트 기반의 음성 기술을 채택하고 있다. 에이전트는 매번 모든 것을 바꾸는 것이 아니라, 고객의 말과 요구에 맞춰, 필요에 따라 응답 프로세스에 변경을 가한다.[12]

3. 1. 대한민국에서의 구현 사례

소프트웨어 기반 제품 구성기를 통해 핵심 제품의 기능을 추가 및/또는 변경하거나 처음부터 완전히 맞춤형 인클로저를 구축할 수 있는 등, 오늘날 대량 고객화의 많은 구현 사례가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준의 대량 고객화는 제한적인 채택만을 보였다.[5] 기업의 마케팅 부서에서 개별 제품(원자 시장 분열)을 제공하더라도, 제품이 개별적으로 생산되는 경우는 드물며, 오히려 동일한 대량 생산 품목의 유사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패션 상황에서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기반으로 의류 사이즈를 예측하는 기존 기술은 대량 고객화 목적에 아직 충분한 적합성을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5]

대량 고객화 비즈니스 모델로 성공한 기업들은 순수하게 전자 제품을 공급하는 경향이 있다.[6] 그러나 이들은 물질적 상품의 대량 생산에 대한 대안을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원래 의미의 진정한 "대량 고객화" 업체는 아니다.

4. 유형

Pine|파인영어(1993)은 대량 고객화의 네 가지 유형을 설명했다.[13][7]

유형설명예시
협력적 고객화
(공동 창작)
기업이 개별 고객과 대화하여 고객의 요구에 가장 잘 맞는 제품을 결정(개인화된 마케팅 및 개인 마케팅 지향 참조)한 후, 이 정보를 사용하여 해당 고객에게 맞는 제품을 지정하고 제조한다.맞춤 정장; 컨버스는 소비자가 매장이나 온라인에서 특정 유형의 신발의 모든 요소의 색상이나 패턴을 선택
적응형 고객화기업은 표준화된 제품을 생산하지만, 이 제품은 최종 사용자가 직접 변경하여 맞춤화가 가능하다.루트론 조명은 프로그래밍이 가능하여 고객이 미적 효과를 쉽게 맞춤 설정
투명한 고객화기업은 개별 고객에게 제품이 맞춤화되었다는 것을 명시적으로 알리지 않고 고유한 제품을 제공한다. 이 경우 고객의 요구를 정확하게 평가할 필요가 있다.구글 AdWords 및 AdSense
외형적 고객화기업은 표준화된 물리적 제품을 생산하지만, 이를 고유한 방식으로 다양한 고객에게 판매한다.캔, 1.25L 병, 2L 병으로 제공되는 청량 음료



그는 "8.5자리 경로"라는 비즈니스 모델을 제안했는데, 이는 발명에서 대량 생산, 지속적인 개선을 거쳐 대량 고객화, 다시 발명으로 이어지는 과정이다.

5. 전략

대량 고객화는 제품 설계 전략이며, 현재 지연 차별화 및 모듈식 설계와 함께 사용하여 고객에게 가치를 전달하는 것을 향상시킨다.[1]

대량 고객화는 "공급망에서 가능한 가장 늦은 시점까지 특정 고객을 위한 제품 차별화 작업을 효과적으로 지연시키는" 방법이다.[2]

협업 엔지니어링 관점에서 대량 고객화는 고객과 제조사 간의 협업 노력으로 볼 수 있으며, 이들은 서로 다른 우선순위를 가지고 있으며 고객의 개별적인 특정 요구 사항과 제조사의 맞춤화 능력을 가장 잘 일치시키는 솔루션을 공동으로 모색해야 한다.[3]

대량 고객화 개념은 스탠 데이비스의 저서 《미래 완벽》에 기인하며,[4] "대량 생산 효율에 가깝게 개별 고객의 요구를 충족하는 상품 및 서비스 생산"으로 정의되었다. 이는 "생산 수준에서 회사의 형태와 고객의 상호 작용을 통해 가치를 창출하여 대량 생산 제품과 유사한 생산 비용과 가격으로 맞춤형 제품을 만드는 전략"이라는 설명과도 일맥상통한다. 마찬가지로, 대량 고객화가 "맞춤화를 요구하는 비교적 큰 시장(또는 틈새 시장 집합)을 위해 비용, 납품 및 품질의 상충 없이 비교적 많은 양의 제품 옵션을 제조할 수 있는 능력"으로 정의함으로써 운영상의 동인을 균형 있게 유지하는 것을 강조한다.

Joseph Pine II (1992)는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을 4가지로 분류했다.[13]

유형설명
협력적(Collaborative) 커스터마이제이션고객 개개인과 대화를 통해 고객의 니즈를 가장 잘 충족하는 상품을 결정한다. 그 결과를 사용하여 제품을 제조한다. 예를 들어, 일부 의류 제조업체는 개별 고객의 니즈에 맞는 청바지를 제조하고 있다.
적응적(Adaptive) 커스터마이제이션표준 제품을 제조하지만, 최종 사용자가 스스로 그것을 커스터마이즈할 수 있다.
투명적(Transparent) 커스터마이제이션각 고객에게 세상에 하나뿐인 상품을 제공하지만, 고객에게 그것이 커스터마이즈되었다는 것을 밝히지 않는다. 이 경우, 고객의 니즈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단이 필요하다.
표면적(Cosmetic) 커스터마이제이션물리적으로는 표준 제품을 제조하고, 고객마다 다른 판매 방식을 취한다.



그는 "the 8.5-figure-path"라는 비즈니스 모델을 제안했다. 이는, 발명 ⇒ 대량 생산 ⇒ 지속적 개선 ⇒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 ⇒ 다시 발명, 이라는 사이클이다.

6. 협업 엔지니어링 관점

협업 엔지니어링 관점에서 대량 고객화는 고객과 제조사 간의 협업 노력으로 볼 수 있다. 이들은 서로 다른 우선순위를 가지고 있으며, 고객의 개별적인 특정 요구 사항과 제조사의 맞춤화 능력을 가장 잘 일치시키는 솔루션을 공동으로 모색해야 한다.[3]

7. 시장 조사

카미스, 코우파리스, 스턴(2008)은 소매와 온라인 쇼핑 단계에서 대량 고객화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을 진행했다. 이들은 사용자들이 일반적인 쇼핑 인터페이스보다 대량 고객화 인터페이스를 더 유용하고 즐겁게 느낀다는 점을 발견했는데, 이는 특히 중간 정도의 복잡성을 가진 작업에서 두드러졌다.[8]

8. 서비스업으로의 확장

대량 고객화의 예는 여러 곳에서 찾아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기반 제품 구성기를 통해 핵심 제품에 기능을 추가, 변경하거나 처음부터 제품을 만들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대량 고객화가 널리 쓰이고 있지는 않다. 기업 마케팅 부서에서 개별 제품을 제공한다고 해도, 각 제품을 일일이 조립하는 것이 아니라 대량 생산을 통해 미리 준비해두는 경우가 많다.[12]

전자 기업들은 대량 고객화를 비즈니스 모델로 삼아 성공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들 기업이 실제로 하는 것은 엄밀한 의미의 대량 고객화라기보다는, 대량 생산을 바탕으로 한 것이다.[12]

서비스업에서도 대량 고객화의 잠재력을 주목하고 있다. 콜센터에서는 고객 문의를 처리하기 위해 사전에 짜여진 스크립트와 녹음된 음성을 활용하는 기술을 쓴다. 상담원은 매번 모든 것을 바꾸는 대신, 고객의 말과 요구에 맞춰 필요한 부분만 고쳐서 응대한다.[12]

참조

[1] 논문 Using co-creating mass-customisation and innovation climate for enhanced value: Empirical investigation in international modular jewellery market 2019
[2] 서적 Operations Management for Competitive Advantage McGraw-Hill/Irwin 2019-12
[3] 논문 Mass Customization as a Collaborative Engineering Effort
[4] 웹사이트 Mass Customisation – Overview http://www.managingc[...] 2012-09-07
[5] 서적 Proceedings of 3DBODY.TECH 2017 - 8th International Conference and Exhibition on 3D Body Scanning and Processing Technologies, Montreal QC, Canada, 11-12 Oct. 2017
[6] 웹사이트 Smart Manufacturing Enables Mass Customization Trend https://www.protolab[...] 2020-05-08
[7] 논문 The Four Faces of Mass Customization http://hbr.org/1997/[...] 1997-01
[8] 논문 Using an Attribute-Based Decision Support System for User-Customized Products Online: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2008
[9] 웹사이트 Mass Customisation - Overview http://www.managingc[...] 2012-09-07
[10] 간행물 Mass Customization, in: Handbook of Industrial Engineering, Technology and Operation Management Wiley
[11] 간행물 Toward a parsimonious definition of traditional and electronic mass customization
[12] 문서 Mass Customization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Call Center Industry http://ifyouwanttosc[...] Adsit, D. 2009
[13] 간행물 Mass Customization: The New Frontier in Business Competition Harvard Business School
[14]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