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은 일반적으로 693년 붓다트라타가 산스크리트어에서 번역한 것으로 여겨지는 불교 경전이다. 이 경전은 12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붓다와 12명의 보살들이 교리, 수행, 깨달음에 대한 질문과 답변을 주고받는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처음에는 급진적인 깨달음을 강조하다가 점차 점진적인 수행의 중요성을 언급하며, 수행자의 근기에 따라 각 장의 내용이 다르게 분류된다. 또한, 이 경전에 대한 주석서와 다양한 문화재 정보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일반 정보
원각경 만다라
원각경 만다라
다른 이름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약칭: 원각경
한자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
로마자 표기Dae bang gwang won gak su da ra yo eui gyeong
일본어円覚経 (Engaku-kyō)
베트남어Kinh Viên Giác
한국어원각경
영어 제목Sutra of Perfect Enlightenment
The Scripture on Fully Perfected Enlightenment
Sutra of Perfect Awareness
경전 정보
분야대승불교
저자불명
구성12장
언어한문
쓰여진 시기당나라
번역불타다사
간행고려 시대
조선 시대
영향선종, 교종
내용
핵심 내용여래장 사상
원각 사상
주요 개념번뇌즉보리
생사즉열반
심성
진여
법신
관련 정보
관련 경전능엄경
화엄경
기신론
주석서원각경소 (종밀)
원각경언해 (미상)
기타
중요성선종과 교종 통합의 중요 경전

2. 역사

『원각경』은 7세기 말에서 8세기 초에 걸쳐 성립된 것으로 추정되지만, 초기 선종의 역사서인 『전법보기』[17](713년)에 이미 인용되고 있다. 중국 당나라 시대에 만들어진 위경(僞經)이지만, 규봉종밀은 25세에 『원각경』을 접하고 29세에 수계(受戒)하였으며, 37세(816년) 이후 평생 동안 많은 소초(疏鈔)를 저술하며 이 경전을 연구했다.[18] 이후 『원각경』은 중국 불교에 큰 영향을 미쳐온 대승기신론을 대신하는 중요한 경전이 되었다. 규봉종밀 이후에는 종파를 불문하고 많은 주석서가 저술되었다.[19] 후대에는 중국에서 저술된 경전인 『능엄경』과 함께 "교선일치(教禪一致)"를 설명하는 경전으로 여겨져 송, 원, 명 시대로 갈수록 더욱 중요하게 여겨졌다.[20] 하택종의 법계에 속하는 규봉종밀은 이 경전을 최고로 여기고 평생 동안 연구와 주소(注疏) 저술에 헌신하여 『약소(略疏)』 4권, 『약소초(略疏鈔)』 12권, 『대소(大疏)』 12권, 『대소초과(大疏鈔科)』 3권, 『대소석의초(大疏釋義鈔)』 13권 등을 저술했다.[21][22]

『원각경』은 본래 진실하고 깨끗하며 밝고 투철한 대원각심[15][16]을 실증하고 구현하기 위해서는 상, 중, 하 근기에 따라 사마타(samatha), 삼마발제(samāpatti), 선나(dhyāna)의 세 종류의 정관(靜觀)을 수행해야 한다고 설명한다.

2. 1. 한국 불교에서의 위상

중국어 번역은 일반적으로 역사에 기록되지 않은 인도 또는 카슈미르 승려인 붓다트라타가 693년 뤄양의 백마사에서 산스크리트어에서 번역한 것으로 여겨진다.[7] 그러나 일부 학자들은 이 경전이 중국에서 기원했으며 7세기 말 또는 8세기 초에 쓰여졌다고 믿는다.[8][9] 이 경전은 기원이 면밀히 검토된 ''능엄경''과 ''대승기신론''의 가르침을 모아 창의적으로 재구성한 것으로 여겨진다.[8][3]

3. 내용 구성

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중국어은 짧은 서론과 12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은 앞부분에서 "본질적"이고 급진적인 논의를, 뒷부분에서 "기능적"이고 점진적인 대화를 제시하는 구조를 가진다. 문수보살보현보살이 등장하는 처음 두 장에서는 점진적 수행을 통한 깨달음의 가능성을 부정하고 급진적 입장을 고수하지만, 세 번째 장부터는 점진적 관점을 허용하며 이후 두 관점이 혼합되어 나타난다. 마지막 장들은 완전히 점진적인 관점을 제시한다.

기화는 수행자의 세 가지 근기인 상(上), 중(中), 하(下)에 따라 각 장을 분류했다. 처음 세 장은 상근기, 다음 일곱 장은 중근기, 마지막 두 장은 하근기를 위한 것으로 보았다. 그러나 뒷부분의 장이 더 쉽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으며, 제9장의 "네 가지 흔적"에 대한 논의처럼 매우 난해한 내용도 포함하고 있다.

『원각경』은 본래 진실하고 깨끗하며 밝고 투철한 대원각심[15][16]을 실증하고 구현하기 위해 상・중・하 삼근기에 따라 사마타, 삼마발제, 선나의 세 종류 정관(正觀)을 수행해야 한다고 설한다.

7세기 말에서 8세기 초 성립된 것으로 추정되지만, 초기 선종 역사서인 『전법보기』[17](713년)에 이미 인용되어 있다. 당나라 때 만들어진 위경(僞經)이지만, 규봉종밀이 평생 연구하여 많은 주석서를 저술했고,[18] 대승기신론을 대신하여 중국 불교에 큰 영향을 미쳤다. 종밀 이후 여러 종파에서 주석서가 저술되었으며,[19]능엄경』과 함께 "교선일치(教禪一致)"를 설하는 경전으로 여겨져 송, 원, 명 시대에 더욱 중시되었다.[20] 규봉종밀은 『원각경』을 최고로 여기고 『약소』, 『약소초』, 『대소』, 『대소초과』, 『대소석의초』 등을 저술했다.[21][22]

3. 1. 12장(章)의 구성

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중국어은 짧은 서론을 포함하여 12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론에서는 설법 장면을 묘사하고 주요 참석자들을 열거한다. 장소는 깊은 명상 상태(''삼매'')이며, 참석자는 붓다와 10만 명의 위대한 보살들인데, 그중 12명의 뛰어난 보살들이 대변인 역할을 한다. 12명 중 각자는 차례로 일어나 붓다에게 교리, 수행 및 깨달음에 대한 일련의 질문을 한다. 이 경전의 구조는 가장 "본질적"이고 급진적인 논의가 앞 장에서 발생하고, 더 "기능적"이고 점진적인 대화가 뒤에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는 붓다가 "선근"이 잘 성숙된 자들을 직접 깨우치기 위해 난해한 ''화엄경''(華嚴經)을 첫 설법으로 설했다는 화엄종의 교리와 관련된 모티프를 반영한다. 종밀과 기화가 이러한 수행자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용어는 그들이 "돈오(頓悟)"의 가르침에 대한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즉, 현실의 불이(不二)에 대한 직접적인 깨달음은 필연적으로 점진적인 "목표 지향적" 수행을 배제한다. 처음 두 장(문수보살보현보살)에서 붓다는 점진적인 수행을 통한 깨달음의 가능성을 부정하며 급진적인 입장을 엄격하게 고수한다. 세 번째 장에서 그는 약간의 점진적인 관점을 허용하기 시작하고, 다음 몇 개의 장은 이 두 가지가 혼합된다. 마지막 몇 개의 장은 완전히 점진적인 관점을 제공한다.

기화는 각 장을 수행자의 "세 가지 근기", 즉 상(上), 중(中), 하(下)에 따라 분류하는 것을 주된 수단으로 삼았다. 기화에 따르면, 처음 세 장은 상근기를 가진 자들을, 다음 일곱 장은 중근기를 가진 자들을, 마지막 두 장은 하근기를 가진 자들을 대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분류 방식이 뒤의 장들을 읽고 이해하기가 점진적으로 더 쉬워진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사실 가장 어려운 논의 중 일부는 뒤의 장에서 나온다. 이와 관련하여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제9장에서 자아, 인(人), 중생, 생명에 대한 "네 가지 흔적"에 대한 논의이다. 이 넷 사이의 구분이 매우 미묘하고, 텍스트 자체의 표현도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이것은 소화하기 가장 어려운 장 중 하나가 된다.

3. 2. 주요 사상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이하 『원각경』)은 본래 진실하고 깨끗하며 밝고 투철한 대원각심[15][16]을 실증하고 구현하기 위해, 상・중・하의 세 가지 근기에 따라 사마타, 삼마발제, 선나의 세 종류 정관(正觀)을 수행해야 한다고 설한다.

『원각경』은 7세기 말에서 8세기 초에 성립된 것으로 추정되지만, 초기 선종의 역사서인 『전법보기』[17] (713년)에 이미 인용되어 있다. 중국 당나라 때 만들어진 위경(僞經)이지만, 규봉종밀은 이 경을 만나 평생을 바쳐 연구하고 많은 주석서를 저술했다.[18] 『원각경』은 대승기신론을 대신하여 중국 불교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경전이 되었다. 종밀 이후 종파를 불문하고 많은 주석서가 저술되었으며,[19] 후세에는 『능엄경』과 함께 "교선일치(教禪一致)"를 설하는 경전으로 여겨져 송, 원, 명 시대에 더욱 중시되었다.[20] 하택종의 규봉종밀은 『원각경』을 최고로 여기고 『약소』, 『약소초』, 『대소』, 『대소초과』, 『대소석의초』등을 저술했다.[21][22]

4. 주석서 및 관련 자료


  • 멀러, A. 찰스, 『원각경: 한국 불교의 명상 안내서』, SUNY 출판사, 1999.
  • 그레고리, 피터 N.; 역. (2005). 원각경. 다음: [https://web.archive.org/web/20130210115042/http://www.bdkamerica.org/digital/dBET_ApocryphalScriptures_2005.pdf 위경], 버클리, 누마타 불교 번역 연구 센터, , pp. 43–133
  • 야나기다 세이잔 저, 『중국 선술 경전 - (불교 경전 선 (13)) 원각경』, 1987년 치쿠마 서방 발행


규봉종밀은 25세에 『원각경』을 만나 29세에 수계하고, 816년(37세)부터 평생 동안 소초(疏鈔)를 저술했다.[18] 하택종의 법계에 속하는 규봉종밀은 이 경을 최고로 여기고 평생 연구와 주소(注疏) 저술에 헌신하여 『약소(略疏)』 4권, 『약소초(略疏鈔)』 12권, 『대소(大疏)』 12권, 『대소초과(大疏鈔科)』 3권, 『대소석의초(大疏釋義鈔)』 13권 등을 저술했다.[21][22] 종밀 이후 여러 종파에서 주석서가 저술되었다.[19]

4. 1. 주석서

당나라 종밀의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략소주(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略疏註)》(약소, T.1795)가 있다.[1]

4. 2. 문화재

지정 번호명칭소장처
보물 제753호상지금니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호림박물관 (서울 관악구)
보물 제970호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언해) 권상 1의1, 2의1~3, 권하1의1~2, 2의2~3국립중앙박물관 (서울 용산구)
보물 제1219-1호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권상1의2,하1의1~2의2(재)아단문고 (서울 서대문구)
보물 제1219-2호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권상2의2, 권하3의1~3의2광덕사 (경기 하남시)
보물 제1219-3호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언해) 권하 1의1∼2, 2의1∼2취정사 (부산 기장군)
보물 제1514호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권상1의1한국학중앙연구원 (경기 성남시)
보물 제1518호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권1권태원 (서울 강남구)
보물 제1518-2호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양덕사 (울산 울주군)


참조

[1] 간행물 Article https://books.google[...] Buddhist Ray, Inc. 1995-01-01
[2] 서적 A critical study of the Hsi-yu pu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2011-06-12
[3] 서적 Translation and Commentary on the Sutra of Complete Enlightenment Dharma Drum Publishing 2011-06-12
[4] 웹사이트 BuddhistDoor Glossary http://glossary.budd[...]
[5] 서적 A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6] 서적 International encyclopaedia of Buddhism https://books.google[...] Anmol Publications 2011-06-12
[7] 문서 (日本)《佛書解說大辭典》第一卷 p.281
[8] 간행물 Tsung-mi's Perfect Enlightenment Retreat: Ch'an Ritual During the T'ang Dynasty http://www.persee.fr[...] 2011-06-12
[9] 서적 Dōgen's formative years in China: an historical study and annotated translation of the Hōkyō-ki https://books.google[...] Prajñā Press 1980-05-01
[10] 문서 大正蔵収録のテキストの標題は『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 大唐[[罽賓]][[三蔵法師|三藏]]佛陀多羅譯』SATデータベース (T0842_.17.0913a25-0922a24)となっている。
[11] 문서 『宋高僧傳 唐洛京白馬寺覺救傳』SATデータベース(T2061_.50.0717c06 - c14)「釋佛陀多羅。華言覺救。北天竺罽賓人也。齎多羅夾誓化支那。止洛陽白馬寺。譯出大方廣圓覺了義經。此經近譯不委何年。且隆道爲懷務甄詐妄。但眞詮不謬。豈假具知年月耶。救之行迹莫究其終。大和中圭峯密公著疏。判解經本一卷後分二卷成部。續又爲鈔演暢幽邃。今東京太原三蜀盛行講演焉」
[12] 문서 『續古今譯經圖紀 沙門佛陀多羅傳』SATデータベース(T2152_.55.0369a03 - a06)「沙門仏陀多羅唐云覺救。北印度罽賓人也。於[[白馬寺 (洛陽)| 東都白馬寺]]。譯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一卷此經近出不委何年。且弘道爲懷務甄詐妄。但眞詮不謬豈假具知年月耶」
[13] 문서 『開元釋教録 沙門佛陀多羅傳』SATデータベース(T2154_.55.0564c28 - a04)「沙門佛陀多羅。唐云覺救。北印度罽賓人也。於東都白馬寺譯圓覺了義經一部。此經近出不委何年。且弘道爲懷務甄詐妄。但眞詮不謬豈假具知年月耶」
[14] 문서 [[山崎宏]]『圭峯宗密について』印度學佛教學研究 1967年 15巻 2号 p.490-495、[https://doi.org/10.4259/ibk.15.490 pdf]
[15] 문서 文殊師利、普賢、普眼、金剛蔵、弥勒、清浄慧、威徳自在、弁音、浄諸業障、普覚、円覚、賢善首の十二菩薩を対告衆として如来が説いた妙理。
[16] 문서 [[鎌田茂雄]]「円覚十二菩薩の形成 -『円覚経』の造像化-」印度學佛教學研究 1998年 47巻 1号 p.38-44 [https://doi.org/10.4259/ibk.47.38 pdf] p.38上
[17] 문서 SATデータベース(T2838_.85.1291a03 - c13)『傳法寶紀并序』
[18] 문서 '{{Wikisourcelang-inline|zh|宋高僧傳/卷06|宋高僧傳卷第六(義解篇第二之三〈(正傳十四人中十一:唐圭峯草堂寺宗密傳)'
[19] 문서 岩城英規*「中国天台における『円覚経』」 印度學佛教學研究 1988年 37巻 1号 p.116-118 [https://doi.org/10.4259/ibk.37.116 pdf] p.116上 (*天台宗鹿島山来迎院常林寺住職)
[20] 문서 なお、[[道元]]は「教禅一致」に批判的な立場で、この二経の価値を全く否定したということが知られる。
[21] 문서 [[鎌田茂雄]]によれば、圭峰宗密は前後10回に亘って『円覚経』を註疏している。『円覚経大疏』3巻、『円覚経大疏科文』1巻、『円覚経大疏釈義鈔』13巻、『円覚経略疏』4巻、『円覚経略疏科』2巻、『円覚経略疏鈔』12巻、『円覚経纂要』2巻、『円覚経道場修証儀』18巻、『円覚経道場六時礼』1巻、『円覚経礼懺略本』4巻である。(『宗密教学の思想史的研究-中国華厳思想史の研究第二-』 1975年 東京大学出版会 p.83–85)
[22] 문서 岩城英規「『首楞厳経』の解釈 -『円覚経』注釈との比較に焦点を当てて-」印度學佛教學研究 2004年 53巻 1号 p.105-109 [https://doi.org/10.4259/ibk.53.105 pdf] p.105下
[23] 문서 SATデータベース(T0842_.17.0913a25-0922a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