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대산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대산읍은 충청남도 서산시에 속하는 읍으로, 큰 산에서 유래된 지명이다. 조선 시대부터 대산이라는 지명이 사용되었으며, 1991년 12월 1일 읍으로 승격되었다. 선캄브리아기 변성암류를 기반으로 다양한 지질 구조를 가지며, 구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한 흔적이 발견된다. 현재 10개의 법정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벌천포 해수욕장, 삼길포항, 망일산 등 관광 자원이 있다. 삼길포 우럭 축제가 매년 개최되어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으며, 대산초등학교, 대산중학교, 대산고등학교 등 교육 시설이 갖춰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산시의 행정 구역 - 성연면
    성연면은 충청남도 서산시 중앙에 위치한 분지 지형의 면으로, 교통 요충지이자 자동차산업 집적화 산업단지가 조성되어 있으며, 일람리, 고남리, 오사리 등 여러 리로 구성되어 각기 다른 역사와 지리적 특징을 갖는다.
  • 서산시의 행정 구역 - 해미면
    충청남도 서산시에 위치한 해미면은 선사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백제시대 우견현, 고려시대 정해현과 여미현을 거쳐 조선시대 해미현으로 통합되었고, 해미읍성과 이순신 장군 근무지, 한서대학교, 공군 제20전투비행단 등이 위치한 22개의 리로 구성된 지역이다.
  • 충청남도의 읍·면 - 광천읍
    광천읍은 충청남도 홍성군 남부에 위치한 읍으로, 조선시대 옹암포를 중심으로 해상 교통의 요지였으며 충남선, 장항선 개통으로 상업 중심지로 발전했고, 토굴 새우젓과 조선김이 유명한 곳이다.
  • 충청남도의 읍·면 - 송악읍
    충청남도 당진시에 위치한 송악읍은 조선시대 여러 면과 홍주목 일부 지역이 1914년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개편으로 당진군 송악면으로 통합된 후 2010년 읍으로 승격되었으며, 기지시줄다리기 등 문화유산을 보유하고 서해안고속도로와 국도를 통해 교통망과 연결된다.
  • 1991년 설치 - 화도읍
    화도읍은 1914년 상도면과 하도면을 합쳐 명명된 남양주시의 읍으로, 1991년 읍으로 승격되었으며, 다양한 기관과 학교, 의료 시설, 주거 시설, 문화재, 명소 등이 위치하고, 경춘선, 서울양양고속도로 등 교통이 편리하다.
  • 1991년 설치 - 분당구
    분당구는 1989년 분당신도시 개발로 설치된 성남시 남부의 일반구로, 분점리와 당우동의 이름을 따왔으며, 과거 광주군 돌마면과 낙생면 지역이 성남시에 편입된 후 중원구에서 분구되어 분당선, 신분당선, 경강선과 함께 네이버, KT 본사 등 여러 기업 및 공공기관이 위치한다.
대산읍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대산읍
대산읍
일반 정보
한자 표기大山邑
영문 표기Daesan-eup
광역시도충청남도
시군구서산시
면적105.03
세대6,653
세대 조사2017년 1월 31일
인구15,248
인구 조사2017년 1월 31일
법정리10
행정리29
108
읍사무소대산읍 구진로 42-4
홈페이지대산읍 행정복지센터

2. 지명 유래

대산이라는 지명은 큰 산(大山)이라는 한자의 어원에서 유래되었다고 전해진다. 문헌 기록상으로는 조선 태종 때부터 '대산'이라는 지명이 사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태종실록 1412년(태종 12) 8월 20일 3번째 기사에는 '배를 잘 관리하지 않은 충청도 대산만호(大山萬戶) 박의손(朴義孫)을 논죄하다'라는 기록이 있다. 세종실록 1426년(세종 8) 8월 16일 기사에는 충청도 감사와 절제사가 대산곶의 수초가 풍부하고 목장 축조가 편리하여 큰 말을 방목하기 좋다고 아뢰었다는 기록이 있어, 관명 또는 지명으로 쓰였음을 알 수 있다.

3. 연혁

대산읍은 조선시대에 1도면과 2도면으로 나뉘어 있었다. 1도면은 부여 진수부가 있었으나 고려시대에 혁파되었고, 이후 목마장으로 사용되다가 200여 년 전 김취명 첨사가 이를 경기 남양으로 옮기고 평신(화곡의 반곡)첨사를 설치하였다가 1896년에 혁파되었다. 2도면은 평신 첨사 이전에 대산리에 진수부를 설치하였으나 혁파되었고, 그 유적지를 구진이라 칭하였다.

1914년 3월 16일 충청남도령 제3호에 따라 1도면과 2도면(지곡면 환성리, 대요리 제외)을 합병하여 10개 리 25개 구로 구성된 대산면이 되었다. 당시 행정구역 개편 내용은 다음과 같다.

구 행정구역신 행정구역
서산군 일도면대산면 대로리, 대죽리, 독곶리, 화곡리, 오지리, 기은리
서산군 이도면대산면 대산리, 운산리, 영탑리
서산군 지곡면대산면 웅도리



이후 여러 차례 행정구역 개편이 이루어졌다. 1966년 13개 리, 1970년 17개 리, 1974년 26개 리, 1980년 28개 리, 1987년 29개 리로 변경되었다. 1991년 12월 1일 대산면은 대산읍으로 승격되었다. 1995년 10월 9일 30개 리로 개편되었고,[1] 2002년 12월 3일 29개 리로 조정되었다.[2]

4. 지질

대산읍의 지질은 주로 선캄브리아기의 변성암류로 구성되어 있다. 오랜 지질 시대를 거치며 다양한 지질 구조가 형성되었다.

선캄브리아기 후반인 원생대에 이 지역은 쇄설성퇴적물이 쌓일 수 있는 퇴적분지였고, 여기에 주로 점토와 모래가 쌓여 셰일사암이 형성되었으며, 부분적으로 석회질 물질의 침전으로 석회암이 형성되었다. 후기의 광역변성작용에 의하여 변성암으로 변하여 호상편마암과 편암류로 되었다. 그 후 화강편마암의 관입을 받았다. 이후 쥐라기의 대보조산운동 말기에 이 지역에는 소규모의 섬장암과 화강암류의 관입이 일어났으며, 백악기에 소규모의 산성맥암류의 암맥상 관입이 있었다.

모든 암석은 형성된 이래 현재까지 계속 풍화 침식작용을 받았으며, 모든 암층을 덮으며 해안과 낮은 지대에 널리 발달되어 있는 토사층이다. 최근에는 간척 사업으로 넓은 매립지가 조성되었다.

5. 역사

대산읍에서는 구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던 흔적이 발견되며, 신석기, 청동기 시대의 유물도 출토되고 있다. 김현구 서산문화원장은 1990∼1991년까지“서산 태안문화유적지표조사단을 통해 대로리에서 찍개와 밀개등의 구석기 유물을 발견하였다. 신석기 시대의 유물로는 간석기, 빗살무늬토기, 갈돌, 갈판 등이 대산의 여러 지역에서 다양하게 출토되었으며, 특히 대죽리 패총유적에서 많이 발굴되었다. 청동기 시대에는 움집 1기와 석기, 토기 등이 발견되었으며, 1984년 중앙박물관에서 발굴을 진행하여 많은 유물이 출토되었다.

삼국시대에는 300년 무렵 백제에 병합되어 360년간 백제의 영향을 받았다. 660년 백제가 나·당 연합군에 멸망한 후, 왕족 복신과 승려 도침 등이 왕자 풍을 옹립하고 부흥운동을 전개하였으나 663년 주류성에서 패배하였다. 이후 지수신을 중심으로 임존성에서 항전을 계속하다 665년 함락되면서 대산 지역은 신라에 편입되었다.

후삼국시대에는 후백제의 견훤이 전라도 지방을 중심으로 세력을 확장하면서 대산 지역 농민들도 어려운 생활을 겪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918년 왕건이 고려를 건국하고, 936년 후삼국을 통일한 후, 983년(성종 2)에 12목을 설치하면서 지방 통치가 강화되었다. 고려 시대에는 명지 지역 이북이 대산부곡으로 지정되었는데, 이는 태조 왕건의 명을 거스른 지역이라는 조건이 크게 작용했다고 본다.

조선 시대에는 1413년(태종 13)에 지방행정조직 개편을 통해 전국을 8도로 나누고, 그 아래에 334개의 행정조직을 두었다. 1409년(태종 9)에는 특수조직을 혁파하여 군현으로 통합하거나 흡수시켰으나, 홍주목에 내속된 대산곶은 그대로 존속되었다.

6. 행정 구역

대산읍은 10개의 법정리(대산리, 기은리, 대로리, 대죽리, 독곶리, 웅도리, 영탑리, 오지리, 운산리, 화곡리)로 구성되어 있다. 각 리는 고유한 역사와 특징을 지니고 있다.


  • 대산리는 읍소재지가 있는 곳으로, 과거 파지도만호진이 있던 군사적 요충지였다. 망일산에서 유래한 지명이다.
  • 기은리는 대산지방해양항만청, 대진초등학교, LG석유화학 사원아파트가 있는 발전된 지역이다. '긴곶'에서 유래한 지명으로, 독곶리와 함께 기은곶리로 불렸다.
  • 대로리는 과거 목마장이 폐지되면서 생긴 큰길에서 유래한 지명이다.
  • 대죽리는 과거 죽엽리와 대각리가 합쳐진 곳으로, 비옥한 토지와 풍부한 어염시수 덕분에 살기 좋은 곳으로 알려졌다.
  • 독곶리는 과거 오지였으나, 현재는 석유화학공단이 조성되어 신흥공업지대로 변모하였다. 조선시대에는 소금 생산으로 국가 재정에 기여했다.
  • 웅도리는 가로림만 내해에 있는 유일한 유인도로, 섬 모양이 곰을 닮아 곰섬이라고도 불린다. 주민들은 주로 어업에 종사한다.
  • 영탑리는 영전과 탑동이 합쳐진 마을로, 대산읍의 관문 역할을 한다.
  • 오지리는 가로림만과 분줄만 사이에 있는 반도로, 과거 소금 생산과 염전 개발로 유명했다. 최근에는 벌촌포 해수욕장이 개장되어 관광지로 변모하고 있다.
  • 운산리는 과거 대호방조제 건설로 해안선이 변화하고 대규모 농경지가 조성된 지역이다.
  • 화곡리는 과거 평신진이 있던 군사 요충지로, 현재 삼길포는 해상교통의 요지이자 실치잡이로 유명했던 곳이다.

7. 관광

대산읍에는 다양한 관광 자원이 있다. 벌천포해수욕장은 몽돌과 왕모래로 이루어진 해안으로, 울창한 송림과 기암괴석, 낙조가 아름다운 곳이다. 1박 2일 촬영지로 알려지면서 많은 관광객이 찾고 있다. 황금산은 과거 백사장이 있던 곳으로, 석유화학단지 조성으로 백사장은 사라졌지만, 공단의 야경이 장관을 이룬다. 황금산에는 해식동굴, 코끼리바위 등 다양한 볼거리가 있다.

삼길포항은 국가 1종 어항으로, 대호방조제와 접해 있다. 2005년부터 매년 우럭 축제를 개최하여 관광객을 유치하고 있으며, 유람선을 타면 주변 섬들과 임해공단의 경치를 감상할 수 있다. 방파제 끝의 빨간 등대와 조각공원도 볼거리이며, 좌대낚시와 선상낚시도 즐길 수 있고, 선상횟집에서 갓 잡은 자연산 횟감을 맛볼 수 있다. 2010년 11월에는 대산항과 중국 룽청시 롱앤항 간 국제여객선 정기항로 개설에 관한 공동추진 업무협약이 체결되었다.

망일산은 해발 302m로 대산지역에서 가장 높은 산이다. 정상에서는 대호담수호와 서해, 일출과 일몰을 볼 수 있다. 망일산 서북쪽 기슭에는 망일사가 있다. 자각산은 해발 156m의 산으로, 북쪽은 바다와 접하고 남쪽은 마을과 농경지가 있다. 일제시대 감시초소 터가 남아있으며, 정상에서는 황금바다와 석유화학단지를 볼 수 있다. 삼길산은 화곡리 북단에 있는 산으로, 조선시대 평신진에서 봉수대를 운영하던 곳이다. 웅도는 곰섬이라고도 불리며, 썰물 때 유두를 건너 들어갈 수 있다. 갯벌 체험 관광마을로 지정되었으며, 바지락, 굴, 낙지 등이 많이 잡힌다.

8. 축제

2005년부터 삼길포우럭축제추진위원회 주관으로 삼길포의 해산물을 알리고 지역 경제 활성화 및 관광 명소 이미지 구축을 위해 우럭축제가 개최되고 있다. 각종 공연, 체험 행사, 경연 대회 등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매년 평균 11만명 이상이 참여하는 먹거리 축제이다.

개회식 및 폐막식과 같은 공식 행사와 더불어, 타악, 통기타 연주, 유명 가수 및 밴드 공연, 국악, 스포츠댄스, 풍물, 태권도 시범, 평양예술단 공연, 각설이 품바 공연, 승무, 해외 민속 공연 등 다채로운 공연 행사가 열린다.

삼길포 이야기 만들기, 빨간 등대 사랑의 프로포즈, 천인분 우럭 비빔밥 시식, 우럭포 요리 체험, 떡메치기, 도자 체험, 풍선 아트, 페이스페인팅, 어린이 동심 먹거리 체험, 희망의 바람개비 만들기, 조개 캐기, 붕장어 잡기, 탈·전통활 만들기, 촛불 심기, 액땜 소리 지르기, 삼길산 봉수대 체험, 갈매기 먹이 주기, 만선기 만들기, 모터보트, 민속놀이, 추억놀이, 낚시 체험 등 다양한 체험 행사도 즐길 수 있다.

전국 주부 가요제, 전국 한뫼 가요제, 관광객 즉석 노래자랑, 읍민 어울 가요제, 전국 직장인 밴드 경연 대회, 전국 치어리더 경연 대회, 우럭 장사 씨름 대회 등 다양한 경연 행사도 개최된다. 불꽃놀이, 풍어제, 깜짝 경매 등 기타 행사도 진행된다.

9. 교육

대산초등학교는 1922년 개교하였으며, 웅도분교와 오지분교는 각각 2016년, 2004년에 폐교되었다. 명지초등학교서산대진초등학교가 있으며, 명지초등학교 삼길포분교는 2003년에 폐교되었다. 청운초등학교는 1999년에, 독호초등학교는 2004년에 폐교되었다. 중학교로는 대산중학교서산명지중학교가 있으며, 고등학교는 대산고등학교가 설립되어 지역 인재 양성에 힘쓰고 있다.

10. 기타

10. 1. 인물

10. 2. 사건

10. 3. 국제 관계

참조

[1] 법령 서산시 조례 제130호
[2] 법령 서산시 조례 제426호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