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성연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성연면은 서산시 북쪽에 위치하며 산으로 둘러싸인 분지 형태의 면이다. 국도 제29호선, 지방도 제649호선, 지방도 제634호선 등이 지나며, 9개의 법정리와 21개의 행정리로 구성되어 있다. 온대 해양성 기후로 사계절이 뚜렷하며, 성연초등학교, 성연중학교, 서산성봉학교 등의 교육 시설이 있다. 서산테크노밸리에 아파트 단지가 조성되어 있으며, 산업 관련 내용은 아직 추가 정보가 필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산시의 행정 구역 - 대산읍
    대산읍은 충청남도 서산시에 속하며 큰 산에서 유래된 지명으로, 1991년 읍으로 승격되었고 다양한 지질 구조와 관광 자원을 갖춘 곳이다.
  • 서산시의 행정 구역 - 해미면
    충청남도 서산시에 위치한 해미면은 선사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백제시대 우견현, 고려시대 정해현과 여미현을 거쳐 조선시대 해미현으로 통합되었고, 해미읍성과 이순신 장군 근무지, 한서대학교, 공군 제20전투비행단 등이 위치한 22개의 리로 구성된 지역이다.
  • 충청남도의 읍·면 - 광천읍
    광천읍은 충청남도 홍성군 남부에 위치한 읍으로, 조선시대 옹암포를 중심으로 해상 교통의 요지였으며 충남선, 장항선 개통으로 상업 중심지로 발전했고, 토굴 새우젓과 조선김이 유명한 곳이다.
  • 충청남도의 읍·면 - 송악읍
    충청남도 당진시에 위치한 송악읍은 조선시대 여러 면과 홍주목 일부 지역이 1914년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개편으로 당진군 송악면으로 통합된 후 2010년 읍으로 승격되었으며, 기지시줄다리기 등 문화유산을 보유하고 서해안고속도로와 국도를 통해 교통망과 연결된다.
  • 1914년 설치 - 이촌동
    이촌동은 서울 용산구에 위치하며, 한강변 모래벌판에서 이주한 주민들에 의해 "옮겨진 마을"이라는 뜻으로 이름 붙여졌으며, 동부이촌동은 일본인 거주 지역, 서부이촌동은 개발이 진행 중인 지역이고, 한강공원, 국립중앙박물관 등 주요 시설과 이촌역을 통해 편리한 교통 환경을 제공한다.
  • 1914년 설치 - 담양군
    담양군은 다양한 농산물과 대나무 공예품으로 유명하며, 소쇄원과 죽녹원 등의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문화유적을 가진 관광지이며, 1읍 11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메타세쿼이아 가로수길과 같은 관광 명소가 있고 고속도로 등의 교통망을 갖추고 있다.
성연면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성연면
한자 표기聖淵面
영문 표기Seongyeon-myeon
면적43.93
홈페이지성연면 행정복지센터
면사무소성연면 마루들길 15
행정 구역
법정리9
행정리23
77
인구 통계
세대2,170
세대 조사 기준2017년 1월 31일
인구5,339
인구 조사 기준2017년 1월 31일
위치 정보
광역시도충청남도
시군구서산시

2. 자연지리

성연면은 서산시에서 북쪽으로 9km 지점에 있으며, 성왕산을 경계로 하는 분지 형태이다. 해양성 기후의 영향으로 사계절이 뚜렷하다.[2]

2. 1. 위치

행정구역상 서산시 북쪽으로 9km 지점에 있으며, 성왕산을 경계로 인접한 곳으로 서산시에서는 북쪽이며 충청남도 전체로는 서북단에 위치하고 있다.[2] 수리적 위치는 다음과 같다.

구분위치좌표
극동예덕리동경 126° 31′
극서오사리동경 126° 24′
극남일람리북위 36° 43′
극북해성리북위 36° 52′


2. 2. 기후

온대 해양성 기후로, 사계절이 뚜렷하고 대체로 여름과 겨울이 길고 봄과 가을이 짧다. 특히 겨울에는 북서 계절풍이 불고 여름에는 고온 다습한 남서 계절풍(편서풍)이 불어온다.[2]

2. 3. 교통

국도 29호선이 성연면을 남북으로 관통하고, 지방도 649호선이 오사리 삼거리에서 명천을 지난다. 지방도 634호선은 고남리에서 팔봉면과 연결된다. 면도로는 101호선이 평리에서 갈현리까지, 102호선은 명천리에서 예덕리를 통과하여 당진시 대호지면 송전리와 연결된다.[2]

2. 4. 지형

면 전체가 산으로 둘러싸인 분지 형태이며 일부 해안이 터져 있어 포근하고 아늑한 느낌의 지형이다.[3]

2. 5. 면적

성연면한국어 전체 면적은 43.93km2이다.[4] 이 중 농지 면적은 10.48km2이다.[4]

3. 행정 구역

성연면은 9개의 법정리(일람리, 고남리, 오사리, 왕정리, 평리, 갈현리, 명천리, 예덕리, 해성리)와 21개의 행정리로 구성되어 있다.

법정리행정리비고
일람리일람1리, 일람2리, 일람3리
고남리고남1리, 고남2리, 고남3리
오사리오사1리, 오사2리, 오사3리
왕정리왕정1리, 왕정2리서산테크노밸리 중심 지역
평리평1리, 평2리
갈현리갈현1리, 갈현2리
명천리명천1리, 명천2리, 명천3리
예덕리예덕1리, 예덕2리, 예덕3리
해성리해성리


3. 1. 일람리

일람리는 조선시대 일호리였다가 1895년 행정구역 개편에서 '호(豪)'자가 '호(毫)'자로 바뀌어 일호리와 람(濫)동, 사련(四蓮)동으로 분리되었고, 1914년에 다시 합쳐져 일람리가 되었다.[6]

  • 일람1리(日藍里): 사현동(四峴洞)이라고도 불린다. 섬들이, 안메지골, 주늑골, 목감시 등 성왕산 줄기를 따라 형성된 마을이다. 성왕산에서 시작하여 상여봉, 쥐광산을 지나 목감시까지 이어지며, 서산시 동문동, 부춘동과 경계를 이룬다. 왕정리의 동쪽으로는 성왕산 줄기를 따라 경계하며, 북서쪽으로 고남리, 남서쪽으로 갈산동과 이웃한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남동, 사연동, 일호리 일부를 병합하여 일람리가 되었다.[7]
  • 일람2리: 일흔이 또는 일호리(日毫里)라고 불리며, 일람리에서 가장 큰 마을이다. 큰 골짜기를 따라 형성되었으며, 서산시에서는 드물게 집단 마을이 형성된 곳이다. 고려시대에는 정소부곡(井所部曲)이 있던 곳으로 추정되며, 기와집이 일흔 채가 있었다고 하여 일흔이라고 불렸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남동, 사연동, 일호리 일부를 병합하여 일람리가 되었다. '일람'은 일호와 남동의 앞 글자를 따서 지은 것이다.[8]
  • 일람3리: 와촌(瓦村), 남동(藍洞)이라고 불리며, 성왕산 서쪽에 위치한 비교적 평탄한 지역이다. 예전에 청기와를 굽던 곳으로, 마을 내에는 청기와를 굽던 도요지가 있고 기와 조각이 많이 출토되어 와촌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남동, 사연동, 일호리 일부를 병합하여 일람리가 되었다.[9]

3. 2. 고남리

고남리는 조선시대 아남(牙南)리와 삼고개리, 그리고 일호리 일부였던 가재미(佳財美) 마을과 송내동을 합쳐 만들어진 곳이다. 삼고개리의 '고'자와 아남리의 '남'자를 따서 고남리가 되었다. 고남1리는 삼고개(三古介)라고도 불리는데, 마을에서 외부로 통하는 3개의 고개(골고개, 당고개, 모래고개) 때문에 이러한 지명이 유래되었다고 한다.[10]

설명
고남1리삼고개(모새고개, 당고개, 골고개)라 불리며, 팔봉면 금학리와 경계를 이룬다. 아나미 서쪽에 위치하며, 이 마을과 연결된 세 개의 고개(모새고개, 당고개, 골고개)에서 마을 이름이 유래되었다. 일람리, 오사리와 산줄기로 경계를 이룬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송내동, 아남리, 삼고리, 일호리 일부를 병합하여 고남리가 되었다.[11]
고남2리아나미(아남리(牙南里))라고 불린다. 고남저수지가 마을 가운데에 있어 저수지 위쪽 마을을 아나미라 부르게 되었다. 풍수지리적으로 고남1리는 코끼리의 머리, 아나미는 어금니, 가재미는 코끼리의 가랑이에 해당한다고 한다. 1968년 고남저수지가 만들어지면서 20.37ha의 땅이 수몰되어 어금니에 해당하는 마을만 남게 되었다. 고남리의 중심 마을이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송내동, 아남리, 삼고리, 일호리 일부를 병합하여 고남리가 되었다.[12]
고남3리솔안(송내(松內), 송내리)이라고 불리며, 오사리와 경계를 이루고 넓은 들과 길로 연결되어 있다. 마을 앞, 고남저수지가 만들어지기 전에는 소나무가 많았던 들판 안에 마을이 있어 송내라고 불렀다고 한다. 위마을(상촌(上村))과 아래마을(하촌(下村))로 나뉘며, 위마을에는 여산 송씨 집성촌이 있다. 비교적 넓은 들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큰 내가 경계를 이룬다.[13]


3. 3. 오사리

오사리는 조선시대 사장(沙場)동이었다. 1895년 행정구역 개편에서 사동, 생동, 오지평리, 직동으로 나뉘었다가 오지(梧枝)리와 사(沙)동, 생(生)동, 직(直)동을 합쳐 오사(梧砂)리가 되었다.[14] 1945년 광복 전후까지만 해도 조선시대의 이름인 사장(沙場)골로 널리 알려졌던 마을이다. 사장굴의 원래 연원을 모르는 사람들은 이 마을의 토질이 원래 척박한 자갈과 모래땅으로 되어 있어 사장굴이라는 이름을 얻은 것으로 아는데, 그러나 사장굴이란 고려시대 고려청자 도요지가 있어 붙여진 역사적 지명이다.[14]

자연마을설명
오사1리사장골(沙場谷) 또는 윗 사장골사기터가 있어서 그렇게 불려진다고 전한다. 성연면의 가장 서쪽 마을로 연화산을 경계로 지곡면과 서쪽으로는 팔봉면, 남쪽으로 고남리와 접해 있다.[15] 오사리를 풍수지리로 보면 포태사형으로 새끼를 가진 뱀의 형국으로 현 오사1리는 사동, 2리 생동, 3리는 사미동이라 하며 사동은 뱀의 머리 부분으로 윗 이빨과 아래 이빨 그리고 혀를 뜻하는 3개의 골이 있다고 한다.[15]
오사2리생동(生銅)옛날에는 오사1리와 같이 사장골이라 불리며 아래 사장골로 지칭되던 곳이다. 오짓들 서쪽에 위치하며 풍수지리상 포태사형(胞胎巳形)으로 뱀의 가운데 배 부분이어서 새끼를 가진 뱀이 살아 움직임을 뜻한다고 한다.[16] 마을에 큰 샘이 있었다고 하며 어느 곳에도 샘을 파면 물이 솟아 가뭄이 없어 살기 좋은 곳이라는 뜻이기도 하다.[16] 이 지역은 생동지역으로 지곡으로 넘어가는 한티고개를 접하고 있다.[16]
오사3리오동(梧桐), 오지미(悟枝尾), 오평리(梧坪里)오동나무가 많은 들판이라 하여 붙여진 지명이라 한다.[14] 북동으로 왕정리, 평리와 경계하며 남서쪽으로 고남리와 접한다. 최근에는 지곡과 경계하는 일부 지역이 늘푸른오스카빌 아파트와 연결되어 있다.[14] 이 역의 중간지점인 현 회관근처는 고려시대에 성연부곡의 중심지로 알려져 있으며 수백년의 고목이 지금도 남아 있다.


3. 4. 왕정리

왕정리는 성연면의 중심 지역으로, 성왕산과 잔다리(세정리) 등의 지명이 있다. 1895년 왕동, 세정동, 직동의 일부를 합쳐 왕동의 '왕' 자와 세정리의 '정' 자를 따서 왕정리가 되었다.[17] 현재 테크노밸리 부지의 중심 지역이다. 동남쪽으로 성왕산을 안고 북쪽으로 평리, 동쪽으로 갈현리, 남서쪽으로는 일람리와 접해 있으며, 서쪽으로는 고남리, 오사리와 인접해 있다.[18]

왕정리는 성연면의 지도를 놓고 볼 때 중심 지역이며, 성연면의 상징인 성왕산이 자리한 마을이다. 서산 전체 지형을 풍수지리로 보면 서산의 중심인 성왕산이 왕의 자리여서 왕이 먹던 물잔을 놓은 곳이 왕정리라 하여 붙여진 지명이라고 한다.[18]

왕정리는 잔다리(細穚)라는 지명이 있고, 성왕산 밑에 성왕골과 사진개 등이 있는데, 사진개(四盡皆)는 현재 마을의 지질이 모래와 자갈, 진흙뻘로 되어 있는 바닷물이 들어온 곳으로 추정된다. 또한 쇠대박이(蘇塗址)라는 제천행사가 유래된 지역이 있다.[17]

왕정1리는 현 테크노밸리 부지의 중심 지역이다. 1895년 행정구역 개편 때 왕동(王洞), 세정동(洗井洞), 직동(直洞)으로 나뉘었다가 1914년 병합하여 왕동과 세정동의 이름을 따서 왕정리라 하였다.[18]

왕정2리는 1895년 행정구역 개편 이전에는 왕동(王洞), 세정동(洗井洞), 직동(直洞)으로 구분되었다.[18]

3. 5. 평리

평리는 지형이 평평하다는 의미에서 유래된 지명이다. 신라 시대에는 '벌'이라고 불렸으며, 이는 신라 시대 이후 '평'으로 바뀐 것으로 추정된다. 평리는 밭이 논보다 많은데, 호산록에서는 서산 지방의 밭 중에서도 평리 밭을 최상으로 평가했다. 과거 5일장이 섰던 곳으로, 현재 면사무소 앞에까지 범산성이 자유롭게 드나들며 서산의 외항 기능을 수행했던 지역이다.[19]

  • 평1리(상평리): 오사리와 경계를 이루는 평리의 상단부로, 윗말과 하평리(아랫말, 구 장터)를 포함한다. 지곡면 무장리와 경계를 이루는 남산은 연화산에서 시작된 산줄기가 마을 북쪽으로 평풍처럼 내려와 형성되었다. 1985년 행정구역 개편 이전에는 상평촌, 하평촌, 신당리가 있었으나, 이후 평리로 통합되었다. '벌말'이라는 지명은 벌판에 마을이 조성된 것에서 유래했으며, 이를 한자로 옮긴 것이 '평리'이다. 조선시대 여지도 기록에 따르면 성연면 15개 리 중 가장 많은 58가구, 367명이 거주하여 일찍부터 성연의 중심지였음을 알 수 있다. 이는 택리지에 기록된 성연포구가 현재의 평리에서 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점과도 연결된다.[20]
  • 평2리(신댕이): 조선 시대부터 하평리와 신당리 지명이 따로 존재했던 것으로 보아, 신당리로 분리하는 것이 타당하다. 과거 도보 이동 시기에 지곡, 대산 지방 사람들이 서울이나 충청도 내륙으로 가기 위해 음암면, 운산면, 명천으로 왕래하던 길목이었으며, 명천포구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머물다 가는 곳으로 주막이 여러 곳 있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상평리, 하평리, 신당리가 합쳐져 평리가 되었으나, 1987년 신당리가 평리2구로 분구되었다. '신당리(神堂里)'라는 지명은 과거 성연포구 시절 해신을 모시는 당이 있었던 곳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되지만, 조선 시대 기록에는 '신당리(新堂里)'로 나타나 새집을 뜻하는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평2리에는 전통 가옥이나 고가가 없고, 외지에서 이주해 온 주민이 많으며, 농공단지로 시작된 큰 공단이 들어서면서 새집이 많이 신축된 것이 지명과 부합한다. 서산 지방 사투리로 '신댕이'라고 불린다.[21]

3. 6. 갈현리

갈현리는 갈고개(칡이 많은 고개)에서 유래한 지명이다. 1895년 행정구역 개편 시 갈고리(葛古里), 갈현리(葛峴里), 용현리(龍峴里), 과동(果洞)으로 나뉘었다가 1914년 행정 개편으로 네 마을이 합쳐져 갈현리가 되었다.[22]

  • 갈현1리: 치리개 또는 추리개라고 불린다. 칡이 유난히 많았던 고개에서 유래한 지명으로, 칡(葛) 자와 고개 현(峴) 자를 따서 칡고개라 하였는데, 점차 발음이 변하여 치리개라 불리게 되었다.[23]
  • 갈현2리: 용연동이라 불린다. 성왕산 북쪽 지역으로 명천리, 음암면 율목리 및 부산리와 경계하며, 현재 서산구치소가 있다.[24]

3. 7. 명천리

명천리는 마을 앞을 흐르는 냇물이 여울져 소리를 내는 "울내" 주변에 형성된 마을이다. "울내"는 한자로 명천(鳴川)으로 표기되었다.[25]

  • 명천1리: 마명리(馬鳴里)라고 불렸으며, 성연면 소재지에서 동쪽으로 음암면당진시 정미면과 경계를 이룬다. 문길산과 테미산 줄기 사이를 흐르는 명천천을 중심으로 양쪽에 위치하며, 서산-천의산, 서산-명천선이 만나는 삼거리에 있다.[26]
  • 명천2리: 명천리(鳴川里)라고 불렸으며, 마을 가운데를 흐르는 명천천에서 이름이 유래했다. 명천천은 굽이쳐 흐르며 물소리를 내 "울내" 또는 "우르내"라고 불렸고, 이를 한자로 표기한 것이다.[27]
  • 명천3리: 창말이라고도 불리며, 고려시대에는 영풍창 등 대규모 창고가 있던 곳으로 유명하다. 조선시대에도 성연의 중심 상권을 이루었으며, 서산시 지역의 다른 면보다 22년이나 앞서 성연우체국이 자리했던 곳이다.[28]

3. 8. 예덕리

예덕리는 솔예와 덕천의 지명을 따서 만들어진 지명이다. 일설에 의하면 상솔예동과 하솔예동에는 유씨, 박씨, 장씨 등 세 성씨가 수백 년간 예와 덕을 숭상하며 살아왔고, 덕천이라는 지명은 마을의 중앙을 관통하는 하천의 이름 또한 예와 도덕의 모범이 된다는 연유에서 발생하였다 한다.[29]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시 상솔리(上率里), 하솔리(下率里), 덕천리(德川里)를 통합하여 예덕리라 부르게 되었다.[30]

  • 예덕1리: 상솔부락으로 불린다. '거느릴 솔(率)' 자를 사용하게 되었는지에 대한 연유는 알 수 없으나, 소나무가 많은 데서 연유되었으나 소나무 송(松) 자를 쓰지 않고 솔나무라 하는 지역의 토속어를 그대로 한자로 표기하여 '솔' 자가 되었다고도 한다.[30]
  • 예덕2리: 하솔마을로 불리며, 깊은골과 윗산골로 나뉜 서향의 마을이다.[31] '거느릴 솔(率)' 자를 사용하게 된 연유는 알 수 없다.[31]
  • 예덕3리: 덕천마을이라 불린다. 성연면 소재지에서 최북단으로 당진시 대호지면 송전리와 경계하고 있다. 이 마을이 덕천이라 불리게 된 유래는 예덕리 최상부에서 문길사에서 발원하여 마을 가운데를 흐르는 하천이 내려오면서 인근 소하천과 합류하면서 덕천천(德川川)이라 부르며 덕천부락 중심부를 흘러내려 대호만(현재 대호간척지)으로 흐르기 때문이다. 1950년대에는 이 하천의 물이 맑아 식수로 사용하였으며 농업용수로 사용하는 젖줄이 되어 흐르는 물(川)의 덕(德)을 입은 마을이라 하여 덕천마을이라 전해지고 있다.[32]

3. 9. 해성리

해성리는 바닷가에 성이 있는 마을이라는 뜻으로, 내성촌과 외성촌으로 구성되어 있다.[33] 외성마을 남단 왕산 정상 부분에는 높이 3m, 길이 50m의 반월형 작은 성터가 남아있는데, 이는 과거 명천포구 조창의 보호와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33] 외성촌은 '바깥성 마을'이라는 뜻으로 명천포구의 선박과 포구 등 마을 중심 기능을 담당했고, 내성촌은 바다 쪽에 더 가까운 마을을 가리킨다.[33]

해성리는 성조막이라고도 불리며, 내성(안성조막이)과 외성(바깥성조막이)으로 나뉜다. 바다가 성처럼 둘러싸고 있어 해성리(海城里)라고 불린다.[33]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시 내성리(內城里)와 외성리(外城里)를 합쳐 해성리(海城里)가 되었다. '성조막(姓趙幙)'은 약 300년 전 한양 조씨 시조 조지수의 11대손 조등이 이곳에 정착하면서 생긴 지명이라고 한다.[33] 한편, 해성리는 '성이 있는 마을'이라는 뜻으로, 외성마을 동쪽 왕산 정상부 명천과의 경계 지역에 있는 높이 3m, 길이 50m의 반월형 작은 토성과 관련이 있다. 이 토성은 명천포구에서 300m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조창 보호를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지명에 '성(城)'자가 들어간 것은 역사적으로 성(城)과 관련이 있음을 보여준다.[33]

4. 교육

성연면에는 초등학교 1곳(성연초등학교), 특수학교 1곳(서산성봉학교)이 있다.

4. 1. 초등 교육

성연면의 초등 교육은 성연초등학교가 담당하고 있다. 성연초등학교는 1931년 7월 18일 4년제 성연공립보통학교로 창립 인가되었다.[34] 이후 조선교육령 개정에 따라 성연공립심상학교(1938년), 초등학교령에 따른 교명 개칭으로 성연공립초등학교(1941년)를 거쳐,[34] 1947년과 1996년, 2002년에 각각 성연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34]

성연초등학교 산하 분교였다가 초등학교로 승격, 이후 다시 성연초등학교로 통합된 학교는 다음과 같다.

학교명설립 과정연혁
명봉초등학교성연초등학교 명천분실(1959년) → 명봉분교장(1962년) → 명봉초등학교(1967년) → 성연초등학교로 통합(1998년)1967년 5월 29일 개교,[35] 1998년 8월 30일 성연초등학교로 통합[35]
일광초등학교성연초등학교 일광분실(1960년) → 일광분교장(1962년) → 일광초등학교(1967년) → 성연초등학교 분교로 격하 및 통합(1996년)1967년 3월 1일 개교,[36] 개교 29년 후 성연초등학교로 통합[36]


4. 2. 중등 교육

성연중학교는 1971년에 개교하였으며, 2002년에 성연초등학교와 통합되었다.[37] 서산성봉학교는 1999년에 개교하였다.[38]

'''성연중학교 연혁'''[37]

날짜내용
1970년 7월 30일중학교 설립 예비인가
1971년 1월 16일9학급 설립인가
1971년 8월 12일12학급 인가
1974년 12월 30일15학급 인가
1977년 11월 18일18학급 인가
1992년9학급 인가
1995년7학급 인가
1996년6학급 인가
2002년 3월 1일성연초중학교 통합 개교
2004년 ~ 2010년3학급 유지



'''서산성봉학교 연혁'''[38]

날짜내용
1989년 9월 2일서산 성봉학교 설립인가(유치부 1, 초등부 6학급)
1999년 3월 5일서산성봉학교 개교 및 입학식(유치부 1학급, 초등부 6학급)
2001년 2월 20일초등부 제1회 졸업
2001년 12월 20일신축건물 완공, 교실 이전(18교실)
2007년 2월 14일초등부 7회, 중학부 4회, 고등부 1회 졸업
2007년 3월 1일전공과 4학급 신설
2007년 8월 22일신축건물 3층(2실), 경사로, 엘리베이터 준공
2009년 9월 1일제7대 김응래 교장 취임
2010년 2월 10일유치원 11회, 초등학교 10회, 중학교 7회, 고등학교 4회, 전공과 2회 졸업
2010년 3월 1일유치원 1학급, 초등학교 9학급(파견1학급), 중학교 7학급(파견 1학급), 고등학교 10학급(파견 1학급), 전공과 6학급 (총33학급)


5. 주거

성연면에는 서산테크노밸리에 아파트 단지가 들어서면서 주거 환경이 변화하고 있다. e편한세상 서산테크노밸리가 2018년 1월 입주하였고, 서산테크노밸리 우미린은 입주 예정이다.

5. 1. 아파트

단지명입주
서산테크노밸리 우미린입주 미정
e편한세상 서산테크노밸리2018년 1월


6. 산업

서산시 북부에 위치한 성연면은 다양한 산업이 발달하고 있다. 특히, 서산테크노밸리를 중심으로 첨단 산업 관련 기업들이 입주하여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참조

[1] 웹인용 인사말 - 읍면동 https://www.seosan.g[...] 2022-02-13
[2] 서적 성연면지
[3] 서적 성연면지
[4] 서적 성연면지
[5] 서적 성연면지
[6] 서적 성연면지
[7] 서적 성연면지
[8] 서적 성연면지
[9] 서적 성연면지
[10] 서적 성연면지
[11] 서적 성연면지
[12] 서적 성연면지
[13] 서적 성연면지
[14] 서적 성연면지
[15] 서적 성연면지
[16] 서적 성연면지
[17] 서적 성연면지
[18] 서적 성연면지
[19] 서적 성연면지
[20] 서적 성연면지
[21] 서적 성연면지
[22] 서적 성연면지
[23] 서적 성연면지
[24] 서적 성연면지
[25] 서적 성연면지
[26] 서적 성연면지
[27] 서적 성연면지
[28] 서적 성연면지
[29] 서적 성연면지
[30] 서적 성연면지
[31] 서적 성연면지
[32] 서적 성연면지
[33] 서적 성연면지
[34] 서적 성연면지
[35] 서적 성연면지
[36] 서적 성연면지(聖淵面誌) 2011
[37] 서적 성연면지(聖淵面誌) 2011
[38] 서적 성연면지(聖淵面誌) 2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