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분당구는 1991년 분당출장소가 분당구로 승격되면서 설치된 성남시의 구이다. 분당이라는 명칭은 1914년 일제의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분점리와 당우동의 머릿글자를 따서 지어졌다. 경기도 광주군 돌마면과 낙생면, 용인군 수지면 일부를 합쳐 분당신도시 개발 계획에 따라 개발되었으며, 현재 22개의 행정동과 10개의 법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시설로는 율동공원, 중앙공원, 네이버 본사 등이 있으며, 다양한 교육기관과 철도, 도로, 버스 등 편리한 교통망을 갖추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기도의 구 - 소사구
소사구는 1988년 설치되었다가 2016년 폐지된 후 2024년 재설치된 부천시의 구이며, 부천시 구시가지에 해당하고 11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교육 기관과 철도 노선이 지나간다. - 경기도의 구 - 단원구
단원구는 대한민국 경기도 안산시의 행정 구역으로, 2002년에 설치되어 12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며, 안산시 서부에 위치하고 시흥시, 화성시와 접하며, 수도권 전철 4호선, 수인·분당선, 서해선과 영동고속도로 서안산 나들목이 지나간다. - 성남시의 행정 구역 - 분당동
분당동은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분점리의 '분' 자와 당우리의 '당' 자를 따서 만들어진 지명에서 유래한 지역이다. - 성남시의 행정 구역 - 은행동 (성남시)
은행동은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에 위치한 법정동으로, 1975년 단대동에서 분리되었으며 동명은 은행나무가 있던 '은행정'에서 유래했고, 여러 교육기관과 남한산성, 은행근린공원, 성남시 식물원 등의 주요 시설이 있다. - 1991년 설치 - 화도읍
화도읍은 1914년 상도면과 하도면을 합쳐 명명된 남양주시의 읍으로, 1991년 읍으로 승격되었으며, 다양한 기관과 학교, 의료 시설, 주거 시설, 문화재, 명소 등이 위치하고, 경춘선, 서울양양고속도로 등 교통이 편리하다. - 1991년 설치 - 창원군
창원군은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여러 차례 명칭과 위상이 바뀌며 경상남도에서 존속하다가, 마산항 개항 이후 중심지가 마산으로 이동하고 여러 행정구역 개편을 거쳐 1995년 창원시와 마산시에 통합되어 폐지된 군이다.
분당구 | |
---|---|
지도 | |
![]() | |
기본 정보 | |
행정구역명 | 분당구 |
한글 | 분당구 |
한국 한자 | 盆唐區 |
가타카나 | 푸ンダン쿠 |
로마자 표기 | Bundang-gu |
면적 | 69.44 |
통계 년도 | 2023 |
총 인구 | 472,957 |
남자 인구 | 229,126 |
여자 인구 | 243,831 |
상위 자치단체 | 성남시 |
하위 행정 구획 | 19동 |
행정 구역 분류 코드 | 31023 |
웹사이트 | 분당구청 |
총인구 (2022년 1월) | 484,841 |
세대 (2021년) | 194,372 |
법정동 | 18 |
정치 | |
구청장 | 주광호 |
국회의원 | 갑: 안철수(국민의힘) 을: 김은혜(국민의힘) |
기타 | |
구청 소재지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분당로 50 |
2. 명칭 유래
1914년 일제의 행정구역 통폐합 때 분점리(盆店里:동이정)와 당우동(唐隅洞:당모루) 등의 마을을 합치고, 두 마을의 머릿글자를 따서 만든 지명이다.[4] 분당신도시 계획 수립 초기에는 인구 수로 인해 해당 권역을 관할하는 행정동이 분당동이었기에 분당지구라는 명칭이 붙었다.
1989년 6월, 정부의 분당신도시 개발 계획에 따라 개발 사업소가 설치되었다. 이듬해인 1991년 9월 17일 중원구에서 분구되어 분당구가 신설되었다.[7] 분당구는 역사적으로 경기도 광주군의 돌마면 일부(지금의 분당동·수내1동·수내2동·수내3동·정자1동·정자2동·정자3동·서현1동·서현2동·이매1동·이매2동·야탑1동·야탑2동·야탑3동)와 낙생면(지금의 금곡동·구미동·구미1동·판교동·삼평동·백현동·운중동)을 합친 것이며, 지리적으로는 용인군 수지면의 일부(현재의 구미동)도 포함한다. 1973년 경기도 성남출장소가 성남시로 승격됨과 동시에 돌마·낙생 지역이 성남으로 편입되었다. 1992년을 전후로 입주가 시작되면서 인구가 늘었다.[5]
3. 역사
3. 1. 행정 구역 변천
경기도 광주군의 돌마면 일부와 낙생면을 합친 것이 분당구의 기원이며, 지리적으로는 용인군 수지면의 일부도 포함한다. 1973년 경기도 성남출장소가 성남시로 승격되면서 돌마·낙생 지역이 성남으로 편입되었다.[5] 1989년 분당신도시 계획이 발표되고, 1991년 분당출장소가 분당구로 전환되었다.[7]
기존 | 분당구 설치 후 | 법정구역 |
---|---|---|
중원구 분당동 | 분당구 분당동 | 분당동·수내동·정자동·율동·서현동 |
중원구 이매동 | 분당구 이매동 | 이매동·야탑동 |
중원구 판교동 | 분당구 판교동 | 판교동·삼평동·백현동 |
중원구 금곡동 | 분당구 금곡동 | 금곡동·궁내동·동원동·구미동 |
중원구 운중동 | 분당구 운중동 | 운중동·대장동·석운동·하산운동 |
- 1992년 5월 1일 분당동에서 초림동·서현동을 분동했다.[8]
- 1993년 1월 20일 분당동에서 서당동·수내동을, 이매동에서 매송동·하탑동을 분동했다.[9]
- 1993년 6월 5일 분당동에서 내정동을, 이매동에서 야탑동·중탑동을 분동했다.[10]
- 1995년 3월 6일 내정동에서 정자동을 분동했다.[11]
- 1996년 1월 15일 정자동에서 신기동·불정동을, 금곡동에서 구미동을 분동했다.[12]
- 2000년 10월 18일 수내동을 수내3동, 초림동을 수내1동, 내정동을 수내2동, 정자동을 정자2동, 불정동을 정자3동, 신기동을 정자1동, 서현동을 서현1동, 서당동을 서현2동, 이매동을 이매1동, 매송동을 이매2동, 야탑동을 야탑1동, 중탑동을 야탑3동, 하탑동을 야탑2동으로 개칭했다.[13]
- 2005년 3월 21일 금곡동을 금곡1동·금곡2동으로 분동했다.[14]
- 2008년 9월 22일 금곡1동을 금곡동, 금곡2동을 구미1동으로 개칭했다.[15]
- 2008년 12월 22일 판교동에서 삼평동을 분동했다.[16]
- 2009년 10월 5일 판교동에서 백현동을 분동했다.[17]
- 2015년 5월 1일 정자1동에서 정자동을 분동했다.[18]
4. 지리
5. 행정 구역
분당구는 22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행정동의 한자명, 면적, 세대수, 인구수는 다음과 같다.[1]
행정동 | 한자 | 면적 (km2) | 세대 | 인구 (명) |
---|---|---|---|---|
분당동 | 盆唐洞 | 3.4km2 | 10,338 | 28,287 |
수내1동 | 藪內1洞 | 1.03km2 | 7,174 | 18,018 |
수내2동 | 藪內2洞 | 0.81km2 | 3,311 | 11,000 |
수내3동 | 藪內3洞 | 0.94km2 | 5,446 | 15,263 |
정자동 | 亭子洞 | 1km2 | 8,504 | 21,286 |
정자1동 | 亭子1洞 | 2.45km2 | 13,159 | 30,484 |
정자2동 | 亭子2洞 | 0.54km2 | 7,756 | 17,781 |
정자3동 | 亭子3洞 | 1.92km2 | 6,116 | 16,741 |
서현1동 | 書峴1洞 | 7.49km2 | 12,101 | 32,567 |
서현2동 | 書峴2洞 | 0.79km2 | 6,764 | 19,745 |
이매1동 | 二梅1洞 | 2.9km2 | 9,153 | 27,451 |
이매2동 | 二梅2洞 | 0.68km2 | 4,641 | 14,656 |
야탑1동 | 野塔1洞 | 1.16km2 | 7,507 | 18,644 |
야탑2동 | 野塔2洞 | 0.64km2 | 6,294 | 17,912 |
야탑3동 | 野塔3洞 | 5.08km2 | 12,906 | 31,691 |
판교동 | 板橋洞 | 2.93km2 | 7,599 | 23,715 |
삼평동 | 三坪洞 | 3.34km2 | 8,624 | 25,916 |
백현동 | 栢峴洞 | 1.96km2 | 9,743 | 28,574 |
금곡동 | 金谷洞 | 5.37km2 | 12,113 | 30,274 |
구미1동 | 九美1洞 | 3.05km2 | 7,098 | 18,647 |
구미동 | 九美洞 | 4.77km2 | 13,028 | 33,287 |
운중동 | 雲中洞 | 18.1km2 | 7,552 | 21,135 |
분당구 | 盆唐區 | 69.77km2 | 186,927 | 503,074 |
행정동 | 법정동 |
---|---|
분당동 | 분당동 |
구미동 | 구미동 |
구미1동 | 동원동, 구미동 |
금곡동 | 금곡동, 궁내동 |
이매1동 | 이매동 |
이매2동 | 서현동, 이매동, 야탑동, 삼평동, 백현동 |
정자동, 정자1동, 정자2동, 정자3동 | 정자동 |
판교동 | 판교동, 백현동 |
서현1동 | 율동, 서현동 |
서현2동 | 서현동 |
수내1동, 수내2동, 수내3동 | 수내동 |
운중동 | 운중동, 대장동, 석운동, 하산운동 |
야탑1동, 야탑2동, 야탑3동 | 야탑동 |
삼평동 | 삼평동 |
백현동 | 백현동 |
6. 인구
7. 경제
분당구는 한국의 주요 인터넷 검색 서비스 기업인 네이버 본사가 위치한 곳이다.
7. 1. 주요 기업
네이버의 본사가 분당구에 있다.8. 문화
분당구에는 율동공원, 중앙공원, 구미공원, 새마을연수원, 코리아디자인센터, 한국학중앙연구원, 성남아트센터, 한국잡월드, 국립국제교육원, 한국장애인고용공단, 네이버 본사, 아름방송네트워크, 캐니빌리지, 탄천물놀이장, 킨스 타워, 정자동 카페거리, KT 본사 등 다양한 문화 시설이 있다.
8. 1. 주요 시설
9. 교육
분당구에는 여러 교육 기관이 있다. 고등학교로는 늘푸른고등학교, 돌마고등학교, 분당고등학교 등이 있으며, 한국외국인학교(국제학교), 성은학교(특수학교)가 있다. 차의과학대학교 분당캠퍼스(사립대학교),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대학원대학교), 국가정보대학원(특수목적대학교)이 있다.[1]
9. 1. 주요 교육 기관
종류 | 학교명 |
---|---|
고등학교 | 늘푸른고등학교, 돌마고등학교, 분당고등학교, 분당경영고등학교, 분당중앙고등학교, 불곡고등학교, 서현고등학교, 성남외국어고등학교, 성남금융고등학교, 수내고등학교, 양영디지털고등학교, 이매고등학교, 한솔고등학교, 계원예술고등학교, 낙생고등학교, 분당대진고등학교, 송림고등학교, 야탑고등학교, 분당영덕여자고등학교, 이우고등학교, 태원고등학교, 운중고등학교, 보평고등학교, 판교고등학교 |
국제학교 | 한국외국인학교 |
특수학교 | 성은학교 |
사립대학교 | 차의과학대학교 분당캠퍼스 |
대학원대학교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
특수목적대학교 | 국가정보대학원 |
10. 교통
분당선과 신분당선, 경강선이 분당구 내를 지나고 있다. 분당선은 성남시 원도심과 용인시 수지구를 이어주고 있으며, 신분당선은 서울특별시 서초구로 바로 연결된다. 경강선은 경기도 광주시 및 이천시와의 교통을 담당하고 있다.[19]
분당구에는 경부고속도로와 용인서울고속도로 2개의 고속도로 노선이 있다. 일반국도 노선은 없으며, 국가지원지방도 2개 노선(지방도 제23호선, 지방도 제57호선)이 지난다. 성남대로와 돌마로는 분당구의 남북을 관통하는 주요 간선축 역할을 하고 있으며, 분당구는 동서간 교통이 빈약한 편이다. 대표적인 동서 간선도로로는 판교로와 서현로가 있다.
성남종합버스터미널은 분당구 야탑1동에 있는 성남 유일의 버스 터미널이다.
10. 1. 철도
분당선과 신분당선, 경강선이 분당구 내를 지나고 있다. 분당선은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이 운행하며 성남시 원도심과 용인시 수지구를 이어주고 있다. 신분당선은 성남의 원도심을 거치지 않고 바로 서울특별시 서초구로 이어준다. 경강선은 경기도 광주시 및 이천시와의 교통을 담당하고 있다.[19]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분당선)은 야탑역 - 이매역 - 서현역 - 수내역 - 정자역 - 미금역 - 오리역을 지난다.
신분당선은 판교역 - 정자역 - 미금역을 지난다. 신분당선 미금역은 2018년 4월 28일에 개통되었다.
경강선은 판교역 - 이매역을 지난다.
한국철도공사가 운영하는 노선은 다음과 같다.
신분당선·경기철도가 운영하는 노선은 다음과 같다.
GTX-A 운영이 운영하는 노선은 다음과 같다.
- 수도권광역급행철도 A노선: 성남역
10. 2. 도로
분당구 관내에는 경부고속도로와 용인서울고속도로 2개의 고속도로 노선이 있다.- 경부고속도로: (성남시 수정구) ← 대왕판교 나들목 - 판교 분기점 - 판교 나들목 - 서울 요금소 → (용인시 수지구)
- 용인서울고속도로: (성남시 수정구) ← 서판교 나들목 - 서분당(고기) 나들목 → (용인시 수지구)
분당구 관내에는 일반국도 노선은 없으며, 국가지원지방도 2개 노선이 지난다.
성남대로와 돌마로는 분당구의 남북을 관통하는 주요 간선축 역할을 하고 있으며, 분당구는 동서간 교통이 빈약한 편이다. 대표적인 동서 간선도로로는 판교로와 서현로가 있다.
10. 3. 버스
성남종합버스터미널은 분당구 야탑1동에 있는 성남 유일의 버스 터미널이다.11. 출신 인물
참조
[1]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2]
웹사이트
顔を露出した「盆唐凶器事件」のチェ・ウォンジョン、「反省文を書く」
https://www.donga.co[...]
2024-04-01
[3]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4]
웹사이트
분당의 땅이름 이야기
http://www.codil.or.[...]
[5]
웹사이트
분당구 연혁
http://www.bundang-g[...]
2017-09-04
[6]
조례
성남시조례 제1134호
[7]
조례
성남시조례 제1152호
[8]
조례
성남시조례 제1192호
[9]
조례
성남시조례 제1253호
[10]
조례
성남시조례 제1272호
[11]
조례
성남시조례 제1360호
[12]
조례
성남시조례 제1407호
[13]
조례
성남시조례 제1733호
[14]
조례
성남시조례 제1971호
[15]
조례
시조례 제2257호 행정운영동의설치및동장정수조례
2008-09-22
[16]
조례
성남시조례 제2277호
[17]
조례
성남시조례 제2353호
[18]
조례
성남시조례 제2868호 행정운영동의설치및동장정수조례
2015-04-03
[19]
뉴스
착공 5년만에 신분당선 미금역 4월말 개통…분당선 환승도 가능
https://web.archive.[...]
2018-02-23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분당 공원 공영화장실서 여성 1명 불타 숨진 채 발견
이 대통령 “나도 의자·마이크 들고 다녔다” 험지 원외위원장들 독려
성남 분당구 아파트 15층서 불…인명 피해 없어
이사용 사다리차가 어린이놀이터로 쿵…인명 피해 없어
복합개발 수혜지에 수요자 몰린다…집값 상승 노리는 곳은
“난 게임회사 폭파”…경찰, 작성자 추적 중
서울 집값 다시 꿈틀
서울·경기 아파트값 ‘6·27 대책’ 6주 만에 상승세 다시 커져
6·27대책 두달 안 됐는데…서울 아파트값 상승 폭 다시 커져
분당 우량 오피스 ‘휴맥스 빌리지’ 매물로
서울공항 고도 제한 완화 시사…성남시 기대 고조
6·27 대출 규제 ‘효과’…서울 아파트값 상승세 4주째 둔화
서울 아파트값 상승폭 4주 연속 둔화…‘재건축’ 송파만 반등
이용률 낮은 주차장 부지에 공공분양주택 단지 조성
6.27 대책 약발 먹히나...수도권 아파트 중위가격 6.6억원→5억원
서울 아파트값 ‘기세’ 꺾였다…오름세 2주 연속 둔화
강력 대출규제 효과…서울 아파트값 상승세 2주째 주춤
“강남 부자들도 속수무책”…‘대출 규제’에 서초 이어 송파·강동·마용성도 주춤
“내놓기만 하면 우르르 몰렸는데”…경매시장 분위기 ‘대출 규제’ 반전되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