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삼각 측량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삼각 측량은 19세기 초 영국 동인도 회사가 인도 아대륙의 지배력을 강화하기 위해 시작한 대규모 측량 사업이다. 윌리엄 램턴이 제안하여 1802년 첸나이에서 시작된 이 사업은 삼각 측량 기술을 활용하여 인도 전역의 지도를 제작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이 과정에서 윌리엄 램턴, 조지 에베레스트 등 여러 인물이 참여했으며, 에베레스트는 측량 장비와 방법론 개선에 기여했다. 이 측량 사업은 인도 측량국으로 통합되었으며, 사회적, 과학적 측면에서 큰 의의를 지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세기 인도 - 그레이트 게임
그레이트 게임은 19세기 중반부터 20세기 초까지 중앙아시아에서 영국과 러시아 간에 벌어진 지정학적 경쟁으로, 인도 통제권을 둘러싼 이해 충돌, 러시아의 남하정책, 영국의 지배 확장 야망이 얽혀 외교, 첩보, 군사 개입 등의 형태로 나타났으며, 소련 붕괴 후에는 새로운 강대국들의 경쟁이 '신 그레이트 게임'으로 불리기도 한다. - 19세기 인도 - 1차 콜레라 범유행
1817년부터 1824년까지 인도 아대륙에서 시작되어 아시아, 아프리카, 유럽 등 전 세계로 확산된 1차 콜레라 범유행은 인구 이동, 무역, 종교 활동 등으로 인해 수많은 사망자와 사회적 혼란, 인종차별 등의 영향을 미쳤다.
대삼각 측량 | |
---|---|
개요 | |
유형 | 측량 프로젝트 |
목적 | 인도 아대륙의 정확한 지도 제작 |
기간 | 1802년 ~ 1871년 (일부 작업은 20세기 초까지 계속) |
범위 | 인도, 파키스탄, 네팔, 부탄, 방글라데시, 미얀마 일부 |
주요 인물 | |
책임자 | 윌리엄 램턴 (초기) 조지 에버레스트 앤드루 스콧 워 제임스 워커 |
참여자 | 나인 싱 라와트 무함마드 하마이드 외 다수 인도 측량국 직원 및 현지 조력자 |
방법 | |
주요 기술 | 삼각 측량 정밀 측량 기기 (데오돌라이트 등) 천문 관측 |
사용 도구 | 대형 데오돌라이트 (무게 약 500kg) 측량 쇠사슬 수준기 천문 장비 |
주요 성과 | |
지리적 발견 | 에베레스트 산 높이 측정 및 명명 (당시 'Peak XV') 인도 아대륙의 정확한 지도 제작 히말라야 산맥의 지형 정보 획득 |
과학적 기여 | 지구의 모양과 크기에 대한 이해 증진 연직선 편차 연구 |
역사적 맥락 | |
배경 | 영국 동인도 회사의 인도 지배 강화 및 효율적인 행정 관리 필요성 증대 |
영향 | 인도 아대륙의 지리적, 지질학적 연구의 기반 마련 현대 측량 기술 발전에 기여 |
기타 | |
현재 상태 | 인도 측량국에서 관련 데이터 및 기록 보관 |
2. 역사적 배경
1600년 창립 이후 영국 동인도 회사는 19세기 초까지 인도 아대륙에서 점차 영토를 확장하며 지배력을 강화했다.[1][14] 늘어나는 영토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자원을 파악하기 위해 정확한 지도가 필요했지만, 제임스 르넬 등이 초기에 제작한 지도들은 측량 기술의 한계로 인해 부정확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1][14]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800년, 제4차 마이소르 전쟁에서 승리한 직후 동인도 회사의 보병 장교였던 윌리엄 램튼은 삼각 측량을 이용한 대규모 측량 사업을 제안했다.[5][18] 이 제안이 받아들여져 1802년 4월 10일, 첸나이(당시 마드라스) 인근에서 약 12.07km 길이의 기선 측량을 시작으로 인도 대삼각 측량이 시작되었다.[1][14][7] 처음에는 새로 획득한 마이소르 왕국 지역을 대상으로 시작되었으나, 점차 인도 아대륙 전체로 확대되었다.[5] 초기 작업 중 하나로 탈라세리와 칸누르 해안 지점을 연결하는 약 579.36km 거리의 측량선 작업이 1806년에 완료되었다.[7][19]
동인도 회사는 이 프로젝트가 약 5년 정도 걸릴 것으로 예상했지만, 측량해야 할 지역이 워낙 광대하고 작업 환경이 열악하여 실제로는 1857년 인도 독립 항쟁 이후까지 이어져 거의 70년 가까이 소요되었다.[1][14] 측량사들은 인도 전체를 꼼꼼하게 측량하는 대신, 남북과 동서 방향으로 주요 측량선을 설정하여 격자 형태의 측량망("gridiron")을 만드는 방식을 채택했다.[1][14] 때로는 측량팀의 인원이 700명에 달할 정도로 대규모 인력이 동원되었다.[8][20]
초기에는 삼각 측량이 지형 조사나 수입 조사 등 다른 측량 작업과 별도로 진행되었다. 그러나 1875년, 측량 예산이 24만파운드에서 20만파운드로 삭감되면서 조직 개편이 이루어졌다. 이 결정에 따라 당시 측량 총감이던 J. T. 워커 대령의 지휘 아래 대삼각 측량, 지형 조사, 수입 조사가 인도 측량부로 통합되었다.[9][21]
2. 1. 영국 동인도 회사의 인도 지배 강화
1600년 설립된 영국 동인도 회사는 19세기 초까지 인도 아대륙에 대한 지배력을 점차 확대해 나갔다.[1][14] 새로운 영토를 확보하면서 효율적인 통치와 자원 관리를 위해 지도와 같은 정보가 필요했고, 이를 위해 여러 탐험가와 지도 제작자를 고용했다. 그중 가장 대표적인 인물은 1767년부터 벵골 관구에서 활동한 제임스 르넬이다.[1][14] 하지만 르넬이 지도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정확한 측량 기술의 부재로 인해 여러 문제점이 드러났다.[1][14]1800년, 동인도 회사가 제4차 마이소르 전쟁에서 티푸 술탄을 상대로 승리하여 남인도 지역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한 직후, 측량 경험이 있는 보병 장교 윌리엄 램튼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삼각 측량을 통한 정밀한 지도 제작을 제안했다.[5][18] 이 계획은 처음에는 새로 획득한 마이소르 왕국 영토를 대상으로 시작되었으나, 궁극적으로는 인도 아대륙 전체를 측량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5][18] 이는 이후 시작될 대삼각 측량의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다.
2. 2. 제임스 르넬의 초기 지도 제작과 한계
영국 동인도 회사는 1600년 창립 이후 19세기 초까지 인도 아대륙에서 지속적으로 영토를 확장했다.[14] 새로운 영토를 확보하면서, 이 지역에 대한 지도 제작과 정보 수집의 필요성이 커졌고, 이를 위해 많은 탐험가와 지도 제작자를 고용했다. 이들 중 가장 대표적인 인물이 1767년부터 벵골 지역에서 활동한 James Rennell|제임스 르넬영어이다. 르넬은 인도 최초의 체계적인 지도 제작을 시도한 인물로 평가받지만, 그의 지도는 제작 과정에서 정확한 측량이 뒷받침되지 않아 여러 심각한 결함을 안고 있었다.[14] 이러한 초기 지도의 한계는 이후 보다 정밀한 측량의 필요성을 부각시키는 배경이 되었다.2. 3. 윌리엄 램턴의 제안과 측량 시작
1600년 창립 이후 영국 동인도 회사는 인도 아대륙에서 점차 영토를 확장해 나갔다.[1][14] 새로운 영토를 확보하면서 지도 제작과 정보 수집의 필요성이 커졌고, 회사는 여러 탐험가와 지도 제작자를 고용했다. 이 중 1767년부터 벵골 관구에서 활동한 제임스 르넬이 유명하지만, 그의 지도에는 정확한 측량 부족으로 인한 한계가 있었다.[1][14]1800년, 영국 동인도 회사가 제4차 마이소르 전쟁에서 티푸 술탄을 상대로 승리하며 남인도 지배권을 확립한 직후, 측량 경험이 있던 보병 소령 윌리엄 램턴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삼각 측량을 제안했다. 처음에는 새로 획득한 마이소르 왕국 영토를 대상으로 시작하여, 최종적으로는 인도 아대륙 전체를 측량하는 거대한 계획이었다.[5][18]

인도 대삼각 측량은 1802년 4월 10일, 첸나이(당시 마드라스) 부근에서 기선 측량을 시작하며 본격적으로 막을 올렸다.[1][14] 램턴 소령은 북쪽 끝의 세인트 토마스 마운트와 남쪽 끝의 페룸바우크 언덕 사이의 평탄한 평원을 기선 측량 지점으로 선택했다. 이 기선의 길이는 약 12.07km였다. 이후 서쪽 해안의 탈라세리(텔리셰리)와 칸누르(칸나노르) 지점을 연결하기 위해, 케이터 중위가 서쪽 언덕에서 높은 조망 지점을 물색하여 에지말라 언덕(델리 산)과 타디안돌을 찾아냈다. 해안에서 해안까지 두 지점 간의 거리는 약 579.36km에 달했으며, 이 측량선의 작업은 1806년에 완료되었다.[7][19]
동인도 회사는 당초 이 프로젝트가 약 5년 안에 완료될 것으로 예상했지만, 측량 범위가 워낙 방대하여 1857년 인도 독립 항쟁과 동인도 회사의 인도 통치 종료 이후까지 이어져 거의 70년이라는 시간이 소요되었다. 광대한 영토 전체를 삼각 측량하는 대신, 측량사들은 남북과 동서로 이어지는 삼각 측량 사슬을 격자 형태로 만드는, 이른바 "그리드 아이언"(gridiron) 방식을 사용했다.[1][14] 때때로 측량팀의 규모는 700명에 이르기도 했다.[8][20]
3. 측량 과정 및 기술 발전
19세기 초 영국 동인도 회사의 인도 아대륙 지배 확장과 함께 정확한 지도 제작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1] 기존 지도의 부정확성을 해결하기 위해, 1800년 윌리엄 램턴은 마이소르 왕국 정복 직후 인도 전역을 포괄하는 대규모 삼각 측량 사업을 제안했다.[5][18]
이 대삼각 측량은 1802년 첸나이 부근의 기선 측량을 시작으로[1][14], 당초 예상했던 5년을 훨씬 넘어 약 70년 동안 진행되었다.[1][14][20] 광대한 영토를 효율적으로 측량하기 위해 남북과 동서 방향의 주요 측량선을 연결하는 "그리드 아이언"(gridiron) 방식이 채택되었으며[1][14], 때로는 700명에 달하는 대규모 인력이 동원되기도 했다.[8][20]
측량 초기에는 세오돌라이트, 천정 섹터, 정밀 측량 체인 등 당시의 첨단 장비가 사용되었고[10], 이후 기술 발전에 따라 장비는 더욱 개량되었다. 조지 에베레스트와 같은 책임자는 정확한 장비 확보를 위해 제작 과정을 직접 감독하기도 했으며, 헨리 배로우 등이 정밀 기기를 공급했다.[11][12][22][23]
측량 작업은 초기에 지형 및 수입 조사와 분리되어 진행되었으나, 1875년 예산 조정 과정에서 J.T. 워커 대령의 지휘 아래 인도 측량부로 통합되어 운영 효율성을 높였다.[9][21]
3. 1. 초기 측량: 첸나이 기선과 삼각 측량
영국 동인도 회사는 17세기 초 설립 이후 인도 아대륙 내 영토를 꾸준히 확장해왔다.[14] 새로운 영토를 확보하면서 지도 제작과 정보 수집이 중요해졌고, 제임스 렌넬과 같은 탐험가 및 지도 제작자들이 활동했다. 그러나 렌넬의 지도는 정밀한 측량 없이 제작되어 정확성에 한계가 있었다.[14] 1800년, 영국이 제4차 마이소르 전쟁에서 승리하며 남인도 지배권을 확립하자, 측량 경험이 있던 보병 소령 윌리엄 램턴은 새롭게 획득한 마이소르 영토에서 시작하여 최종적으로 인도 전역을 포괄하는 삼각 측량 사업을 시작했다.[18]
대삼각 측량은 1802년 4월 10일 마드라스 부근에서 기선(baseline) 측량부터 시작되었다.[14] 램턴 소령은 북쪽 끝에 세인트 토마스 마운트, 남쪽 끝에 페룸바우크 언덕이 있는 평야를 선택했다. 이 기선의 길이는 약 12.07km(약 12.1km)였다. 삼각 측량의 정확도는 최초 기선 측정의 정밀도에 크게 좌우되었기 때문에, 측정 과정은 매우 신중하게 진행되었다. 온도 변화로 인한 오차를 줄이기 위해 정밀하게 제작된 약 30.48m(약 30m) 길이의 측량용 체인을 사용했으며, 이 체인을 수평 테이블 위에 놓고 햇빛을 가린 상태에서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며 거리를 측정했다.[10]

초기 측량에는 윌리엄 캐리가 제작한 크고 무거운 세오돌라이트와 제시 램스덴이 만든 천정 섹터, 그리고 앞서 언급한 약 30.48m 측량 체인 등 당시로서는 최첨단 장비들이 동원되었다.[10] 이후 측량 작업에서는 더 작고 개량된 세오돌라이트가 사용되었다.
기선 측량과 병행하여, 서쪽 해안 지역의 측량 지점을 확보하기 위한 작업도 진행되었다. 케이터 중위가 서쪽 언덕 지역으로 파견되어 탈라세리와 칸누르 해안 지점을 조망할 수 있는 높은 지점을 물색했다. 그 결과 에지말라 언덕과 타디안돌 언덕이 측량 지점으로 선정되었다. 이 두 지점 사이의 거리는 약 약 579.36km(약 580km)에 달했으며, 이 구간의 측량은 1806년에 완료되었다.[19] 동인도 회사는 당초 이 대규모 측량 프로젝트가 5년 안에 완료될 것으로 예상했지만, 실제로는 70년 가까이 소요되었다.[14][20]
3. 2. 측량의 확장과 "그리드 아이언" 방식


영국 동인도 회사는 당초 이 프로젝트가 약 5년 정도 걸릴 것으로 예상했지만, 실제로는 거의 70년이 걸렸으며, 이는 1857년 인도 반란 이후 영국령 인도 제국 시대까지 이어졌다.[1][14] 측량해야 할 영토가 워낙 광대했기 때문에, 측량사들은 인도 아대륙 전체를 일일이 삼각 측량하는 대신 남북 방향과 동서 방향으로 주요 삼각 측량 체인을 연결하는 방식을 택했다. 이 방식은 격자 모양과 같다고 하여 "그리드 아이언"(gridiron)이라고 불렸다.[1][14] 측량 작업에는 때때로 약 700명에 달하는 대규모 인원이 동원되기도 했다.[8][20]
3. 3. 측량 기술의 발전과 장비 개선
초창기 측량에서는 윌리엄 캐리(William Carey)가 제작한 크고 부피가 큰 세오돌라이트와 제시 램스덴이 제작한 천정 섹터, 그리고 약 30.48m 체인을 사용했다.[10] 이후 측량에서는 더 소형화된 세오돌라이트를 사용했다.
정부 계약의 표준 시스템을 통해서는 항상 정확한 측량 기기를 구매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조지 에베레스트는 기기 제작을 직접 감독했다. 그는 기기 제작자인 헨리 배로우(Henry Barrow)에게 콜카타에 기기 회사를 설립하도록 했다. 배로우의 뒤는 타밀나두주 아르코트 출신의 사이드 모신(Syed Mohsin)이 이었고, 그가 사망한 후에는 요크의 쿠크(Cooke)가 기기를 공급했다.[11][12]
높은 정확도를 달성하기 위해, 단순한 삼각법으로 계산된 모든 거리에는 다음과 같은 여러 요인을 고려한 보정 작업이 적용되었다.
4. 주요 인물
인도 대삼각 측량 프로젝트를 이끌었던 주요 책임자(Surveyor General of India)들은 다음과 같다. 각 인물의 구체적인 역할과 업적에 대해서는 아래의 하위 섹션에서 더 자세히 설명한다.
재임 기간 | 이름 |
---|---|
1818–1823 | 윌리엄 램턴 |
1823–1843 | 조지 에베레스트 경 |
1843–1861 | 앤드루 스콧 워 |
1861–1883 | 제임스 토마스 워커 |
1884–1888 | 찰스 토마스 헤이그 |
1888–1894 | 조지 스트라한 |
1894–1899 | 세인트 조지 코르베 고어 |
1899–1911 | 시드니 제럴드 버라드 |
1912–1921 | 제럴드 폰손비 레녹스-코닝엄 경 |
4. 1. 윌리엄 램턴 (1818-1823)
영국 동인도 회사는 1600년 창립 이후 19세기 초까지 인도 아대륙에서 영향력을 꾸준히 확대해 나갔다.[14] 새롭게 확보한 영토를 관리하고 정보를 얻기 위해 많은 탐험가와 지도 제작자를 고용했는데, 1767년부터 벵골 지역에서 활동한 제임스 렌넬이 대표적이다. 그러나 렌넬의 지도는 정확한 측량 없이 제작되어 여러 오류가 발견되었다.[14] 1800년, 영국이 제4차 마이소르 전쟁에서 승리하며 남인도 전역의 지배권을 강화한 직후, 측량 경험이 있던 보병 소령 윌리엄 램턴은 새롭게 얻은 마이소르 영토를 시작으로 인도 전역을 포괄하는 삼각 측량 프로젝트를 제안하고 시작했다.[18]
인도 대삼각 측량은 1802년 4월 10일, 첸나이(당시 마드라스) 인근에서 기선(baseline)을 측정하는 것으로 시작되었다.[14] 램턴 소령은 북쪽 끝의 St. Thomas Mount영어와 남쪽 끝의 페룸바우크 언덕 사이의 평야를 선택했다. 이 기선의 길이는 약 12.1km(약 12.07km)였다. 이후 서쪽 해안의 탈라세리(텔리셰리)와 칸누르(칸나노르) 지점을 조망할 수 있는 높은 지점을 찾기 위해 케이터 중위가 파견되었고, Ezhimala영어(델리 산)와 Tadiandamol영어 언덕이 선택되었다. 두 지점 사이의 거리는 약 580km(약 579.36km)에 달했으며, 이 측선에 대한 측량 작업은 1806년에 완료되었다.[19]
동인도 회사는 이 대규모 프로젝트가 5년 안에 끝날 것으로 예상했지만, 실제로는 1857년 인도 대반란 이후까지 이어져 거의 70년이 소요되었다. 측량 범위가 워낙 넓었기 때문에 인도 전체를 빽빽하게 삼각 측량하는 대신, 남북과 동서 방향으로 주요 삼각 측량망(그들이 "gridiron", 즉 석쇠 모양이라고 부른 격자형 측량망)을 구축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14] 때때로 측량 작업에 동원된 인원은 700명에 달하기도 했다.[20] 윌리엄 램턴은 이 거대한 사업의 창시자로서 초기 측량 과정을 주도했다.
4. 2. 조지 에베레스트 (1823-1843)
윌리엄 램턴의 뒤를 이어 조지 에베레스트 경이 1823년부터 1843년까지 대삼각 측량의 책임자를 맡았다.4. 3. 앤드루 스콧 워 (1843-1861)
조지 에베레스트의 뒤를 이어 앤드루 스코트 워가 1843년부터 1861년까지 대삼각 측량의 측량 감독관(Surveyor General)을 맡았다.4. 4. 제임스 워커 (1861-1883)
제임스 토마스 워커는 1861년부터 1883년까지 측량 감독(Surveyor General)을 역임했다. 그의 재임 기간 중인 1875년에 조사 예산이 24만 파운드에서 20만 파운드로 삭감되었다.[21] 이로 인해 조직 재편이 이루어졌고, 워커 대령의 주도 하에 기존에 별도로 운영되던 삼각 측량, 지형 조사, 수입 조사가 인도 측량국으로 통합되었다.[21]4. 5. 시드니 제럴드 버라드 (1885/1899-1911)
시드니 제럴드 버라드는 대삼각 측량의 책임자 중 한 명이었다. 원본 자료에 따르면 그의 책임 기간은 1899년부터 1911년까지, 또는 1885년부터 1911년까지로 기록되어 있다.4. 6. 제럴드 레녹스-코닝엄 (1912-1921)
제럴드 폰손비 레녹스-코닝엄 경은 1912년부터 1921년까지 대삼각 측량의 감독을 맡았다. 그는 이 프로젝트의 마지막 감독자였다.참조
[1]
간행물
"THE BIG MAN. Surveying Sir George Everest"
http://www.krcmar.ca[...]
Professional Surveyor Magazine
2001
[2]
서적
Trespassers on the Roof of the World: The Race for Lhasa
Oxford University Press
1982
[3]
서적
The Pundits: British Exploration of Tibet and Central Asi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2004
[4]
간행물
Account of the Pundit's Journey in Great Tibet
The Journal of the Royal Geographical Society
1877
[5]
논문
An account of the Trigonometrical Operations in crossing the peninsula of India, and connecting Fort St. George with Mangalore
https://archive.org/[...]
[6]
문서
bone, v.3
OED
[7]
서적
A Memoir on the Indian Surveys
https://archive.org/[...]
London. W H Allen And Co.
2009-03-01
[8]
웹사이트
"History: The Great Trigonometrical Survey"
http://www.bluesci.o[...]
Bluesci: Cambridge university science magazine
2013-05-05
[9]
서적
A memoir of the Indian Surveys, 1875–1890
https://archive.org/[...]
Secretary of State for India in Council
[10]
웹사이트
Survey Saga
https://frontline.th[...]
2022-12-26
[11]
논문
The Survey of India
https://archive.org/[...]
[12]
논문
Making mountains out of molehills? George Everest and Henry Barry, 1830–39
http://www.new1.dli.[...]
[13]
논문
On the Attraction of the Himalaya Mountains, and of the Elevated Regions beyond Them, upon the Plumb-Line in India
https://zenodo.org/r[...]
[14]
간행물
"THE BIG MAN. Surveying Sir George Everest"
http://www.krcmar.ca[...]
Professional Surveyor Magazine
2001
[15]
서적
Trespassers on the Roof of the World: The Race for Lhasa
Oxford University Press
1982
[16]
서적
The Pundits: British Exploration of Tibet and Central Asia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2004
[17]
간행물
Account of the Pundit's Journey in Great Tibet
The Journal of the Royal Geographic Society
1877
[18]
논문
An account of the Trigonometrical Operations in crossing the peninsula of India, and connecting Fort St. George with Mangalore
https://archive.org/[...]
[19]
서적
A Memoir On The Indian Surveys
https://archive.org/[...]
London. W H Allen And Co.
2009-03-01
[20]
뉴스
"History: The Great Trigonometrical Survey"
http://www.bluesci.o[...]
Bluesci: Cambridge university science magazine
2011-01-29
[21]
서적
A memoir of the Indian Surveys, 1875-1890
https://archive.org/[...]
Secretary of State for India in Council
[22]
논문
The Survey of India
https://archive.org/[...]
[23]
논문
Making mountains out of molehills? George Everest and Henry Barry, 1830-39
http://www.new1.dli.[...]
[24]
논문
On the Attraction of the Himalaya Mountains, and of the Elevated Regions beyond Them, upon the Plumb-Line in India
https://zenodo.org/r[...]
[25]
간행물
"THE BIG MAN. Surveying Sir George Everest"
http://www.krcmar.ca[...]
Professional Surveyor Magazine
2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