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위덕명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위덕명왕은 "죽음의 파괴자" 또는 "죽음의 정복자"를 의미하는 산스크리트어 '야만타카'를 음역한 불교의 명왕이다. 지혜의 화신인 문수보살의 분노한 모습으로, 힌두교 신 시바의 화신인 칼란타카에서 유래되었다. 대위덕명왕은 여러 형태로 묘사되며, 6개의 얼굴과 팔, 다리를 가진 모습, 혹은 9개의 얼굴과 34개의 팔, 16개의 다리를 가진 모습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티베트 불교에서는 바즈라바이라바라고 불리며 겔룩파에서 중요한 존격으로 여겨진다. 일본과 중국 밀교에서도 신앙되며, 회화나 조상으로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티베트 불교 수행 - 마카라
    마카라는 힌두교와 불교 예술에서 물과 풍요의 상징으로 사용되는 신화 속 혼종 동물로, 다양한 동물 신체 부위의 결합으로 묘사되며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에서 여러 형태로 나타난다.
  • 티베트 불교 수행 - 대방광보살장문수사리근본의궤경
  • 문수보살 - 우타이산
    중국 산시성에 위치한 우타이산은 다섯 봉우리로 이루어진 중국 불교 4대 명산 중 하나이며 문수보살의 도량으로 역사적, 문화적 가치가 높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순례지이자 관광지이다.
  • 문수보살 - 대방광보살장문수사리근본의궤경
  • 명왕 - 부동명왕
    부동명왕은 힌두교 시바신에서 기원한 불교 명왕으로, 검과 밧줄로 악마를 응징하고 수행자를 수호하며, 일본 밀교에서는 비로자나불의 화신으로 국가 수호의 본존으로 숭배받는 강력한 신이다.
  • 명왕 - 오대명왕
    오대명왕은 불교에서 여래의 명을 받아 중생을 교화하고 불법을 수호하는 다섯 명왕으로, 각기 다른 방위를 관장하며 여래의 교령륜신으로 여겨지고, 중앙의 부동명왕을 중심으로 항삼세명왕, 군다리명왕, 대위덕명왕, 금강야차명왕이 배치된다.
대위덕명왕

2. 어원 및 기원

'야만타카'는 산스크리트어로, 죽음의 신인 '야마'와 파괴자를 뜻하는 '안타카'가 합쳐진 이름이다.[2] 따라서 "죽음의 파괴자" 또는 "죽음의 정복자"를 의미한다.[3][4] 야만타카는 야마의 숙적이지만, 물소를 타거나 물소 머리를 한 모습 등 여러 면에서 야마와 닮게 묘사된다.

불교에서 "죽음의 종식"은 불타윤회를 멈추었기 때문에 모든 불타의 자질로 여겨진다. 따라서 야만타카는 대승 수행자가 깨달음으로 가는 목표나 그 여정 자체를 나타낸다.

대위덕명왕은 힌두교 신 시바의 화신인 칼란타카에서 기원한다. 칼란타카는 죽음의 신 야마로부터 추종자를 구원하며 불교와 힌두교의 마하므리티윤자야 만트라의 기원이 되는 신이다. 불교 밀교에서 분노의 화신인 시바는 그의 이름 앞에 "금강"을 붙여 불교로 완전히 변형되었음을 나타낸다.

타라나타는 대위덕명왕을 지혜의 보살문수보살의 분노한 모습으로 묘사한다.[5] 반면, ''문수사리근본만다라경''은 금강수보살의 화신으로 묘사한다.[6] 중국 밀교와 진언종에서 대위덕명왕은 아미타불의 분노한 모습으로, 에 간섭하는 야마를 물리치기 위해 이 형상을 취했다고 한다. 대위덕명왕은 야마보다 더 무서운 모습으로 야마를 굴복시키고 다르마의 수호신으로 만들었다.[7][8]

범어(梵名)로 야만타카(ヤマーンタカ)는 '죽음의 신 야마를 굴복시키는 자'라는 뜻이며, 강염마존(降閻魔尊)이라고도 한다. 또한 '''바즈라바이라바'''(vajrabhairava|금강포외sa), '''야마리'''(yamāri|죽음의 신 야마의 적sa)[15], '''마히샤삼바라'''(mahiṣasaṃvara|물소를 억누르는 자sa)라고도 한다. 바즈라바이라바의 바이라바는 인도 신화의 시바 신의 흉폭한 면을, 마히샤삼바라의 마히샤는 두르가와 싸운 물소 모습의 아수라 신족 왕을 뜻한다.

티베트어로는 '''신제·셰'''(gshin rje gshed|신제셰bo), '''도르제·지크체'''(rdo rje 'jigs byed|금강포외bo)라고 한다.

삼매야형은 곤봉이다. 종자(種字)는 키리크(hrīḥ|sa)이다.

삼륜신설에 따르면, 대위덕명왕은 아미타여래 (자성륜신), 문수보살 (정법륜신)에 대응하는 교령륜신으로, 아미타·문수가 사람들을 가르치기 위해 무서운 모습을 취한 것이라고 한다.

일본에서 대위덕명왕은 여섯 개의 얼굴, 팔, 다리를 가지고 물소에 올라탄 모습으로 표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6개의 얼굴은 육도를 굽어보는 역할, 6개의 팔은 불법(불전) 수호, 6개의 다리는 육바라밀을 실천하는 결의를 나타낸다고 한다.

환희천, 청룡 등 사악한 존재를 항복시키는 파사(破邪)의 존재이다.[16]

스가와라노 미치자네의 어령(御霊)에게 추증된 '일본태정위덕천(日本太政威徳天)' 신호는 대위덕명왕의 위력과 관련이 있다고 한다.

3. 다양한 명칭과 역할

대위덕명왕은 지혜의 성불인 문수보살의 분노에 찬 모습이며, 다른 맥락에서는 다르마팔라나 헤루카의 역할도 한다.[24] 티베트 불교에서는 여섯 개의 다리, 여섯 개의 얼굴, 여섯 개의 팔을 가진 모습으로 묘사되며, 물소 위에 앉거나 서서 다양한 무기를 들고 있다. 맨 위에 있는 얼굴은 문수보살의 분노한 모습이고, 그 아래는 붉은 얼굴이다. 다른 얼굴들은 노란색, 짙은 파란색, 빨간색, 검은색, 흰색, 회색, 갈색이며, 각각의 얼굴은 세 개의 눈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인 표현은 32개의 손과 16개의 다리를 묘사하기도 한다.[25] 중국 밀교와 진언종에서는 아미타불의 분노한 모습으로 표현되며, 흰 소 위에 앉아 각종 무기를 들고 있는 여섯 얼굴과 다리, 팔을 가진 모습으로 그려진다.[26]

대위덕명왕의 이름은 힌두교 신 시바의 화신인 칼란타카에서 유래했는데, 칼란타카는 죽음의 신 야마로부터 추종자를 구원하여 불교와 힌두교의 마하므리티윤자야 만트라의 기원과 준수의 신으로 여겨진다. 불교 밀교에서 분노의 화신인 시바는 그의 이름 앞에 "금강"이라는 용어를 붙여, 금강승에서 시바가 불교로 완전히 변형되고 개종했음을 나타낸다. 이는 불교 밀교 문학에서 흔히 나타나는 주제로, 불교적이지 않은 신들을 굴복시키고 개종시켜 패배한 신의 특별한 속성을 획득하는 것을 의미한다.

타라나타는 대위덕명왕을 문수보살의 분노의 화신으로 묘사한다.[5] 그러나 ''문수사리근본만다라경''은 대위덕명왕을 금강수보살의 화신으로 묘사한다.[6] 중국 밀교와 진언종에서 대위덕명왕은 아미타불의 분노의 화신이다. 그는 에 간섭하는 오만한 죽음의 신 야마를 물리치기 위해 이 형상을 취했다. 대위덕명왕은 야마 자신보다 더욱 무서운 모습으로 야마를 위협하여 복종시켰고, 동시에 야마의 끔찍한 모습을 비추는 거울의 역할도 했다. 야마는 자신의 행동을 뉘우치고 다르마의 수호신이 되었다. 이러한 방식으로 문수보살은 죽음에 대한 두려움의 허상과 죽음 그 자체의 비현실성을 드러냈다.[7][8]

범어(梵名)로는 '죽음의 신 야마를 굴복시키는 자'라는 뜻의 야만타카(ヤマーンタカ)라고 불리며, 강염마존(降閻魔尊)이라고도 한다. 또한 '''바즈라바이라바'''(vajrabhairava|바즈라바이라바sa), '''야마리'''(yamāri|야마리sa, 『죽음의 신 야마의 적』)[15], '''마히샤삼바라'''(mahiṣasaṃvara|마히샤삼바라sa, 『물소를 억누르는 자』)라고도 한다. 바즈라바이라바의 바이라바는 인도 신화주신 중 하나인 시바 신의 가장 흉폭한 면인 '바이라바'를 의미하며, 마히샤삼바라의 마히샤는 인도 신화에서 여신 두르가와 싸운 물소의 모습을 한 아수라 신족의 왕을 뜻한다.

티베트어로는 '''신제셰'''(gshin rje gshed|신제셰bo), '''도르제지크체'''(rdo rje 'jigs byed|도르제지크체bo)라고 한다.

삼매야형은 보봉(불적을 쳐서 굴복시키는 호법의 곤봉)이며, 종자(種字)는 키리크(hrīḥ|키리크sa)이다.

삼륜신설에 따르면, 대위덕명왕은 아미타여래 (자성륜신), 문수보살 (정법륜신)에 대응하는 교령륜신으로, 아미타·문수가 사람들을 가르치고 이끌기 위해 굳이 무서운 모습을 취한 것이라고 여겨진다.

일본에서는 여섯 개의 얼굴, 여섯 개의 팔, 여섯 개의 다리를 가지고, 신의 사자인 물소에 올라탄 모습(오른발 또는 왼발을 걸침)으로 표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일본에서는 다리가 많은 불존은 거의 없으며, 대위덕명왕의 두드러진 특징이 되고 있다. 단다인을 맺는다.

6개의 얼굴은 육도 (지옥계, 아귀계, 축생계, 아수라계, 인간계, 천상계)를 빠짐없이 굽어보는 역할을 표현하며, 6개의 팔은 창이나 장검 등의 무기를 잡고 모든 불법(불전)을 수호하며, 6개의 다리는 육바라밀 (보시, 지계, 인욕, 정진, 선정, 지혜)을 게을리하지 않고 걸어 나아가겠다는 결의를 나타낸다고 한다.

환희천, 청룡 등 사악한 존재를 항복시키는 파사(破邪)의 존재이다.[16]

또한, 스가와라노 미치자네의 어령(御霊)에게 '일본태정위덕천(日本太政威徳天)'의 신호가 추증되었는데, 이는 어령의 위력을 대위덕명왕에 습합시킨 것이라고 한다.

4. 형상

대위덕명왕은 다양한 형상으로 나타나며, 그 이름과 의미는 다음과 같다.


  • 야만타카(ヤマーンタカ): 범어(梵名)로 '죽음의 신 야마를 굴복시키는 자'라는 뜻이며, 강염마존(降閻魔尊)이라고도 불린다.[15]
  • 바즈라바이라바(Vajrabhairava): 금강포외(金剛怖畏)라고도 불리며, 인도 신화의 시바 신의 무서운 면모인 '바이라바'에서 유래했다.[15]
  • 야마리(Yamāri): '죽음의 신 야마의 적'이라는 뜻이다.[15]
  • 마히샤삼바라(Mahiṣasaṃvara): '물소를 억누르는 자'라는 뜻이며, 인도 신화에서 두르가 여신과 싸운 물소 모습의 아수라 신족 왕 마히샤에서 유래했다.[15]
  • 신제·셰(gshin rje gshed): 티베트어 이름이다.
  • 도르제·지크체(rdo rje 'jigs byed): 티베트어 이름으로 금강포외(金剛怖畏)를 뜻한다.


삼매야형은 불적을 쳐서 굴복시키는 호법의 곤봉인 보봉이며, 종자(種字)는 키리크(hrīḥ)이다.[15]

삼륜신설에 따르면, 대위덕명왕은 아미타여래(자성륜신), 문수보살(정법륜신)에 대응하는 교령륜신으로, 아미타여래와 문수보살이 사람들을 가르치고 이끌기 위해 일부러 무서운 모습을 취한 것이라고 한다.

일본에서 대위덕명왕은 여섯 개의 얼굴, 팔, 다리를 가지고 신의 사자인 물소에 올라탄 모습(오른발 또는 왼발을 걸침)으로 표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리가 많은 불상은 일본에서 흔치 않아 대위덕명왕의 두드러진 특징이 된다. 단다인을 맺는다.

6면은 육도 (지옥계, 아귀계, 축생계, 아수라계, 인간계, 천상계)를 모두 굽어보는 역할을, 6개의 팔은 창이나 장검 등의 무기를 잡고 불법(불전)을 수호하며, 6개의 다리는 육바라밀 (보시, 지계, 인욕, 정진, 선정, 지혜)을 꾸준히 실천하겠다는 결의를 나타낸다고 한다.

환희천, 청룡 등 사악한 존재를 항복시키는 파사(破邪)의 존재이다.[16]

스가와라노 미치자네의 어령(御霊)에게 '일본태정위덕천(日本太政威徳天)'이라는 신호가 추증되었는데, 이는 어령의 위력을 대위덕명왕에 비유한 것이라고 한다.

티베트에서는 야만타카(대위덕명왕)를 중심으로 다양한 존격으로 발전했으며, 최종적으로는 동일한 존재로 통합되었다.

4. 1. 일반적인 형상

대위덕명왕은 지혜를 상징하는 문수보살이 분노한 모습으로, 다르마팔라나 헤루카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 일반적인 형상은 여섯 개의 다리, 얼굴, 팔을 가지고 있으며, 물소 위에 앉거나 서서 다양한 무기를 들고 있다.[24] 맨 위에 있는 얼굴은 문수보살의 분노한 모습이고, 그 아래에는 붉은 얼굴이 있다. 다른 얼굴들은 노란색, 짙은 파란색, 빨간색, 검은색, 흰색, 회색, 갈색이며, 각 얼굴에는 세 개의 눈이 있다.[9] 32개의 손과 16개의 다리를 묘사하기도 한다.[25]

중국 밀교와 진언종에서는 아미타불이 분노하여 나타난 모습으로 묘사되며, 흰 소 위에 앉아 여러 무기를 든 여섯 개의 얼굴, 다리, 팔을 가진 모습이다.[26][13]

4. 2. 32수 16족

대위덕명왕은 일반적으로 32개의 손과 16개의 다리를 가진 모습으로 묘사된다.[25] 가장 흔한 모습인 바즈라마하바이라바는 9개의 머리, 32개의 손, 16개의 다리를 가지고 있다.[10][11]

4. 3. 티베트 밀교

티베트 불교 최대 종파인 겔룩파에서는 "무상 요가 탄트라"의 주요 다섯 탄트라 중 하나로 『바즈라바이라바』를 다룬다. 야만타카는 겔룩파에서 중요한 본존으로 여겨진다. 또한, 겔룩파의 의경이 되는 『구히야사마자』 수행법에서는 수호륜의 십분노명왕의 으뜸이 야만타카이다. 닝마파의 "마하요가" 성취부에 속하는 『사다나 팔교설』에서는 "출세간의 오부" 존격으로 여겨진다.[17]

야만타카를 주존으로 하는 수행법에는 크리슈나 야마리(청흑 야마리), 라크타 야마리(적 야마리), 바즈라바이라바(금강 바이라바)의 세 종류가 있다. 특히 바즈라바이라바는 겔룩파 종조 쫑카파 대사의 수호존(이다무)이므로 겔룩파의 3대 본존 중 하나로서 매우 중시된다.

야만타카(Yamāntaka) 수행법을 전하는 『크리슈나야마리 탄트라』, 『락타야마리 탄트라』, 『마하바즈라바이라바 탄트라』의 성립 과정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고야산 대학 교수이자 불교 문화사 연구자인 오쿠야마 나오지는 라리타바즈라가 『마하바즈라바이라바 탄트라』의 사실상 저자이며, 도르제탁에 전해진 연대(12세기 초)를 고려하면 이 경전들의 성립 연대가 대략 10세기경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한다. 또한 오쿠야마는 부톤 린첸둡의 『청문록』에 세 탄트라의 상속 계보가 별도로 기록된 점을 들어 이 텍스트들이 서로 다른 경로로 인도에서 티베트로 전해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한다.

4. 4. 중국과 일본 밀교

중국 밀교진언종에서 대위덕명왕은 아미타불의 분노에 찬 모습으로, 하얀 소 위에 앉아 여러 무기를 들고 있는 여섯 개의 얼굴, 다리, 팔을 가진 형상으로 묘사된다.[26]

5. 신앙

대위덕명왕은 일본 밀교에서 여섯 개의 얼굴, 여섯 개의 팔, 여섯 개의 다리를 가진 모습으로 묘사되며, 신의 사자인 물소에 올라탄 형상(오른발 또는 왼발을 걸침)으로 표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일본에서는 다리가 많은 불존이 드물어 대위덕명왕의 두드러진 특징이 된다. 단다인을 맺는다.[15]

6면은 육도(지옥계, 아귀계, 축생계, 아수라계, 인간계, 천상계)를 모두 굽어보는 역할을, 6비는 창이나 장검 등의 무기를 잡고 모든 불법(불전)을 수호함을, 6족은 육바라밀(보시, 지계, 인욕, 정진, 선정, 지혜)을 꾸준히 실천하겠다는 결의를 나타낸다고 한다.

스가와라노 미치자네의 어령(御霊)에 추증된 '일본태정위덕천(日本太政威徳天)'이라는 신호는 어령의 위력을 대위덕명왕에 투영시킨 것이라고 한다.

대위덕명왕 신앙과 관련된 주요 사찰은 다음과 같다.

구분사찰명비고
회화동사오대존 중, 헤이안 시대
다이고지오대존 중, 가마쿠라 시대
라이신지오대존 중, 헤이안 시대
조상동사오대명왕 중, 헤이안 시대
마키 대당헤이안 시대, 국내 최대
세키바지헤이안 시대
다이고지오대명왕 중, 헤이안 시대
쇼묘지 광명원운케이 작, 가마쿠라 시대[19]


5. 1. 티베트 밀교

겔룩파에서는 다른 세 종파와 달리 "무상 요가 탄트라"의 주요 다섯 탄트라 중 하나로 『바즈라바이라바』의 텍스트를 다루고 있다. 야만타카는 그 중요한 본존으로 여겨진다. 또한, 종파의 의경이 되는 『구히야사마자』의 수행법에서는 수호륜의 십분노명왕의 으뜸이 야만타카이다. 게다가 닝마파의 "마하요가" 성취부에 속하는 『사다나 팔교설』(sgrub pa bka' brgyad|sa)에서는 "출세간의 오부"의 존격으로 여겨진다[17]

야만타카를 주존으로 하는 수행법에는 크리슈나 야마리(청흑 야마리), 라크타 야마리(적 야마리), 바즈라바이라바(금강 바이라바)의 세 종류가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바즈라바이라바는 겔룩파에서 종조 쫑카파 대사의 수호존(이다무)이므로 종파의 3대 본존 중 하나로서 매우 중시되고 있다.

5. 2. 일본 밀교

일본에서 대위덕명왕은 여섯 개의 얼굴, 여섯 개의 팔, 여섯 개의 다리를 가지고, 신의 사자인 물소에 올라탄 모습(오른발 또는 왼발을 걸침. 옥문에 거는 뜻)으로 표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일본에서는 다리가 많은 불존은 거의 없으며, 대위덕명왕의 두드러진 특징이 되고 있다. 단다인을 맺는다.[15]

6개의 얼굴은 육도(지옥계, 아귀계, 축생계, 아수라계, 인간계, 천상계)를 빠짐없이 굽어보는 역할을 표현한 것이며, 6개의 팔은 창이나 장검 등의 무기를 잡고 모든 불법(불전)을 수호하며, 6개의 다리는 육바라밀(보시, 지계, 인욕, 정진, 선정, 지혜)을 게을리하지 않고 걸어 나아가겠다는 결의를 나타낸다고 한다.

스가와라노 미치자네의 어령(御霊)에게 '일본태정위덕천(日本太政威徳天)'이라는 신호가 추증되었는데, 이는 어령의 위력을 대위덕명왕에 습합시킨 것이라고 한다.

구분사찰명비고
회화동사오대존 중, 헤이안 시대
다이고지오대존 중, 가마쿠라 시대
라이신지오대존 중, 헤이안 시대
조상동사오대명왕 중, 헤이안 시대
마키 대당헤이안 시대, 국내 최대
세키바지헤이안 시대
다이고지오대명왕 중, 헤이안 시대
쇼묘지 광명원운케이 작, 가마쿠라 시대[19]


6. 진언

옴・슈치리・캬라로하・움・켄・소와카[20](oṃ ṣṭrīḥ kāla-rūpa hūṃ khaṃ svāhāsa[21])

7. 갤러리

참조

[1] 서적 Emergence of Buddhist American Literature, The https://books.googl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 서적 Sanskrit-English Dictionary, A https://www.sanskrit[...]
[3] 서적 Princeton Dictionary of Buddhism (Yamantaka).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3
[4] 서적 The gods of northern Buddhism, their history, iconography, and progressive evolution through the northern Buddhist countries https://archive.org/[...] The Clarendon press 1914
[5] 간행물 Tāranātha on the Emergence of the Tantric Cycle of Vajrabhairava-Yamāntaka: Writing a Tibetan Buddhist Historiography in Seventeenth-Century Tibet1 2021-10
[6] 서적 Arya Manjusri Mulakalpa Vol 3 University Of Travancore 1925 https://archive.org/[...]
[7] 서적 Buddhism: The Illustrated Guide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8] 서적 Going on Being: Life at the Crossroads of Buddhism and Psychotherapy Simon and Schuster 2009
[9] 웹사이트 His Holiness the Dalai Lama confers the Solitary Hero Yamantaka empowerment in Bodh Gaya {{!}} Central Tibetan Administration https://tibet.net/20[...] 2018-12-31
[10] 서적 THE VAJRAMAHABHAIRAVA TANTRA
[11] 문서 Kinley Dorjee, Iconography in Buddhism Blue Poppy 2018
[12] 서적 Art and Architecture in Ladakh: Cross-cultural Transmissions in the Himalayas and Karakoram Brill 2014
[13] 서적 Encyclopedia of Ancient Deiti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
[14] 서적 Dictionary of Hindu Lore and Legend Thames and Hudson Ltd 2011-05-16
[15] 문서 ただし、他と姿形が異なり、格も落ちる。
[16] 문서 「歓喜天信仰と俗信」笹間良彦、pp180-186。
[17] 문서 「西蔵仏教宗義研究 第三巻 トゥカン『一切宗義』ニンマ派の章」、pp108-109、p161。
[18] 문서 陰茎を怒張させている。
[19] 문서 運慶作大威徳明王像をめぐる二、三の問題 ―鎌倉幕府関係の造仏と霊験仏信仰との関わりを中心に― 瀬谷貴之(神奈川県立金沢文庫) https://www.bijutsus[...]
[20] 문서 坂内龍雄「真言陀羅尼」、平河出版社、2017年4月第30刷、p209。
[21] 문서 坂内龍雄「真言陀羅尼」、平河出版社、2017年4月第30刷、p209。
[22] 서적 Emergence of Buddhist American Literature, The https://books.googl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3] 서적 Princeton Dictionary of Buddhism (Yamantaka).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3
[24] 웹인용 His Holiness the Dalai Lama confers the Solitary Hero Yamantaka empowerment in Bodh Gaya {{!}} Central Tibetan Administration https://tibet.net/20[...] 2018-12-31
[25] 문서 Kinley Dorjee, Iconography in Buddhism Blue Poppy 2018
[26] 서적 Encyclopedia of Ancient Deiti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