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인도 신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도 신화는 힌두교에서 비롯되었으며, 베다를 기반으로 발전했다. 인더스 문명, 베다 시대, 브라만교 시대, 우파니샤드 시대, 서사시 시대, 푸라나 시대, 탄트라 시대를 거치며 다양한 신들과 주제가 나타났다. 주요 신으로는 브라흐마, 비슈누, 시바가 있으며, 이 외에도 데바, 아수라, 다양한 여신들이 존재한다. 인도 신화는 불교, 자이나교, 시크교와 신화소를 공유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힌두 신화 - 리그베다
    리그베다는 기원전 1500년에서 1000년 사이 인도 아대륙 북서부에서 편찬된 것으로 추정되는 가장 오래된 베다 경전으로, 10개의 만달라로 구성되어 초기 인도-아리아인들의 사회, 종교, 문화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힌두교에서 중요한 경전으로 여겨진다.
  • 힌두 신화 - 마하바라타
    마하바라타는 쿠루 왕국의 왕위 계승을 둘러싼 판다바 형제와 카우라바 형제의 전쟁을 다루며, 다르마와 카르마에 대한 철학적 내용을 담고 있는 고대 인도의 대서사시이다.
  • 힌두교 - 브라만
    브라만은 고대 인도 카스트 제도에서 최상위 계급으로, 종교적 권위와 사회적 지위를 갖는 사제 계급이었으나, 현대에는 사회적 지위와 역할이 변화하고 있으며 인도 인구의 약 5%를 차지하고 동남아시아 등에도 영향을 미쳤다.
  • 힌두교 - 바르나 (힌두교)
    바르나는 힌두교의 사회 계급 제도로 브라만, 크샤트리아, 바이샤, 수드라의 네 계급으로 구성되며, 각 계급의 역할과 의무를 규정하고 사회적 상호작용의 틀을 제공했으나, 시간이 지나며 차별과 불평등을 야기하여 현대에는 사회적 차별과 불평등 문제에 대한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인도 신화
개요
유형신화, 전설
지역인도
관련 종교힌두교, 불교, 자이나교, 시크교
주요 특징
특징다양한 신, 영웅, 이야기, 우주론, 윤리, 철학 등을 포함한다.
주요 원천베다
우파니샤드
푸라나
마하바라타
라마야나
바가바타 푸라나
라마차리타마나사
주요 신
트리무르티브라흐마 (창조)
비슈누 (유지)
시바 (파괴)
여신락슈미 (번영)
파르바티 (사랑, 헌신)
사라스바티 (지혜)
기타가네샤
카르티케야
하누만
수리야
주요 개념
다르마 (Dharma, 로마자 표기)의무, 정의, 도덕
카르마 (Karma, 로마자 표기)행위, 인과응보
아트만 (Atman, 로마자 표기)영혼, 자아
마야 (Maya, 로마자 표기)환상, 무지
윤회 (Samsara, 로마자 표기)생사의 순환
해탈 (Moksha, 로마자 표기)해방, 깨달음

2. 인도 신화의 기원과 발전

인도 신화는 오늘날까지 알려져 있는 가장 오래된 종교인 힌두교에서 비롯되었다. 따라서 인도 신화는 종교와 신앙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으며, 베다 특히 리그베다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2. 1. 인더스 문명 시대 (기원전 2600년–1900년)

조지프 캠벨에 따르면, 인더스 문명(기원전 2600년–1900년)은 힌두교의 신념과 전통에 흔적을 남겼을 수 있다. 유물은 오늘날 힌두교도들이 사용하고 숭배하는 여러 요소들, 예를 들어 지배 엘리트가 숭배하는 주요 남성 신, 어머니 여신, 자연 정령, 뱀 숭배, 그리고 다른 수인(동물 모양) 존재에 대한 경외심을 보여준다.[2] 이러한 주제는 기원전 1800년경에 인더스 문명이 쇠퇴한 후에도 드라비다 민간 신앙에 의해 유지되었을 것이다.[3]

2. 2. 베다 시대 (기원전 1500년경)

인도아리아인 이주를 통해 인도 아대륙으로 독특한 신념이 들어왔고, 기원전 1500년경 베다가 저술되었다. 인도아리아인의 베다 신화에는 주신 인드라, 태양신 수르야, 우샤스, 아그니 등이 있었다.[4]

베다 문헌에 기반한 신화는 아리아인이 인도에 가져온 인도유럽어족 공통 시대의 오래된 자연신 숭배를 중심으로 한다. 기원전 1500년경부터 기원전 900년경에 만들어진 가장 오래된 베다 문헌인 『리그 베다』(신들의 찬가)에는 아직 일관된 세계관을 가진 신화가 나타나지 않는다.

초기 베다 신화에서 신들은 데바 신족과 아수라 신족으로 나뉜다. 데바는 현세의 이익을 관장하며, 사람들에게 제사를 받고 그 대가로 은혜를 주는 존재였다. 대표적인 데바는 뇌신 인드라로, 『리그 베다』 전체 찬가의 4분의 1이 그를 찬양한다.

반면 아수라는 윤리와 우주의 법칙을 관장하는 신으로, 강력한 신통력과 환술로 사람들에게 상벌을 내리는 존재로 두려움을 받았다. 대표적인 신은 바루나이다. 아수라는 『리그 베다』 초기에는 나쁜 의미로만 사용되지 않았지만, 데바 신앙이 번성하면서 쇠퇴했다. 바루나를 비롯한 주요 아수라 신들이 데바로 여겨지면서, 『리그 베다』 말기에는 신에게 대적하는 악마를 가리키게 되었다.

『리그 베다』에는 창조 신화도 일부 나타난다. 창조신 브리하스파티(Brahmanaspati)나 비슈바카르만이 만물을 창조했다는 찬가 외에, 창조신이 Hiranyagarbha|히라니야 가르바영어(황금태아)로서 원초의 물속에서 태어났다는 설, 신들이 원인 푸루샤를 제물로 바쳐 세계를 만들었다는 거인 해체 신화 등이 있다.

2. 3. 브라만교 시대

이 시기에는 브라만서라고 불리는 주석서들이 저술되었다.[7] 브라흐마나(제사 의식) 문헌은 베다 본문인 삼히타(본집)의 주석과 제의의 신학적 의미를 설명하는 것으로, 넓은 의미의 베다 문헌 중 하나이다. 여기서는 창조신 프라자파티를 최고신으로 하여 그에 의한 여러 창조 신화가 설명된다. 그러나 점차 세계의 최고 원리인 브라흐만의 중요성이 인정받게 되었다. 이윽고 브라흐만은 인격신 브라흐마로 묘사되어 그에 의한 우주 창조가 설명되게 되었다.

브라흐마나 문헌 중에는 제식의 해석과 관련하여, 인류의 조상 마누대홍수 신화, 아수라의 세 개의 요새를 하나의 화살로 파괴하는 폭풍신 루드라(시바의 전신)의 트리푸라스라 설화 등, 꽤 짜임새 있는 형태의 신화가 보이며, 후대의 힌두 신화·문학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

우파니샤드(오의서)도 넓은 의미의 베다 문헌 중 하나이며, 베다 문헌의 마지막에 성립된 것으로부터 베단타(베다의 말단)라고도 한다. 신비적 철학을 설명하는 것으로, 특히 아트만과 브라흐만의 본질적 동일성(범아일여)을 설명하는 부분은, 후대의 인도 신화의 세계관에 큰 영향을 주었다.

2. 4. 우파니샤드 시대 (기원전 900년-600년)

윌리엄스에 따르면, 기원전 900년부터 600년까지 베다 신에게 바치는 제사에 대한 대중의 항의와 브라만 계급에 대한 반란으로 인해 브라만 계급이 개혁을 수용하게 되었고, 아타르바 베다와 베단타 텍스트가 제작되었다.[1] 우파니샤드의 약 절반은 신비주의적이고 통합적인 것으로, 신성을 하나(ekam)로 경험하는 것에 대해 이야기했고, 나머지 절반은 하나 이상의 신에 대한 헌신을 장려했다.[1] 새로운 신들과 여신들이 숭배되었고, 헌신적인 수행이 도입되기 시작했다.[1]

브라흐마나(제의서) 문헌은 베다 본문인 삼히타(본집)의 주석과 제의의 신학적 의미를 설명하는 것으로, 광의의 베다 문헌 중 하나이다. 여기서는 창조신 프라자파티를 최고신으로 하여 그에 의한 여러 창조 신화가 설해진다. 그러나 점차 세계의 최고 원리인 브라흐만의 중요성이 인정받게 되었다. 이윽고 브라흐만은 인격신 브라흐마로 묘사되어 그에 의한 우주 창조가 설해지게 되었다.

브라흐마나 문헌 중에는 제식의 해석과 관련하여, 인조(人祖) 마누대홍수 신화, 아수라의 세 개의 요새를 하나의 화살로 파괴하는 폭풍신 루드라(시바의 전신)의 트리푸라스라 설화 등, 꽤나 짜임새 있는 형태의 신화가 산견되며, 후대의 힌두 신화·문학에 다대한 영향을 주고 있다.

우파니샤드(오의서)도 광의의 베다 문헌 중 하나이며, 베다 문헌의 마지막에 성립된 것으로부터 베단타(베다의 말단)라고도 한다. 신비적 철학을 설하는 것으로, 특히 아트만과 브라흐만의 본질적 동일성(범아일여)을 설하는 부분은, 후대의 인도 신화의 세계관에 큰 영향을 주었다.

2. 5. 스라마나 운동

불교자이나교에 나타난 요소들은 힌두교 신화에 사원, 실내 신전, 신성한 왕을 섬기는 것을 본뜬 의례 등과 같은 "이종 실천"적 기여를 했다. 출가 전통은 희생과 동물의 살생에 의문을 제기하고, 금욕주의와 채식주의를 장려하는 요소들을 기여했다. 이러한 모든 주제는 기원전 500년에서 서기 500년 사이에 일어난 스라마나 운동에 대한 대응으로 발전한 브라만 계급에 의해 이후의 힌두교 종합에 통합되었으며, 힌두교 신화에도 영향을 미쳤다.[5]

2. 6. 서사시 시대 (기원전 400년-서기 400년)

기원전 400년부터 서기 400년까지는 인도의 대서사시 마하바라타라마야나가 편찬된 시기였다. 이들은 새롭게 발전하는 힌두교의 종합을 보여주는 핵심적인 발현이었으며, 비슈누의 화신과 다른 신적 현현에서 신의 행위를 강조하는 특정한 힌두 신화에 기여했다. 데바아수라의 전승이 확장되었고, 서사시 신화는 이후 두 시대의 풍부한 다신교를 예고했다. 마하바라타는 이후 신화 발전에 매우 중요한 자료인 바가바드 기따와 하리밤사라는 두 개의 부록을 포함하고 있었다.

힌두교 신화의 대표적인 문헌은 『마하바라타』와 『라마야나』이다. 『마하바라타』는 18편, 약 10만 개의 시구로 구성된 대작으로, 바라타족의 내분과 대전쟁을 주된 줄거리로 하며 그 사이에 수많은 신화와 전설이 삽화로 설명되어 있다. 『라마야나』는 7편, 2만 4000개의 시구로 이루어져 있으며, 라마 왕자의 모험을 주된 줄거리로 한다. 『마하바라타』보다 일관된 문학 작품이지만, 역시 주된 줄거리 사이에 많은 중요한 신화와 전설을 포함하고 있다.

이 두 대 서사시는 모두 400년경에 현재의 형태로 정리된 것으로 추정되지만, 그 원형이 성립된 것은 그보다 훨씬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것이 확실하다. 후대에 이르러 수많은 푸라나(고전) 문헌이 만들어졌는데, 이것은 백과사전적인 문헌으로 그 안에 다수의 신화와 전설을 포함하고 있다. 두 대 서사시와 푸라나 성전의 신화는 오늘날까지 널리 민중에게 사랑받아 왔으며, 문학·예술 작품의 소재가 되어 왔다.

이 시대의 신화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겨지는 신들은 창조신 브라흐마, 유지신 비슈누, 파괴신 시바이며, 삼위일체의 최고신으로 여겨진다. 브라흐마는 브라마나와 우파니샤드에서는 우주의 최고 원리였지만, 추상적인 성격 때문에 서민들 사이에서는 널리 신앙의 대상이 되지 못했다. 비슈누는 『리그베다』에도 등장하며, 원래 태양의 광조작용을 신격화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이 시대의 신화에서는 세계의 유지를 관장하는 신이며, 또한 10개의 모습(다샤바타라)으로 변신하여 세계를 구원하는 영웅신이기도 하다. 시바는 『리그베다』의 폭풍신 루드라를 전신으로 하는 파괴신이다. 성기 숭배와 흑마술 등 비정통적인 민간 신앙과 습합하여, 요가의 달인, 무도신, 마물의 왕 등의 복잡한 성격을 가지게 되었다.

2. 7. 푸라나 시대

윌리엄스에 따르면, 푸라나 신화는 세 기간(300~500, 500~1000, 1000~1800)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 시기 전체를 힌두교 중세 시대로 지칭하기도 한다. 이 시대에는 주요 푸라나 경전이 저술되었으며, 비슈누, 시바, 또는 데비 숭배를 중심으로 종파주의가 부상했다. 이 기간 내의 세 종파는 종파 공동체 내의 역사적 발전, 탄트라교의 부상과 쇠퇴 및 주류 신화에 미치는 영향, 베다 신과 과거 영웅을 점점 더 심해지는 도덕적 약점에 종속시키는 푸라나 신화 형성의 경향을 시간 순으로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되며, 이는 다신교의 전성기로 여겨진다. 그러나 이는 또한 만유를 궁극적 실재인 브라만으로 이끈다는 생각인 일신교에 대한 믿음과 함께 나타났다.[5]

힌두교 신화의 대표적인 문헌은 두 대 서사시인 『마하바라타』와 『라마야나』이다. 『마하바라타』는 18편 약 10만 개의 시구로 구성된 대작으로, 바라타족의 내분과 대전쟁을 주된 줄거리로 하며 그 사이에 수많은 신화와 전설이 삽화로 설해져 있다. 『라마야나』는 7편 2만 4000개의 시구로 이루어져 있으며, 라마 왕자의 모험을 주된 줄거리로 한다. 『마하바라타』보다 일관된 문학 작품이지만, 역시 주된 줄거리 사이에 많은 중요한 신화와 전설을 포함하고 있다.

이 두 대 서사시는 모두 400년경에 현재의 형태로 정리된 것으로 추정되지만, 그 원형이 성립된 것은 그보다 훨씬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것이 확실하다. 또한 후대에 이르러 수많은 푸라나(고전) 문헌이 만들어졌는데, 이는 백과사전적인 문헌으로 그 안에 다수의 신화와 전설을 포함하고 있다. 두 대 서사시와 푸라나 성전의 신화는 오늘날까지 널리 민중에게 사랑받아 왔으며, 문학·예술 작품의 소재가 되어 왔다.

이 시대의 신화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겨지는 신들은 창조신 브라흐마, 유지신 비슈누, 파괴신 시바이며, 삼위일체의 최고신으로 여겨진다. 브라흐마는 브라마나와 우파니샤드에서는 우주의 최고 원리였지만, 그 추상적인 성격 때문에 서민들 사이에서는 널리 신앙의 대상이 되지 못했다. 비슈누는 『리그베다』에도 등장하며, 원래 태양의 광조작용을 신격화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이 시대의 신화에서는 세계의 유지를 관장하는 신이며, 또한 10개의 모습(다샤바타라)으로 변신하여 세계를 구원하는 영웅신이기도 하다. 시바는 『리그베다』의 폭풍신 루드라를 전신으로 하는 파괴신이다. 성기 숭배와 흑마술 등 비정통적인 민간 신앙과 습합하여, 요가의 달인, 무도신, 마물의 왕 등의 복잡한 성격을 가지게 되었다.

2. 8. 탄트라 시대 (900년-1600년)

윌리엄스에 따르면, 900년부터 1600년까지의 탄트라 시대 동안 탄트라와 샥티파의 신화는 혈액 제물과 쾌락 추구를 중심 주제로 부활하고 풍부하게 만들었다. 탄트라의 이야기는 헌신, 고행, 의무를 선호했던 서사 신화의 이야기와는 의미가 근본적으로 달랐다. 인더스 문명 동안 부상한 개념인 여신들의 샥티, 즉 우주적 에너지에 대한 부활 또는 강조가 있었다.[5]

2. 9. 현대

현대 시대에는 바이슈나바교, 시바교, 샥티교의 주류 전통 신화가 우세하다.[6] 여러 신화들이 발견되거나 창작되어, 종족이나 이전의 "불가촉천민"들을 힌두교도로 만들고, 재구성된 힌두교 신화 공동체의 문화적 전체로 통합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3. 인도 신화의 주요 신들

인도 신화에는 다양한 신들이 등장하며, 이들은 여러 종파와 신앙 체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주요 신들은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종파주요 신설명
바이슈나바교비슈누보존의 신. 다샤바타라라는 10가지 화신으로 나타나며, 이 중 크리슈나라마가 가장 유명하다.
바이슈나바교락슈미번영의 여신
시바교시바파괴의 신
시바교파르바티힘의 여신
시바교가네샤길조의 신, 코끼리 머리를 하고 있다.
시바교카르티케야승리와 전쟁의 신
샤크타교마하데비최고 여신
샤크타교사라스바티지혜의 여신
샤크타교락슈미바이슈나바교와 마찬가지로 번영의 여신
샤크타교파르바티시바교와 마찬가지로 힘의 여신
샤크타교두르가전쟁의 여신
샤크타교칼리시간과 파괴의 여신



이 외에도 다양한 신들이 존재한다.


  • 브라흐마: 창조의 신이다.
  • 인드라: 데바(신)와 스바르가(천국)의 왕이다.
  • 크리슈나: 사랑과 보호의 신이며, 비슈누의 화신 중 하나이다.
  • 라다: 사랑의 여신이자 크리슈나의 주된 배우자이다.
  • 루크미니: 크리슈나의 첫 번째 왕비이다.[9]
  • 사탸바마: 크리슈나의 세 번째 왕비이다.
  • 칼린디: 힌두교의 주요 성스러운 강 여신 중 하나이자 크리슈나의 네 번째 왕비이다.
  • 부데비: 대지의 여신이다.
  • 라마: 비슈누의 일곱 번째 화신이다.
  • 아슈빈: 의학의 쌍둥이 신이다.
  • 아그니: 불의 신이다.
  • 루드라: 폭풍의 신이다.
  • 샤크티: 힘의 의인화이다.
  • 바유: 바람의 신이다.
  • 수르야: 태양신이다.
  • 바루나: 바다의 신이다.
  • 하누만: 라마의 가장 높은 신봉자이다.
  • 시타: 라마의 배우자이자 락슈미의 화신이다.
  • 쿠베라: 부의 신이다.
  • 야마: 죽음과 저승의 신이다.
  • 찬드라: 달의 신이다.
  • 칼키: 예언된 비슈누의 마지막 화신이다.
  • 나라다: 신성한 현자이자 신들의 메신저이다.
  • 카마데바: 사랑과 욕망의 신이다.
  • 라티: 사랑과 욕망의 여신이다.
  • 샤니: 토성 행성의 신성한 의인화이다.


'''드라비다 민간 종교''' (토착 드라비다 신앙)

3. 1. 베다 시대의 신들

힌두교 발전의 주요 요인 중 하나는 베다 종교였다. 인도아리아인 이주는 독특한 신념을 인도 아대륙으로 가져왔고, 그곳에서 기원전 1500년경에 베다가 저술되었다. 인도아리아인의 베다 신판에는 주신인 인드라, 태양신 수르야, 우샤스아그니가 포함되었다.[4]

글자 그대로 베다 문헌에 근거한 신화이며, 아리아인이 인도에 가져온 인도유럽어족 공통 시대에 거슬러 올라가는 오래된 자연신 숭배를 중심으로 한다. 기원전 1500년경부터 기원전 900년경에 만들어진 가장 오래된 베다 문헌인 『리그 베다』(신들의 찬가)에는 아직 일관된 세계관을 가진 신화는 나타나지 않는다.

베다 신화의 초창기에는 신들은 데바 신족과 아수라 신족으로 분류된다. 데바는 현세 이익을 관장하는 신으로, 사람들로부터 제사를 받고 그 대가로 은혜를 가져다주는 존재로 여겨졌다. 대표적인 데바는 뇌신 인드라이며, 실제로 『리그 베다』 전체 찬가의 4분의 1이 그를 찬양하는 것이다.

한편 아수라는 윤리와 우주의 법을 관장하는 신으로, 무시무시한 신통력과 환술을 사용하여 사람들에게 상벌을 내리는 자로서 두려움을 받았다. 대표적인 신은 바루나이다. 아수라는 『리그 베다』 초창기에는 반드시 나쁜 의미로 사용되지 않았지만, 데바 신앙이 번성하면서 신앙이 쇠퇴해 갔다. 더욱이 바루나를 비롯한 유력한 아수라 신이 데바로 여겨지게 되면서, 마침내 『리그 베다』에서도 말기에 성립된 부분에서는 신에게 적대하는 악마를 가리키게 되었다.

『리그 베다』에는 또한 약간의 창조 신화가 보인다. 창조신브리하스파티(Brahmanaspati)나 비슈바카르만에 의한 만물 창조를 설하는 찬가 외에, 창조신이 Hiranyagarbha영어(황금태아)로서 원초의 물속에 잉태되어 출현했다고 하는 설, 신들이 원인 푸루샤를 희생으로 제사를 지내 세계를 형성했다는 거인 해체 신화 등이 설해지고 있다.

루드라


인드라


아그니

3. 2. 힌두교 시대의 신들

이 시대의 신화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겨지는 신들은 창조신 브라흐마, 유지신 비슈누, 파괴신 시바이며, 삼위일체의 최고신으로 여겨진다. 브라흐마는 브라마나와 우파니샤드에서는 우주의 최고 원리였지만, 그 추상적인 성격 때문에 서민들 사이에서는 널리 신앙의 대상이 되지 못했다. 비슈누는 『리그베다』에도 등장하며, 원래 태양의 광조작용을 신격화한 것으로 생각된다.[14] 그러나 이 시대의 신화에서는 세계의 유지를 관장하는 신이며, 또한 10개의 모습(다샤바타라)으로 변신하여 세계를 구원하는 영웅신이기도 하다. 시바는 『리그베다』의 폭풍신 루드라를 전신으로 하는 파괴신이다. 성기 숭배와 흑마술 등 비정통적인 민간 신앙과 습합하여, 요가의 달인, 무도신, 마물의 왕 등의 복잡한 성격을 가지게 되었다.

4. 인도 신화의 주요 주제

인도 신화는 사회에서 근본적인 역할을 하는 이야기, 예를 들어 건국 설화나 기원 신화 등으로 구성된 민속 또는 신학장르이다.[1] 힌두 신화는 베다, 이티하사 (라마야나마하바라타), 그리고 주요 푸라나에서 찾아볼 수 있다. 다른 자료로는 망갈-카비야와 같은 벵골 문학, 디비야 프라반담, 티루무라이, 그리고 5대 서사시와 같은 타밀 문학이 있다.

힌두 신화 에피소드의 묘사


학문적으로 "신화"라는 단어는 사회의 창조, 기원과 기반, 신, 영웅, 인류와 "신성"의 관계, 종말론 등 기본적인 성스러운 이야기를 의미한다.[7] 민속학자들은 신화를 "진실로 여겨지는 이야기, 보통 신성하고, 아주 먼 과거 또는 다른 세계나 세계의 다른 부분에 설정되어 있으며, 초인간적, 비인간적 또는 영웅적인 등장인물이 등장하는 이야기"로 정의한다.[8]

고전 그리스어에서 영어 단어 "myth"의 어원인 ''muthos''는 "이야기, 서술"을 의미했다. 힌두 신화는 일관되고 단일한 구조를 갖지 않는 경우가 많다. 동일한 신화가 일반적으로 다양한 버전으로 나타나며, 지역 및 사회 종교적 전통에 따라 다르게 표현될 수 있다.

5. 인도 신화와 다른 종교의 관계

힌두교불교, 자이나교, 시크교신화소를 공유한다.

5. 1. 불교

힌두교불교, 자이나교, 시크교신화소를 공유한다.

5. 2. 자이나교

힌두교신화소불교, 자이나교, 시크교와 공유한다.

5. 3. 시크교

힌두교신화소불교, 자이나교, 시크교와 공유한다.

참조

[1] 논문 Why are myths true: Plato on the veracity of myths 2020
[2] 간행물 The Masks of God: Primitive Mythology 1962-01
[3] 웹사이트 Decline of the Indus River Valley Civilization (c. 3300–1300 BCE) https://www.science.[...] 2022-07-31
[4] 서적 Vedic mythology https://www.worldcat[...] Motilal Banarsidass 1974
[5] 서적 Handbook of Hindu mythology 2004-05-01
[6] 간행물 Ibn Khaldun's 'Asabiyya and Sects Oxford University Press 2021-08-01
[7] 웹사이트 What is a Myth? http://www.faculty.d[...] 2007-06-17
[8] 웹사이트 Defining myth http://www.faculty.d[...] 2007-06-17
[9] 서적 Krishna in History, Thought, and Culture: An Encyclopedia of the Hindu Lord of Many Names: An Encyclopedia of the Hindu Lord of Many Names https://books.google[...] ABC-CLIO 2016-06-13
[10] 서적 インド神話(イオンズ)
[11] 서적 インド神話伝説辞典
[12] 서적 インド神話伝説辞典
[13] 서적 インド神話伝説辞典
[14] 서적 インド神話(上村1981)
[15] 서적 インド神話(上村198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