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청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청도는 서해 5도에 속하는 섬으로, 북쪽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인접해 있다. 삼각산(343m) 등 산악 지형이 주를 이루며, 동백나무의 최북단 자연 서식지이다. 과거에는 유배지로 사용되었으며, 한국 전쟁 이후 서해 해상 경계 역할을 하고 있다. 현재는 약 1,500명이 거주하며 어업과 관광이 주요 산업이다. 2009년에는 북한 해군과의 해상 교전인 대청 해전이 발생했다. 대청층군 퇴적암이 분포하며, 인천항에서 페리로 연결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옹진군 (인천광역시)의 지리 - 뭉퉁도
전라남도 신안군에 위치한 뭉퉁도는 물수리와 괭이갈매기 번식지로서 특정도서로 지정되어 환경 오염 행위가 제한되고 자연환경이 보호되는 섬이다. - 옹진군 (인천광역시)의 지리 - 모도
모도는 입자 크기가 비교적 크고 부분적으로 반상 조직을 보이는 특징을 가진 대보 화강암에 속하는 중립질흑운모화강암으로 이루어진 섬이다. - 인천광역시의 섬 - 묘도 (인천광역시)
인천광역시 서구 묘도는 괭이부리말 체험 시설 설치 계획이 주민 반발로 무산된 사건을 통해 지역 사회 의견 수렴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곳이다. - 인천광역시의 섬 - 우도 (강화군)
우도는 연평도에서 동남쪽 25km 떨어진 서해 5도 중 하나로, 북방한계선과 인접하고 간석지 발달, 희귀식물 석위의 대규모 분포, 범게의 대량 서식 등으로 특정 도서로 지정되어 관리되는 0.211km² 면적의 섬이다. - 섬에 관한 - 울릉도
울릉도는 동해에 위치한 화산섬으로, 신라에 정복된 후 공도 정책과 어업권 분쟁을 겪었으며, 현재는 어업과 관광이 주요 산업이고, 독도를 포함한 해양 생태 보호를 위해 해양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2025년 울릉공항 개항을 목표로 건설이 진행 중이다. - 섬에 관한 - 독도
독도는 동해에 위치한 화산섬으로, 한국, 일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이에서 영유권 분쟁이 있으며, 한국은 역사적 기록과 실효 지배를 근거로 영토임을 주장하고 일본은 1905년 시마네현 편입을 근거로 영유권을 주장한다.
대청도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한글 | 대청도 |
한자 | 大靑島 |
로마자 표기 | Daecheongdo |
위치 | 황해 |
![]() | |
지리 | |
면적 | 12.63 km² |
길이 | 7 km |
너비 | 6.3 km |
해안선 길이 | 19 km |
최고점 | 삼각산 |
높이 | 343 m |
행정 구역 | |
국가 | 대한민국 |
광역시 | 인천광역시 |
군/면/리 | 옹진군 대청면 대청리 |
인구 통계 | |
인구 | 1,392 명 |
인구 기준 년도 | 2015년 말 |
2. 지리
대청도는 서해상의 섬 가운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인접해 있는 서해 5도에 속하는 섬이다. 인근에는 소청도와 무인도인 갑죽도가 있다. 대청도의 삼각산(三角山, 343m) 등 산지가 많아 농경지는 섬 북쪽에 좁게 형성되어 있다. 주민들은 주로 어업에 종사하며, 면내에 어획물 저장시설과 급유시설, 위탁판매장 등 수산업 관계 시설이 있다.
대청도에는 하부 지두리층과 상부 독바위층으로 구성된 대청층군이 분포한다. 대청층군 퇴적암의 쇄설성 저어콘에 대한 SHRIMP U-Pb 연령 측정 결과, 가장 젊은 연령은 1069±23 Ma이다. 따라서 대청층군은 약 10억 년 전 이후에 퇴적되었으며, 퇴적물을 형성한 물질의 약 30%는 고원생대 스타테로스기(Statherian)의 화성암에서, 나머지는 중원생대(1.6~1.7 Ga)의 화성암에서 기원하였다. 이는 백령층군에서 보고된 결과와 유사하며, 두 층군이 동일 지질시대의 퇴적암이고 퇴적물 근원지도 비슷함을 나타낸다.[14]
대청도는 기원전 신석기 시대 (기원전 9500~4500년)에 처음으로 사람이 살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고려 (918~1392) 시대에는 범죄자들의 유배지로 사용되었으며, 중국 황제 토곤 테무르 (1320~1370)가 계모가 꾸민 음모에 가담하여 몽골 원나라에 의해 이곳으로 유배되기도 했다. 전설에 따르면 그는 궁정과 친척 100명을 데리고 섬에 도착하여 궁전을 지었다고 한다.
낚시는 섬에서 인기 있는 활동이다. 1980년대 후반까지 가오리 어업은 성장하는 산업이었다.[5]
이 섬은 ''동백나무''의 최북단 자연 서식지이다.[6]
근처의 두 섬은 백령도와 훨씬 작은 소청도이다.
행정 구역상으로는 남쪽에 위치한 소청도와 함께 인천광역시 옹진군 대청면을 구성한다.
섬 중앙 약간 남쪽에 있는 삼각산(343m)을 중심으로 전체적으로 산악 지형이며, 농경지는 북부에 약간 있을 뿐, 주민들은 주로 어업에 종사하고 있다.
3. 지질
4. 역사
조선 (1392~1897) 정조 (재위 1776~1800)가 농민들을 이주시켜 토지를 경작하기 전인 1793년까지는 일반적으로 사람이 살지 않았다. 일제강점기 (1910~1945) 동안에는 1만 명에 달하는 사람들이 거주했으며, 큰 항구가 있었다.
1896년에는 백령도 및 소청도와 함께 황해도 장연군에 속했다. 1945년 8월, 38도선 이남에 위치한 지역은 경기도 옹진군으로 재편되었다. 1974년, 백령면에서 대청도와 소청도 두 섬이 분리되어 대청면이 설치되었고, 1995년, 인천광역시의 일부가 되었다.
4. 1. 한국 전쟁과 분단
2009년 11월 10일 11시경, 대청도 동쪽 약 9km 지점, 북방한계선 부근에서 대한민국 해군과 조선인민군 해군 간에 전투가 벌어졌다. (대청해전)[7]
1953년 한국 휴전 협정은 서해 5도 (대청도 포함)가 유엔 및 대한민국 통제하에 남을 것을 명시했다. 이 협정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유엔군 사령부가 모두 서명했다.[7] 그 이후로, 대청도는 황해(서해)에서 분단된 한반도의 북한과 남한 사이의 해상 경계 역할을 해왔다.
5. 대청해전
2009년 11월 10일 11시경, 대청도 동쪽 약 9km 지점, 북방한계선 부근에서 대한민국 해군과 조선인민군 해군 간에 전투가 벌어졌다.[9] 이 해전은 대청 해전으로 불린다.[10][1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해군 경비정이 심각한 피해를 입었으며, 대한민국 해군은 사상자가 없었다.[9]
6. 환경
대청도는 서해상의 섬 가운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인접해 있는 서해 5도에 속하는 섬이다. 인근에는 소청도와 무인도인 갑죽도가 있다. 대청도의 삼각산(343m) 등 산지가 많아 농경지는 섬 북쪽에 좁게 형성되어 있다. 주민들은 주로 어업에 종사하며, 면내에 어획물 저장시설과 급유시설, 위탁판매장 등 수산업 관계 시설이 있다.
2000년 4월 20일 산림청은 인천광역시 옹진군 대청면 대청리 산25-1번지 일원의 1ha와 대청리 281-1번지 일원의 2ha 규모 소나무 숲이 진귀한 임상을 띠고 있어 산림유전자보호구역으로 지정했다.
섬 중앙 약간 남쪽에 있는 삼각산(343m)을 중심으로 전체적으로 산악 지형이며, 농경지는 북부에 약간 있을 뿐, 주민들은 주로 어업에 종사하고 있다.
2009년 11월 10일 대청도 부근의 황해상에서, 북방한계선을 넘어 대한민국 측 지배 영해에 침입한 북한 해군 함정과 대한민국 해군 함정 간에 포격전이 발생했으며, 대청 해전이라고 불린다[10][11]。
7. 산업
대청도는 서해상의 섬 가운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인접해 있는 서해 5도에 속하는 섬이다. 인근에는 소청도와 무인도인 갑죽도가 있다. 대청도의 삼각산(343m) 등 산지가 많아 농경지는 섬 북쪽에 좁게 형성되어 있다. 주민들은 주로 어업에 종사하며, 면내에 어획물 저장시설과 급유시설, 위탁판매장 등 수산업 관계 시설이 있다.
낚시는 섬에서 인기 있는 활동이다. 1980년대 후반까지 가오리 어업은 성장하는 산업이었다.[5]
8. 교통
참조
[1]
논문
The Korean Armistice and the Islands
https://web.archive.[...]
U.S. Army War College
2010-11-26
[2]
뉴스
Factbox: What is the Korean Northern Limit Line?
https://www.reuters.[...]
Reuters (UK)
2010-11-23
[3]
논문
The North/South Korea Boundary Dispute in the Yellow (West) Sea
http://www.law.hawai[...]
2010-12-22
[4]
간행물
Defense white paper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Republic of Korea
[5]
웹사이트
Daecheongdo Island
https://archive.toda[...]
[6]
웹사이트
Daecheong-do
http://wiki.galbijim[...]
[7]
웹사이트
Text of the Korean War Armistice Agreement
http://news.findlaw.[...]
1953-07-27
[8]
웹사이트
Daecheongdo Island (대청도)
http://english.visit[...]
[9]
뉴스
North and South Korean ships exchange fire
https://www.telegrap[...]
The Daily Telegraph
2009-11-11
[10]
뉴스
海軍4950発で応じる…北警備艇曳航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09-11-13
[11]
뉴스
南北銃撃戦:国防部、「大青海戦」と命名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09-11-17
[12]
웹인용
120417(조간)_2012년도_지적통계연보_발간(지적기획과1)
http://www.mltm.go.k[...]
2012-04-16
[13]
통계자료
행정자치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2016-05-01
[14]
웹인용
백령도, 대청도, 소청도 지질도폭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불법어업 지도·단속"…서해5도 신규 어업지도선 '옹진갈매기2호' 취항
태경전자, 최전방 서해 5도에서 드론 의무물자 배송 무인기 비행 시험 성공
백령·대청도, 유네스코 등재 불투명…북한 반대
백령·대청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지정 무산되나?…북한 이의 신청
"인천 섬 주민 건강 책임진다"…새 병원선 '건강옹진호 ' 임시 순회진료 시작
인천 병원선 ‘건강옹진호’ 출항···백령·대청도서 첫 진료
세계지질공원 인증 추진, 인천 백령·대청도에 지질공원센터 조성
인천시, 서해5도 주민 정주생활지원금 20만 원으로 인상 추진
인천 강화·옹진군 거주환경 개선 41개 사업에 322억 투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