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황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황해는 한반도와 중국 사이에 위치한 바다로, 총 면적은 약 380,000km²이며 평균 수심은 약 45m이다. 마지막 빙하기 이후 해수면 상승으로 형성되었으며, 갯벌이 발달해 있고, 조수간만의 차가 크다. 황해는 동해, 동중국해, 보하이만과 연결되어 있으며, 한반도와 중국에서 여러 강이 유입된다. 풍부한 수산 자원과 지하자원을 가지고 있지만, 연안 개발과 오염으로 인해 환경 문제가 심각하다. 특히 갯벌 감소와 해양 오염이 심각하며, 북한과의 해상 분쟁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해역 - 동해
    동해는 유라시아 대륙 동쪽의 반폐쇄성 해역으로, 깊은 수심과 풍부한 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여러 국가가 접하고 있지만, "일본해" 명칭 분쟁, 환경 문제, 영토 분쟁 등의 현안이 존재한다.
  • 중국의 해역 - 남중국해
    남중국해는 서태평양의 일부로 중국 남쪽, 베트남 동쪽, 필리핀 서쪽에 위치하며, 주요 무역로이자 전략적 요충지 및 풍부한 천연자원의 보고이지만, 영유권 분쟁이 끊이지 않는 해역이다.
  • 중국의 해역 - 동중국해
    동중국해는 태평양 서쪽에 위치한 연해로 중국, 일본, 한국, 대만 등 여러 국가와 접해 있고, 풍부한 해저 자원과 지정학적 중요성으로 인해 배타적경제수역 분쟁, 군사 활동 증가, 환경 문제 등이 주요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 동아시아의 지리 - 한반도
    한반도는 동아시아에 위치하여 중국, 러시아와 국경을 접하고 동해, 서해, 남해로 둘러싸인 반도로, 고조선부터 시작하여 현재는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분단되었으며 다양한 지형과 기후, 복합적인 역사와 문화를 가진 지정학적으로 중요한 지역이다.
  • 동아시아의 지리 - 홍콩의 지리
    홍콩의 지리는 동아시아, 남중국해에 위치하며, 홍콩 섬, 구룡 반도, 신계, 란터우 섬과 200개 이상의 섬으로 구성되고, 언덕과 산이 많은 지형에 몬순 기후의 영향을 받으며 다양한 생태계를 가지고 있으나 환경 문제에 직면해 있다.
황해
지도 정보
황해 지도
칭다오와 대한민국 사이의 황해
기본 정보
이름황해
다른 이름서해, 조선서해
영어 이름Yellow Sea
한자 표기黃海
중국어 표기黄海
로마자 표기Huáng Hǎi
우어 표기Waon Hae
광둥어 표기Wong Hoi
한국어 표기황해 또는 서해
한자 (한국) 표기黃海 또는 西海
한국어 로마자 표기Hwanghae 또는 Seohae
면적380,000 km²
평균 수심44 m
최대 수심152 m
위치동아시아
유형내해
유역 국가중국
북한
대한민국
수문 정보
유입 하천황하
하이허
압록강
대동강
한강
해양총 면적은 약 380,000 km²이며, 평균 수심은 약 45m이다.

2. 지리

황해의 총면적은 약 380,000km²이며, 평균 수심은 약 45m이다. 최대 수심은 100m를 넘지 않으며 조수간만의 차가 심해 갯벌이 발달해 있다. 겨울여름 수온 차가 매우 심하며, 담수의 유입이 많고 수심이 얕아 서해 북부 서한만과 중부 경기만 일부 지역, 가장 고위도 지역인 랴오둥 만은 겨울에 얼어붙기도 한다.

전라남도 해남 반도 남쪽 끝부터 제주도까지를 경계로 동해[56][57]와 나뉘고, 제주도 서쪽 끝부터 장강(양쯔 강) 하구까지를 경계로 동중국해와 나뉜다. 황해는 흑해, 홍해, 백해와 함께 색깔 이름을 딴 네 개의 바다 중 하나이며, 주요 강에서 배출되는 토사가 많은 황금빛 노란색의 물에서 그 이름이 유래되었다.

황해의 북서쪽 가장 안쪽 만은 보하이 해(이전에는 지리만/북지리만)로 불리며, 중국 북부의 가장 중요한 강들(산둥성과 그 성도인 지난을 통과하는 황하, 베이징과 톈진을 통과하는 하이허, 랴오닝성을 통과하는 랴오허)이 이곳으로 흘러든다. 황해의 북동쪽 연장선은 한국 만으로 불리며, 압록강, 장천강, 대동강이 이곳으로 흘러든다. 황하에서 운반되는 황토로 인해 물빛이 누렇게 탁한 부분이 있다는 점에서 황해라고 불린다. 프랑스의 지도 제작자 당빌(d'Anville)이 1737년에 제작한 『중국 신지도첩(Carte nouvelle de la Chine)』에 황해를 (Hoang Hai ou Mer Jaune)프랑스어라고 표기하면서 국제적으로도 인지되게 되었다.

황해의 위성사진 NASA, 2002


황해는 태평양연해이며, 넓은 의미로는 동중국해의 일부이다.

2. 1. 지형

황해는 대륙붕의 침수 지역으로, 마지막 빙하기(약 1만 년 전) 이후 해수면이 현재 수준까지 120m 상승하면서 형성되었다. 수심은 북쪽에서 남쪽으로 갈수록 점차 깊어진다.[3] 해저와 해안은 보하이만을 통해 유입되는 강(랴오허, 황하, 하이허)과 한국의 서해(압록강)에서 운반되는 모래와 실트가 지배적이다. 이러한 퇴적물과 황사는 바닷물의 황색을 띠게 하는 원인이며, 이는 황해라는 이름의 유래가 되었다.[4] 황해는 황하와 같은 강에서 매년 많은 모래와 토사를 받아 실제로 황금빛 노란색으로 변한다.[5][6]

평균 수심은 44m이며, 최대 수심은 152m이다.[3] 조수간만의 차가 심하여 갯벌이 발달해 있다.

조류는 1일 2회 만조가 되는 반일주조이다. 중국 해안에서는 조석의 높이가 약 로 변한다. 한국 반도에서는 조석이 더 높아 일반적으로 이며 봄에 최대에 달한다. 조류계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조류의 속도는 일반적으로 바다 중앙에서는 미만이지만 해안 근처에서는 이상으로 증가할 수 있다.[4] 에 달하는 가장 빠른 조류는 진도와 한국 반도 사이의 명량 해협에서 발생한다.[9]

조류와 관련된 해수면 변화로 인해 길이 , 폭 의 육지 통로가 약 1시간 동안 진도모도 섬 사이에서 매년 5월 초와 6월 중순에 약 2회 열린다. 이러한 현상은 "진도 바닷길 분리 축제"라는 지역 축제에서 오랫동안 기념되어 왔다.[10][11][12]

수심은 평균 44미터로 얕으며, 대륙붕을 이루고 있다. 북쪽은 요동반도에서 남쪽은 장강 하구까지 걸쳐 있다. 하구에서는 해저에 삼각주제주도 부근까지 형성되어 있으며, 과거에는 저인망 어업의 좋은 어장이었다.

2. 2. 유입 하천

한반도중화인민공화국에서 황해로 흐르는 주요 강은 다음과 같다.


2. 3. 해저 지질

황해는 중생대 말기부터 군산 분지 등 대륙 지각의 리프팅(rifting)이 활발하게 발생하여 형성된 바다이며 한반도에 비해 훨씬 발달된 퇴적 분지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지진 활동은 한반도보다 더 활발할 것으로 해석된다.[58] 실제로도 지진 활동이 활발하며 2021년 서해 중부 해역 지진과 2014년의 서격렬비도 해역 지진은 백악기에 형성된 군산 분지의 경계부에서 발생하기도 했다.[59] 황해에는 남중국 지괴(South China block)과 중한 지괴(북중국 지괴)(Sino-Korea block)가 고생대 페름기 후기와 중생대 트라이아스기에 충돌한 지구조적 경계가 존재한다. 이 경계는 친링-다비-술루 충돌대(Qinling-Dabie-Sulu Belt)의 연장이라고 추정하고 있다.[60]

3. 역사

빙하기(한반도의 구석기 시대)였던 약 2만 년 ~ 1만 2천 년 전에는 해수면이 현재보다 120m가량 낮아, 황해 전 지역은 큰 강이 흐르는 평야였다. 이후 해수면이 상승하면서 바다가 차츰 넓어졌다.

황해를 중심으로 한 해안과 에는 물고기, 조개, 해조류 등의 각종 해산물을 포획·채취하여 양식으로 활용한 흔적이 남아 있다.[13]

삼국시대 이전부터 한국은 황해를 통해 중국과 활발하게 교역했다. 신라 말에는 장보고가 무역로를 독점하여 해상왕으로 불리기도 했다.

역사 시대 이후 황해에서는 아래와 같은 많은 해전이 기록되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1999년 9월 2일 이후 서해 북방한계선(NLL)을 부정하고 독자적인 "조선 서해 해상 군사분계선"을 설정하였다.[51] 이 해역에서는 제1연평해전, 제2연평해전, 연평도 포격 사건과 같이 여러 차례 무력 충돌이 발생하여 남북 간의 긴장[52]의 원인이 되고 있다.

대한민국은 이승만 라인을 설정하여 공해상에서 조업하는 중국 어선을 나포하였는데, 이는 "국제법상의 관례를 무시한 조치"였다. 이후 중화인민공화국과 대한민국 사이에서는 배타적 경제 수역(EEZ)에 관한 분쟁이 있다. 소청초(蘇岩礁), 가거초(可居礁)를 둘러싼 영유권 분쟁에 더하여, 중국 어선이 대한민국 측 수역에 침입하는 것이 양국 간의 문제가 되고 있다.

2018년 11월 1일, 대한민국 국방부 관계자들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대한민국 군이 서해상의 남북한 군사분계선에 접한 지역에 "평화지대"를 설치했다고 확인했다.[48] 2018년에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동해와 황해 양 지역을 개발하는 것에 합의했다.[53]

3. 1. 선사 시대

빙하기(한반도의 구석기 시대)였던 약 2만 년 ~ 1만 2천 년 전에는 해수면이 현재보다 120m가량 낮아, 황해 전 지역은 큰 강이 흐르는 평야였다. 이후 해수면이 상승하면서 바다가 차츰 넓어졌다.

황해를 중심으로 한 해안과 에는 물고기, 조개, 해조류 등의 각종 해산물을 포획·채취하여 양식으로 활용한 흔적이 남아 있다.[13]

3. 2. 교역 및 해상 활동

삼국시대 이전부터 한국은 황해를 통해 중국과 활발하게 교역했다. 신라 말에는 장보고가 무역로를 독점하여 해상왕으로 불리기도 했다.

역사 시대 이후 황해에서는 아래와 같은 많은 해전이 기록되었다.


3. 3. 해양 분쟁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1999년 9월 2일 이후 서해 북방한계선(NLL)을 부정하고 독자적인 "조선 서해 해상 군사분계선"을 설정하였다.[51] 이 해역에서는 제1연평해전, 제2연평해전, 연평도 포격 사건과 같이 여러 차례 무력 충돌이 발생하여 남북 간의 긴장[52]의 원인이 되고 있다.

대한민국은 이승만 라인을 설정하여 공해상에서 조업하는 중국 어선을 나포하였는데, 이는 "국제법상의 관례를 무시한 조치"였다. 이후 중화인민공화국과 대한민국 사이에서는 배타적 경제 수역(EEZ)에 관한 분쟁이 있다. 소청초(蘇岩礁), 가거초(可居礁)를 둘러싼 영유권 분쟁에 더하여, 중국 어선이 대한민국 측 수역에 침입하는 것이 양국 간의 문제가 되고 있다.

2018년 11월 1일, 대한민국 국방부 관계자들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대한민국 군이 서해상의 남북한 군사분계선에 접한 지역에 "평화지대"를 설치했다고 확인했다.[48] 2018년에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동해와 황해 양 지역을 개발하는 것에 합의했다.[53]

4. 자원

황해에는 난류와 한류가 만나 풍부한 어장이 형성되어 있고, 한반도 서해 연안에는 갯벌모래사장이 발달하여 다양한 수산 자원이 존재한다.[2] 발해만에서는 여러 유전이 발굴되었고, 천연 가스도 상당량 매장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4. 1. 수산 자원

황해는 난류와 한류가 만나 어장이 풍부하다.[2] 한반도 서해 연안에는 갯벌모래사장이 발달하였다.

4. 2. 지하자원

발해만에서 여러 유전이 발굴되었으며, 천연 가스도 상당량 매장되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5. 환경 문제



황해는 11월 말부터 3월까지 강한 북풍의 계절풍이 부는 춥고 건조한 겨울을 갖고 있으며, 1월 평균 기온은 북쪽이 -10°C, 남쪽이 3°C이다. 여름은 습하고 따뜻하며 6월부터 10월까지 잦은 태풍이 발생한다.[3] 기온은 10°C 에서 28°C 사이이며, 연평균 강수량은 북쪽의 약 500mm에서 남쪽의 1000mm로 증가한다. 안개는 특히 용승 한류 지역의 해안선을 따라 빈번하게 발생한다.[4]

황해는 쿠로시오 해류의 일부를 형성하는 따뜻한 저기압성 해류를 가지고 있으며, 일본 서쪽에서 갈라져 0.8km/h 미만의 속도로 북쪽으로 흘러든다. 겨울 계절풍 시기에는 해안 근처에서 남쪽으로 흐르는 해류가 우세하다.[4]

중국 랴오닝성 다롄의 암석 해안


겨울철 북부 해역의 수온은 영하에 가까워 부유빙과 결빙 현상이 발생하여 11월부터 3월까지 항해를 방해한다. 남쪽 해역은 6°C 에서 8°C로 더 따뜻하다. 봄과 여름에는 표층이 태양에 의해 가열되고 강으로부터 유입되는 담수에 의해 희석되는 반면, 심층수는 차갑고 염분이 높은 상태를 유지하며 정체되어 서서히 남쪽으로 이동한다. 특히 남쪽 부분에서 이 해수 덩어리 주변에서 상업용 저서어류가 발견된다. 여름철 수온은 22°C 에서 28°C이다. 평균 염분은 북쪽의 30‰에서 남쪽의 33~34‰로 비교적 낮으며, 강 삼각주 근처에서는 26‰ 이하로 떨어진다. 남서 계절풍 시기(6월~8월)에는 강수량과 유출량이 증가하여 표층 해수의 염분이 더욱 감소한다.[4] 수심 투명도는 북쪽의 약 에서 남쪽의 로 증가한다.[3]

조류는 1일 2회 만조가 되는 반일주조이다. 중국 해안에서 조석 높이는 약 이며, 한국 반도에서는 로 더 높고 봄에 최대에 달한다. 조류계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며, 조류 속도는 바다 중앙에서는 미만이지만 해안 근처에서는 이상으로 증가할 수 있다.[4] 에 달하는 가장 빠른 조류는 진도와 한국 반도 사이의 명량해협에서 발생한다.[9]

조류와 관련된 해수면 변화로 인해 진도모도 섬 사이에서 매년 5월 초와 6월 중순에 약 1시간 동안 길이 , 폭 의 육지 통로가 열린다. 이 현상은 "진도 바닷길 분리 축제"라는 지역 축제에서 오랫동안 기념되어 왔지만, 1975년 프랑스 대사 피에르 란디가 프랑스 신문에 소개하기 전까지는 외부 세계에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10][11][12]

5. 1. 해양 오염

황해는 지구상에서 가장 심각하게 훼손된 해양 지역 중 하나로 꼽힌다.[3][4] 연안 지역 개발, 산업 활동, 농업 등에서 발생하는 오염 물질이 바다로 흘러들어 오염이 심각하다. 이로 인해 유해 조류가 대량으로 발생하는 현상이 자주 일어나고 있으며, 외래종 침입으로 인해 황해 생태계가 위협받고 있다.

5. 2. 갯벌 감소

황해 연안의 갯벌은 간척 사업으로 인해 60% 이상이 파괴되었다.[3] 갯벌의 감소는 철새 이동 경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해양 생태계 전반에 악영향을 주고 있다.[4]

6. 주요 섬 (대한민국)

안마도, 백령도, 대부도, 덕적도, 가거도, 강화도, 하우이도, 흑산도, 홍도, 제주도, 진도, 무의도, 시도, 실미도, 신도, 완도, 영종도, 연평도 등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Limits of Oceans and Seas https://iho.int/uplo[...] International Hydrographic Organization 2020-12-28
[2] 웹아카이브 Sediments and Phytoplankton bloom near the Mouth of the Yangtze, East China Sea http://visibleearth.[...] NASA
[3] 백과사전 Yellow Sea http://bse.sci-lib.c[...]
[4] 백과사전 Yellow Sea http://www.britannic[...]
[5] 웹사이트 A yellow sea https://wwf.panda.or[...] WWF
[6] 논문 Origin of the Yellow Sea: an insight http://dro.dur.ac.uk[...] 2016
[7] 웹사이트 The Seas of Korea https://web.archive.[...] 2021-03-29
[8] 웹사이트 Sand storm over Yellow Sea http://earthobservat[...]
[9] 서적 Twinning of Jindo Grand Bridge, Republic of Korea https://books.google[...]
[10] 웹아카이브 The Moses Miracle Of Jindo Island http://www.impactlab[...] 2010-07-17
[11] 웹아카이브 Майские фестивали в Чолладо – от "чуда Моисея" до боя быков http://vestnik.tripo[...]
[12] 웹아카이브 Jindo Mysterious Sea Road http://eng.jindo.go.[...] Jindo County
[13] 웹아카이브 Bar-tailed Godwit Updates https://alaska.usgs.[...] USGS
[14] 서적
[15] 웹사이트 Earth from Space: The Yellow Sea of China http://www.esa.int/O[...]
[16] 서적 Encyclopedia of coastal science https://books.google[...]
[17] 서적 Shorebirds of the Yellow Sea – importance, threats and conservation status Canberra
[18] 서적 Yellow Sea – driven priorities for Australian shorebird researchers Sydney
[19] 웹사이트 Saemangeum and the Saemangeum Shorebird Monitoring Program (SSMP) 2006–2008 http://www.birdskore[...]
[20] 서적 Practical conservation biology https://books.google[...]
[21] 논문 The western gray whale: a review of past exploitation, current status and potential threats http://digitalcommon[...] 2016-03-10
[22] 논문 The Truth About Soviet Whaling: A Memoir http://digitalcommon[...] 2016-03-10
[23] 웹사이트 Distribution of Whales and Dolphins in Korean Waters Based on a Sighting Survey from 2000 to 2010 http://ocean.kisti.r[...] 2020-09-19
[24] 웹사이트 A Gray Area: On the Matter of Gray Whales in the Western North Pacific (PDF Download Available) https://www.research[...]
[25] 웹사이트 Distribution and movements of fin whales in the North Pacific Ocean http://onlinelibrary[...] 2015-01-03
[26] 웹사이트 我国沿海鲸类(–)– – 须鲸篇(下)_科学公园_传送门 http://chuansong.me/[...]
[27] 논문 A spatially explicit estimate of the prewhaling abundance of the endangered North Atlantic right whale
[28] 웹사이트 长海又现鲸鱼 这回是好几条 https://web.archive.[...]
[29] 웹아카이브 大连长海又见鲸鱼 – 家亲!三条!四条 http://www.wedalian.[...]
[30] 논문 A Baird's Beaked Whale From the East China Sea http://en.cnki.com.c[...] 2015-09-07
[31] 웹사이트 Yellow Sea | WWF https://web.archive.[...] 2016-03-10
[32] 웹사이트 我国的渤海里有没有鲸鱼 https://archive.toda[...] 2015-01-03
[33] 웹사이트 백령도 어부들의 친구 쇠돌고래 http://www.sisapress[...]
[34] 웹사이트 백상아리, 백령도서 물범 공격장면 국내 첫 포착 – 민중의소리 http://www.vop.co.kr[...] 2009-08-19
[35] 웹아카이브 Population Density http://visibleearth.[...] NASA
[36] 서적 Chikuni
[37] 웹사이트 China's jellyfish-hauling mules a dying breed https://asiatimes.co[...] 2016-12-02
[38] 웹사이트 Fishing Industry https://web.archive.[...] 2010-05-27
[39] 서적 Chikuni
[40] 뉴스 Ferry sinks in Yellow Sea, killing hundreds http://www.history.c[...] 1999-11-24
[41] 뉴스 China found new large oil field in the Yellow Sea http://newsru.com/fi[...] News.ru 2007-05-03
[42] 뉴스 China's worst-ever oil spill threatens wildlife as volunteers assist in clean-up https://www.theguard[...] Guardian 2010-07-21
[43] 간행물 The Yellow Sea: Analysis of Environmental Status and Trends UNDP/GEF 2007
[44] 논문 Tracking the rapid loss of tidal wetlands in the Yellow Sea http://espace.librar[...]
[45] 논문 Tidal flats of the Yellow Sea: A review of ecosystem status and anthropogenic threats https://researchonli[...]
[46] 웹사이트 Report on Marine Environmental Status and Trends of the Yellow Sea https://archive.iwle[...] 2019
[47] 뉴스 China's largest algal bloom turns the Yellow Sea green https://www.theguard[...]
[48] 웹사이트 Koreas halt all 'hostile' military acts near border https://en.yna.co.kr[...] 2018-11
[49] 웹사이트 【外信コラム】ソウルからヨボセヨ 「西海」にしたら? https://www.sankei.c[...] 2020-11-17
[50] 웹사이트 島根県:実事求是第56回 (トップ / 県政・統計 / 県情報 / 竹島関係 / Web竹島問題研究所 / 調査研究 / 実事求是) https://www.pref.shi[...] 2020-11-17
[51] 블로그 ハンギョレ新聞 2009年12月21日 http://blog.livedoor[...] 2009-12-21
[52] 뉴스 韓国軍、西海防衛で誘導弾高速艦10隻を導入 http://japan.donga.c[...] 東亜日報 2011-07-13
[53] 웹사이트 南北が軍通信線の復旧で合意 黄海地区から=韓国国防部 http://www.chosunonl[...] 2018-06-26
[54] 간행물 「大洋と海の境界(第三版)」(Special Publication No.23) http://www.iho.int/i[...] IHO 1953
[55] 논문 황해의 명칭에 대한 고찰 인하대학교 해양과학기술연구소 1993-12
[56] 설명 남해와 동해의 경계에 대한 설명
[57] 웹사이트 해양과 바다의 경계(Limits of Oceans and Seas) 제3판 지도 http://www.iho-ohi.n[...] 국제 수로 기구 1953
[58] 웹인용 서해 해역의 지진지체구조 및 단층활동 특성조사연구 https://scienceon.ki[...] 한국해양과학기술원 2014
[59] 뉴스인용 "백악기때 상처 아물지 않았다" 새벽 서해 흔든 지진의 정체 https://news.joins.c[...] 중앙일보 2021-01-19
[60] 웹인용 한반도 주변해역 해저단층분포도 제작을 위한 기획연구 https://scienceon.ki[...] 한국해양과학기술원 2014-12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