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공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의 공항은 국내선 공항과 국제공항으로 구분된다. 국내선 공항으로는 원주, 군산, 광주, 여수, 사천, 울산, 포항경주 공항 등이 있으며, 제주로 가는 노선이 운행되거나, 과거 운행되었으나 수요 부족으로 폐지된 노선 등이 있다. 국제공항으로는 인천, 김포, 김해, 제주, 청주, 대구, 무안, 양양국제공항 등이 있으며, 각 공항은 국내선과 국제선 노선을 운영하며, 국제선 취항을 통해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대한민국의 공항 | |
---|---|
지도 | |
일반 정보 | |
국가 | 대한민국 |
목록 | |
공항 수 | 15개 (2023년 기준) |
공항 종류별 목록 | |
국제공항 | 인천국제공항 김해국제공항 제주국제공항 대구국제공항 청주국제공항 무안국제공항 양양국제공항 |
국내공항 | 김포국제공항 울산공항 여수공항 사천공항 포항공항 군산공항 원주공항 |
폐쇄된 공항 | 수원공항 강릉공항 |
건설 예정 공항 |
2. 국내선 공항
2. 1. 원주공항
원주공항은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에 위치하였으며 현재 국내선 전용 공항으로서는 가장 최북단에 위치한 공항으로 제주까지 매일 1회 운행을 한다. 예전에는 원주에서 부산가는 노선도 있었지만 승객 수요가 적어 폐지되었다. 한편 공항청사가 계류장 옆이 아닌 국도변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여기서 공항셔틀버스를 타고 계류장으로 들어가야 한다.원주공항은 강릉공항과 더불어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수요에 대응하기 위하여 국제공항으로 격상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와 있으며 원주와 춘천을 연결하기로 계획되어 있는 철도 노선의 경유지로 설정되어 있다. 현재 군이 동계올림픽 평창 개최 확정 후 지역연계 발전 가능성을 검토하면서 장기적으로 시설 보강을 통해 대회기간 선수단과 관광객을 수송한 후 원주공항을 국제공항으로 발전시킨다는 복안을 통해 원주공항의 국제공항화를 모색하고 있다.
2. 2. 군산공항
군산공항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군산공항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2. 3. 광주공항
광주공항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광주공항 문서를 참고하십시오.2. 4. 여수공항
1972년 5월 대한항공이 서울~여수 노선을 취항하였고, 1992년 12월에 아시아나항공이 취항하였다. 1998년부터 2005년까지 확장공사를 시행하여 2004년 11월 신활주로 운용을 시작하고, 2005년 11월에는 신여객청사를 개관하였다.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되면서 2003년부터 국제선 취항을 요구해 왔으며, 2005년 세계 박람회가 나고야에서 개최되어 최초로 일본 나고야 노선에 부정기 전세기를 운항했다. 국제선을 취항할 경우 중국 상하이 노선을 신설해야 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고, 인천과 제주 노선을 신·증편해야 한다는 여론조사가 나온 바 있다. 2012년 세계 박람회 당시 부정기 국제선으로 웨이하이, 사가를 운항했다.
2. 5. 사천공항
1969년 사천비행장에 대한항공이 취항하면서 항공길을 열게 되었다. 2000년 이용객 수가 88만명에 이르렀으나, 2001년 11월 29일 통영대전고속도로가 개통되면서 이용객이 급감하여 2009년에 연간 이용객 수 20만명이 무너졌고 2012년에는 13만8천명으로 줄었다.최근 공항 활성화를 위해 국제선 취항이 검토되고 있으며, 경상남도의회에서는 사천공항을 남부권 특화공항으로 육성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그 이후 대한항공은 상하이(상하이 푸둥 국제공항)노선에 취항하였다.
2. 6. 울산공항
울산광역시는 특정 공업지구로 지정된 후 왕래객이 급증하자, 이에 따른 교통 불편 해소를 위하여 1969년에 6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여 울산공항 건설을 시작하였다. 1970년에 처음으로 서울로 향하는 대한항공의 항공편이 취항하였다. 1971년에 개설된 고속버스 노선으로 인해 한때 이용객 감소로 폐쇄되기도 하였으나, 1984년에 여객기 운행이 재개되었다.1993년 2월 대한항공이 제주행 노선을 취항하고 같은 해 5월에는 아시아나항공이 제주행 노선을 취항하였으나 단항되어 제주행 노선을 운영하는 항공사는 대한항공만 남아 있다. 2011년 10월 1일, 에어택시 항공사인 이스트아시아에어라인이 울산 ~ 양양과 울산 ~ 제주 노선을 취항하여 운항하였으나, 적자 누적으로 양양 노선은 2011년 12월 31일에 중단하였으며, 제주 노선도 2012년 2월 29일 운항을 중단하였다.
2010년 11월 1일에 KTX 울산역이 개통되면서 고속열차 쪽으로 수요가 크게 분산되어 이용률이 갈수록 하락하고 있다. 울산역이 외곽지인 울주군 삼남면에 있음에도 인기가 높아, 울산공항으로 운항하는 김포행 여객기 편성이 대거 감축되는 등 큰 타격을 입었다.
2. 7. 포항경주공항
1970년 2월 포항비행장으로 설립되어, 1970년 3월 대한항공이 포항 - 서울 노선을 개설하였다. 1992년 4월에는 아시아나항공이 포항 - 서울 노선을 개설하였다. 1999년부터 공항 확장 공사를 시행하여 2002년 6월 신 여객 터미널을 개관하였다. 아시아나항공이 운항하였던 2004년 12월 포항 - 제주 노선이 수요 부족으로 폐지되었다가 2009년 7월 31일에 운행을 재개했다.2014년 7월 1일부터 2016년 4월 25일까지 활주로 재포장 공사를 하여 운항을 중단하였다. 흥해읍으로 이전한 동해선 포항역의 KTX 투입 여파와 맞물려 여러 항공사들이 포항 노선에 대해 적자 우려를 이유로 복항을 꺼렸으나, 포항시의 손실 보조를 전제로 대한항공이 2016년 5월 3일부터 포항-김포 노선을 하루 2회 왕복 운항하기로 했다.
2022년 7월 14일부터 포항경주공항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3. 국제공항
3. 1. 인천국제공항
인천국제공항은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국제공항으로 대한민국 대부분의 국제선이 이곳을 통해 운항한다. 인천광역시 중구에 있으며, 국제공항이자 국제 허브 공항이다. 2007년 3월 23일에는 인천국제공항철도가 개통되었다. 공항운영은 인천국제공항공사(IIAC)에서 담당하고 있다.
3. 2. 김포국제공항
김포국제공항은 인천국제공항이 생기기 전까지 한국의 대표적인 국제 공항이었다. 근처에 김포공항역과 김포공항 나들목이 있다. 2007년부터 현재까지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제주항공, 이스타항공 등이 김포발 국내선을 취항하고 있으며,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일본항공, 전일본공수, 중국동방항공, 상해항공 등이 김포발 국제선 취항을 하고 있다. 주소는 서울특별시 강서구 과해동 274번지이다. 현재는 국내선 대부분과 단거리 국제선 일부를 운영하고 있다.
3. 3. 김해국제공항
은 부산광역시의 수영비행장 이전을 위해 만들어졌다. 1976년 8월 부산비행장을 김해군 대저읍(현 부산광역시 강서구)으로 이전하고 '''김해국제공항'''으로 명칭을 변경했다. 1983년 5월 한국공항공단이 김해국제공항을 인수해 운영하게 되었고, 1993년 5월에는 국내선 청사를, 2007년 11월에는 국제선 청사를 각각 신축했다.2006년 한 해 동안 승객 7,071,037명, 화물 135,607톤을 수송하여 대한민국 공항 중 승객 및 화물 모두 4위를 기록했다.
3. 4. 제주국제공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용담2동 2002번지에 있는 제주도의 유일한 공항이다. 1958년 1월 제주비행장으로 정식 설립되었다. 2003년 지방공항 최초로 연간이용객이 1,000만명을 넘어섰으며, 2007년 5년 연속 1000만 이용객을 돌파하는등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09년에는 이용객수가 1,300만명을 돌파하여 1,280만명이 이용하는 김포국제공항을 제치고 한국에서 가장 이용객이 많은 공항이 되었다.
3. 5. 청주국제공항
청주국제공항은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내수읍에 있는 충청권 유일의 공항이자 전라도와 가까운 국제공항이다. 대한민국 공군 제17전투비행단이 운용하는 민군 공용 공항으로 1997년 4월 28일 개항했다.[5] 연간 250만 명이 이용할 수 있으며, 2007년 이용객이 100만 명을 넘어 국제공항으로서의 면모를 갖추고 있다. 현재 제주, 베이징, 선양, 하얼빈, 옌지 등과 연결된다. 2009년 3월 5일, 한국공항공사는 적자 구조를 이유로 청주국제공항을 민간 매각 대상으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2016년 12월에는 중소규모 공항 가운데 최초로 연간 이용자 250만 명을 돌파했다.
3. 6. 대구국제공항
대구국제공항은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동구에 위치한 국제공항이다. 1962년에 개항하였으며, 1994년 일본 후쿠오카와 연결되는 국제선이 취항하면서 국제공항이 되었다. 2004년 KTX의 개통으로 김포행 노선 이용률이 급감하면서 이용 승객도 계속 감소하고 있으나, 2011년 대구세계육상선수권대회 개최를 계기로 외국인들의 관광 및 비즈니스로 하루 5만 명 이상 이용객이 이용하고 있다. KTX 개통 이후 김포행은 국제선 환승을 위해 인천행으로 대체되었다.3. 7. 무안국제공항
무안국제공항은 전라남도 무안군 망운면 피서리에 있는 공항이다. 1993년 아시아나항공 733편 추락 사고 이후 목포공항 국내선 및 광주공항 국제선 대체 공항으로 1999년 착공, 2007년 완공되어 같은 해 11월 8일 개항하였다. 개항 후 목포공항의 대체 국내선 공항으로 사용되다가 무안광주고속도로가 2008년 5월 28일 개통되면서 광주공항의 국제선 전 노선이 무안국제공항으로 이전되었다.3. 8. 양양국제공항
'''양양국제공항'''(襄陽國際空港, 양양 인터내셔널 에어포트/Yangyang International Airport영어, IATA: '''YNY''', ICAO: '''RKNY''')은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손양면 동호리와 학포리에 걸쳐 있는 국제공항이다. 강릉시와 속초시에서 가깝다. 2만6130m² 규모로, 연간 317만 명(국내선 207만 명, 국제선 110만 명)이 이용 가능한 여객터미널과 2,500m × 45m 길이의 활주로를 갖추고 있어 연간 43,000회 이착륙이 가능하다. 규모 면에서는 대한민국에서 인천국제공항, 김포국제공항, 김해국제공항에 이어 4번째로 크다.
본래 한국전쟁 당시 유엔군 및 대한민국 공군의 임시 이착륙을 위한 활주로였다. 1986년 영동권 관광산업 발전 및 교통 편의 개선을 위하여 신 국제공항 건설을 추진하여 1997년 1월에 착공하였다. 2000년에 개항할 예정이었으나 IMF 사태 여파로 2년여 지연된 2002년 4월 2일에 개항하였으며, 건설 비용은 3567억 원이 투입되었다. 2009년 11월부터 코리아 익스프레스 에어가 양양 ~ 김포, 양양 ~ 김해 노선을 운항하면서 공항으로서의 기능을 회복하였다. 2002년 개항하여 2008년까지 누적 적자는 598억 원이다 (2006년 129억, 2007년 105억, 2008년 101억).
참조
[1]
웹사이트
Airline and Airport Code Search
http://www.iata.org/[...]
IATA
2015-11-12
[2]
문서
인천국제공항공사
운영
[3]
법령
항공법
http://www.law.go.kr[...]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4]
간행물
AIP GEN 2.4 LOCATION INDICATORS
http://ais.casa.go.k[...]
[5]
문서
군용 공항의 개항
197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