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통계청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의 통계청장은 통계 기준 설정, 인구조사, 각종 통계 관련 사무를 관장하는 직위이다. 1949년 공보처 통계국장으로 시작하여, 내무부 통계국, 경제기획원 통계국 및 조사통계국을 거쳐 1990년 통계청이 독립 기관으로 승격되면서 통계청장이 통계 업무를 총괄하게 되었다. 2004년 10월 차관급으로 격상되었으며, 역대 통계청장 명단과 재임 기간을 확인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통계청장 - 김대기 (1956년)
김대기는 대한민국의 경제 관료이자 정무직 공무원으로, 경제기획원, 기획예산처 등에서 근무하고 이명박 정부와 윤석열 정부에서 대통령비서실의 주요 직책을 역임했으며, 경기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와튼 스쿨을 졸업했다. - 대한민국의 통계청장 - 유경준
유경준은 대한민국의 경제학자이자 정치인으로, 제21대 국회의원을 역임했으며 한국개발연구원 연구위원, 통계청장 등을 지냈고, 국민의힘 서울특별시당 위원장, 국회 연금개혁 특별위원회 간사 등으로 활동했다. - 대한민국 통계청 - 충청지방통계청
충청지방통계청은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북도, 충청남도의 통계 업무를 관할하는 통계청 소속 지방통계청으로, 지역통계 분석 및 제공, 지역통계 작성 승인, 조사대행 및 지방자치단체 협력 등의 직무를 수행한다. - 대한민국 통계청 - 호남지방통계청
호남지방통계청은 광주광역시, 전북특별자치도, 전라남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는 통계청 소속 기관으로, 지역 통계 분석 및 제공, 시군구 지역 통계 작성 승인 및 품질 관리, 조사 대행 및 지역 통계 지원 등의 직무를 수행하며 효율적인 통계 업무 수행을 위해 목포, 순천, 강진, 보성, 전주, 군산, 남원, 제주에 사무소를 두고 있다. - 대한민국의 차관급 공직자 -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대한민국의 국회의원은 국민을 대표하여 법률 제정과 국정 심의를 수행하며 4년 임기에 만 18세 이상에게 선거권이 주어지고, 면책특권과 불체포특권을 가지는 동시에 청렴, 국익 우선, 품위 유지의 의무를 지닌다. - 대한민국의 차관급 공직자 - 대한민국의 대검찰청 차장검사
대한민국의 대검찰청 차장검사는 검찰총장을 보좌하며, 검찰총장의 부재 시 직무를 대행하며, 정권의 성격과 검찰 개혁 추진 상황에 따라 그 역할과 위상이 변화해왔다.
대한민국의 통계청장 | |
---|---|
통계청장 | |
![]() | |
현직 | 이형일 |
취임일 | 2023년 7월 6일 |
임명 및 역사 | |
초대 | 민태형 |
성립 | 1990년 |
기타 | |
웹사이트 | 통계청 공식 웹사이트 |
2. 역할
통계청장은 통계 기준을 설정하고, 인구 조사 및 각종 통계 관련 사무를 관장한다.[1]
통계청장은 대통령이 임명한다. 1990년 통계청이 독립적인 중앙행정기관으로 승격되면서, 통계청장이 통계 업무를 총괄하게 되었다. 노무현 정부 시절인 2006년에 통계청장은 차관급으로 승격되었다.
3. 역대 청장
정부 대수 이름 임기 비고 노태우 정부 초대 민태형 1990년 12월 31일~1994년 8월 30일 김영삼 정부 2대 이강우 1994년 9월 5일~1996년 6월 3일 3대 정재룡 1996년 6월 4일~1996년 9월 23일 4대 장승우 1996년 9월 24일~1996년 12월 23일 5대 김병일 1997년 1월 6일~1998년 3월 16일 김대중 정부 6대 윤영대 1998년 3월 23일~2002년 2월 4일 7대 오종남 2002년 2월 19일~2004년 9월 13일 노무현 정부 8대 오갑원 2004년 10월 15일~2006년 8월 8일 차관급으로 승격 9대 김대유 2006년 8월 9일~2007년 8월 8일 10대 이창호 2007년 8월 9일~2008년 3월 6일 이명박 정부 11대 김대기 2008년 3월 7일~2009년 4월 27일 12대 이인실 2009년 5월 11일~2011년 7월 21일 최초의 여성 통계청장[1] 13대 우기종 2011년 7월 22일~2013년 3월 17일 박근혜 정부 14대 박형수 2013년 3월 18일~2015년 5월 25일 역대 최연소 통계청장[2] 15대 유경준 2015년 5월 26일~2017년 7월 11일 문재인 정부 16대 황수경 2017년 7월 12일~2018년 8월 26일 17대 강신욱 2018년 8월 27일~2020년 12월 24일 18대 류근관 2020년 12월 25일~2022년 5월 13일 윤석열 정부 19대 한훈 2022년 5월 13일~2023년 7월 2일 20대 이형일 2023년 7월 6일 ~
3. 1. 공보처 통계국장 (1949년~1955년)
제1공화국한국어 시기 공보처 소속으로 통계 업무를 담당한 통계국장은 다음과 같다.
대수 | 이름 | 임기 | 비고 |
---|---|---|---|
초대 | 박현욱 | 1949년~1951년 | 1급 상당 |
2대 | 탁장제 | 1951년 8월 23일~1955년 2월 16일 |
3. 2. 내무부 통계국장 (1955년~1961년)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비고 |
---|---|---|---|---|
제1공화국 | 초대 | 탁장제 | 1955년 2월 17일~1955년 6월 11일 | |
2대 | 양현채 | 1955년 6월 11일~1956년 12월 | ||
3대 | 임춘성 | 1956년 12월~1959년 6월 20일 | ||
4대 | 유상근 | 1959년 6월 20일~1960년 | ||
제2공화국 | 5대 | 장병인 | 1960년 10월 7일~1961년 7월 21일 |
3. 3. 경제기획원 통계국장 (1961년~1963년)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비고 |
---|---|---|---|---|
제2공화국한국어 | 초대 | 강오전(姜五佺) | 1961년 7월 22일 ~ 1963년 10월 29일 | |
제3공화국한국어 | 2대 | 오흥근(吳興根) | 1963년 10월 30일 ~ 1963년 12월 16일 |
3. 4. 경제기획원 조사통계국장 (1963년~1990년)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비고 |
---|---|---|---|---|
제3공화국 | 2대 | 오흥근(吳興根) | 1963년 12월 17일~1965년 6월 30일 | |
3대 | 함만준(咸萬準) | 1965년 7월 1일~1969년 1월 14일 | ||
4대 | 최창락(崔昌洛) | 1969년 1월 15일~1969년 5월 16일 | ||
5대 | 황병태(黃秉泰) | 1969년 5월 17일~1970년 3월 15일 | ||
6대 | 최선래(崔善來) | 1970년 3월 19일~1973년 1월 31일 | rowspan=2 | | |
제4공화국 | ||||
7대 | 장신규(張新奎) | 1973년 2월 1일~1976년 2월 20일 | ||
8대 | 이웅수(李雄秀) | 1976년 2월 20일~1977년 9월 7일 | ||
9대 | 박성근(朴聖根) | 1977년 9월 8일~1978년 3월 28일 | ||
10대 | 황진현(黃鎭賢) | 1978년 3월 29일~1979년 7월 1일 | ||
11대 | 김흥기(金興起) | 1979년 7월 1일~1979년 12월 28일 | ||
12대 | 강흥구(姜興求) | 1980년 2월 13일~1980년 7월 9일 | ||
제5공화국 | 13대 | 김대영(金大泳) | 1981년 1월 16일~1982년 2월 7일 | |
14대 | 신윤재(愼潤宰) | 1982년 2월 8일~1986년 3월 4일 | ||
15대 | 이창보(李昌普) | 1986년 3월 5일~1986년 10월 6일 | ||
16대 | 손명현(孫明鉉) | 1986년 10월 7일~1988년 1월 7일 | ||
노태우 정부 | 17대 | 이강우(李康雨) | 1988년 1월 8일~1990년 12월 30일 |
3. 5. 통계청장 (1990년~현재)
1990년 통계청이 독립적인 중앙행정기관으로 승격되면서, 통계청장이 통계 업무를 총괄하게 되었다. 노무현 정부 시절인 2006년에 통계청장은 차관급으로 승격되었다.3. 5. 1. 역대 통계청장 명단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비고 |
---|---|---|---|---|
노태우 정부 | 초대 | 민태형 | 1990년 12월 31일~1994년 8월 30일 | |
김영삼 정부 | 2대 | 이강우 | 1994년 9월 5일~1996년 6월 3일 | |
3대 | 정재룡 | 1996년 6월 4일~1996년 9월 23일 | ||
4대 | 장승우 | 1996년 9월 24일~1996년 12월 23일 | ||
5대 | 김병일 | 1997년 1월 6일~1998년 3월 16일 | ||
김대중 정부 | 6대 | 윤영대 | 1998년 3월 23일~2002년 2월 4일 | |
7대 | 오종남 | 2002년 2월 19일~2004년 9월 13일 | ||
노무현 정부 | 8대 | 오갑원 | 2004년 10월 15일~2006년 8월 8일 | 차관급으로 승격 |
9대 | 김대유 | 2006년 8월 9일~2007년 8월 8일 | ||
10대 | 이창호 | 2007년 8월 9일~2008년 3월 6일 | ||
이명박 정부 | 11대 | 김대기 | 2008년 3월 7일~2009년 4월 27일 | |
12대 | 이인실 | 2009년 5월 11일~2011년 7월 21일 | 최초의 여성 통계청장[1] | |
13대 | 우기종 | 2011년 7월 22일~2013년 3월 17일 | ||
박근혜 정부 | 14대 | 박형수 | 2013년 3월 18일~2015년 5월 25일 | 역대 최연소 통계청장[2] |
15대 | 유경준 | 2015년 5월 26일~2017년 7월 11일 | ||
문재인 정부 | 16대 | 황수경 | 2017년 7월 12일~2018년 8월 26일 | |
17대 | 강신욱 | 2018년 8월 27일~2020년 12월 24일 | ||
18대 | 류근관 | 2020년 12월 25일~2022년 5월 13일 | ||
윤석열 정부 | 19대 | 한훈 | 2022년 5월 13일~2023년 7월 2일 | |
20대 | 이형일 | 2023년 7월 6일 ~ |
참조
[1]
뉴스
첫 민간 통계청장 여성 경제학자 발탁
http://news.mk.co.kr[...]
2017-02-21
[2]
뉴스
박형수 청장 "통계는 행정언어‥ 全부처 통일해야"
https://news.naver.c[...]
2013-04-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