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정의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정의단은 1919년 3·1 운동 이후 북간도 지역에서 결성된 독립운동 단체이다. 대종교 신자를 중심으로 조직되어 무장 투쟁을 목표로 했으며, 군자금 확보와 인재 양성에 힘썼다. 1919년 5월, 다양한 종교 신자들이 연합하여 대한정의단을 창설했고, 무장 투쟁을 통해 독립을 쟁취하고자 했다. 1919년 8월에는 군정부를 조직하고 김좌진을 영입하여 무장 단체인 대한군정회를 결성했으나, 공화주의와 군주주의 간의 갈등으로 분열되었다. 이후 대한정의단은 대한군정부로 개편되었고, 북로군정서로 명칭을 변경하여 독립운동을 이어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19년 설립된 단체 - 국제 노동 기구
국제노동기구(ILO)는 사회 정의를 통해 평화를 추구하고자 1919년 설립되어 삼자주의 거버넌스 구조로 국제 노동 기준을 제정하고 노동 문제 해결을 위해 활동하는 국제기구이다. - 1919년 설립된 단체 - 후버 연구소
후버 연구소는 허버트 후버 대통령의 기부금으로 설립된 스탠퍼드 대학교 소속의 보수 성향 싱크탱크이자 기록 보관소로,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며 저명 인사들과 관련을 맺고 미국 정계에 영향을 주고 있지만, 당파성과 보수적 입장으로 비판받고 있다. - 한국의 독립운동단체 - 대한민국 임시정부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3·1 운동 직후 독립운동 세력의 통합을 목표로 상하이에서 수립되어 일본 제국에 맞서 무장 투쟁과 외교 활동을 펼쳤으나, 해방 후 정치적 난관을 겪으며 정통성과 역할에 대한 논쟁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 한국의 독립운동단체 - 대한광복단
대한광복단은 1915년 대구에서 결성된 항일 독립운동 단체로, 국권 회복과 공화정을 목표로 군자금 모집, 친일 부호 처단, 독립군 양성 등의 활동을 펼쳤지만 1918년 조직이 와해되었다.
대한정의단 | |
---|---|
기본 정보 | |
이름 | 대한정의단 |
영문명 | Korean Righteous Corps |
창립일 | 1919년 5월 |
해산일 | 1919년 10월 |
본부 | 지안다오 |
이념 | 한국 독립 운동 대종교 천도교 유교 |
규모 | 500명 |
전신 | 중앙광정단 |
후신 | 북로군정서 |
![]() | |
지도부 | |
지도자 직함 | 단장 |
지도자 | 서일 |
소속 국가 | |
국가 | 한국 |
적대 세력 |
2. 역사적 배경
1919년 3·1 운동 직후, 북간도 지역에는 약 70여 개의 독립 운동 단체가 조직되었다. 서일을 비롯하여 계화, 채오, 양현 등 많은 대종교 신자들이 참여한 대한정의단은 1919년 3월 25일에 중광단을 기반으로 결성되었다.[1]
2. 1. 중광단 (Central Light Corps)
'''중광단'''(Central Light Corps)은 1911년 3월 북간도에서 대종교에 의해 결성된 무장 단체이다. 서일이 단장을 맡았고, 백순, 현천묵, 박찬익, 계화, 김병덕(김성), 채오, 양현, 이홍래 등이 주요 임원이었다.[1][2] 왕청현에서 결성되었다.무장 투쟁을 목표로 하였으나, 무기 확보 자원이 부족하여 한국인 사회 역량 강화에 힘썼다. 1911년부터 1916년까지 25개의 학교를 설립, 운영하며 교장 또는 교사로서 교육을 실시하여 인재를 양성하였다.[1][2]
1916년 대종교 제2대 도사교가 된 김교헌은 이듬해 북간도로 망명하여 본격적인 무장 투쟁 및 외교 독립 운동을 전개하였다. 왕청현을 대일 항쟁 근거지로 삼고, 고평은 블라디보스토크, 이민복은 니콜스크-우수리스크, 백순은 북만주 밀산, 진학신은 북만주에 주둔하며 한국에 파견, 만주 및 연해주 지역 독립 운동 세력과 연결을 시도했다.[1] 백순과 이범윤은 러시아와 중국 국경 지역을 순회하며 의용군을 모집하였다. 1918년 10월, 계화는 폭탄 제조자를 고용하여 길림으로 갔으며, 김성과 신정이 1차 사절단으로 파견되었으나 도중에 귀환했다.[1][2]
2. 2. 3.1 운동과 대한정의단

1919년 3·1 운동이 일어나자 중앙등대단은 대종교 신자들과 함께 기독교와 천도교 신자들과 연대하여 항일 시위를 벌였다. 이들은 왕청현, 안도현, 양일현을 중심으로 민족 독립 시위를 벌였다. 3·13 용정 시위 직후, 연길현 구지거리에서 일본과의 전쟁을 위한 인력 및 군자금 조달을 위해 '자유산업공사'라는 비밀결사가 조직되었고, 1인당 월급을 정하고 1원씩 회비를 걷기로 했다.[3][6]
1919년 3월 18일, 김현묵은 기독교 신자 김하범 등과 만나 죄수와 학생 등 900명과 함께 시위를 벌였다. 3월 24일, 현천묵은 연길현 이도구에서 약 800명의 군중과 함께 시위 운동을 주도했다. 3월 26일, 왕청현 백초구에서 계화, 김석구, 구자익이 주도하여 약 1,200명이 모인 대규모 집회가 열렸으며, 태극기를 흔들며 독립선언 축하 행사를 진행했다.
3. 대한정의단의 창설
1919년 5월 경, 대종교 신자와 유교 신자 등 다른 종교 신자들이 연합하여 대한정의단을 창설했다. 이들은 독립을 쟁취하기 위해 비밀리에 무장 투쟁을 수행하는 것을 목표로 했으며, 서일이 지도자였다. 대한정의단은 반일 독립 투쟁의 필요성을 알리고 민족 의식을 고취하는 데 기여했다. 독립운동가들은 3.1 독립 선언 이후 1919년 6월 말에 열린 파리 강화 회의에서 민족 자결주의 원칙에 따라 한국 독립 문제가 논의될 것으로 기대했다. 그러나 기대와 달리 아무런 성과가 없자 외교 노선보다는 무장 노선을 중요시하는 반일 무장 운동이 성장하기 시작했다.[3][4][5][6]
4. 대한군정회 (Korean Military Administration Association)
1919년 8월, 대한정의단은 산하에 독립 투쟁을 위한 무장 단체인 군정부(軍政府)를 조직하고, 반일 독립 투쟁을 위해 한국 동포의 단결을 촉구하는 격문을 배포했다. 이후 대종교 신자들은 군사 경험이 있는 인재를 확보할 필요성을 느꼈고, 1919년 8월 7일 김좌진이 독립군 양성을 위해 정의단에 합류했다.[3][4][5][6]
대한군정회(大韓軍政署)는 1919년 8월 대한정의단에 의해 조직된 무장 단체이다. 대한정의단의 기존 지도부는 군사 분야 전문가가 아니었기 때문에, 신민회 출신의 김좌진 등에게 무장 단체 지도, 군사 훈련, 독립군 편성을 위임했다. 창설 당시 병력은 500명이었다.[3][4][5][6]
4. 1. 무장 및 장비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시베리아에 파병된 체코 군단의 특별한 호의를 통해 구 해삼위로부터 대량의 무기를 구입하여 받았다. 그 결과 준비가 완벽해졌고 병사들의 사기도 높아졌다.[11]장총 500정, 권총 40정, 기관총 3정, 탄환 100만 발, 군자금 10만원을 보유했다.[11]
5. 내부 갈등
1919년 8월경, 공화주의와 군주주의 간의 이념 갈등으로 대한정의단 단원들과 신민회, 유교 신자들 사이에 분열이 일어났다.[7][8][9][10] 신민회 관련 민족주의자들이 군사 행정 협회를 장악한 사실은 유교 측의 반대에 부딪혔는데, 이는 신민회가 공화주의를 지지하는 반면, 유교 측은 군주제를 지지하고 친조선 충성을 맹세했기 때문이다. 결국 갈등 끝에 같은 달 16일, 김성국과 유교 신자들이 대한정의단에서 이탈했다.[7][8][9][10]
6. 조직
대한정의단은 동지들의 지원을 받아 노령 및 만주 북부 지역의 여러 독립 단체들과 협력했다. 동북 만주 지역 독립운동 단체들의 중심 조직이었으며, 지방 행정 및 산업 진흥에도 특별한 관심을 기울이며 지도했다. 또한 관할 지역 내 한인 거주 마을에 초등학교와 야학을 설립하여 교육에도 크게 기여했다. 일민보, 신국보와 같은 순 한글 신문을 발행하기도 했다.
7. 대한군정부(북로군정서)로의 개편
1919년 10월, 대한정의단과 군정서가 통합하여 단체를 재편하고 명칭을 대한군정부(大韓軍政府)로 변경했다. 대한군정부의 대통령은 서일, 사령관은 김좌진이었다.[4][8][5][12]
같은 해 12월, 서일은 현천묵, 조성환, 이장녕, 이범석, 김규식, 계화, 정정, 이홍래, 나정소, 박성태 등과 함께 대한군정부를 설립하고 민선 대통령에 선출되었다. 서일은 국경 인근의 밀림 지역인 왕청현 서대보에 본부를 설치하고 항전을 위한 준비를 꾸준히 진행했다.[4][8][5][12]
군정부를 강화하기 위해 각지에 정보 연락 조직인 경신지부를 설치하고, 왕청현 십리평에 장교 양성소를 설치하여 간부 양성에 힘썼다. 당시 장교 후보생은 400명이었으며, 십리평 숲에서 열린 제1회 장교 졸업식의 졸업생은 298명이었다.[4][8][5][12]
이후, 새로 설립된 대한군정부의 설립 사실을 상하이의 대한민국 임시 정부에 보고하고 임시 정부 산하의 군사 기관으로 인정을 요청했다. 이때 대한민국 임시 정부는 '대한군정부'라는 명칭을 북로군정서로 변경할 것을 요청했다. 군정부라는 명칭 때문에, 명칭 그대로 군정부가 아니면서 동포 사회에 두 개의 정부가 있을 수 없다는 비판이 제기되었기 때문이다.[4][8][5][12]
참조
[1]
웹사이트
중광단 (重光團)
https://encykorea.ak[...]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2023-10-11
[2]
웹사이트
중광단
http://www.okpedia.k[...]
Encyclopedia of Overseas Korean Culture
2023-10-12
[3]
웹사이트
대한정의단 (大韓正義團)
https://encykorea.ak[...]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2023-10-11
[4]
웹사이트
Northern Military Administration Office
http://contents.hist[...]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2023-02-04
[5]
웹사이트
기일:기억의 날(당신을 기억합니다) 79편 _ 북로군정서 총재 서일
https://ncms.ncultur[...]
ncms.nculture.org
2023-09-23
[6]
웹사이트
대한정의단
http://www.okpedia.k[...]
Encyclopedia of Overseas Korean Culture
2023-10-12
[7]
웹사이트
Northern Military Administration Office
http://contents.hist[...]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2023-02-04
[8]
웹사이트
북로 군정서
http://www.okpedia.k[...]
Encyclopedia of Overseas Korean Culture
2023-02-04
[9]
웹사이트
기일:기억의 날(당신을 기억합니다) 79편 _ 북로군정서 총재 서일
https://ncms.ncultur[...]
ncms.nculture.org
2023-09-23
[10]
웹사이트
대한정의단
http://www.okpedia.k[...]
Encyclopedia of Overseas Korean Culture
2023-10-12
[11]
웹사이트
대종교 무장독립투쟁 - 북로군정서 조직과 활동
https://www.tongilne[...]
Tongil News
2023-10-13
[12]
뉴스
청산리대첩의 실질적 지휘자 북로군정서 총재
https://www.ikoreans[...]
Korean Spirit
2023-09-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