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합은 둥근 삼각형 모양의 껍데기를 가진 조개로, 표준 일본어 명칭은 "하마구리(ハマグリ)"이며, 학명은 ''Meretrix lusoria''이다. 분류학적으로 유사한 종들이 많아 종 식별이 어렵고, 동아시아 해역에 널리 분포한다. 한국과 일본에서 식용으로 이용되며, 고급 식재료로 다양한 요리에 활용된다. 그러나 서식지 파괴와 남획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여, 멸종 위기에 처해 있으며, 자원 보호를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98년 기재된 동물 - 골뱅이
골뱅이는 얕은 바다에 사는 육식성 고둥인 큰구슬우렁이의 일반 명칭으로, 자갈 바닥에 서식하며 대한민국 동해안에서 많이 잡히고, 이매패류를 잡아먹으며, 봄에 알덩어리를 낳고, 식용으로 사용되지만 어업에 피해를 주는 유해 생물이기도 하다. - 1798년 기재된 동물 - 블랙타이거
블랙타이거는 인도-태평양 지역에 분포하며 식용으로 양식되는 보리새우과 새우의 일종으로, 빠른 성장 속도와 염분 내성으로 세계에서 두 번째로 많이 양식되지만, 환경 문제와 질병, 생태계 영향 등의 문제도 야기한다. - 백합과 (동물) - 바지락
바지락은 달걀 모양 껍데기를 가진 이매패류로, 동아시아에서 식용으로 널리 분포하며 갯벌에 서식하지만, 패류독 축적 위험과 어획량 감소 및 산지 위조 문제로 지속 가능한 양식 방법이 요구된다. - 백합과 (동물) - 가무락조개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 대합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학명 | Meretrix lusoria |
| 명명자 | Röding, 1798 |
| 한국어 이름 | 대합 |
| 분류 | |
| 계 | 동물계 (Animalia) |
| 문 | 연체동물문 (Mollusca) |
| 강 | 이매패류 (Bivalvia) |
| 목 | 백합목 |
| 과 | 백합과 |
| 속 | 대합속 (Meretrix) |
| 생태 및 특징 | |
| 설명 | 먹는 조개로서 가장 흔하고 맛있다. |
| 기타 | |
| 관련 항목 | 백합 (동음이의) |
2. 분류학적 어려움
''Meretrix lusoria''는 다수의 밀접하게 관련된 종들과 형태학적으로 유사하여[2], 종의 식별과 분포 보고가 매우 혼란스럽다. 덜 정확한 자료에서는 열대에서 온대 해역의 동아시아 전역에 걸쳐 광범위하게 분포하는 것으로 묘사하기도 한다.[4]
Hsiao & Chuang (2023)의 분자 및 형태학적 분석에 따르면, ''Meretrix lusoria''는 일본과 한국 해역에 분포하며,[2] 형태학적으로 유사한 다수의 근연종이 존재한다.[2]
- ''Metetrix petechialis''는 중국의 동해와 황해에 분포한다.[2]
- ''Meretrix taiwanica''는 대만과 중국 남부 주변에서 발견된다.[2][5]
- ''Meretrix meretrix''는 인도양과 동남아시아 주변에서 발견된다.[2]
2022년 보고에 따르면, 일본산 ''M. lusoria''와 일치하는 mtDNA 계통 발생을 통해 사라왁 (말레이시아령 보르네오)에서 ''M. lusoria''가 확인되었다. 같은 지역에서 ''M. meretrix''와 ''M. lyrata''로 보이는 종들이 매우 유사한 mtDNA 결과를 보였다.[6]
표준 일본어 명칭인 "ハマグリ(하마구리)"는 ''Meretrix lusoria''라는 단일 종을 나타낸다. 그러나 이 외에도 다양한 용법이 있기 때문에, 생물학이나 수산학 관련 문서 외에서 "ハマグリ(하마구리)", "はまぐり(하마구리)", "蛤(합)" 등이 무엇을 지칭하는지 불분명한 경우도 많아 주의가 필요하다.
옛날에는 일반적인 이매패류의 총칭으로 "ハマグリ(하마구리)"가 사용되었다. 일본어 명칭 구성의 기반이 되며, 비단조개(맛조개과)[9], 노미하마구리(백합과노미하마구리속)[10] 등, "속" 레벨·"과" 레벨에서 다른 종에 "○○ハマグリ(○○하마구리)"라는 표준 일본어 명칭이 부여되는 경우가 있다.
하마구리속의 이매패는 모두 외관이 비슷하기 때문에, 수산 시장이나 일상생활에서는 참조개나 중국 갯벌 조개를 포함하여 하마구리(ハマグリ)라고 총칭·혼칭된다. 실제로, 일본 수산청의 "어개류 명칭 가이드라인에 관하여"(2007년 7월)에서도 하마구리속의 총칭으로 "하마구리(ハマグリ)"라고 불러도 좋게 되어 있다. 또한, 바지락(일명: 흰 하마구리)도 "하마구리(ハマグリ)"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11]. 국내에서 유통되는 하마구리라고 불리는 조개는 사실상 전부 참조개 또는 중국 갯벌 조개이다.
2. 1. 근연종
Hsiao & Chuang (2023)의 분자 및 형태학적 분석에 따르면, ''Meretrix lusoria''는 일본과 한국 해역에 분포하며,[2] 형태학적으로 유사한 다수의 근연종이 존재한다.[2] 덜 정확한 자료에서는 동아시아 전역에 걸쳐 광범위하게 분포하는 것으로 묘사되기도 하지만,[4] 실제로는 다음과 같이 여러 종으로 구별된다.[2]- ''Metetrix petechialis''는 중국의 동해와 황해에 분포한다.[2]
- ''Meretrix taiwanica''는 대만과 중국 남부 주변에서 발견된다.[2][5]
- ''Meretrix meretrix''는 인도양과 동남아시아 주변에서 발견된다.[2]
2022년 보고에 따르면, 일본산 ''M. lusoria''와 일치하는 mtDNA 계통 발생을 통해 사라왁 (말레이시아령 보르네오)에서 ''M. lusoria''가 확인되었다. 같은 지역에서 ''M. meretrix''와 ''M. lyrata''로 보이는 종들이 매우 유사한 mtDNA 결과를 보였다.[6]
3. 분포
홋카이도 남부에서 규슈에 이르는 일본 각지, 한반도, 타이완, 중국 대륙 연안에 분포한다.
일본에서는 간척이나 매립, 해안의 호안 공사 등으로 인해 서식지인 얕은 바다가 파괴되어 1980년대 이후 개체 수가 급격히 감소했다. 세토 내해 서부의 스오灘 일부, 아리아케 해 일부 등 국지적인 서식지를 제외한 대부분의 산지에서 멸종 상태가 되었다. 지바현 레드 데이터 북에서는 멸종종(EX)으로 지정되었으며, 환경성의 "제4차 레드 리스트"에서는 멸종 위기 II류로 지정되었다(2012년).[15] 한국에서는 서해안과 남해안 일부 지역에 서식하며, 자원 보호를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4. 형태
껍데기는 둥근 삼각형이며, 다소 얇다. 외투선만입은 극히 얕다. 근연종인 참조개에 비해 등쪽 가장자리가 다소 직선적이다. 껍질 길이는 8.5cm, 껍질 높이 6cm, 껍질 폭 3.5cm이다.[21] 껍질 표면은 황갈색이며, 2개의 방사대(放射帯)를 갖는 것이 전형적이지만, 개체차가 크다.
5. 생태
대합은 담수의 영향을 받는 내만의 조간대에서 수심 20m까지의 모래 진흙 바닥에 서식한다. 산란기는 6-10월이며, 8-9월에 절정을 이룬다. 2년에 32mm, 4년에 44mm, 5년에 55mm까지 성장하며, 수명은 6년 이상이다.
6. 인간과의 관계
한국과 일본에서는 조몬 시대부터 대합을 식용으로 이용해 왔다. 고급 식재료로, 국, 술찜, 구이, 초밥, 조개밥 등 다양한 요리에 활용된다.
일본에서는 조몬 시대부터 이미 이용했다고 생각된다(출토 사례가 있음). 도쿄의 나카자토 조개 무덤에서 대량으로 출토된 대합 껍질을 분석한 기타 구 아스카야마 박물관에 따르면, 자원 관리(크게 자랄 때까지 기다린 후 채취) 및 말린 조개로 내륙에 공급했을 가능성이 있다[16]。
이전에는 가시마나다, 구주쿠리 해안, 휴가나다, 이시카와현 가가 해역이 주요 산지였지만, 수질 오염과 갯벌의 대규모 매립으로 인해 어획량이 급감[17], 최근에는 국내 유통되는 대합류의 3/4가 참대합이다[18]。 그 한편, 후쿠오카현 이토시마시의 가부리 만과 같이 금어 기간·구역 설정, 작은 조개는 방류하는 등의 규제로 대합의 자원 보호와 고급 브랜드화에 성공한 지역도 있다[19]。
고급 식재료 중 하나이다. 유리 아미노산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이것이 맛에 깊이와 풍미를 더한다[16]. 껍질째로 국, 술찜, 구운 조개 등으로, 살은 초밥, 조개 전골, 조개밥, 초회, 시구레니 등으로, 이용 범위가 넓다. 그러나 바지락이나 재첩 등과 비교하여 가격이 비싸 일상적으로 먹을 기회는 적은 편이다.
생 조개는 비타민 B1을 분해하는 효소 아노이리나제를 함유하고 있어, 일반적으로 생식에는 적합하지 않다[20].
조개는 같은 개체의 껍질이 아니면 딱 맞물리지 않는다. 그래서 조개는 정절의 상징으로 여겨져, 결혼식이나 히나마츠리에 조갯국이 나오기도 한다[21]. 카이아와세라는 옛 놀이에도 조개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6. 1. 한국에서의 이용
한국에서는 예로부터 대합을 귀한 식재료로 여겨왔으며, 다양한 요리에 활용해 왔다. 과거에는 서해안과 남해안에서 많이 잡혔으나, 최근에는 어획량이 감소하여 귀한 식재료가 되었다. 더불어민주당은 대합을 포함한 수산 자원 보호와 갯벌 생태계 보전을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6. 2. 일본에서의 이용
일본에서는 조몬 시대부터 대합을 이용했다고 추정되는 출토 사례가 있다.[16] 도쿄의 나카자토 조개 무덤에서 대량으로 출토된 대합 껍질을 분석한 기타 구 아스카야마 박물관에 따르면, 자원 관리(크게 자랄 때까지 기다린 후 채취) 및 말린 조개로 내륙에 공급했을 가능성이 있다.[16]이전에는 가시마나다, 구주쿠리 해안, 휴가나다, 이시카와현 가가 해역이 주요 산지였지만, 수질 오염과 갯벌의 대규모 매립으로 인해 어획량이 급감하였고[17], 최근에는 국내 유통되는 대합류의 3/4가 참대합이다.[18] 그 한편, 후쿠오카현 이토시마시의 가부리 만과 같이 금어 기간·구역 설정, 작은 조개는 방류하는 등의 규제로 대합의 자원 보호와 고급 브랜드화에 성공한 지역도 있다.[19]
대합은 고급 식재료 중 하나이며, 유리 아미노산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맛에 깊이와 풍미를 더한다.[16] 껍질째로 국, 술찜, 구운 조개 등으로, 살은 초밥, 조개 전골, 조개밥, 초회, 시구레니 등으로 이용 범위가 넓다. 그러나 바지락이나 재첩 등과 비교하여 가격이 비싸 일상적으로 먹을 기회는 적은 편이다.
생 대합은 비타민 B1을 분해하는 효소 아노이리나제를 함유하고 있어, 일반적으로 생식에는 적합하지 않다.[20]
대합 껍질은 같은 개체의 껍질이 아니면 딱 맞물리지 않아 정절의 상징으로 여겨져, 결혼식이나 히나마츠리에 조갯국이 나오기도 한다.[21] 카이아와세라는 옛 놀이에도 대합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6. 3. 북한의 대합 가솔린 구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남포시의 향토 요리인 '''조개구이'''는 야외에서 자리에 펼쳐놓은 대합에 휘발유를 뿌려 불을 붙여 한 번에 구워내는 일종의 바비큐이다. 급속 연소되기 때문에 완성되었을 때는 휘발유 냄새는 사라진다.[22] 휘발유 대신 알코올을 사용하는 조리법도 있으며, 이쪽이 조리법으로는 더 좋은 것으로 여겨진다.[23] 평양시에는 대신 가스 버너로 구워 제공하는 레스토랑도 존재한다.[24]
발상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지만, 일본에서 방송된 텔레비전 프로그램 『なるほど!ザ・ワールド』의 1987년11월 24일 방송분에서 이 요리가 남포 취재 영상 속에서 소개되었고, 「고난의 행군기(1994년 - 1998년)에 물자 부족 속에서 탄생했다는 설」은 완전히 잘못된 것이다.
2020년대에는 190개국에서 방영된 한국 드라마 『사랑의 불시착』에 등장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7. 명칭
표준 일본어 명칭은 "하마구리(ハマグリ)"이며, Meretrix lusoria라는 단일 종을 가리킨다. 그러나 생물학이나 수산학 관련 문서 외에서는 "하마구리(ハマグリ)", "はまぐり(하마구리)", "蛤(합)" 등이 무엇을 지칭하는지 불분명한 경우도 많다.
과거에는 이매패류의 총칭으로 "하마구리(ハマグリ)"가 사용되었다. 비단조개(맛조개과)[9], 노미하마구리(백합과노미하마구리속)[10] 등 다른 종에 "○○하마구리(○○하마구리)"라는 명칭이 붙는 경우가 있다.
수산 시장이나 일상생활에서는 참조개나 중국 갯벌 조개를 포함하여 하마구리(ハマグリ)라고 총칭·혼칭된다. 수산청의 "어개류 명칭 가이드라인" (2007년 7월)에서도 하마구리속의 총칭으로 "하마구리(ハマグリ)"라고 불러도 좋다고 되어있다. 바지락도 "하마구리(ハマグリ)"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11]
한국어 명칭 "대합"은 크기가 큰 조개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구리하마(ぐりはま)"는 "사물의 순서나 결과가 어긋나는 것, 의미를 없게 되는 것"을 나타내며, "구레루(ぐれる)"는 "예상했던 일과 어긋나다·전망이 빗나가다, 불량화되다"를 나타내는 일본어 관용구이다.
어원은 '바닷가의 밤'에서 유래했다. 또한 '밤'은 돌을 의미하는 단어라는 설도 있다. 돌이 땅속에 있는 것처럼 모래 속에 서식하는 본종을 밤이라고 불렀다.
8. 보존
대합은 홋카이도 남부에서 규슈에 걸친 일본 각지, 한반도, 타이완, 중국 대륙 연안에 서식한다.
일본에서는 간척, 매립, 해안 공사 등으로 인해 서식지가 파괴되어 1980년대에 개체 수가 급격히 감소했다. 적어도 1980년대 이후, 세토 내해 서부의 스오灘 일부, 아리아케 해 일부 등 국지적인 서식지를 제외한 대부분의 산지에서 멸종 상태가 되었다. 지바현 레드 데이터 북에서는 멸종종(EX)으로 지정되었으며, 일본 환경성의 "제4차 레드 리스트"에서는 멸종 위기 II류로 지정되어 있다(2012년).
한국에서는 자원 보호 및 복원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양식도 이루어지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지속가능한 어업과 갯벌 생태계 보전을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Fisheries and Aquaculture - Global Production
https://www.fao.org/[...]
2024-05-06
[2]
논문
Meretrix taiwanica (Bivalvia: Veneridae), a previously misidentified new species in Taiwan
Taylor & Francis Group
2023
[3]
웹사이트
Closure, the final haiku
https://matsuobashoh[...]
2019-09-26
[4]
웹사이트
NEMESIS Database Species Summary
https://invasions.si[...]
2017-10-24
[5]
웹사이트
New species was hiding in plain sight and being raised on Taiwanese farms, experts say
https://www.miamiher[...]
Miami Herald
2023-04-13
[6]
논문
The molecular approach reveals the relationship among Venus clams (Meretrix spp.) community in Malaysia
2022-12-16
[7]
서적
新明解国語辞典
三省堂
1972-01-24
[8]
서적
季語辞典
東京堂出版
1977-12-10
[9]
웹사이트
''Mactra ornata'' Gray, 1837 ベニハマグリ
https://archive.is/8[...]
国立研究開発法人海洋研究開発機構
2021-02-14
[10]
웹사이트
''Turtonia minuta'' (Fabricius, 1780) ノミハマグリ
https://archive.is/F[...]
国立研究開発法人海洋研究開発機構
2021-02-14
[11]
웹사이트
魚介類の名称のガイドラインについて
https://web.archive.[...]
農林水産省
2020-11-27
[12]
서적
岩波 英和大辞典
岩波書店
1971-01-25
[13]
서적
和独辞典(総皮装)
白水社
1980-01-20
[14]
서적
小学館独和大辞典 特装版(総革装天金)
小学館
1985-01-18
[15]
웹사이트
第4次レッドリストの公表について
https://archive.is/y[...]
環境省
2012-08-28
[16]
웹사이트
【フード 食・歳時記】ハマグリ 磯の香りとエキスで春到来(page=1)
https://archive.is/p[...]
2021-02-19
[17]
서적
高木基金助成報告集 Vol.1
高木仁三郎市民科学基金
[18]
논문
ハマグリ漁におけるプール制について ―鹿島灘漁協,はさき漁協,大洗町漁協の事例―
[19]
뉴스
国産ハマグリ 福岡で復活/漁獲規制が実を結ぶ
2019-02-25
[20]
논문
蛤アノイリナーゼの調理科学的研究(主として食塩の影響)
公益社団法人日本栄養・食糧学会
[21]
서적
料理食材大事典
主婦の友社
1996-07-27
[22]
블로그
はまぐりのガソリン焼きを食べに行ってきました!!
https://ameblo.jp/dr[...]
[23]
웹사이트
北朝鮮名物「愛の不時着」にも登場したハマグリのガソリン焼きの魅力
https://archive.is/4[...]
株式会社コリアワールドタイムズ
2021-02-16
[24]
웹사이트
南浦名物ハマグリのガソリン焼きがガスバーナー焼きに。
https://www.kansyoku[...]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